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420Y1 - 전원콘센트를 갖는 천장등 - Google Patents

전원콘센트를 갖는 천장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420Y1
KR200448420Y1 KR2020080001635U KR20080001635U KR200448420Y1 KR 200448420 Y1 KR200448420 Y1 KR 200448420Y1 KR 2020080001635 U KR2020080001635 U KR 2020080001635U KR 20080001635 U KR20080001635 U KR 20080001635U KR 200448420 Y1 KR200448420 Y1 KR 2004484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ower
light housing
outle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6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040U (ko
Inventor
안용범
Original Assignee
안용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용범 filed Critical 안용범
Priority to KR20200800016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420Y1/ko
Publication of KR200900080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0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4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4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21V23/023Power supplies in a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21V17/16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the parts being subjected to traction or compression, e.g.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원콘센트를 갖는 천장등에 관한 것으로, 복도 및 계단에 구비되는 천장등에서 전원을 인출하여서 복도 및 계단 등의 청소시 전원을 사용하여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천장등에 있어서, 전원을 인출한 수 있게 한 전원 콘센트를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본 고안은 천장등에 전원 콘센트를 구비함으로써 복도 및 계단 등의 청소시 전원을 쉽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천장등

Description

전원콘센트를 갖는 천장등{Lamp}
본 고안은 전원콘센트를 갖는 천장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내부의 천장 및 계단에 구비되는 천장등에 있어서, 전원을 인출한 수 있게 한 전원 콘센트를 구비하여서, 복도 등의 청소작업시 이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장등은 복도 및 계단에 야간 조명을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천장등은 복도 및 계단에 설치되어서 야간 통행시 보행자가 시야를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안전한 통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천장등에는 센서를 구비하여서 보행자가 통행할 경우에만 그 점등이 이루어지게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천장등은 조광을 하는 등의 기능만을 가지고 있어서 복도나 계단 청소시 별도의 전원을 제공하지 못하여 복도 및 계단의 청소시 별도의 전원선을 구비하고 이를 각 가정에 있는 콘센트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등 그 사용에 많은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복도 및 계단에 구비되는 천장등에 별도의 콘센트 구비하지 않아 복도 및 계단 등의 청소시 전원의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천장등에 있어서, 전원을 인출한 수 있게 한 전원콘센트를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본 고안은 천장등에 전원 콘센트를 구비함으로써 복도 및 계단 등의 청소시 전원을 쉽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건물의 복도 및 계단에 구비되며 중앙에 전구수용부를 형성한 전등하우징(110)과, 상기 전등하우징(110)에 결속되며 전구(130)가 결합되는 전구소켓(120)과, 상기 전등하우징(110)의 전면에 결합되며 투광체로 이루어진 전등캡(140)으로 이루어진 천장등에 있어서; 상기 전등하우징(110)의 한 쪽에 구비되며 전구소켓(12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선(150)과 전기적 결선되는 전원콘센트(10)를 구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원콘센트(10)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게 전등하우징(110)의 한 쪽에 콘센트스위치(2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원콘센트(10)는 전등하우징(110)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형성하여 작업자가 바로 꽂아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전원플러그(200)를 꽂았을 때 이탈되지 않아 전등하우징(110)에 형성한 콘센트공(11)의 측면에 착탈제한구(3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착탈제한구(30)는 콘센트공(11)의 측벽으로 돌출되며 결합방향으로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분리방향으로 수직면을 형성한 걸림돌기(31)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돌기(31)를 몰입 동작시킬 수 있게 걸림돌기(31)과 일체로 형성되며 중앙부분이 핀을 매개로 전등하우징(110)에 결합되며 전등하우징(110)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착탈버튼(32)과, 상기 걸림돌기(31)가 탄성 몰입상태를 유지하게 착탈버튼(32)과 걸림돌기(31) 중 어느 하나를 탄성지지 하는 몰입스프링(33)으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사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천장등에 있어서; 상기 전등하우징(110)의 한쪽에 구비되며 전구소켓(12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선(150)과 전기적 결선되는 전원콘센트(10)를 구비하여 실시한 본 고안이 적용된 복도 및 계단에서 전원의 공급이 요구되는 작업을 실시하고자 할 경우 천장에 구비된 천장등의 전원콘센트(10)에 전원플러그(200)를 꽂음으로써 복도 및 계단 등에서 전원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와 같이 콘센트스위치(20)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전원콘센트(10)로의 전원 공급을 필요에 따라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와 같이 전원콘센트(10)에 형성된 콘센트공(11)에 착탈제한구(30)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전원플러그(200)의 결합과정에 있어서는 착탈제한구(30)의 걸림돌기(31)가 경사면이 접하여 그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전원플러그(200)에 자중이 가해져 분리되려 할 때는 걸림돌기(31)의 수직면이 걸려 랫치 역할을 하여 자중에 의한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장착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이상과 같이 착탈제한구(30)에 의하여 그 분리가 제한된 전원플러그(200)는 측면에 구비된 착탈제한구(30)의 착탈버튼(32)을 눌러줌으로써 그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본 고안은 천장등에 전원 콘센트를 구비함으로써 복도 및 계단 등의 청소시 전원을 쉽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주요 구성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콘센트 11 : 콘센트공
20 : 콘센트스위치
30 : 착탈제한구
31 : 걸림돌기 32 : 착탈버튼 33 : 몰입스프링
100 : 천장등
110 : 전등하우징 120 : 전구소켓
130 : 전구 140 : 전등캡
150 : 전원공급선
200 : 전원플러그

Claims (2)

  1. 벽면에 고정되며 중앙에 전구수용부를 형성한 전등하우징(110)과, 상기 전등하우징(110)에 결속되며 전구(130)가 결합되는 전구소켓(120)과, 상기 전등하우징(110)의 전면에 결합되며 투광체로 이루어진 전등캡(140)으로 이루어진 천장등에 있어서;
    상기 전등하우징(110)의 한 쪽에 구비되며 전구소켓(12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선(150)과 전기적 결선되는 전원콘센트(10)를 구비하며,
    상기 전원콘센트(10)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게 전등하우징(110)의 한 쪽에 콘센트스위치(20)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콘센트(10)는 전등하우징(110)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형성하여 작업자가 바로 꽂아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전원플러그(200)를 꽂았을 때 이탈되지 않아 전등하우징(110)에 형성한 콘센트공(11)의 측면에 착탈제한구(30)를 구비하되,
    상기 착탈제한구(30)는 콘센트공(11)의 측벽으로 돌출되며 결합방향으로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분리방향으로 수직면을 형성한 걸림돌기(31)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돌기(31)를 몰입 동작시킬 수 있게 걸림돌기(31)과 일체로 형성되며 중앙부분이 핀을 매개로 전등하우징(110)에 결합되며 전등하우징(110)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착탈버튼(32)과, 상기 걸림돌기(31)가 탄성 몰입상태를 유지하게 착탈버튼(32)과 걸림돌기(31) 중 어느 하나를 탄성지지 하는 몰입스프링(33)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콘센트를 갖는 천장등.
  2. 삭제
KR2020080001635U 2008-02-04 2008-02-04 전원콘센트를 갖는 천장등 KR2004484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635U KR200448420Y1 (ko) 2008-02-04 2008-02-04 전원콘센트를 갖는 천장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635U KR200448420Y1 (ko) 2008-02-04 2008-02-04 전원콘센트를 갖는 천장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040U KR20090008040U (ko) 2009-08-07
KR200448420Y1 true KR200448420Y1 (ko) 2010-04-09

Family

ID=41300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635U KR200448420Y1 (ko) 2008-02-04 2008-02-04 전원콘센트를 갖는 천장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42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845Y1 (ko) * 2016-02-12 2016-07-12 오만성 전기램프의 완충 지지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161Y1 (ko) * 1999-08-25 2000-03-15 박승기 전원 플러그 이탈수단을 가지는 콘센트
KR200200389Y1 (ko) * 2000-05-16 2000-10-16 안성용 센서조명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161Y1 (ko) * 1999-08-25 2000-03-15 박승기 전원 플러그 이탈수단을 가지는 콘센트
KR200200389Y1 (ko) * 2000-05-16 2000-10-16 안성용 센서조명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040U (ko) 200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8235B2 (en) Concealed safety lighting device
US6942354B2 (en) Lighting system and housing therefore
US10030855B1 (en) Portable light
US20120155069A1 (en) Multi-purpose illumination device
US20060007709A1 (en) LED sensor night light
CN102734639A (zh) 带有闪光灯的安全发光棒
JP2014170732A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US20100290207A1 (en) Emergency LED light device
JP2009272135A (ja) 照明器具
KR200476879Y1 (ko) 자석착탈형 led등기구
KR200448420Y1 (ko) 전원콘센트를 갖는 천장등
ES2666004T3 (es) Toma de corriente eléctrica con toma de tierra
KR101761158B1 (ko) 파워 카세트 등기구
KR200446086Y1 (ko) 센서등
KR102326148B1 (ko) 공동주택용 벽면 내설 조명 콘센트
JP2010040205A (ja) 照明装置
KR200463454Y1 (ko) 발광다이오드용 조명장치
CN205299201U (zh) 一种变色灯串
JP3100244U (ja) 高輝度発光ダイオードを光源とする着脱式足下照明灯
KR20190062726A (ko) 모듈 변환형 조명 장치
CN212805575U (zh) 开关插座带红外人体感应夜灯
KR101588453B1 (ko) 텐트 고정로프 확인용 광섬유 시인장치
JP2008027876A (ja) 明暗センサ−付の照明器具取付装置
KR20090094928A (ko) 조명장치
JP7357935B2 (ja) 照明器具用補助電源装置及び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