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215Y1 - 침사분리기 - Google Patents
침사분리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8215Y1 KR200448215Y1 KR2020080006880U KR20080006880U KR200448215Y1 KR 200448215 Y1 KR200448215 Y1 KR 200448215Y1 KR 2020080006880 U KR2020080006880 U KR 2020080006880U KR 20080006880 U KR20080006880 U KR 20080006880U KR 200448215 Y1 KR200448215 Y1 KR 20044821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w
- sand
- sealing member
- inlet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6—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 B01D21/267—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by using a cyclo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사물이 유입되는 유입부와 침사물로부터 분리된 모래를 배출하는 배출부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유입부의 상단부와 연직하방으로 연통되게 설치되며, 소정의 유속으로 공급된 상기 침사물을 싸이클론 원리를 이용하여 일차적으로 물과 모래로 분리하는 싸이클론관, 상기 유입부에 배치되며 상기 싸이클론관을 통하여 하부로 낙하한 모래를 상기 본체의 하단부로 끌어내리는 제 1 스크류와, 상기 배출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스크류에 의해 아래로 내려온 모래를 위로 끌어올려 상기 본체 밖으로 배출시키는 제 2 스크류로 구성된 2중 스크류, 상기 유입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2중 스크류에 의해 침사물로부터 분리된 물을 상기 본체 밖으로 배출시키는 제 2 분리수 배출관, 상기 싸이클론관과 상기 유입부 사이의 연결부와, 상기 제 2 분리수 배출관 사이에 설치되어 모래가 상기 제 2 분리수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모래 차단판, 상기 제 1 스크류 의 하부측의 외주면으로부터 제 1 스크류의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회전밀침판을 포함하는 침사분리기로서, 상기 유입부와 배출부 사이에는 격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 1 스크류에 의해 내려온 모래가 상기 제 2 스크류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회전밀침판은 제 1 스크류의 회전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각각의 회전밀침판은 서로 크기가 다르며, 상기 제 1 스크류 및 제 2 스크류 각각의 축의 하단부는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며, 상부 밀봉 부재 및 하부 밀봉 부재를 포함하는 밀봉 장치에 의해 외부로부터 밀봉되며, 상기 상부 밀봉 부재는 상기 베어링과 본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 밀봉 부재는 상기 제 1 스크류 및 제 2 스크류 각각의 축의 하단부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밀봉 부재와 접하여 제 1 스크류 및 제 2 스크류 각각의 축의 하단부 및 베어링을 외부로부터 밀봉하며, 상기 상부 밀봉 부재의 상단부는 제 1 스크류 및 제 2 스크류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밀봉 부재의 상부면은 상기 제 1 스크류 및 제 2 스크류 각각의 축의 하단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침사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사지에서 인양된 침사물에서 모래를 빠르게 제거함과 동시에 모래의 함수율을 줄이기 위해 제 1 스크류에서 제 2 스크류 측으로 이동을 원활하게 해줄 수 있는 침사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침사분리기로서 등록실용신안 제350258호에 개시된 침사분리기가 알려져 있다. 이 침사분리기는 침사물이 분리되는 본체 (10), 싸이클론의 원리에 의해 침사물을 일차적으로 물과 모래로 분리하는 싸이클론관 (20), 상기 싸이클론관 (20) 을 통하여 하부로 낙하한 모래를 본체 (10) 의 하단부로 끌어내리는 제 1 스크류 (32), 상기 제 1 스크류 (32) 에 의해 아래로 내려온 모래를 위로 끌어올려 배출시키는 제 2 스크류 (34) 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스크류 (32) 의 하우측의 외주면측에 다수의 회전밀침판 (100a, 100b, 100c) 이 형성된 침사분리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침사분리기는 침사물을 싸이클론관 (20) 에서 일차적으로 분리하고, 제 1 스크류 (32) 및 제 2 스크류 (34) 에서 다시 분리하도록 구성되 며, 다수의 회전밀침판 (100a, 100b, 100c) 을 가짐으로써 모래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그러나, 종래의 침사분리기는 제 1 스크류 (32) 및 제 2 스크류 (34) 의 하단부와 베어링의 틈 사이에서 침사물이 누출되는 경우가 많았고, 밀봉되는 경우에도 스크류 (32, 34) 의 하단부와 밀봉하는 수단의 마찰에 의해 스크류 (32, 34) 의 회전이 방해받거나, 상기 하단부가 마모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침사분리기는 다수의 회전밀침판 (100a, 100b, 100c) 에 의해 모래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지만, 침사물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상기 효과에 의해서도 충분한 모래 회수율을 얻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크류의 하단부를 완전히 밀봉함과 동시에 밀봉 수단과의 마찰을 방지하고, 침사물의 양이 많은 경우에도 충분한 모래 회수율을 얻을 수 있는 침사분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해결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침사물이 유입되는 유입부와 침사물로부터 분리된 모래를 배출하는 배출부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기 유입부의 상단부와 연직하방으로 연통되게 설치되며, 소정의 유속으로 공급된 상기 침사물을 싸이클론 원리를 이용하여 일차적으로 물과 모래로 분리하는 싸이클론관,
상기 유입부에 배치되며 상기 싸이클론관을 통하여 하부로 낙하한 모래를 상기 본체의 하단부로 끌어내리는 제 1 스크류와, 상기 배출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스크류에 의해 아래로 내려온 모래를 위로 끌어올려 상기 본체 밖으로 배출시키는 제 2 스크류로 구성된 2중 스크류,
상기 유입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2중 스크류에 의해 침사물로부터 분리된 물을 상기 본체 밖으로 배출시키는 제 2 분리수 배출관,
상기 싸이클론관과 상기 유입부 사이의 연결부와, 상기 제 2 분리수 배출관 사이에 설치되어 모래가 상기 제 2 분리수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모래 차단판,
상기 제 1 스크류 의 하부측의 외주면으로부터 제 1 스크류의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회전밀침판을 포함하는 침사분리기로서,
상기 유입부와 배출부 사이에는 격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 1 스크류에 의해 내려온 모래가 상기 제 2 스크류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회전밀침판은 제 1 스크류의 회전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각각의 회전밀침판은 서로 크기가 다르며,
상기 제 1 스크류 및 제 2 스크류 각각의 축의 하단부는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며, 상부 밀봉 부재 및 하부 밀봉 부재를 포함하는 밀봉 장치에 의해 외부로부터 밀봉되며,
상기 상부 밀봉 부재는 상기 베어링과 본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 밀봉 부재는 상기 제 1 스크류 및 제 2 스크류 각각의 축의 하단부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밀봉 부재와 접하여 제 1 스크류 및 제 2 스크류 각각의 축의 하단부 및 베어링을 외부로부터 밀봉하며,
상기 상부 밀봉 부재의 상단부는 제 1 스크류 및 제 2 스크류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밀봉 부재의 상부면은 상기 제 1 스크류 및 제 2 스크류 각각의 축의 하단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분리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모래 차단판은 상부 경사판 및 하부 수직판으로 이루어지며, 하부 수직판의 일부 또는 전부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사분리기는 상기 개구부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배출부를 연결하는 연결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통로는 조절판에 의해 통로 면적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통로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회전밀침판을 제 1 스크류의 회전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고, 각각의 회전밀침판을 서로 크기가 다르게 함으로써, 제 1 스크류가 본체의 바닥부 가까이까지 설치되는 경우에도, 모래를 밀어내기에 충분한 크기의 회전밀침판을 설치할 수 있으며, 회전밀침판에 가해지는 모래의 저항을 최소화함으로써, 이동되는 모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싸이클론관과 유입부 사이의 연결부와, 제 2 분리수 배출관 사이에 모래 차단판을 설치하고, 모래 차단판의 하부 수직판의 일부 또는 전부에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제 2 분리수 배출관으로 침사물 내에 포함되는 모래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물이 원활히 배출될 수 있게 하여, 배출되는 모래의 함수율을 더욱 줄일 수 있다.
또한, 개구부보다 높은 위치에 유입부와 배출부를 연결하는 연결 통로를 설치하고, 통로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판을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모래를 다시 세척하여 더 깨끗한 모래를 얻을 수 있고, 침사물의 양에 따라 모 래의 이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침사분리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침사분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은 본 고안의 침사분리기의 회전밀침판을 도면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침사분리기의 모래 차단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 는 본 고안의 침사분리기의 밀봉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 는 본 고안의 침사분리기의 연결 통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침사분리기는 침사물 (60) 이 유입되는 유입부 (10a) 와 침사물로부터 분리된 모래 (68) 를 배출하는 배출부 (10b) 로 이루어지는 본체 (10) 와, 유입부 (10a) 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싸이클론관 (20) 및 본체 (10) 의 내부에 설치되는 2중 스크류 (30) 를 포함하며, 2중 스크류 (30) 는 본체 (10) 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구동부 (36) 에 의해 구동된다.
구동부(36)는 1 개의 구동모터와 감속기로 구성되고, 침사분리기 (100) 에서 분리된 모래 (68) 는 모래 수거함 (50) 으로 수거된다.
싸이클론관 (20) 은 소정의 유속으로 공급되는 침사물 (60) 을 싸이클론 원리를 이용하여 물 (62) 과 모래를 분리하는 부분으로서, 유입부 (10a) 로 투입되기 전에 침사지 (70) 에서 인양된 침사물 (60) 을 일차적으로 분리한다.
싸이클론관 (20) 은 유입부 (10a) 의 상단부와 연직하방으로 연통되게 설치되며, 소정의 유속으로 공급된 침사물 (60) 을 일차적으로 물 (62) 과 모래로 분리 한다.
싸이클론관 (20) 은 싸이클론 원리를 이용할 수 있도록 상부에서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되어 있다.
침사지 (70) 에서 펌프 (80) 로 인양된 침사물 (60) 은 침사물 공급관 (24) 을 통하여 싸이클론관 (20) 으로 공급되며, 침사물 공급관 (24) 은 싸이클론관 (20) 의 측면과 연통되게 설치된다.
특히, 소정의 유속으로 공급된 침사물 (60) 이 선회류를 일으키며 물 (62) 과 모래가 분리될 수 있도록, 침사물 공급관 (24) 은 싸이클론관 (20) 의 측면을 통하여 싸이클론관 (20) 의 내측면의 접선 방향으로 연통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싸이클론관 (20) 을 통하여 일차적으로 분리된 물 (62) 은 싸이클론관 (20) 의 상단과 연통되게 설치된 제 1 분리수 배출관 (26) 을 통하여 침사지 (70) 로 배출된다. 즉, 침사물 (60) 이 싸이클론관 (20) 을 통과하면서, 제 1 분리수 배출관 (26) 을 통하여 소정 양의 물 (62) 이 분리되기 때문에, 일차적으로 침사물 (60) 에 함유된 물의 양을 줄일 수 있다.
2중 스크류 (30) 는 싸이클론관 (20) 을 통과한 침사물 (64) 의 모래의 무게를 이용하여 침사물 (64) 을 물 (66) 과 모래 (68) 로 분리하는 부분으로서, 싸이클론관 (20) 하부의 본체 (10) 의 유입부 (10a) 및 배출부 (10b) 내부에 연직하방으로 설치된다.
2중 스크류 (30) 는 유입부 (10a) 에 배치되는 제 1 스크류 (32) 와 배출부 (10b) 에 배치되는 제 2 스크류 (34) 로 이루어지며, 제 1 스크류 (32) 는 싸이클론관 (20) 을 통하여 하부로 낙하한 침사물 (64) 중에서 모래 (67) 를 본체 (10) 의 하단부로 끌어내리고, 제 2 스크류 (34) 는 제 1 스크류 (32) 에 의해 아래로 내려온 모래 (67) 를 위로 끌어올려 본체 (10) 밖으로 배출시킨다.
제 1 스크류 (32) 는 모래 (67) 를 끌어내리고 제 2 스크류 (34) 는 모래 (67) 를 끌어올릴 수 있도록, 제 1 스크류 (32) 와 제 2 스크류 (34) 는 날이 반대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스크류 (32) 와 제 2 스크류 (34) 는 하나의 구동원에 의해 동일한 방향, 예를 들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제 1 스크류 (32) 와 제 2 스크류 (34) 사이, 즉 유입부 (10a) 와 배출부 (10b) 사이에는 격벽 (35) 이 형성되어 있으며, 격벽 (35) 의 하단부에는 제 1 스크류 (32) 에 의해 내려온 모래 (67) 가 제 2 스크류 (34)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개구부 (38)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스크류 (32) 와 제 2 스크류 (34) 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격벽의 개구부 (38) 를 통하여 모래 (67) 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제 1 스크류 (32) 와 제 2 스크류 (34) 의 하단부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관(도시않음)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싸이클론관 (20) 을 통과한 침사물 (64) 이 제 1 스크류 (32) 가 설치된 유입부 (10a) 내부로 바로 떨어지게 될 경우, 그 유입부 (10a) 내부에 공급되어진 침사물 (64) 이 튀어 침사물 (64) 의 분리를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싸이클론관 (20) 과 유입부 (10a) 의 연결부 아래에 모래 차단판 (18) 이 설치된다.
도 3 에서 볼 수 있듯이, 모래 차단판 (18) 은 유입부 (10a) 의 측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상부 경사판 (18a) 및 상부 경사판 (18a) 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부 수직판 (18b) 으로 이루어진다.
2중 스크류 (30) 에 의해 분리된 물 (66) 은 제 1 스크류 (32) 가 유입부 (10a) 의 측면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제 2 분리수 배출관 (12) 을 통하여 본체 (10) 밖으로 배출된다. 제 2 분리수 배출관 (12) 으로 배출되는 물 (66) 은 침사지 (70) 로 보내진다. 침사분리기 (100) 를 구동한 이후에 제 2 분리수 배출관 (12) 의 수위까지 도달할 때까지는 물 (66) 의 배출은 없으며, 제 2 분리수 배출관 (12) 까지 수위가 도달한 이후부터 물 (66) 의 배출이 이루어진다.
모래 차단판 (18) 은 침사물 (64) 이 바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외에도, 침사물 (64) 에 포함된 모래가 물 (66) 과 함께 제 2 분리수 배출관 (12) 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가진다. 즉, 침사물 (64) 에 포함된 모래 중 무게가 가벼운 것은 위로 부유하여 제 2 분리수 배출관 (12) 으로 배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모래 차단판 (18) 의 하부 수직판 (18b) 을 제 2 분리수 배출관 (12) 앞에 배치하여 부유한 모래가 제 2 분리수 배출관 (12) 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도 3 에서 볼 수 있듯이, 하부 수직판 (18b) 의 일부 또는 전부에 모래 입자는 통과할 수 없고 물만 통과할 수 있는 미세한 크기의 구멍을 형성하여, 2중 스크류 (30) 에 의해 분리된 물 (66) 의 배출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모래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분리수 배출관 (12) 은 상부 경사판 (18a) 이 시작되는 지점보 다는 아래쪽에, 그리고 하부 수직판 (18b) 이 끝나는 지점보다는 위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제 2 분리수 배출관 (12) 을 설치함으로써, 침사물 (64) 의 양이 많은 경우에도 모래가 물과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분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2중 스크류 (30) 에 의해 분리된 모래 (68) 는 배출부 (10b) 의 측면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모래 배출관 (14) 을 통하여 본체 (10) 밖에 설치된 모래 수거함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체 (10) 의 수위보다는 높은 위치에서 모래 (68) 를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본체 (10) 내부의 수위에 대응하는 제 2 분리수 배출관 (12) 보다는 높은 위치에 모래 배출관 (14) 이 설치된다.
즉, 제 1 스크류 (32) 와 제 2 스크류 (34) 는 격벽 (35) 으로 나누어져 있지만, 격벽 (35) 에 형성된 개구부 (38) 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스크류 (32) 및 제 2 스크류 (34) 가 설치된 본체 (10) 내부의 수위는 동일하다.
또한, 제 1 스크류 (32) 에 의해 하부측으로 이동되는 모래 (68) 는 격벽 (35) 에 의해 제 2 스크류 (34) 측과 차단되어 있고 격벽 (35) 의 하부측 개구부 (38) 만을 통해 이동된다.
도 1 및 도 2 에서 볼 수 있듯이, 제 1 스크류 (32) 에 의해 수직방향으로만 이동되는 모래를 개구부 (38) 를 통해 효과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개구부 (38) 와 동일한 평면 상의 제 1 스크류 (32) 외경측에 회전 밀침판 (100a, 100b, 100c) 을 다수개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제 1 스크류 (32) 의 외경측에 형성된 회전 밀침판 (100a, 100b, 100c) 은 제 1 스크류 (32) 에 의해 하부측으로 이동된 모래가 바닥측에 몰려 적체되지 않고 바로 회전 밀침판 (100a, 100b, 100c) 에 의해 밀쳐지면서 개구부 (38) 를 통해 제 2 스크류 (34) 측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킨다. 회전 밀침판 (100a, 100b, 100c) 은 제 1 스크류 (32) 에 의해 하부측으로 이동된 모래를 바닥부에서 밀쳐 분산시키면서 이동시키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제 2 스크류 (34) 로 이동된 모래는 다시 상부측으로 이동시켜 모래 배출관 (14) 으로 쉽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회전 밀침판 (100a,100b,100c) 은 제 1 스크류 (32) 의 회전 방향 또는 반대반향으로 기울어져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밀침판 (100a,100b,100c) 이 회전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어도 모래의 이동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회전 방향으로 뉘어지게 형성함으로써, 모래의 이동시 부하를 적게 주면서 제 2 스크류 (34) 측으로 모래를 이동시킬 수 있다.
회전 밀침판 (100a, 100b, 100c) 은 서로 크기가 다르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스크류 (32) 가 유입부 (10a) 의 바닥 가까이까지 설치되는 경우에, 제 1 스크류 (32) 와 바닥 사이가 좁은 구간에서는 회전 밀침판 (100c) 의 높이를 낮게 하고, 제 1 스크류 (32) 와 바닥 사이가 넓은 구간에서는 회전 밀침판 (100a) 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어, 모래를 이동시키기에 충분한 면적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제 1 스크류 (32) 를 유입부 (10a) 의 바닥 가까이까지 설치할 수 있어 모래의 이동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 밀침판 (100a, 100b, 100c) 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모래에 의한 저항력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회전 밀침판 (100a, 100b, 100c) 이 세 개이며, 각각 다른 높이를 가지며, 동일한 폭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네 개 이상의 회전 밀침판을 설치할 수도 있고, 다른 비율의 높이 또는 폭을 가질 수도 있다.
제 1 스크류 (32) 및 제 2 스크류 (34) 의 하단부는 본체 (10) 의 바닥면을 통과하여 연장되며, 스크류 (32, 34) 의 하단부 및 본체 (10) 의 개구부는 밀봉 장치 (40) 에 의해 외부로부터 밀봉되어, 침사물 (64) 의 누출이 방지된다. 밀봉 장치 (40) 는 상부 밀봉 부재 (42) 및 하부 밀봉 부재 (44) 로 이루어진다.
도 4 에서 볼 수 있듯이, 상부 밀봉 부재 (42) 는 스크류 (32, 34) 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베어링 (46) 을 둘러싸는 형태로 베어링 (46) 과 본체 (10) 의 개구부 사이에 끼워넣어진다. 도 4 에서, 상부 밀봉 부재 (42) 와 스크류 (32, 34) 의 하단부 사이에는 베어링 (46) 만이 개재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위쪽의 베어링 (46) 대신에 물이나 이물질을 차단하는 패킹이 설치될 수도 있으며, 베어링 (46) 과 스크류 (32, 34) 사이에 스크류 (32, 34) 를 보호하기 위한 슬리브가 끼워질 수도 있다.
상부 밀봉 부재 (42) 는 본체 (10) 의 개구부와 접촉하면서 고정되며, 가요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부 밀봉 부재 (42) 와 본체 (10) 의 개구부 사이에서는 침사물 (64) 이 누출되지 않는다. 또한, 상부 밀봉 부재 (42) 와 본체 (10) 의 개구부 사이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밀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부 밀봉 부재 (42) 의 상단부는 베어링 (46) 을 넘어 스크류 (32, 34) 의 표면을 향해 연장되어 접촉할 수도 있지만, 도 4 에 도시된 것처럼 약간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밀봉 부재 (44) 는 스크류 (32, 34) 의 하단부의 아래쪽으로부터 설치되어, 볼트 등의 고정 수단 (48) 으로 상부 밀봉 부재 (42) 에 고정됨으로써, 베어링 (46) 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며, 상부 밀봉 부재 (42) 와 밀착한다. 하부 밀봉 부재 (44) 역시 가요성의 소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부 밀봉 부재 (44) 의 상부면과 상부 밀봉 부재 (42) 의 내주면에 의해 외부로부터 밀봉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공간 내에 스크류 (32, 34) 의 하단부가 위치한다.
또한, 하부 밀봉 부재 (44) 의 상부면은 스크류 (32, 34) 의 하단면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밀봉 부재 (42) 의 상단부와 스크류 (32, 34) 사이의 틈 및 베어링 (46) 을 통과한 침사물이 하부 밀봉 부재 (44) 의 상부면과 스크류 (32, 34) 의 하단면 사이의 틈으로 들어오게 된다.
상부 밀봉 부재 (42) 의 상단부와 스크류 (32, 34) 의 외주면 사이, 및 하부 밀봉 부재 (44) 의 상부면과 스크류 (32, 34) 의 하단면 사이에 위치하는 침사물은 다량의 물을 포함하기 때문에, 밀봉 장치 (40) 와 스크류 (32, 34) 의 하단부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게 되며, 물이 밀봉 장치 (40) 와 스크류 (32, 34) 의 하단부 사이에서 윤활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게 된다. 이러한 접촉 방지 및 윤활 효과에 의해 밀봉 장치 (40) 와 스크류 (32, 34) 의 하단부 사이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 (10) 에는 침사분리기 (100) 로 공급된 침사물 (64) 을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 (16) 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에서 배출관 (16) 은 배출부 (10b) 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침사분리기 (100) 에 대한 수리점검 등을 위해 침사분리기 (100) 에서 침사물을 제거하고자 할 때, 배출관 (16) 을 열어 침사분리기 (100) 로 공급된 침사물을 밖으로 배출한다.
격벽에 의해 나누어지는 유입부 (10a) 와 배출부 (10b) 를 연결하는 연결 통로 (52) 가 설치될 수 있다. 연결 통로 (52) 는 도 5 에 도시된 것처럼, 유입부 (10a) 와 배출부 (10b) 의 내측면에 접선 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 연결 통로 (52) 는 모래 배출관 (14) 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해야 하며, 침사물 (64) 의 수위인 제 2 분리수 배출관 (12) 보다 더 높은 지점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 통로 (52) 를 통해 2중 스크류 (30) 를 통해 분리된 모래가 제 1 스크류 (32) 측으로 이동되어, 다시 한번 2중 스크류 (30) 를 통과하며 세척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깨끗한 모래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연결 통로 (52) 에는 상하 방향 또는 측 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조절판 (54) 이 설치되어, 연결 통로 (52) 의 면적을 변경함으로써, 통과되는 모래의 이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통로 (52) 를 유입부 (10a) 와 배출부 (10b) 의 외주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더 돌출되게 함으로써, 연결 통로 (52) 의 면적을 넓혀 이동되는 모래의 양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제 1 분리수 배출관 (26) 과, 제 2 분리수 배출관 (12) 과 침사지 (70) 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 사이와, 배출관 (16) 과, 세정수 공급관 (도시않음) 등에는 이를 차단 및 공급할 수 있는 개폐용 밸브가 설치되어 있어 배관 사이의 연결을 수월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상에 언급된 내용은 본 고안의 기술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한 것으로 본 고안은 기술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에 개시된 기술 이외에도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것임은 물론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침사분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은 도 1 의 A 부분의 확대도로서, 본 고안의 침사분리기의 회전밀침판을 도면이다.
도 3 은 본 고안의 침사분리기의 모래 차단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도 1 의 B 부분의 확대도로서, 본 고안의 침사분리기의 밀봉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고안의 침사분리기의 연결 통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4)
- 침사물이 유입되는 유입부와 침사물로부터 분리된 모래를 배출하는 배출부로 이루어지는 본체와,상기 유입부의 상단부와 연직하방으로 연통되게 설치되며, 소정의 유속으로 공급된 상기 침사물을 싸이클론 원리를 이용하여 일차적으로 물과 모래로 분리하는 싸이클론관,상기 유입부에 배치되며 상기 싸이클론관을 통하여 하부로 낙하한 모래를 상기 본체의 하단부로 끌어내리는 제 1 스크류와, 상기 배출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스크류에 의해 아래로 내려온 모래를 위로 끌어올려 상기 본체 밖으로 배출시키는 제 2 스크류로 구성된 2중 스크류,상기 유입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2중 스크류에 의해 침사물로부터 분리된 물을 상기 본체 밖으로 배출시키는 제 2 분리수 배출관,상기 싸이클론관과 상기 유입부 사이의 연결부와, 상기 제 2 분리수 배출관 사이에 설치되어 모래가 상기 제 2 분리수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모래 차단판,상기 제 1 스크류 의 하부측의 외주면으로부터 제 1 스크류의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회전밀침판을 포함하는 침사분리기로서,상기 유입부와 배출부 사이에는 격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 1 스크류에 의해 내려온 모래가 상기 제 2 스크류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상기 다수의 회전밀침판은 제 1 스크류의 회전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각각의 회전밀침판은 서로 크기가 다르며,상기 제 1 스크류 및 제 2 스크류 각각의 축의 하단부는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며, 상부 밀봉 부재 및 하부 밀봉 부재를 포함하는 밀봉 장치에 의해 외부로부터 밀봉되며,상기 상부 밀봉 부재는 상기 베어링과 본체 사이에 위치하며,상기 하부 밀봉 부재는 상기 제 1 스크류 및 제 2 스크류 각각의 축의 하단부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밀봉 부재와 접하여 제 1 스크류 및 제 2 스크류 각각의 축의 하단부 및 베어링을 외부로부터 밀봉하며,상기 상부 밀봉 부재의 상단부는 제 1 스크류 및 제 2 스크류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으며,상기 하부 밀봉 부재의 상부면은 상기 제 1 스크류 및 제 2 스크류 각각의 축의 하단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분리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모래 차단판은 상부 경사판 및 하부 수직판으로 이루어지며, 하부 수직판의 일부 또는 전부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분리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침사분리기는 상기 개구부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유입부와 상기 배출부를 연결하는 연결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통로는 조절판에 의해 통로 면적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분리기.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연결 통로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사분리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6880U KR200448215Y1 (ko) | 2008-05-27 | 2008-05-27 | 침사분리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6880U KR200448215Y1 (ko) | 2008-05-27 | 2008-05-27 | 침사분리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2197U KR20090012197U (ko) | 2009-12-02 |
KR200448215Y1 true KR200448215Y1 (ko) | 2010-03-25 |
Family
ID=44211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06880U KR200448215Y1 (ko) | 2008-05-27 | 2008-05-27 | 침사분리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8215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9673B1 (ko) * | 2021-10-14 | 2022-06-15 | (주)티케이엔텍 | 침사 분리시스템 |
KR102712514B1 (ko) * | 2023-09-12 | 2024-10-02 | 탈렌트엘엔지(주) | 디샌더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56867B1 (ko) * | 1995-08-22 | 1998-10-15 | 홍광식 | 협잡물 자동처리장치 |
KR200235705Y1 (ko) | 2001-03-22 | 2001-10-08 | 김진수 | 침사분리기 |
KR200242878Y1 (ko) | 2001-05-21 | 2001-10-15 | 최정호 | 수처리장의 침사물 분리기 |
KR200350258Y1 (ko) | 2004-02-02 | 2004-05-13 | 주식회사 수환경알앤디 | 침사분리기 |
-
2008
- 2008-05-27 KR KR2020080006880U patent/KR20044821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56867B1 (ko) * | 1995-08-22 | 1998-10-15 | 홍광식 | 협잡물 자동처리장치 |
KR200235705Y1 (ko) | 2001-03-22 | 2001-10-08 | 김진수 | 침사분리기 |
KR200242878Y1 (ko) | 2001-05-21 | 2001-10-15 | 최정호 | 수처리장의 침사물 분리기 |
KR200350258Y1 (ko) | 2004-02-02 | 2004-05-13 | 주식회사 수환경알앤디 | 침사분리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2197U (ko) | 2009-1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162650B1 (en) | Separation of components of a fluid mixture | |
CN106522345A (zh) | 一种初雨自动截流式雨水口装置 | |
KR20120024520A (ko) | 다중 구조의 수류 공간흐름을 이용한 경사판 침전조 | |
KR20090112501A (ko) | 초기우수 처리장치 | |
CN106948452A (zh) | 沉泥井雨水污染物截污设施及截污操作方法 | |
KR200448215Y1 (ko) | 침사분리기 | |
KR100877027B1 (ko) | 수리동력학적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 |
CN207342324U (zh) | 一种餐厨油分离过滤装置 | |
CN111672166B (zh) | 一种旋流浮选器 | |
CN203961006U (zh) | 污水提升装置 | |
CN101332382B (zh) | 自控液面的过滤装置 | |
CN104278737B (zh) | 旋流井 | |
KR20100039651A (ko) | 유수분리기 | |
CN109761309B (zh) | 分离装置及其工作方法 | |
CN206425100U (zh) | 一种离心自净固液分离装置 | |
CN109179703A (zh) | 一种能够避免管道堵塞的油水分离箱 | |
KR100693281B1 (ko) | 담수호의 침전 슬러지 및 퇴적오니 제거 시스템 | |
KR200350258Y1 (ko) | 침사분리기 | |
CN114159852A (zh) | 一种化工污水处理设备 | |
KR20050033406A (ko) | 상,하수 및 폐수 등의 침사 제거 및 종합 전처리 장치 | |
CN216935053U (zh) | 一种混凝土废水收集装置 | |
CN210767123U (zh) | 一种新型无动力雨污分离系统 | |
EP1082987A1 (en) | Floating decanting device for water treatment plants | |
CN217925976U (zh) | 用于抽放管钻孔的新型自动放水器 | |
CN217079079U (zh) | 一种污水提升设备的管道排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6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