KR200448875Y1 - 약봉지 - Google Patents

약봉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875Y1
KR200448875Y1 KR2020080012294U KR20080012294U KR200448875Y1 KR 200448875 Y1 KR200448875 Y1 KR 200448875Y1 KR 2020080012294 U KR2020080012294 U KR 2020080012294U KR 20080012294 U KR20080012294 U KR 20080012294U KR 200448875 Y1 KR200448875 Y1 KR 2004488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body parts
medicine bag
separation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2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130U (ko
Inventor
김준겸
Original Assignee
김준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겸 filed Critical 김준겸
Priority to KR20200800122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875Y1/ko
Publication of KR201000031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1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8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8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약봉지에 관한 것으로, 일렬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며, 하단에 약을 배출하기 위한 절취라인(22)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몸체부(20); 복수의 몸체부(20)가 서로 연결되도록 복수의 몸체부(20) 상단에 일체로 구비되며, 복수의 몸체부(20)를 개별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라인(32)이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띠 형상의 연결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약봉지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몸체부, 절취라인, 연결부, 분리라인

Description

약봉지 {A MEDICINE PACKET}
본 고안은 약봉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몸체부를 개별적으로 분리 용이함은 물론이고 약의 복용이 간편한 약봉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봉지는 일정량의 알약 또는 가루약 등과 약을 담는 봉지를 일컫는 말로서, 1회 분량의 약을 담을 수 있는 소형의 일회용 약봉지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약봉지는 그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의사와 약사 및 환자가 공히 신뢰성을 가지고 올바른 약의 처방과 조제 및 복용함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것이 선보이고 있다.
종래의 약봉지는 약이 수용되는 몸체부가 연속적으로 복수 개 형성되고, 몸체부 간에는 몸체부를 하나씩 개별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절취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약봉지는 절취라인이 몸체부의 길이만큼 길게 형성됨으로 인해, 약봉지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분리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분리작업 중 약봉지가 찢어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또한 약의 복용시 약봉지의 상단을 단순히 찢음으로써 그 개봉작업이 불편함은 물론이고 개봉시 약이 외부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약봉지의 외형 및 내부공간이 사각 형태로 이루어져 그 개봉작업 및 약의 복용이 불편하며, 특히 가루약이 수용되어 있을 경우 가루약이 모서리에 끼어 원활히 배출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는 결국, 약봉지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상대적으로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고안은 몸체부 간의 분리작업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약의 배출 및 복용이 보다 용이한 약봉지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약봉지는, 일렬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며, 하단에 약을 배출하기 위한 절취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몸체부; 상기 복수의 몸체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복수의 몸체부 상단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몸체부를 개별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라인이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띠 형상의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복수의 몸체부 하단은‘∨’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몸체부 내부공간은‘∪’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몸체부 간의 이격공간 하단에 각각 구비되며, 보조분리라인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보조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분리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가 몸체부의 상단에 최소 영역으로 구비됨으로써 복수의 몸체부 간의 분리작업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수행 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의 형상적 특징 및 절취라인을 통해 몸체부의 절취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약의 복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로 인해, 약봉지의 기능성 및 사용성을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약봉지는 약이 수용·저장되는 복수의 몸체부(20); 복수의 몸체부(20)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몸체부(20)는 재질적 특성이 우수한 종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몸체부(20)는 일렬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며, 그 하단 각각에는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약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절취라인(22)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몸체부(20) 간의 이격거리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 가능하다.
절취라인(22)은 몸체부(20)의 내부공간을 개방하여 약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몸체부(20)의 하단은 절취라인(22)을 통한 절취작업 및 약의 복용이 용이하도록‘∨’형상을 가진다.
즉, 몸체부(20)의 하단이‘∨’형상을 가짐으로써 절취라인(22)의 영역이 최소화되어 절취작업이 편리할 뿐 아니라 약이 한 곳으로 집중되어 배출되므로 약의 복용이 용이하다.
몸체부(20)의 내부공간은 약의 배출시 가루약 등이 틈 사이에 끼이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형상을 가진다.
한편, 몸체부(20)는 불투명 또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약이 제대로 조제되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30)는 몸체부(20)와 동일한 종이 재질로 이루어져 공지된 성형방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다.
연결부(30)는 복수의 몸체부(20)가 서로 연결되도록 복수의 몸체부(20) 상단에 일체로 구비된다.
연결부(30)에는 복수의 몸체부(20)를 하나씩 개별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라인(32)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복수의 몸체부(2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이격공간의 상부에 위치하는 연결부(30)의 영역에는 복수의 몸체부(20)를 하나씩 개별적으로 분리하기 하기 위한 복수의 분리라인(32)이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30)는 띠 형상을 가지며, 복수의 몸체부(20) 전체를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진다.
연결부(30)는 복수의 몸체부(20) 연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그 폭을 최소화하여 복수의 몸체부(20) 분리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30)에 형성되어 있는 분리라인(32)은 몸체부(20)의 상단에 위치하므로 분리작업시 몸체부(20)와는 전혀 간섭되지 않아 몸체부(20)가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는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약봉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봉지는 일렬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며, 하단에 약을 배출하기 위한 절취라인(22)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몸체부(20); 복수의 몸체부(20)가 서로 연결되도록 복수의 몸체부(20) 상단에 일체로 구비되며, 복수의 몸체부(20)를 개별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라인(32)이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띠 형상의 연결부(30); 복수의 몸체부(30) 간의 이격공간 하단에 각각 구비되며, 보조분리라인(42)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보조연결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조연결부(40)는 몸체부(20) 간의 연결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부(20)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에서 보조분리라인(42)이 형성되어 있는 보조연결부(40) 외의 다른 기술적 구성은 도 1 및 도 2를 통해 설명한 약봉지와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약봉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약봉지를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절취하는 과정을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약봉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몸체부 22 : 절취라인
30 : 연결부 32 : 분리라인

Claims (3)

  1. 약봉지에 있어서,
    일렬로 나란하게 이격 배치되며, 하단에 약을 배출하기 위한 절취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몸체부;
    상기 복수의 몸체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복수의 몸체부 상단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몸체부를 개별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라인이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띠 형상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봉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몸체부 하단은‘∨’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몸체부 내부공간은‘∪’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봉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몸체부 간의 이격공간 하단에 각각 구비되며, 보조분리라인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보조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봉지.
KR2020080012294U 2008-09-10 2008-09-10 약봉지 KR2004488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294U KR200448875Y1 (ko) 2008-09-10 2008-09-10 약봉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294U KR200448875Y1 (ko) 2008-09-10 2008-09-10 약봉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130U KR20100003130U (ko) 2010-03-18
KR200448875Y1 true KR200448875Y1 (ko) 2010-06-04

Family

ID=44198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294U KR200448875Y1 (ko) 2008-09-10 2008-09-10 약봉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875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8201A (ja) 1997-02-13 1998-08-18 Dainippon Printing Co Ltd 包装用袋
KR200206853Y1 (ko) 2000-07-12 2000-12-15 한계주 일회용 약봉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8201A (ja) 1997-02-13 1998-08-18 Dainippon Printing Co Ltd 包装用袋
KR200206853Y1 (ko) 2000-07-12 2000-12-15 한계주 일회용 약봉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130U (ko) 201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8681A (en) Medication delivery straw
US20080078797A1 (en) Device for Dividing Medication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ES2772750T3 (es) Recipiente de material plástico y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 recipiente de este tipo
JP5897908B2 (ja) 薬剤プレススルーパック包装体
ES2364527T3 (es) Dispositivo y uso para guardar y proveer obleas de medicamento.
USD578302S1 (en) Container device
KR200448875Y1 (ko) 약봉지
JP2018518268A (ja) 多連単回用量容器のパッケージング
KR101021156B1 (ko) 약봉지
CN201505287U (zh) 药品包装袋
KR20130102787A (ko) 음료용기 겸용 약봉지
CN211845227U (zh) 一种医院、诊所包药丸用盒子
KR102089966B1 (ko) 집게가 구비된 정량 인출 약통
JP4822860B2 (ja) 医療用複室容器
US7055717B1 (en) Disposable pill dispensing chute liner
JP5931280B2 (ja) 分包体、分包体の製造方法および分包体の製造装置
KR20110042632A (ko) 정량인출 및 토출이 가능한 스포이드를 구비하는 의약품 용기
CN206984668U (zh) 一种雾化器收纳盒
CN220967691U (zh) 一种便于服用的阿莫西林颗粒内包装袋
RU2811726C2 (ru) Новый предохранитель для крыльев,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й для капсулы с крыльями,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JP3115894U (ja) 鍼収納構造
JP2006043405A (ja) 医療用バッグ
KR20130006589U (ko) 가루약을 시럽 병에 부어 넣기 쉬운 약포지
KR101448495B1 (ko) 식염수 포켓용 실링 캡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6122511A (ja) 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