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245Y1 - 절수기 - Google Patents

절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245Y1
KR200448245Y1 KR2020090011273U KR20090011273U KR200448245Y1 KR 200448245 Y1 KR200448245 Y1 KR 200448245Y1 KR 2020090011273 U KR2020090011273 U KR 2020090011273U KR 20090011273 U KR20090011273 U KR 20090011273U KR 200448245 Y1 KR200448245 Y1 KR 2004482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ink
pipe
water supply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2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기
Original Assignee
홍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영기 filed Critical 홍영기
Priority to KR20200900112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2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2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245Y1/ko
Priority to PCT/KR2010/004326 priority patent/WO2011025141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2Mechanical devices not being part of the tap, e.g. foot ped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6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with flow restric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2Pedals or like operating members, e.g. actuated by knee or 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에서 사용되는 용기 또는 과일과 야채 등을 세척하기 위해 형성된 싱크대에 물을 공급함에 있어, 사용자가 원활하게 물의 양을 조절해서 사용하기 위해 수도꼭지를 설치하고, 수도관에서부터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절수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절수기는,
물이 이송되는 수도관과 연결형성되어 주방용품을 세척가능한 싱크대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형성된 수도꼭지와, 상기 수도관과 연결되어 상기 수도꼭지와 별도로 상기 싱크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싱크대 벽면에 마주보도록 한 쌍이 형성된 물공급부와, 상기 수도관 내부에 일부가 관통된 채로 유동 되도록 상기 싱크대 내부에서 상기 수도관과 연결형성되어 상기 물공급부로 물이 제공되는 것을 조절하는 조절모듈과, 상기 조절모듈과 연결된 채로, 상기 싱크대 내부로부터 수평방향 외부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조절모듈의 일부가 상기 수도관 내부에서 유동 되어 상기 물공급기에 물이 공급되는 것이 제어되도록 하는 유동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싱크대, 수도관, 제1,2수도꼭지, 조절모듈, 유동모듈, 와이어, 제1,2스프링, 밀음바, 가이드핀

Description

절수기{WATER SAVING DEVICE}
본 고안은 절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에서 사용되는 용기 또는 과일과 야채 등을 세척하기 위해 형성된 싱크대에 물을 공급함에 있어, 사용자가 원활하게 물의 양을 조절해서 사용하기 위해 수도꼭지를 설치하고, 수도관에서부터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절수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러 수돗물의 낭비 및 물부족 사태가 전 세계적인 문제점으로 대두 되고 있고, 그 수돗물의 절약 및 물 낭비를 최대한 줄이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수도법 시행규칙 제 44조의 2 및 법 제11조의 2의 규정에 의한 절수설비의 종류 및 기준을 나타내는 별표 2의 샤워기에 관한 사항 중, 호칭 15A인 샤워기는 사용 수압이 1Kgf/㎠일 경우 1분당 나오는 수량이 9.5리터 이하일것과, 공중용 화장실에 설치하는 호칭 15A인 세면용 샤워기는 사용수압이 1Kgf/㎠일 경우 1분당 나오는 수량이 5리터이하일것으로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그리고, 절수기는 샤워기의 배출 직경을 축소하거나, 그 배출 수량을 단계적으로 조절 사용가능하게 만들어진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주방의 싱크대에서 주방용품 등을 세척시에는 세척함과 동시에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기가 어렵고, 싱크대의 주방용품 세척의 특성상 수도꼭지 개폐를 반복적으로 하여 물을 사용 및 차단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번거로움으로 인해 수도꼭지를 열어놓은 채로 주방용품을 세척하여 불필요한 물의 소비가 발생 되는 경제적 문제뿐만 아니라 주방용품을 세척하는데 그 사용이 번거로운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싱크대를 사용시 수도꼭지는 사용자로부터 먼 위치에 구비되어 있어, 반복적으로 물의 양을 조절하기가 더욱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싱크대에서 주방용품 및 과일과 야채를 세척시에는 세척하는 동작을 멈추고 수도꼭지에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거나 물의 공급을 차단해야함으로 인해, 물건을 세척하면서 손에 묻은 세제에 의해 수도꼭지에도 세제가 묻게 되거나, 손에 묻은 세제를 제거한 후 수도꼭지를 조작한 후 다시 세제를 추가사용해야 하는 사용상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제1목적은, 주방용품 및 과일과 야채 등을 세척할 수 있는 주방의 싱크대에서 상기의 물건들을 세척함과 동시에 손을 사용하지 않고 물의 공급과 단절을 용이하게 조절가능하여, 불필요한 물의 소비가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절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2목적은, 싱크대에 물을 공급하는 수도꼭지를 사용자로부터 가까운 위치와 먼위치에 동시에 구비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반복적으로 물의 양을 조절하기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제3목적은, 싱크대에서 주방용품 및 과일과 야채를 세척하면서 수도꼭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용이하게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하고, 싱크대에서 물품들을 세척하는 동작을 멈추지 않고도 수도꼭지로부터 물을 원활하게 공급 또는 차단하기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절수기는,
물이 이송되는 수도관과 연결형성되어 주방용품을 세척가능한 싱크대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형성된 수도꼭지와, 상기 수도관과 연결되어 상기 수도꼭지와 별도로 상기 싱크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싱크대 벽면에 마주 보도록 한 쌍이 형성된 물공급부와, 상기 수도관 내부에 일부가 관통된 채로 유동 되도록 상기 싱크대 내부에서 상기 수도관과 연결형성되어 상기 물공급부로 물이 제공되는 것을 조절하는 조절모듈과, 상기 조절모듈과 연결된 채로, 상기 싱크대 내부로부터 수평방향 외부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조절모듈의 일부가 상기 수도관 내부에서 유동 되어 상기 물공급기에 물이 공급되는 것이 제어되도록 하는 유동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모듈은, 상기 수도관 내부에 관통된 채로 유동 되되, 상기 수도관의 지름과 대응된 크기를 갖는 관통공이 일측에 구비된 수직 판 형태의 유동판과, 상기 유동모듈의 일부와 상기 유동판의 일단을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와, 상기 유동판의 타단과 연결되되 상기 싱크대에 고정형성된 제1스프링과, 상기 와이어가 일정한 위치에서 유동 되도록 상기 싱크대 내부에 고정형성된 가이드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유동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유동모듈의 유동에 따라 연동 되고, 상기 유동판은, 상기 와이어와, 상기 제1스프링에 유동에 따라 연동 된다.
더불어, 상기 수도관은, 상기 유동판이 상기 수도관을 관통한 채로 유동시, 상기 수도관 내부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도관에 고정되어 상기 유동판과 밀착 형성되는 유출방지막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어서, 상기 유동모듈은, 상기 싱크대 내부에 고정형성되되 내부에 제2스프링이 각각 수용된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의 제2스프링을 가압하는 가압봉이 상기 싱크대 외부에서 내부로 관통하면서 양측 단에 구비되되, 상기 싱크대 외부에 돌출형성된 채로 상기 제2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유동 되는 봉 형태의 밀음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가압봉 중단에는, 상기 밀음바를 일 회 가압으로 상기 싱크대에 밀착되게 하고, 다시 한번 가압하는 것을 통해 상기 밀음바를 상기 싱크대에서 멀어지게 할 수 있는 위치조절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조절구는, 상기 밀음바에서부터 상기 가압봉의 중단까지 형성된 산형돌기부와, 상기 산형돌기부와 일단이 밀착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회동가능한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 외면에 돌출형성된 돌출돌기와, 상기 돌출돌기가 안내되는 안내홈이 구비되되, 상기 산형돌기부와 상기 회동부를 감싼 채로 상기 싱크대에 고정형성된 안내부와, 상기 회동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부의 타 단에 형성된 베어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수도꼭지 하부의 상기 싱크대 측벽면에 구비된 제1물공급홈과, 상기 제1물공급홈에 물이 공급되기 위해, 상기 수도관에서 상기 조절모듈을 지나온 물이 이송되는 제1물공급관과, 상기 제1물공급관에 연결형성되되 상기 싱크대 상부로 수직 돌출형성되어, 물이 상기 제1물공급홈에 이송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1밸브와, 상기 제1물공급홈과 마주보는 상기 싱크대 타 측벽면에 구비된 제2물공급홈과, 상기 제2물공급홈에 물이 공급되기 위해, 상기 수도관에서 상기 조절모듈을 지나온 물이 이송되는 제2물공급관과, 상기 제2물공급관에 연결형성되되 상기 싱크대 상부로 수직 돌출형성되어, 물이 상기 제2물공급홈에 이송되는 것 을 제어하는 제2밸브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물공급홈은, 물이 토출되는 방향이 상하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주름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물공급홈은, 물이 토출되는 방향이 상하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주름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효과는, 주방용품 및 과일과 야채 등을 세척할 수 있는 주방의 싱크대에서 상기 물품들을 세척하면서, 그 세척하는 동작을 멈추지 않고도 수도꼭지로부터 물을 원활하게 공급 또는 차단가능하고,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물의 공급과 차단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그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제2효과는, 주방용품 및 과일과 야채 등을 세척할 수 있도록 수도꼭지에서 공급받는 물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손을 사용하지 않은 채로, 원활하게 공급 및 차단되도록 하여, 물을 사용자가 필요한 시간에만 공급되도록 함으로 인해, 불필요한 물의 소비가 발생 되지 않아 물을 아낄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제3효과는, 싱크대에서 물건을 세척함으로 인해 손이 자유롭지 못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물건을 세척할 수 있도록 물을 공급받고, 물이 필요하지 않을 시에는 세척중에도 세척을 멈추지 않고 용이하게 물을 차단 가능하며, 수도꼭지의 구비위치를 사용자와 가깝게 하여, 그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사용상의 다른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절수기의 전체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절수기의 싱크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평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절수기의 싱크대 내부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절수기의 요부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 이며, 도 5a,5b는 본 고안에 따른 절수기의 실시 예를 나타낸 실시도 이고, 도 6,7은 본 고안에 따른 절수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실시도 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절수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실시도 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절수기는,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한 위치에 수도꼭지를 구비한 후 주방용품 등의 물건을 세척하는 중에 그 세척하는 동작을 멈추지 않은 채로, 물을 용이하게 공급 및 차단하면서도, 물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절수기는, 방용품이나 과일과 야채 등을 세척하는 사용자는, 그 물품들을 세제로 세척하게 되는데, 이렇게 세제를 이용하며, 물품들을 세척함과 동시에 용이하게 수도꼭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절수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물이 이송되는 수도관(70)과 연결형성되어 주방용품을 세척가능한 싱크대(30)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형성된 수도꼭지(100)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수도꼭지(100)는, 온수와 냉수를 조절가능하고, 물이 상기 싱크대(30)에 공급되는 양을 조절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수도관(70)과 연결되어 상기 수도꼭지(100)와 별도로 상기 싱크대(3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싱크대(30) 벽면에 마주보도록 한 쌍이 형성된 물공급부(400)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물공급부(400)는, 상기 수도꼭지(100)와 별도로 상기 싱크대(3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싱크대(30) 벽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싱크대에 수용된 세척물품들의 형태 및 크기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세척물품들을 원활하게 세척 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수도관(70) 내부에 일부가 관통된 채로 유동 되도록 상기 싱크대(30) 내부에서 상기 수도관(70)과 연결형성되어 상기 물공급부(400)로 물이 제공되는 것을 조절하는 조절모듈(20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조절모듈(200)과 연결된 채로, 상기 싱크대(30) 내부로부터 수평방향 외부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조절모듈(200)의 일부가 상기 수도관(70) 내부에서 유동 되어 상기 물공급기(400)에 물이 공급되는 것이 제어되도록 하는 유동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유동모듈(300)을 제어하여, 상기 조절모듈(200)이 제어되도록 하기 때문에, 상기 조절모듈(200)의 제어로 인해, 상기 물공급부(400)에서 상기 싱크대(30)로 공급되는 물이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물공급부(4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수도꼭지(100) 하부의 상기 싱크대(30) 측벽면에 구비된 제1물공급홈(410)과, 상기 제1물공급홈(410)에 물이 공급되기 위해, 상기 수도관(70)에서 상기 조절모듈(200)을 지나온 물이 이송되는 제1물공급관(412)과, 상기 제1물공급관(412)에 연결형성되되 상기 싱크대(30) 상부로 수직 돌출형성되어, 물이 상기 제1물공급홈(410)에 이송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1밸브(414)와, 상기 제1물공급홈(410)과 마주보는 상기 싱크대(30) 타 측벽면에 구비된 제2물공급홈(420)과, 상기 제2물공급홈(420)에 물이 공급되기 위해, 상기 수도관(70)에서 상기 조절모듈(200)을 지나온 물이 이송되는 제2물공급관(422)과, 상기 제2물공급관(422)에 연결형성되되 상기 싱크대(30) 상부로 수직 돌출형성되어, 물이 상기 제2물공급홈(420)에 이송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2밸브(424)로 구성된다.
이어서, 상기 유동모듈(300)을 제어하여 상기 조절모듈(200)이 유동 되도록 하면, 상기 수도관(70)을 통해서 유입된 물은 상기 제1,2물공급관(412, 422)을 통해 상기 제1,2물공급홈(410, 420)으로 물이 이송되는데, 이때, 상기 제1물공급관(412)을 개폐하여 상기 제1물공급홈(410)으로 물이 공급 및 차단 되도록 하는 것이 제1밸브(414)이고, 상기 제2물공급관(422)을 개폐하여 상기 제2물공급홈(420)으로 물이 공급 및 차단 되도록 하는 것이 제2밸브(424)이다.
그리고, 상기 조절모듈(200)은, 상기 수도관(70) 내부에 관통된 채로 유동 되되, 상기 수도관(70)의 지름과 대응된 크기를 갖는 관통공(212)이 일측에 구비된 수직 판 형태의 유동판(210)과, 상기 유동모듈(300)의 일부와 상기 유동판(210)의 일단을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220)와, 상기 유동판(210)의 타단과 연결되되 상기 싱크대(30)에 고정형성된 제1스프링(230)과, 상기 와이어(220)가 일정한 위치에서 유동 되도록 상기 싱크대(30) 내부에 고정형성된 가이드핀(2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수도관(70) 내부에서 외부로 유동 되면서, 상기 수도관(70) 내부를 개폐하는 상기 유동판(210)으로 인해, 상기 제1,2물공급홈(410, 420)에 물이 공급 및 차단된다.
이때, 상기 유동판(210)이 유동 되도록 하는 것은 상기 유동모듈(300)인데 상기 유동모듈(3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유동모듈(300)은, 상기 싱크대(30) 내부에 고정형성되되 내부에 제2스프링(312, 312')이 각각 수용된 안착홈(310, 310')과, 상기 안착홈(310, 310')의 제2스프링(312, 312')을 가압하는 가압봉(322, 322')이 상기 싱크대(30) 외부에서 내부로 관통하면서 양측 단에 구비되되, 상기 싱크대(30) 외부에 돌출형성된 채로 상기 제2스프링(312, 312')의 탄력에 의해 유동 되는 봉 형태의 밀음바(3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밀음바(320)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가압봉(322, 322')이 상기 제2스프링(312, 312')을 가압하면서 유동 되는데, 상기 가압봉(322, 322')이 상기 제2스프링(312, 312') 방향으로 유동 되게 되면, 상기 가압봉(322, 322')과 고정연결되어 상기 유동판(210)의 일단을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220)가 상기 유동판(210)이 유동 되도록 하여, 상기 유동판(210)의 관통공(212)이 상기 수도관(70) 내부에 위치되면서, 차단되었던 상기 수도관(70) 내부의 물이 상기 관통공(212)을 통해 상기 제1,2물공급관(412, 422)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밀음바(320)의 가압을 중단하게 되면, 상기 제2스프링(312, 312')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가압봉(322, 322')을 포함한 상기 밀음바(320)가 상기 싱크대(30)의 수평 외부로 돌출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가압봉(322, 322')과 연결된 상기 와이어(220)가 상기 유동판(210)이 유동 되도록 하여, 상기 수도관(70)의 물은 상기 제1,2물공급관(412, 422)으로 공급되지 않고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유동관(210)의 타단에는 상기 싱크대(30) 내부에 고정형성된 제1스프링(230)이 고정형성되어, 상기 유동판(210)의 유동을 돕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와이어(220)는, 상기 유동모듈(300)과 연결되어 상기 유동모듈(300)의 유동에 따라 연동 되고, 상기 유동판(210)은, 상기 와이어(220)와, 상기 제1스프링(230)에 유동에 따라 연동 된다.
더불어, 상기 수도관(70)은, 상기 유동판(210)이 상기 수도관(70)을 관통한 채로 유동시, 상기 수도관(70) 내부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도관(70)에 고정되어 상기 유동판(210)과 밀착 형성되는 유출방지막(7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유동판(210)이 상기 수도관(70)을 관통한 채로 원활하게 유동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압봉(322, 322') 중단에는, 상기 밀음바(320)를 일 회 가압으로 상기 싱크대(30)에 밀착되게 하고, 다시 한번 가압하는 것을 통해 상기 밀음바(320)를 상기 싱크대(30)에서 멀어지게 할 수 있는 위치조절구(500)를 더 포함하 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조절구(500)는, 상기 밀음바(320)에서부터 상기 가압봉(322, 322')의 중단까지 형성된 산형돌기부(510)와, 상기 산형돌기부(510)와 일단이 밀착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회동가능한 회동부(520)와, 상기 회동부(520) 외면에 돌출형성된 돌출돌기(530)와, 상기 돌출돌기(530)가 안내되는 안내홈(542)이 구비되되, 상기 산형돌기부(510)와 상기 회동부(520)를 감싼 채로 상기 싱크대(30)에 고정형성된 안내부(540)와, 상기 회동부(520)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부(520)의 타 단에 형성된 베어링(550)으로 구성된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가 최초 상기 밀음바(320)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밀음바(320)는, 상기 싱크대(30) 방향으로 유동 된 후 고정되고, 그 상태에서 다시 한번 상기 밀음바(320)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밀음바(320)는, 상기 싱크대(30)로부터 돌출되어 멀어지게 된다.
특히, 상기 밀음바(320)가 상기 싱크대(30)와 밀착된 채로 고정될 경우, 상기 유동판(210)의 관통공(212)에 의해 상기 수도관(70)의 물이 상기 제1,2물공급관(412, 422)으로 공급되게 되고, 상기 밀음바(320)가 상기 싱크대(320)에서 돌출되어 멀어지게 되면, 상기 유동판(210)이 상기 수도관(70) 내부를 차단하여 상기 수도관(70)의 물이 상기 제1,2물공급관(412, 422)으로 공급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물공급부(400)는, 그리고, 상기 제1물공급홈(410)은, 물이 토출되는 방향이 상하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주름관(41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물공급홈(420)은, 물이 토출되는 방향이 상하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 는 제2주름관(42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제1,2주름관(416, 426)은, 상하 좌우로 각도를 변경하여 유동 되면서 상기 제1,2물공급홈(410, 420)에서 물이 토출 되는 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실시예)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실시에 따른 절수기를 살펴보면,
상기 수도관(70)으로 이송되는 물이 상기 수도꼭지(100)를 통해 상기 싱크대(30)에 공급되어, 세척할 물품들을 세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도꼭지(100)의 사용과는 별도로, 상기 싱크대(30) 벽면에 상호 마주보며 형성된 제1,2물공급홈(410, 420)을 통해 상기 싱크대(30)이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렇게, 상기 제1,2물공급홈(410, 420)으로 물이 이송되어 상기 싱크대(30)에 물이 공급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수도관(70)의 물은, 상기 수도꼭지(100)에 물이 공급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상기 수도관(70) 내부를 관통하면서 유동 되는 상기 유동판(210)이 구비된 위치를 지난 상기 수도관(70)의 위치에 연결형성된 상기 제1물공급관(412)과, 상기 제1물공급관(422)을 통해 물이 상기 제1물공급홈(410)과 제2물공급홈(420)으로 이송 및 공급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물은 상기 수도관(70)에서 여러 갈래로 갈라져 이송되는 것 이다.
또한, 상기 유동판(210)에는, 상기 수도관(70) 내부와 동일한 지름을 갖는 관통공(212)이 구비되어, 상기 관통공(212)이 상기 수도관(70) 내부에 위치되면, 상기 수도관(70)의 물이 상기 제1,2공급관(412, 422)으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유동판(210)이 유동 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평소에는 상기 수도관(70)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상기 유동판(210)으로 인해, 수도관(70) 내부의 물이 상기 수도꼭지(100)에만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싱크대(30) 외부에 형성된 상기 밀음바(320)를 상기 싱크대(30) 방향으로 밀게 되면, 상기 밀음바(320)의 양측 말단에 구비된 가압봉(322, 322')이 상기 싱크대(30) 내부에 구비된 안착홈(310, 310')을 가압하면서 유동되고, 상기 가압봉(322, 322')의 유동에 의해, 상기 가압봉(322, 322')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220)가 연동 되면서, 상기 와이어(220)와 연결된 상기 유동판(210)도 함께 연동 되어, 상기 유동판(210)의 상기 관통공(212)이 상기 수도관(70)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인해, 상기 수도관(70)의 물은 상기 관통공(212)을 지나 상기 제1,2물공급관(412, 422)으로 이송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유동판(210)의 선단에는 상기 와이어(220)가 연결되고, 상기 유동판(210)의 말단에는 상기 싱크대(30)에 고정형성되고 탄성을 갖는 제1스프링(230)이 연결형성되어, 상기 가압봉(322, 322')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220)의 유동에 의해, 상기 유동판(210)도 함께 연동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제1물공급관(412)의 물은, 상기 제1물공급홈(410)을 통해 상기 싱크대(30)에 제공되고, 상기 제1물공급관(412)에는, 상기 제1물공급관(412)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1밸브(414)가 구비되어, 상기 싱크대(30)에 공급되는 물이 이송 및 차단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제2공급관(422)의 물은, 상기 제2물공급홈(420)을 통해 상기 싱크대(30)에 제고되고, 상기 제2물공급관(422)에는, 상기 제2물공급관(422)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밸브(424)가 구비되어, 상기 싱크대(30)에 공급되는 물이 이송 및 차단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유동판(210)이 위치된 이후 위치의 수도관(70) 물은 상기 수도관(70)과 연결형성된 상기 제1,2물공급관(412, 422)을 통해 상기 제1,2물공급홈(410, 420)으로 이송되어 상기 싱크대(30)에 제공되도록 하고, 상기 제1,2밸브(414, 424)는 별도로 상기 제1,2물공급관(412, 422)을 개폐하여 상기 제1,2물공급홈(410, 420)에 공급되는 물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밀음바(320)의 가압을 멈추게 되면, 상기 안착홈(310, 310') 내부에 수용 구비된 상기 제2프스링(312, 312')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가압봉(322, 322')이 밀려나, 상기 가압봉(322, 322')과 일체로 형성된 상기 밀음바(320)가 싱크대(30) 외측 방향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렇게, 상기 가압봉(322, 322')이 상기 싱크대(30)의 외측 방향으로 유동 되면, 상기 가압봉(322, 322')에 연결형성된 상기 와이어(220)가 연동 되고, 상기 와이어(220)와 연결된 상기 유동판(210)도 함께 연동 되어, 상기 수도관(70) 내부 지름과 동일 위치에 위치되었던 상기 관통공(212)이 상기 수도관(70) 내부에서 이 탈하게 되므로 인해, 상기 수도관(70)은 상기 유동판(210)에 의해 물의 이송이 차단되고, 다만 상기 수도관(70)의 물은 상기 수도꼭지(100)로만 이송되게 된다.
이때, 상기 유동판(210)의 선단에 연결형성된 상기 와이어(220)는, 상기 유동판(210)과 상기 가압봉(322, 322')이 연동 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고, 상기 유동판(210)의 말단에 연결형성된 상기 제1스프링(230)은, 상기 유동판(210)이 유동되는 것을 돕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가압봉(322, 322') 중단에는, 상기 위치조절구(500)가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위치조절구(500)는, 상기 밀음바(320)를 일 회 가압시 상기 밀음바(320)가 상기 싱크대(30)에 밀착된 채로 고정되어, 상기 유동판(210)의 관통공(212)을 통해, 상기 수도관(70)의 물이 상기 제1,2물공급관(412, 422)으로 공급 되록하고, 다시 한번 추가 가압시 상기 밀음바(320)가 상기 싱크대(30)에서 이격되어, 상기 유동판(210)이 상기 수도관(70)을 차단하여, 상기 수도관(70)의 물이 상기 제1,2물공급관(412, 422)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위치조절구(500)의 구성과 작동을 살펴보면, 상기 위치조절구(500)는, 상기 밀음바(320)로부터 연장형성된 상기 가압봉(322, 322')이 분리되어 일부는 산형돌기부(510)를 이루고, 상기 산형돌기부(510)에 밀착된 채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다른 일부는 회동부(520)를 이루며, 상기 회동부(520) 외면에 돌출형성된 돌출돌기(530)와, 상기 돌출돌기(530)가 안내되는 안내홈(542)이 구비되되, 상기 산형돌기부(510)와 상기 회동부(520)를 감싼 채로 상기 싱크대(30)에 고정형성된 안내부(540)와, 상기 회동부(520)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부(520) 의 타 단에 형성된 베어링(55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550)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상기 가압봉(322, 322')의 또다른 일부가, 상기 제2스프링(312, 312')을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산형돌기부(510)는 상기 회동부(520)와 밀착되는 위치에 산형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520)는 상기 베어링(550)에 연결된 채로, 상기 산형돌기부(510)와 상기 베어링(550) 사이에서 회동 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회동부(520)가 회동 되는 것은, 사용자가 상기 밀음바(320)를 상기 싱크대(30)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가압봉(322, 322')의 일부가 상기 제2스프링(312, 312')을 가압하면서 유동 되고, 상기 산형돌기부(510)가 상기 안내부(540) 내부에서 유동 되게 되며, 상기 산형돌기부(510)가 유동 되면서 상기 회동부(520)를 상기 안내부(540) 내부에서 외부로 밀어내게 되어, 상기 안내부(540)의 안내홈(542)을 따라 안내되는 상기 회동부(520)의 돌출돌기(530)가 상기 안내홈(542)을 벗어나게 되기 때문에, 상기 안내홈(542)을 벗어난 상기 돌출돌기(530)가 상기 산형돌기부(510)의 산형의 돌기를 타고, 상기 안내부(540)의 또 다른 산형 돌기를 따라 유동 되어, 상기 돌출돌기(530)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회동부(520)는 회동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동부(520)는, 상기 베어링(550)에 의해 원활하게 회동 되고, 상기 밀음바(320)를 재차 가압하게 되면, 상기 돌출돌기(530)는, 다시 상기 안내홈(542)에 수용되게 되면서, 상기 제2스프링(312, 312')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회동부(520)의 돌출돌기(530)가 형성된 부분은 상기 안내홈(540) 내부로 진입하게 되 고, 상기 돌출돌기(530)는, 상기 안내홈(542)을 따라 유동 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돌출돌기(530)가 유동 되면, 상기 돌출돌기(530)의 유동에 의해 상기 회동부(520)는 회동 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밀음바(320)을 일 회 가압시, 상기 밀음바(320)는, 상기 싱크대(30)와 밀착됨으로 인해 상기 수도관(70)에 유동판(210)이 진입되어, 사용자의 몸과 손이 자유로운 상태로 상기 수도관(70)의 물을 사용 가능하고, 사용자가 상기 밀음바(320)을 한번 더 가압시, 상기 밀음바(320)는, 상기 싱크대(30)와 멀어짐으로 인해 상기 수도관(70)에서 유동판(210)이 유동 되어, 상기 수도과(70)의 물 사용을 차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2밸브(414, 424)를 조절하여, 상기 제1,2물공급관(412, 422)에 물이 공급되는 것을 제어하여, 상기 제1,2물공급홈(410, 420)으로 물이 공급 및 차단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싱크대(30) 벽면에 형성된 상기 제1물공급홈(410)에는, 사방으로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제1주름관(416)이 형성되고, 상기 제1물공급홈(410)과 마주보는 싱크대(30) 벽면에 형성된 상기 제2물공급홈(420)에는, 사방으로 방향을 전활할 수 있는 제2주름관(426)이 형성되어, 상기 싱크대(30)에서 세척할 물품의 크기와 형태에 관계없이 원활하게 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 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절수기의 전체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절수기의 싱크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평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절수기의 싱크대 내부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절수기의 요부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 이며,
도 5a,5b는 본 고안에 따른 절수기의 실시 예를 나타낸 실시도 이고,
도 6,7은 본 고안에 따른 절수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실시도 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절수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실시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싱크대 70 : 수도관
75 : 유출방지막
100 : 제1수도꼭지
200 : 조절모듈 210 : 유동판
212 : 관통공 220 : 와이어
230 : 제1스프링 240 : 가이드핀
300 : 유동모듈 310, 310' : 안착홈
312, 312' : 제2스프링 322, 322' : 가압봉
320 : 밀음바
400 : 물공급기 410 : 제1물공급홈
412 : 제1물공급관 414 : 제1밸브
416 : 제1주름관 420 : 제1물공급홈
422 : 제2물공급관 424 : 제2밸브
426 : 제2주름관
500 : 위치조절구 510 : 산형돌기부
520 : 회동부 530 : 돌출돌기
540 : 안내부 542 : 안내홈
550 : 고정베어링

Claims (9)

  1. 물이 이송되는 수도관(70)과 연결형성되어 주방용품을 세척가능한 싱크대(30)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형성된 수도꼭지(100)와;
    상기 수도관(70)과 연결되어 상기 수도꼭지(100)와 별도로 상기 싱크대(3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싱크대(30) 벽면에 마주보도록 한 쌍이 형성된 물공급부(400)와;
    상기 수도관(70) 내부에 일부가 관통된 채로 유동 되도록 상기 싱크대(30) 내부에서 상기 수도관(70)과 연결형성되어 상기 물공급부(400)로 물이 제공되는 것을 조절하는 조절모듈(200)과;
    상기 조절모듈(200)과 연결된 채로, 상기 싱크대(30) 내부로부터 수평방향 외부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조절모듈(200)의 일부가 상기 수도관(70) 내부에서 유동 되어 상기 물공급기(400)에 물이 공급되는 것이 제어되도록 하는 유동모듈(300);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모듈(200)은, 상기 수도관(70) 내부에 관통된 채로 유동 되되, 상기 수도관(70)의 지름과 대응된 크기를 갖는 관통공(212)이 일측에 구비된 수직 판 형태의 유동판(210)과, 상기 유동모듈(300)의 일부와 상기 유동판(210)의 일단을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220)와, 상기 유동판(210)의 타단과 연결되되 상기 싱크대(30)에 고정형성된 제1스프링(230)과, 상기 와이어(220)가 일정한 위치에서 유동 되도록 상기 싱크대(30) 내부에 고정형성된 가이드핀(2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220)는,
    상기 유동모듈(300)과 연결되어 상기 유동모듈(300)의 유동에 따라 연동 되고,
    상기 유동판(210)은,
    상기 와이어(220)와, 상기 제1스프링(230)에 유동에 따라 연동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도관(70)은,
    상기 유동판(210)이 상기 수도관(70)을 관통한 채로 유동시, 상기 수도관(70) 내부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도관(70)에 고정되어 상기 유동판(210)과 밀착 형성되는 유출방지막(7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모듈(300)은,
    상기 싱크대(30) 내부에 고정형성되되 내부에 제2스프링(312, 312')이 각각 수용된 안착홈(310, 310')과, 상기 안착홈(310, 310')의 제2스프링(312, 312')을 가압하는 가압봉(322, 322')이 상기 싱크대(30) 외부에서 내부로 관통하면서 양측 단에 구비되되, 상기 싱크대(30) 외부에 돌출형성된 채로 상기 제2스프링(312, 312')의 탄력에 의해 유동 되는 봉 형태의 밀음바(3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봉(322, 322') 중단에는,
    상기 밀음바(320)를 일 회 가압으로 상기 싱크대(30)에 밀착되게 하고, 다시 한번 가압하는 것을 통해 상기 밀음바(320)를 상기 싱크대(30)에서 멀어지게 할 수 있는 위치조절구(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구(500)는,
    상기 밀음바(320)에서부터 상기 가압봉(322, 322')의 중단까지 형성된 산형돌기부(510)와, 상기 산형돌기부(510)와 일단이 밀착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회동가능한 회동부(520)와, 상기 회동부(520) 외면에 돌출형성된 돌출돌기(530)와, 상기 돌출돌기(530)가 안내되는 안내홈(542)이 구비되되, 상기 산형돌기부(510)와 상기 회동부(520)를 감싼 채로 상기 싱크대(30)에 고정형성된 안내부(540)와, 상기 회동부(520)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회동부(520)의 타 단에 형성된 베어링(5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400)는,
    상기 수도꼭지(100) 하부의 상기 싱크대(30) 측벽면에 구비된 제1물공급홈(410)과, 상기 제1물공급홈(410)에 물이 공급되기 위해, 상기 수도관(70)에서 상기 조절모듈(200)을 지나온 물이 이송되는 제1물공급관(412)과, 상기 제1물공급관(412)에 연결형성되되 상기 싱크대(30) 상부로 수직 돌출형성되어, 물이 상기 제1물공급홈(410)에 이송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1밸브(414)와, 상기 제1물공급홈(410)과 마주보는 상기 싱크대(30) 타 측벽면에 구비된 제2물공급홈(420)과, 상기 제2물 공급홈(420)에 물이 공급되기 위해, 상기 수도관(70)에서 상기 조절모듈(200)을 지나온 물이 이송되는 제2물공급관(422)과, 상기 제2물공급관(422)에 연결형성되되 상기 싱크대(30) 상부로 수직 돌출형성되어, 물이 상기 제2물공급홈(420)에 이송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2밸브(42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물공급홈(410)은,
    물이 토출되는 방향이 상하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주름관(41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물공급홈(420)은,
    물이 토출되는 방향이 상하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주름관(42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기.
KR2020090011273U 2009-08-28 2009-08-28 절수기 KR2004482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273U KR200448245Y1 (ko) 2009-08-28 2009-08-28 절수기
PCT/KR2010/004326 WO2011025141A2 (ko) 2009-08-28 2010-07-02 절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273U KR200448245Y1 (ko) 2009-08-28 2009-08-28 절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245Y1 true KR200448245Y1 (ko) 2010-03-25

Family

ID=44211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273U KR200448245Y1 (ko) 2009-08-28 2009-08-28 절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2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7593A1 (ko) * 2016-06-16 2017-12-21 (주)천일 급수수단이 일체로 결합된 싱크볼 및 이를 이용한 싱크대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531B1 (ko) * 2008-01-07 2008-11-10 김준호 세척수와 헹굼수 재활용 효율을 높인 업소용 식기 세척기
KR200444676Y1 (ko) * 2008-11-14 2009-05-27 홍영기 절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531B1 (ko) * 2008-01-07 2008-11-10 김준호 세척수와 헹굼수 재활용 효율을 높인 업소용 식기 세척기
KR200444676Y1 (ko) * 2008-11-14 2009-05-27 홍영기 절수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7593A1 (ko) * 2016-06-16 2017-12-21 (주)천일 급수수단이 일체로 결합된 싱크볼 및 이를 이용한 싱크대 구조
CN109068849A (zh) * 2016-06-16 2018-12-21 天日株式会社 一种给水装置一体结合的水盆及利用其的水槽结构
JP2019525042A (ja) * 2016-06-16 2019-09-05 チョニル・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給水手段が一体で結合されたシンクボウル及びこれを利用した流し台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5456A (en) Diverter apparatus and method for saving fresh water
KR101074144B1 (ko) 싱크대의 족답식 급수장치
CN202302173U (zh) 自动节水龙头
KR200448245Y1 (ko) 절수기
JP4708974B2 (ja) 自動水栓
KR20120097714A (ko) 수전금구용 양방향 토출 밸브
KR200444676Y1 (ko) 절수기
KR20180000627U (ko) 회전 수전
RU115853U1 (ru) Водосберегающий разборный кран
KR102371303B1 (ko) 분수형 토수구를 갖춘 수전금구
KR20170000693U (ko) 수전
KR20100088105A (ko) 절수기
CN103032624A (zh) 自动节水龙头
CN221108603U (zh) 一种便于拆卸的花洒
CN216379781U (zh) 一种家用洗水池
CN114052498B (zh) 一种奶泡器的输奶管转换装置
KR100992711B1 (ko) 샤워기헤드
CN202125619U (zh) 自动节水龙头
US20220112701A1 (en) Water output device
KR101279860B1 (ko) 수전금구
JP2007270507A (ja) 給水栓
KR101157213B1 (ko) 수도꼭지 및 수도밸브
JP5640350B2 (ja) 汚物洗い水栓
KR200198051Y1 (ko) 자폐식 수전금구의 조작페달 자동세척장치
WO2023043401A1 (en) Glass / jug washing apparatus integrated with water dr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