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339Y1 - 회전식 각도조절 연결관 - Google Patents

회전식 각도조절 연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339Y1
KR200448339Y1 KR2020100000168U KR20100000168U KR200448339Y1 KR 200448339 Y1 KR200448339 Y1 KR 200448339Y1 KR 2020100000168 U KR2020100000168 U KR 2020100000168U KR 20100000168 U KR20100000168 U KR 20100000168U KR 200448339 Y1 KR200448339 Y1 KR 2004483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ipes
base
pip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1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길
Original Assignee
김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길 filed Critical 김영길
Priority to KR20201000001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3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3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3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2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느 한쪽은 막혀있고 다른 한쪽은 개방된 관형상으로 개방된 부분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연통체결되는 한쌍의 베이스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 외주면에는 각각 연결곡관삽입공이 천공되어 있는 베이스회전부와,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이 서로 맞닿은 부분의 외주면을 감싸 연결 고정하는 체결밴드와, 가운데부분이 "S"자형상으로 굴곡져 있어 일측과 타측이 서로 다른 선상에 위치된 곡관형상으로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 외주면에 천공된 연결곡관삽입공에 일측끝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한쌍의 연결곡관으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은 서로 맞닿은 면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한쌍의 연결곡관 사이의 각도가 임의로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밴드를 조임체결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연결곡관은 연결곡관삽입공에 삽입 체결된 일측을 중심으로 타측이 회전가능하여 기 설치된 두 배관 사이의 설치각 및 높낮이에 맞게 한쌍의 연결곡관의 타측끝단이 각각 부합되게 위치조절된 상태에서 기 설치된 배관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각도조절 연결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식 각도조절 연결관{A rotatory coupling tube regulated angle}
본 고안은 기(旣) 설치된 두 배관 사이의 다양한 설치각 및 높낮이에 맞게 회전식으로 각도 및 위치조절되어 기 설치된 두 배관 사이를 용이하게 연결하는 연결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느 한쪽은 막혀있고 다른 한쪽은 개방된 관형상으로 개방된 부분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연통체결되는 한쌍의 베이스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 외주면에는 각각 연결곡관삽입공이 천공되어 있는 베이스회전부와,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이 서로 맞닿은 부분의 외주면을 감싸 연결 고정하는 체결밴드와, 가운데부분이 "S"자형상으로 굴곡져 있어 일측과 타측이 서로 다른 선상에 위치된 곡관형상으로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 외주면에 천공된 연결곡관삽입공에 일측끝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한쌍의 연결곡관으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은 서로 맞닿은 면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한쌍의 연결곡관 사이의 각도가 임의로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밴드에 의해 조임체결되어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연결곡관은 연결곡관삽입공에 삽입 체결된 일측을 중심으로 타측이 회전가능하여 기 설치된 두 배관 사이의 설치각 및 높낮이에 맞게 한쌍의 연결곡관의 타측끝단이 각각 부합되게 위치조절된 상태에서 기 설치된 배관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각도조절 연결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의 배관이나 보일러의 배관 또는 가스배관 등 각종 유체가 흐르는 관을 배관하는 경우에는 각 배관의 끝단을 연결하는 연결관으로 일자형이나 "T"자형 또는 "L"자형 등의 각종 연결관을 사용하여 각 배관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유체가 원활하게 흐르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배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은 그 설치각이 60°나 90°또는 180° 등으로 일정한 각도로 정형화되어 있어 기 설치된 두 배관 사이의 설치각에 따라 다양한 각도를 지닌 여러 형태의 연결관을 구비해야만 작업현장에서 기 설치된 두 배관 사이의 설치각에 알맞는 연결관을 선택하여 원활한 배관 연결작업을 할 수 있었으며, 또한 기 설치된 두 배관 사이의 설치각이 정형화된 각도에서 벗어난 설치각을 지닌 경우에는 정형화된 각도를 지닌 연결관을 전혀 사용할 수 없어 기 설치된 배관을 다시 분해 후 상기 연결관의 각도에 맞게 재설치하거나 또는 정형화된 각도를 지닌 연결관을 다른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강제로 구부리거나 가열하는 방식으로 구부려 열변형시킨 후 기 설치된 두 배관 사이를 연결하였으나, 기 설치된 배관을 분해 후 재설치하는 경우에는 막대한 시간과 노동력이 추가적으로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연결관을 변형시키는 경우에는 변형된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쉽게 손상되거나 마모되어 단기간내에 재설치 및 보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 1989-0008280호에서는 연결보울트의 끼움홈 및 걸림턱이 각각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파이프연결체가 상,하 1조로 구성되고 그 사이에 고무패킹이 끼워지고 연결보울트 및 너트에 의해 체결되는 파이프 연결관이 고안되어 연결보울트에 의해 상하로 연결된 각 파이프연결체를 기 설치된 두 배관사이의 설치각에 맞게 상기 연결보울트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임의 각도로 조절하여 배관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선등록 고안은 상,하 파이프연결체를 연결하는 연결보울트 및 너트가 파이프 연결관의 내측에 내설되도록 되어 있어 배관을 통해 흐르는 유체의 흐름이 크게 저해되거나 막히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상기 상부 파이프연결체와 하부 파이프연결체 사이가 상하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어 기 설치된 두 배관 사이의 상하 높낮이가 상,하 파이프연결체의 이격된 높이보다 높거나 또는 낮은 경우에는 파이프 연결관이 적용될 수 없어 별도의 기존 연결관을 여러개 복잡하게 연결하여 그 높이를 맞춘 후 파이프 연결관을 적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1]대한민국실용신안공보공고번호제1989-0008280호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회전부에 서로 맞닿은 면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한쌍의 베이스관을 구비하여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 외주면에 각각 연통설치되는 한쌍의 연결곡관 사이의 각도가 기 설치된 두 배관 사이의 다양한 설치각에 맞추어 자유롭게 조절가능하도록 하면서 굴곡진 곡관형상으로 되어 있는 한쌍의 연결곡관을 자체 회전가능하도록 하여 기 설치된 두 배관 사이의 높낮이에 부합되게 각 연결곡관의 타측끝단을 위치조절시켜 다양한 설치각 및 높낮이를 지닌 기 설치된 두 배관 사이를 용이하게 연결하도록 하며, 또한 배관을 통해 이송되는 각종 유체가 막히거나 흐름 저해 또는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원활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어느 한쪽은 막혀있고 다른 한쪽은 개방된 관형상으로 개방된 부분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연통체결되는 한쌍의 베이스관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 외주면에는 각각 연결곡관삽입공이 천공되어 있는 베이스회전부와,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이 서로 맞닿은 부분의 외주면을 감싸 연결 고정하는 체결밴드와, 가운데부분이 "S"자형상으로 굴곡져 있어 일측과 타측이 서로 다른 선상에 위치된 곡관형상으로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 외주면에 천공된 연결곡관삽입공에 일측끝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한쌍의 연결곡관으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은 서로 맞닿은 면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한쌍의 연결곡관 사이의 각도가 임의로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밴드에 의해 조임체결되어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연결곡관은 연결곡관삽입공에 삽입 체결된 일측을 중심으로 타측이 회전가능하여 기 설치된 두 배관 사이의 설치각 및 높낮이에 맞게 한쌍의 연결곡관의 타측끝단이 각각 부합되게 위치조절된 상태에서 기 설치된 배관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 것에 본 고안의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회전부에 서로 맞닿은 면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한쌍의 베이스관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 외주면에 각각 연통설치되는 한쌍의 연결곡관 사이의 각도가 기 설치된 두 배관 사이의 다양한 설치각에 맞추어 자유롭게 조절되면서 굴곡진 곡관형상으로 되어 있는 한쌍의 연결곡관이 자체 회전되도록 되어 있어 기 설치된 두 배관 사이의 높낮이에 부합되게 각 연결곡관의 타측끝단을 위치조절시켜 다양한 설치각 및 높낮이를 지닌 기 설치된 두 배관 사이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또한 배관을 통해 이송되는 각종 유체가 막히거나 흐름 저해 또는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원활한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각도조절 연결관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각도조절 연결관에서 한쌍의 베이스관에 각각 연결곡관이 삽입 체결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각도조절 연결관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각도조절 연결관에서 한쌍의 베이스관을 회전시켜 한쌍의 연결곡관 사이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하는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각도조절 연결관이 동일 선상에 위치된 두 배관 사이에 부합되게 연결되는 상태의 단면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각도조절 연결관이 서로 다른 선상에 위치되어 높낮이 차이를 지니도록 설치된 두 배관 사이에 부합되게 연결되는 상태의 단면개략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각도조절 연결관에서 체결밴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개략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각도조절 연결관(1)은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旣) 설치된 두 배관(17a)(17b) 사이의 다양한 설치각 및 높낮이에 맞게 회전식으로 각도 및 위치조절되어 기 설치된 두 배관(17a)(17b) 사이를 용이하게 연결하는 연결관으로, 어느 한쪽은 막혀있고 다른 한쪽은 개방된 관형상으로 개방된 부분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연통체결되는 한쌍의 베이스관(3a)(3b)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3a)(3b) 외주면에는 각각 연결곡관삽입공(4a)(4b)이 천공되어 있는 베이스회전부(2)와,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3a)(3b)이 서로 맞닿은 부분의 외주면을 감싸 연결 고정하는 체결밴드(7)와, 가운데부분이 "S"자형상으로 굴곡져 있어 일측과 타측이 서로 다른 선상에 위치된 곡관형상으로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3a)(3b) 외주면에 천공된 연결곡관삽입공(4a)(4b)에 일측끝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는 한쌍의 연결곡관(16a)(16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회전부(2)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치된 두 배관(17a)(17b) 사이의 설치각과 동일하게 각도조절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질이나 합성수지재질로 되어 있고 어느 한쪽은 막혀있고 다른 한쪽은 개방된 관형상으로 개방된 부분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연통체결되는 한쌍의 베이스관(3a)(3b)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3a)(3b)이 서로 연통체결되면서 양측이 막힌 하나의 관형상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3a)(3b)은 외주면에 각각 연결곡관삽입공(4a)(4b)이 천공되어 있어 한쌍의 베이스관(3a)(3b)이 각 연결곡관삽입공(4a)(4b)에 삽입 체결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3a)(3b)은 서로 맞닿은 면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한쌍의 연결곡관(16a)(16b) 사이의 각도가 기 설치된 두 배관(17a)(17b) 사이의 설치각과 동일하게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밴드(7)에 의해 한쌍의 베이스관(3a)(3b)의 연결부분이 조임체결되어 더이상 유동되지 않고 고정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3a)(3b)은 각각 개방된 쪽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선삽입홈(5a)(5b)이 형성되어 있어 한쌍의 베이스관(3a)(3b)의 개방된 부분이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그 외주면을 감싸 고정체결하는 체결밴드(7)의 상부체결편(8)과 하부체결편(9)의 내주면 좌우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된 한쌍의 돌출선(13a)(13b)이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기 돌출선삽입홈(5a)(5b)의 내측에 부합되게 삽입되면서 요철(凹凸)식으로 결합체결되어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3a)(3b)의 맞닿은 부분이 벌어지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3a)(3b)은 도 1, 2,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닿는 부분의 사이에 합성수지재질로 된 링형상의 패킹(6)이 삽입 개재(介在)되도록 되어 있어 한쌍의 베이스관(3a)(3b)을 통과하는 각종 유체가 한쌍의 베이스관(3a)(3b)사이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체결밴드(7)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베이스관(3a)(3b)이 서로 맞닿은 부분의 외주면을 감싸 조임체결하여 연결 고정하도록 되어 있되, 반원형으로 된 상부체결편(8)과 하부체결편(9)으로 나뉘어져 있어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3a)(3b)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회전되어 기 설치된 두 배관(17a)(17b) 사이의 설치각과 동일하게 각도조절된 후 그 연결부분의 상,하부 외주면에 각각 부합되게 밀착된 상태로 감싸 고정체결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상부체결편(8)과 하부체결편(9)의 전후양측에는 각각 고정장착편(10a)(10b)이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장착편(10a)(10b)에는 관통공(11a)(11b)이 각각 천공되어 있어 상기 상부체결편(8)의 고정장착편(10a)과 하부체결편(9)의 고정장착편(10b)이 상하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11a)(11b)을 통해 조임볼트(12)가 삽입되고 통상의 너트를 조임볼트(12)에 체결하여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3a)(3b)이 서로 맞닿은 연결부분의 외주면을 조임체결하면서 견고하게 연결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체결편(8)과 하부체결편(9)은 내주면 좌우양측에 각각 한쌍의 돌출선(13a)(13b)이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3a)(3b)의 개방된 부분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돌출선삽입홈(5a)(5b)에 각 돌출선(13a)(13b)이 부합되게 삽입되면서 요철(凹凸)식으로 결합되어 서로 맞닿은 한쌍의 베이스관(3a)(3b)이 분리되거나 벌어지지 않게 고정체결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체결편(8)과 하부체결편(9)은 도 1, 2,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돌출선(13a)(13b)이 돌출형성된 부분의 사이에 합성수지재질로 된 밀폐막(14a)(14b)이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어 상기 밀폐막(14a)(14b)이 서로 맞닿은 한쌍의 베이스관(3a)(3b)의 연결부분을 외측에서 밀착된 상태로 감싸 내부에 흐르는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체결밴드(7)는 상부체결편(8)과 하부체결편(9)으로 나뉘어지지 않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고리형상으로 된 고리형체결편(15)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고리형체결편(15)은 전방 일부가 개방된 상태로 양측 끝단에는 고정장착편(10c)(10d)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장착편(10c)(10d)에는 관통공(11c)(11d)이 각각 천공되어 있어 상부쪽의 고정장착편(10c)과 하부쪽의 고정장착편(10d)이 상하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11c)(11d)을 통해 조임볼트(12)가 삽입되고 통상의 너트를 조임볼트(12)에 체결하여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3a)(3b)이 서로 맞닿은 연결부분의 외주면을 조임체결하면서 견고하게 연결 고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고리형체결편(15)의 내주면 좌우양측에는 한쌍의 돌출선(13c)이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3a)(3b)의 돌출선삽입홈(5a)(5b)에 한쌍의 돌출선(13c)이 부합되게 삽입되면서 요철(凹凸)식으로 결합되어 고정체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고리형체결편(15)은 한쌍의 돌출선(13c)이 돌출형성된 부분 사이에 합성수지재질로 된 밀폐막(14c)이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어 상기 밀폐막(14c)이 서로 맞닿은 한쌍의 베이스관(3a)(3b)의 연결부분을 외측에서 밀착된 상태로 감싸 내부에 흐르는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연결곡관(16a)(16b)은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치된 두 배관(17a)(17b) 사이의 높낮이에 부합되게 위치조절되면서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부분으로, 가운데부분이 "S"자형상으로 굴곡져 있어 일측과 타측이 서로 다른 선상에 위치된 "
Figure 112010001217499-utm00001
"형상의 곡관으로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3a)(3b) 외주면에 천공된 연결곡관삽입공(4a)(4b)에 일측끝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삽입 체결되도록 되어 있되, 각 연결곡관(16a)(16b)은 종단면이 원형관으로 되어 있어 상기 연결곡관삽입공(4a)(4b)에 삽입된 일측끝단이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각 연결곡관(16a)(16b)은 그 외경이 각 베이스관(3a)(3b)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일측끝단 외주면에는 돌출턱(18a)(18b)이 돌출형성되어 있어 각 베이스관(3a)(3b)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연결곡관(16a)(16b)의 타측을 관통시켜 외측으로 빼내면 상기 연결곡관삽입공(4a)(4b)에 삽입된 연결곡관(16a)(16b)의 일측끝단의 돌출턱(18a)(18b)이 베이스관(3a)(3b)의 내주면에 걸려 연결곡관삽입공(4a)(4b)의 외측으로 빠져나와 이탈되지 않고 회전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각 연결곡관(16a)(16b)의 일측 외주면에는 숫나사부(19a)(19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숫나사부(19a)(19b)에는 고정너트(20a)(20b)가 각각 나사체결되도록 되어 있어 도 2, 3, 5,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치된 두 배관(17a)(17b)이 동일선상에 위치되거나 또는 동일선상에 위치되지 않고 서로 다른 선상에 위치되어 높낮이가 다른 경우 이에 맞게 연결곡관(16a)(16b)이 일측을 중심으로 타측이 회전되어 각 연결곡관(16a)(16b)의 타측끝단이 각각 부합되게 위치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너트(20a)(20b)가 숫나사부(19a)(19b)에 나사체결되어 각 연결곡관(16a)(16b)이 일정위치에서 더이상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연결곡관(16a)(16b)은 타측끝단 외주면에 숫나사부(19c)(19d)가 형성되어 있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치된 각 배관(17a)(17b)과 연결너트(21a)(21b)를 통해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되어 있거나,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끝단 외주면에 커넥터(22a)(22b)가 연결 설치되어 있어 기 설치된 각 배관(17a)(17b)과 커넥터(22a)(22b)를 통해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각 연결곡관(16a)(16b)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곡관삽입공(4a)(4b)의 외측에 위치된 연결곡관(16a)(16b)의 일측 외주면에 외부밀폐링(23a)(23b)이 각각 끼워져 있어 상기 고정너트(20a)(20b)와 각 베이스관(3a)(3b)의 외주면 사이에 외부밀폐링(23a)(23b)이 개재(介在)되면서 연결곡관삽입공(4a)(4b)과 연결곡관(16a)(16b)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곡관삽입공(4a)(4b)의 내측으로 삽입 개재된 부분의 연결곡관(16a)(16b) 일측 외주면에는 내부밀폐링(24a)(24b)이 각각 끼워져 있어 상기 돌출턱(18a)(18b)과 각 베이스관(3a)(3b)의 내주면 사이에 내부밀폐링(24a)(24b)이 개재(介在)되면서 연결곡관삽입공(4a)(4b)과 연결곡관(16a)(16b)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각도조절 연결관(1)을 이용하여 기(旣) 설치된 두 배관(17a)(17b) 사이의 다양한 설치각 및 높낮이에 따라 회전식으로 각도 및 위치조절되어 기 설치된 두 배관(17a)(17b) 사이를 용이하게 연결하는 경우에는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3a)(3b)의 연결부분을 감싸 조임고정하고 있는 체결밴드(7)에 구비된 조임볼트(12) 및 너트를 느슨하게 풀어 한쌍의 베이스관(3a)(3b)이 서로 맞닿은 면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하고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치된 두 배관(17a)(17b) 사이의 설치각에 맞추어 한쌍의 베이스관(3a)(3b)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3a)(3b) 외주면에 각각 연결 설치된 연결곡관(16a)(16b)사이의 각도를 두 배관(17a)(17b) 사이의 설치각과 동일하게 조절한 다음 상기 체결밴드(7)에 구비된 조임볼트(12) 및 너트를 다시 견고하게 조여 상기 체결밴드(7)에 의해 한쌍의 베이스관(3a)(3b)이 더이상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각 연결곡관(16a)(16b)의 일측에 구비된 고정너트(20a)(20b)를 느슨하게 풀어 연결곡관(16a)(16b)이 회전가능하도록 한 다음 기 설치된 두 배관(17a)(17b)사이의 높낮이에 맞게 각 연결곡관(16a)(16b)을 일측을 중심으로 타측을 회전시켜 각 연결곡관(16a)(16b)의 타측끝단이 각 배관(17a)(17b)에 부합되게 위치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너트(20a)(20b)를 각 연결곡관(16a)(16b)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19a)(19b)에 다시 나사체결하여 각 연결곡관(16a)(16b)이 일정위치에서 더이상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연결곡관(16a)(16b)의 타측끝단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19c)(19d)와 기 설치된 각 배관(17a)(17b) 사이를 연결너트(21a)(21b)를 통해 연결설치되도록 하거나,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연결곡관(16a)(16b)의 타측끝단 외주면에 설치된 커넥터(22a)(22b)를 통해 각 배관(17a)(17b)과 연결설치되도록 한다.
1. 연결관 2. 베이스회전부
3a, 3b. 베이스관 4a, 4b. 연결곡관삽입공
5a, 5b. 돌출선삽입홈 6. 패킹
7. 체결밴드 8. 상부체결편
9. 하부체결편 10a, 10b, 10c, 10d. 고정장착편
11a, 11b, 11c, 11d. 관통공 12. 조임볼트
13a, 13b, 13c. 돌출선 14a, 14b, 14c. 밀폐막
15. 고리형체결편 16a, 16b. 연결곡관
17a, 17b. 배관 18a, 18b. 돌출턱
19a, 19b, 19c, 19d. 숫나사부 20a, 20b. 고정너트
21a, 21b. 연결너트 22a, 22b. 커넥터
23a, 23b. 외부밀폐링 24a, 24b. 내부밀폐링

Claims (9)

  1. 어느 한쪽은 막혀있고 다른 한쪽은 개방된 관형상으로 개방된 부분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연통체결되는 한쌍의 베이스관(3a)(3b)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3a)(3b) 외주면에는 각각 연결곡관삽입공(4a)(4b)이 천공되어 있는 베이스회전부(2)와,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3a)(3b)이 서로 맞닿은 부분의 외주면을 감싸 연결 고정하는 체결밴드(7)와, 가운데부분이 "S"자형상으로 굴곡져 있어 일측과 타측이 서로 다른 선상에 위치된 곡관형상으로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3a)(3b) 외주면에 천공된 연결곡관삽입공(4a)(4b)에 일측끝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삽입체결되는 한쌍의 연결곡관(16a)(16b)으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3a)(3b)은 서로 맞닿은 면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한쌍의 연결곡관(16a)(16b) 사이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밴드(7)에 의해 조임체결되어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연결곡관(16a)(16b)은 연결곡관삽입공(4a)(4b)에 삽입 체결된 일측을 중심으로 타측이 회전가능하여 기 설치된 두 배관(17a)(17b) 사이의 설치각 및 높낮이에 맞게 한쌍의 연결곡관(16a)(16b)의 타측끝단이 각각 부합되게 위치조절된 상태에서 기 설치된 배관(17a)(17b)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각도조절 연결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3a)(3b)은 각각 개방된 쪽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돌출선삽입홈(5a)(5b)이 형성되어 있어 한쌍의 베이스관(3a)(3b)의 개방된 부분이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그 외주면을 감싸 고정체결하는 체결밴드(7)에 구비되어 있는 상부체결편(8)과 하부체결편(9)의 내주면 좌우양측에 각각 돌출형성된 한쌍의 돌출선(13a)(13b)이 각각 상기 돌출선삽입홈(5a)(5b)의 내측에 부합되게 삽입되면서 요철식으로 결합체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각도조절 연결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3a)(3b)은 서로 맞닿는 부분의 사이에 합성수지재질로 된 링형상의 패킹(6)이 삽입 개재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각도조절 연결관.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밴드(7)는 반원형으로 된 상부체결편(8)과 하부체결편(9)으로 나뉘어져 있어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3a)(3b)이 서로 맞닿은 연결부분의 상,하부 외주면에 각각 부합되게 밀착된 상태로 감싸 고정체결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상부체결편(8)과 하부체결편(9)의 전후양측에는 각각 고정장착편(10a)(10b)이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장착편(10a)(10b)에는 관통공(11a)(11b)이 각각 천공되어 있어 상기 상부체결편(8)의 고정장착편(10a)과 하부체결편(9)의 고정장착편(10b)이 상하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11a)(11b)을 통해 조임볼트(12) 및 너트가 체결되어 연결고정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체결편(8)과 하부체결편(9)은 내주면 좌우양측에 각각 한쌍의 돌출선(13a)(13b)이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각도조절 연결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체결편(8)과 하부체결편(9)은 한쌍의 돌출선(13a)(13b)이 돌출형성된 부분의 사이에 합성수지재질로 된 밀폐막(14a)(14b)이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어 상기 밀폐막(14a)(14b)이 서로 맞닿은 한쌍의 베이스관(3a)(3b)의 연결부분을 외측에서 밀착된 상태로 감싸 내부에 흐르는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각도조절 연결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밴드(7)는 하나의 고리형상으로 된 고리형체결편(15)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리형체결편(15)은 전방 일부가 개방된 상태로 양측끝단에는 고정장착편(10c)(10d)이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장착편(10c)(10d)에는 관통공(11c)(11d)이 각각 천공되어 있어 상부쪽의 고정장착편(10c)과 하부쪽의 고정장착편(10d)이 상하로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11c)(11d)을 통해 조임볼트(12) 및 너트가 체결되어 연결고정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고리형체결편(15)의 내주면 좌우양측에는 한쌍의 돌출선(13c)이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베이스관(3a)(3b)의 개방된 부분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돌출선삽입홈(5a)(5b)에 한쌍의 돌출선(13c)이 부합되게 삽입되면서 요철식으로 결합되어 고정체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고리형체결편(15)은 한쌍의 돌출선(13c)이 돌출형성된 부분 사이에 합성수지재질로 된 밀폐막(14c)이 일체로 고정부착되어 있어 상기 밀폐막(14c)이 서로 맞닿은 한쌍의 베이스관(3a)(3b)의 연결부분을 외측에서 밀착된 상태로 감싸 내부에 흐르는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각도조절 연결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연결곡관(16a)(16b)은 일측과 타측이 서로 다른 선상에 위치된 "
    Figure 112010001217499-utm00002
    "형상의 곡관으로 종단면이 원형관으로 되어 있어 상기 연결곡관삽입공(4a)(4b)에 삽입된 일측끝단이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각 연결곡관(16a)(16b)은 그 외경이 각 베이스관(3a)(3b)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일측끝단 외주면에는 돌출턱(18a)(18b)이 돌출형성되어 있어 각 베이스관(3a)(3b)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연결곡관(16a)(16b)의 타측을 관통시켜 외측으로 빼내면 상기 연결곡관삽입공(4a)(4b)에 삽입된 연결곡관(16a)(16b)의 일측끝단의 돌출턱(18a)(18b)이 베이스관(3a)(3b)의 내주면에 걸려 연결곡관삽입공(4a)(4b)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회전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각 연결곡관(16a)(16b)의 일측 외주면에는 숫나사부(19a)(19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숫나사부(19a)(19b)에는 고정너트(20a)(20b)가 각각 나사체결되도록 되어 있어 기 설치된 두 배관(17a)(17b)의 높낮이에 맞게 각 연결곡관(16a)(16b)의 타측끝단이 위치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너트(20a)(20b)가 숫나사부(19a)(19b)에 나사체결되어 각 연결곡관(16a)(16b)이 일정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각 연결곡관(16a)(16b)은 타측끝단 외주면에 숫나사부(19c)(19d)가 형성되어 있어 기 설치된 각 배관(17a)(17b)과 연결너트(21a)(21b)를 통해 연결되거나 타측끝단 외주면에 커넥터(22a)(22b)가 연결 설치되어 있어 기 설치된 각 배관(17a)(17b)과 커넥터(22a)(22b)를 통해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각도조절 연결관.
  8.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연결곡관(16a)(16b)은 연결곡관삽입공(4a)(4b)의 외측에 위치된 연결곡관(16a)(16b)의 일측 외주면에 외부밀폐링(23a)(23b)이 각각 끼워져 있어 연결곡관(16a)(16b)의 일측 외주면에 나사체결되는 고정너트(20a)(20b)와 각 베이스관(3a)(3b)의 외주면 사이에 외부밀폐링(23a)(23b)이 개재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각도조절 연결관.
  9.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연결곡관(16a)(16b)은 연결곡관삽입공(4a)(4b)의 내측으로 삽입 개재된 부분의 연결곡관(16a)(16b) 일측 외주면에 내부밀폐링(24a)(24b)이 각각 끼워져 있어 연결곡관(16a)(16b)의 일측끝단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돌출턱(18a)(18b)과 각 베이스관(3a)(3b)의 내주면 사이에 내부밀폐링(24a)(24b)이 개재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각도조절 연결관.
KR2020100000168U 2010-01-08 2010-01-08 회전식 각도조절 연결관 KR2004483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168U KR200448339Y1 (ko) 2010-01-08 2010-01-08 회전식 각도조절 연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168U KR200448339Y1 (ko) 2010-01-08 2010-01-08 회전식 각도조절 연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339Y1 true KR200448339Y1 (ko) 2010-04-07

Family

ID=44225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168U KR200448339Y1 (ko) 2010-01-08 2010-01-08 회전식 각도조절 연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3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03975A (ja) * 2016-07-04 2018-01-1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油圧継手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107A (ko) * 2000-09-22 2002-03-28 가부시키가이샤 선 호프 관로 연결부의 각도 설정구
KR20050058663A (ko) * 2003-12-12 2005-06-17 문신호 접속방향 조정이 가능한 지관용 접속구
KR20080099217A (ko) * 2008-10-09 2008-11-12 신영기술개발(주) 교량, 고가도로 배수설비의 배수관 각도 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107A (ko) * 2000-09-22 2002-03-28 가부시키가이샤 선 호프 관로 연결부의 각도 설정구
KR20050058663A (ko) * 2003-12-12 2005-06-17 문신호 접속방향 조정이 가능한 지관용 접속구
KR20080099217A (ko) * 2008-10-09 2008-11-12 신영기술개발(주) 교량, 고가도로 배수설비의 배수관 각도 조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03975A (ja) * 2016-07-04 2018-01-1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油圧継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2058B2 (en) Fitting having receptacle of varying depth
KR200467280Y1 (ko) 분기용 배관
KR101249324B1 (ko) 각을 이루어 배향된 공동을 갖는 커플링
TWI583883B (zh) 具有變化深度之密封墊凹穴之管接頭
BR112018067684B1 (pt) Acoplamento para unir elementos de tubo, combinação de um acoplamento pré-montado e um primeiro elemento de tubo, método para montar a combinação de acoplamento e elemento de tubo, e, método para unir o segundo elemento de tubo ao primeiro elemento de tubo
TR201810517T4 (tr) Boru elemanlarının birleştirilmesi için rakor.
US20160186912A1 (en) Device for partially repairing pipe using hose band
CN205475493U (zh) 壁固式龙头快速安装结构
TW201727105A (zh) 閥及具有逆向漸縮軸之閥連結器
JP2009250388A (ja) 管体と管体敷設装置との接続構造および管体敷設装置
KR100867746B1 (ko) 호스체결용 클램프
JP5361240B2 (ja) フランジ結合ボルト
US20220042629A1 (en) Clamp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0448339Y1 (ko) 회전식 각도조절 연결관
KR101534212B1 (ko) 밸브용 나사연결구
CA3052495C (en) Pipe connector with tapered thread nut
KR101232319B1 (ko) 파이프 연결구
BR102013026323A2 (pt) Conjunto de conexão de reservatório de combustível
US7055865B2 (en) Lateral connection system
US7331615B2 (en) Pipe union with extension
US10247332B2 (en) Pipe coupling having arcuate snap couplers with cylindrical base body
TWM530891U (zh) 鏈扣裝置
CN212377394U (zh) 一种便于安装的阀门
CN206973101U (zh) 一种pe给水管的连接结构
CN204083577U (zh) 水管接头组件及热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