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189Y1 - 정자형 인공어초 - Google Patents

정자형 인공어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189Y1
KR200448189Y1 KR2020070019182U KR20070019182U KR200448189Y1 KR 200448189 Y1 KR200448189 Y1 KR 200448189Y1 KR 2020070019182 U KR2020070019182 U KR 2020070019182U KR 20070019182 U KR20070019182 U KR 20070019182U KR 200448189 Y1 KR200448189 Y1 KR 2004481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rm
hexapod
horizontal beam
habitat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91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335U (ko
Inventor
조성환
이정우
손병규
이정의
문태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20200700191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189Y1/ko
Publication of KR200900053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3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1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1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체적으로 정자(누각) 형태로 제작되어 해류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 음영 효과를 향상시키는 한편 내부에는 다양한 생물이 서식 가능하도록 제작된 생물서식소가 설치된 정자형 인공어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구성은, 해저면에 지지되도록 세워지는 수직 기둥보(31), 이 수직 기둥보(31)의 상단에 연결 지지되는 상부 가로보(32), 상기 수직 기둥보(31)의 하부에 해저면과 일정 높이만큼 떨어지도록 연결 지지되는 하부 가로보(33) 및 이 하부 가로보(33)로부터 내부로 연장 형성되는 마루 플레이트(34)로 이루어진 하부 구조체(30)와, 이 하부 구조체(30)에 얹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 가로보(32)와 결합되는 하단 가로빔(21), 이 하단 가로빔(21)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떨어지도록 형성된 상단 가로빔(23), 상기 하단 가로빔(21)과 상단 가로빔(23)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경사 연결빔(22) 및 이 경사 연결빔(22)의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보강 사이보(25)에 의해 전체적으로 상협하광의 절두형 다면체 형태를 이루는 상부 지붕체(20)로 구성된 콘크리트재의 정자형 어초틀(10); 6개의 다리(41)가 상호 90°간격으로 벌어지도록 돌출 형성된 헥사포드형 몸체가 하나 또는 둘 이상 포개어진 형태로 상기 정자형 어초틀(10)의 마루 플레이트(34) 상에 놓여지고, 각각의 다리(41)는 그 표면적을 넓이기 위해 다각형으로 구성되며, 그 끝단에는 해조류 착생용 로프가 연결될 수 있도록 고리(43)가 부착되어 있는 콘크리트재의 헥사포드형 생물서식소(40)로 이루어진다.
인공어초, 정자형, 하부 구조체, 상부 지붕체, 헥사포드형 생물서식소

Description

정자형 인공어초{Pavilion-shaped artificial reef}
본 고안은 정자형 인공어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체적으로 정자 형태로 제작되어 해류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 음영 효과를 향상시키는 한편 내부에는 다양한 생물이 서식 가능하도록 제작된 생물서식소가 설치된 정자형 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다.
인공어초라 함은 연안 어장의 수산자원 확보를 목적으로 해양생물의 산란 및 서식공간을 조성하고 치어의 은신처를 제공하기 위하여 연안이나 근해에 설치하는 인공적인 구조물로서, 폐선박을 침몰시키거나 지상 구조물을 바다에 투하하면 많은 어획고를 올릴 수 있다는 경험칙에서 착안되었으며, 최근에는 해양생물의 서식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성하기 위하여 육면체형, 원통형, 요철형 구조물로 설계한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변모되어 왔다. 특히, 단순히 어류의 서식공간을 제공한다는 목적에서 한 차원 더 진보하여 어류의 위집, 해조류의 착생 및 서식 등을 위한 다양하고 복합적인 기능적 형태성을 갖춘 인공어초가 개발되고 있다.
인공어초를 만드는 재료 또한 콘크리트, 폐타이어, 강재 등이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는데, 각 재료는 다음과 같은 사용상의 장단점이 있다. 콘크리트의 경우에 는 내구성은 우수하나 콘크리트 자체의 독성이 있고 다양한 구조로 제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폐타이어의 경우에는 폐자원을 재활용한다는 장점은 있으나 비중이 1.1 전후로 해저에 시설할 경우 약한 외력에도 이동, 전도의 우려가 높아 어초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미흡하며, 강재의 경우에는 복잡한 형상의 어초를 만들 수 있으나 부식 등으로 인해 산화철에 부착 서식하고 있는 부착생물의 탈락으로 그 효과가 경감되며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다는 단점이 있다.
콘크리트의 경우 상기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어초의 제작이 용이하며 비교적 특히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현재 어초 재료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표면의 공극률을 증가시켜 해조류 등이 보다 쉽게 착생될 수 있도록 해주는 다공성 콘크리트가 개발되어 새로운 어초 재료로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현재 어초 개발 분야에서는 내구성뿐만 아니라 해조류 착생 효과가 우수한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더욱 다양하고 복합적인 기능적 형태성을 갖춘 인공어초를 개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연구 방향이라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연구 방향에 맞추어 개발된 것으로,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정자형 인공어초틀을 제작하고 그 내부에 해양생물의 서식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헥사포드형 생물서식소를 설치함으로써, 어류 위집뿐만 아니라 해조류 착생에도 탁월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정자형 인공어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정자형 인공어초는, 해저면에 지지되도록 세워지는 수직 기둥보, 이 수직 기둥보의 상단에 연결 지지되는 상부 가로보, 상기 수직 기둥보의 하부에 해저면과 일정 높이만큼 떨어지도록 연결 지지되는 하부 가로보 및 이 하부 가로보로부터 내부로 연장 형성되는 마루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하부 구조체와, 이 하부 구조체에 얹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 가로보와 결합되는 하단 가로빔, 이 하단 가로빔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떨어지도록 형성된 상단 가로빔, 상기 하단 가로빔과 상단 가로빔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경사 연결빔 및 이 경사 연결빔의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보강 사이보에 의해 전체적으로 상협하광의 절두형 다면체 형태를 이루는 상부 지붕체로 구성된 콘크리트재의 정자형 어초틀; 6개의 다리가 상호 90°간격으로 벌어지도록 돌출 형성된 헥사포드형 몸체가 하나 또는 둘 이상 포개어진 형태로 상기 정자형 어초틀의 마루 플레이트 상에 놓여지고, 각각의 다리는 그 표면적을 넓이기 위해 다각형으로 구성되며, 그 끝단에는 해조류 착생용 로프가 연결될 수 있도록 고리가 부착되어 있는 콘크리트재의 헥사포드형 생물서식소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정자형 인공어초에 의하면, 해조류의 착생에 적합한 형태로 제작되어 해중림 조성 효과를 높일 수 있고, 해류의 용승 효과, 와류 형성 효과, 음영 효과 등 어류의 위집에 필요한 다목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어종을 위한 서식 공간을 제공해 줌으로써 인공어초의 궁극적인 목적인 해양자원 육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정자형 인공어초의 형태상의 특징을 설명하기에 앞서 재질상의 특징인 콘크리트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는 복잡한 형태로 제작할 수 없다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어초 형태로 제작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일괄 공정을 통해 만들 수 있으므로 강재에 비해 제작이 비교적 용이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어 인공어초의 재료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표면의 공극률을 증가시켜 해조류 등이 보다 쉽게 착생될 수 있도록 해주는 다공성 콘크리트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다공성 콘크리트는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또는 고로 슬래그 시멘트)와 쇄석골재 및 조골재(13~19mm)를 사용하여 수생식물의 부착이 용이하도록 공극률이 10% 이상이고 투수계수는 1.73~0.47 cm/sec이 되도록 만든 것이다. 부가적으로 혼합되는 고로 슬래그는 철이온을 용출 시켜 해조류나 식물 플랑크톤의 단백질 구성과 광합성에 필요한 영양소를 공급해준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도 이러한 다공성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더욱이 본 고안에서는 전체 콘크리트 중량을 100%로 볼 때, 골재를 80~90%로 하고 여기에 시멘트 9~19 중량%, 굴패각 분말 5 중량% 미만, 혼화제 1% 미만을 각각 혼합한 후 이 혼합물과 물을 4:1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만든 다공성 콘크리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다공성 콘크리트는 일반적인 다공성 콘크리트와 달리 굴패각 분말을 5% 미만 혼합함으로써 자연 친화성을 향상시키고 폐자원을 재활용하며 부족한 골재의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시멘트 중량을 100%로 볼 때 1~3 중량%의 황토를 혼합하여 자연 친화성을 더욱 향상시키거나, 1~2 중량%의 맥반석 분말을 혼합함으로써 시멘트 독성 중화, 중금속 분해, 미네랄 용출 등의 효과를 나타내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정자형 인공어초는 일반 콘크리트, 다공성 콘크리트, 굴패각 분말이 함유된 다공성 콘크리트 중 하나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고안은 다공성 콘크리트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일반 콘크리트로 제작되어 그 형태상의 특징만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본 고안에 따른 정자형 인공어초의 형태상의 특징을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정자형 인공어초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2는 분리 사시도이며, 도3 내지 도5는 정자형 어초틀의 내부에 놓여지는 헥사포드형 생물서식소의 일 예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정자형 인공어초는 크게 정자형 어 초틀(10)과 그 내부에 설치되는 헥사포드형 생물서식소(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정자형 어초틀(10)은 다시 해저면에 지지되고 내부에 상기 헥사포드형 생물서식소(40)가 놓여지도록 구성된 하부 구조체(30)와, 이 하부 구조체(30) 위에 얹어져 어초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음영 및 와류 효과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상부 지붕체(20)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구조체(3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저면에 지지되도록 세워지는 수직 기둥보(31), 이 수직 기둥보(31)의 상단에 연결 지지되는 상부 가로보(32), 상기 수직 기둥보(31)의 하부에 해저면과 일정 높이만큼 떨어지도록 연결 지지되는 하부 가로보(33), 및 이 하부 가로보(33)로부터 내부로 연장 형성되는 마루 플레이트(3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부 구조체(30)는 각종 보들을 연결하는 구조를 이루어 상면과 측면이 완전히 열려 있는 공간을 제공하므로 해류가 원활하게 유통되어 내부에 뻘, 모래 또는 오폐물이 집적되지 않도록 해준다.
도2에는 상기 수직 기둥보(31)가 사각형으로 세워져 하부 구조체(30)가 육면체를 이루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수직 기둥보(31)는 육각형, 팔각형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세워질 수 있다. 또한, 수직 기둥보(31)와 상기 하부 가로보(33) 및 상부 가로보(32)가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는 기둥 보강재(36)가 판재 형태로 덧대어져 하부 구조체(30)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해류의 흐름을 방해하여 와류를 형성시켜 준다.
하부 가로보(33)는 해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떨어지게 형성되어 이로부 터 연장 형성된 상기 마루 플레이트(34)가 뻘, 모래와 같은 저니질에 의해 매몰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또한, 상기 수직 기둥보(31)와 하부 가로보(33)에 의해 형성되는 해저면과의 사이 공간은 어패류의 은식처 및 서식처를 제공해 주는 한편 해류를 원활히 소통시켜 어초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켜 준다.
상기 마루 플레이트(34)는 중앙 부분이 내려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해저면과 통하도록 마루홀(35)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마루 플레이트(34)의 표면에 쌓여진 뻘, 모래 또는 기타 오폐물은 중앙으로 집적되어 마루홀(35)을 통해 해저면으로 배출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루홀(35)의 주변 하부에는 마루 플레이트(34)를 지지하도록 중앙 지지대(38)가 형성되어 중량체인 상기 헥사포드형 생물서식소(40)가 마루 플레이트(34) 상에 안전하게 적재될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상부 지붕체(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구조체(30) 위에 얹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 가로보(32)와 결합되는 하단 가로빔(21), 이 하단 가로빔(21)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떨어지도록 형성된 상단 가로빔(23), 상기 하단 가로빔(21)과 상단 가로빔(23)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경사 연결빔(22) 및 이 경사 연결빔(22)의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보강 사이보(25)에 의해 전체적으로 상협하광의 절두형 다면체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도2에는 상기 상부 지붕체(20)가 사각형 밑면을 가진 절두형 피라미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육면체 형태인 상기 하부 구조체(30)에 따른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육각 지붕, 팔각 지붕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부 지붕체(20)는 하부 구조체(30) 위에 얹어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 구조체(30)의 상부 가로보(32)와 상부 지붕체(20)의 하단 가로빔(21)이 다수개의 결합 볼트(37)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물론 상기 결합 볼트(37) 외에 다양한 통상의 결합 수단이 사용될 수 있고 나아가 상부 지붕체(20)와 하부 구조체(30)가 일체로 타설되어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 지붕체(20)는 다공성 콘크리트로 만들어지고 상협하광의 다면체 형태를 이루어 해조류의 착생에 가장 중요한 햇빛이 골고루 도달할 수 있도록 일정 각도를 유지함으로써 적합한 해중림의 조성 기질을 제공해 준다. 또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상기 보강 사이보(25)는 햇빛이 어초의 내부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해주는 한편, 일일 태양의 위치 변화에 따라 하부 구조체(30)의 내부에 다양한 음영 효과를 나타내어 해조류, 패류는 물론 다금바리, 돌돔, 볼락, 조피볼락 등 다양한 어종에 대한 위집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상부 지붕체(20)의 상단 가로빔(23)은 중앙에 지붕홀(24)이 형성되도록 상호 연결 설치된다. 이 지붕홀(24)은 하부 구조체(30)의 내부로 햇빛이 도달하도록 해주는 한편, 어초의 내부로 흐르는 해류의 용승 효과를 발생시켜 어류의 먹이가 되는 플랑크톤이 어초의 주위에 골고루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어류의 위집 효과를 향상시켜 준다. 또한, 이러한 용승 효과는 갑자기 발생하는 강한 해류에 의해 어초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지금까지 정자형 어초틀(10)을 구성하는 하부 구조체(30)와 상부 지붕체(20)의 기술적 특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 정자형 어초틀(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어초로서의 다양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주는 헥사포드형 생물서식소(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헥사포드형 생물서식소(40)는 본 고안자가 그 자체만으로도 인공어초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 것으로, 이미 대한민국 등록실용산안 제428057호(고안의 명칭: 다공간 생물 육성초)로 등록받아 그 기술력을 인정받은 바 있다. 이에 본 고안자는 본 고안에 따른 정자형 인공어초 내부에 기술적 효과가 인정된 헥사포드형 생물서식소(40)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어류 위집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등록실용신안의 명세서의 기재 내용 중에서 상기 헥사포드형 생물서식소(40)의 기술 구성을 설명하는 부분은 가감없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으로 포함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헥사포드형 생물서식소(40)를 구성하는 1개의 몸체를 도시한 것이다. 헥사포드형 생물서식소(40)는 6개의 다리(41)가 상호 90°간격으로 벌어지도록 돌출 형성된 헥사포드형 몸체가 하나 또는 둘 이상 포개어진 형태로 상기 정자형 어초틀(10)의 마루 플레이트(34) 상에 놓여지고, 각각의 다리(41)는 그 표면적을 넓이기 위해 다각형으로 구성되며, 그 끝단에는 해조류 착생용 로프가 연결될 수 있도록 고리(43)가 부착되어 있다.
헥사포드형 구조에 따르면 6개의 다리(41) 중에서 3개가 해저면에 지지되므로 방파제용으로 흔히 사용되는 테트라포드와 동일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반면 나머지 3개의 다리(41)가 모두 위쪽 방향을 향해 역삼각뿔 형태로 돌출되기 때문에 해조류 착생 기질인 표면적이 더욱 넓어지고 햇빛이 충분히 조사되며 와류의 형성이 용이하므로, 테트라포드와 같이 하나의 다리만이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경우보다 해중림 조성에 더욱 유리하다. 또한, 6개의 다리가 90°간격으로 벌어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헥사포드 형태를 이루므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가 동일한 형태로 포개어지도록 배열할 수 있어 질서 정연하고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6개의 다리(41)는 그 표면적을 넓혀 해조류의 착생기질을 최대한 많이 제공할 수 있도록 다각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의 (a), (b)에는 각각의 다리가 6각형 또는 8각형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외의 다각형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기 6개의 다리(41)에는 그 끝단에 해조류 착생용 로프(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도록 고리(43)가 부착된다. 헥사포드형 생물서식소(40)가 여러 개 포개어져 배열되어 있는 때에는 상기 고리(43)에는 해조류 포자가 이식된 로프가 연결되어 단단히 고정됨으로써 해조류 착생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3에서 보듯이 헥사포드형 생물서식소(40)를 이루는 6개의 다리(41)의 중앙 부위에는 생물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다수개의 공간부(42)가 형성된다. 이 공간부(42)는 해조류 외에 어류의 먹이가 될 수 있는 지렁이, 새우, 게와 같은 소형 생물들이 서식하고 은신할 수 있는 생물 공간을 최대한 많이 제공해 준다. 이러한 생물 공간은 기본적으로 6개의 다리(41)가 포개어지면서 만들어지지만, 본 고안에서는 더 많은 생물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각 다리(41)의 중앙 부위에 다수개의 공간부(42)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복잡한 생물 공간은 해류의 흐름을 방해하여 와류를 발생시키고 음영 효과를 나타내어 어류 위집 효과를 한층 높여준다.
도3에는 상기 공간부(42)가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원형을 포함한 모든 형태의 공간부(42)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공간부(42)는 더 많은 내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각 다리(41) 별로 상호 연통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에는 복수개의 헥사포드형 생물서식소(40)의 결합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복수개의 헥사포드형 생물서식소(40)를 질서 정연하게 배열하기 위해서는 6개의 다리(41)가 90°간격으로 배열된 헥사포드 형태로 하는 것이 기존의 테트라포드 형태보다 더 용이하다는 것은 이미 상기한 바와 같다. 인공어초는 한 번 바다에 설치되면 수년 또는 수십년 간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어야 하므로, 인접한 것끼리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헥사포드형 생물서식소(40)의 몸체 중앙에 인접하는 것끼리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44) 및 결합돌기(45)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구성하였다. 이에 의하면 여러 개가 포개어 질 때에 인접한 것끼리 상기 결함홈(44)과 결합돌기(45)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헥사포드형 생물서식소(40)는 넓은 표면적을 가진 6개의 다리(41)로 구성되고 많은 생물 공간을 제공하는 공간부(42)가 형성된 여러 개의 몸체가 인접한 것끼리 포개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적합한 해조류 착생기질의 제공, 복잡한 음영 및 와류 형성 효과, 다양한 어종을 위한 서식처 및 안식처 제공 등 여러 가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정자형 인공어초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정자형 인공어초의 분리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헥사포드형 생물서식소의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헥사포드형 생물서식소의 일 예시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헥사포드형 생물서식소의 결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정자형 어초틀 20: 상부 지붕체
21: 하단 가로빔 22: 경사 연결빔
23: 상단 가로빔 24: 지붕홀
25: 보강 사이빔 30: 하부 구조체
31: 수직 기둥보 32: 상부 가로보
33: 하부 가로보 34: 마루 플레이트
35: 마루홀 36: 기둥 보강재
37: 결합 볼트 38: 중앙 지지대
40: 헥사포드형 생물서식소 41: 다리
42: 공간부 43: 고리
44: 결합홈 45: 결합돌기

Claims (5)

  1. 해저면에 지지되도록 세워지는 수직 기둥보(31), 이 수직 기둥보(31)의 상단에 연결 지지되는 상부 가로보(32), 상기 수직 기둥보(31)의 하부에 해저면과 일정 높이만큼 떨어지도록 연결 지지되는 하부 가로보(33) 및 이 하부 가로보(33)로부터 내부로 연장 형성되는 마루 플레이트(34)로 이루어진 하부 구조체(30)와, 이 하부 구조체(30)에 얹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 가로보(32)와 결합되는 하단 가로빔(21), 이 하단 가로빔(21)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떨어지도록 형성된 상단 가로빔(23), 상기 하단 가로빔(21)과 상단 가로빔(23)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경사 연결빔(22) 및 이 경사 연결빔(22)의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보강 사이보(25)에 의해 전체적으로 상협하광의 절두형 다면체 형태를 이루는 상부 지붕체(20)로 구성된 콘크리트재의 정자형 어초틀(10);
    6개의 다리(41)가 상호 90°간격으로 벌어지도록 돌출 형성된 헥사포드형 몸체가 하나 또는 둘 이상 포개어진 형태로 상기 정자형 어초틀(10)의 마루 플레이트(34) 상에 놓여지고, 각각의 다리(41)는 그 표면적을 넓이기 위해 다각형으로 구성되며, 그 끝단에는 해조류 착생용 로프가 연결될 수 있도록 고리(43)가 부착되어 있는 콘크리트재의 헥사포드형 생물서식소(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자형 인공어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체(30)의 마루 플레이트(34)는 중앙 부분이 내려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해저면과 통하도록 마루홀(35)이 형성되며, 상기 마루홀(35)의 주변 하부에는 마루 플레이트(34)를 지지하도록 중앙 지지대(3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자형 인공어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붕체(20)의 상단 가로빔(23)은 중앙에 지붕홀(24)이 형성되도록 상호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자형 인공어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헥사포드형 생물서식소(40)는 6개의 다리(41)의 중앙 부위에 생물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다수개의 공간부(42)가 각 다리(41) 별로 연통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자형 인공어초.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헥사포드형 생물서식소(40)는 그 몸체의 중앙에 상호 인접하는 것끼리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44) 및 결합돌기(45)가 교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자형 인공어초.
KR2020070019182U 2007-11-29 2007-11-29 정자형 인공어초 KR2004481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182U KR200448189Y1 (ko) 2007-11-29 2007-11-29 정자형 인공어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182U KR200448189Y1 (ko) 2007-11-29 2007-11-29 정자형 인공어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335U KR20090005335U (ko) 2009-06-03
KR200448189Y1 true KR200448189Y1 (ko) 2010-03-25

Family

ID=41297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9182U KR200448189Y1 (ko) 2007-11-29 2007-11-29 정자형 인공어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18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99082A (zh) * 2011-11-07 2012-07-25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方形组合人工鱼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96770A (zh) * 2023-10-09 2023-12-29 珠江水利委员会珠江水利科学研究院 非均称几何结构人工鱼礁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8204U (ko) * 1990-01-27 1991-10-11
JP3374307B2 (ja) * 1996-10-02 2003-02-04 株式会社西村組 コンブ・ウニ魚礁
KR200394349Y1 (ko) 2005-06-10 2005-09-01 한승호 친환경 피라밋형 목제어초
KR200428057Y1 (ko) 2006-07-24 2006-10-04 주식회사 해중 다공간 생물 육성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8204U (ko) * 1990-01-27 1991-10-11
JP3374307B2 (ja) * 1996-10-02 2003-02-04 株式会社西村組 コンブ・ウニ魚礁
KR200394349Y1 (ko) 2005-06-10 2005-09-01 한승호 친환경 피라밋형 목제어초
KR200428057Y1 (ko) 2006-07-24 2006-10-04 주식회사 해중 다공간 생물 육성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99082A (zh) * 2011-11-07 2012-07-25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方形组合人工鱼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335U (ko)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075044A (ja) 天蓋付き底棲生物用養殖礁、およびそれによる底棲生物の養殖方法
KR100985893B1 (ko) 육각 콘크리트 어초
KR100762820B1 (ko) 석탑형 다기능 인공어초
KR200448190Y1 (ko) 정자형 다목적 인공어초
KR101015059B1 (ko) 벽체형 콘크리트 어초
KR100960053B1 (ko) 해양 생태 다면체 인공어초
KR200448189Y1 (ko) 정자형 인공어초
KR200428056Y1 (ko) 교체 블록식 인공어초
KR101213624B1 (ko) 콘크리트 인공어초
KR100838714B1 (ko) 강재골조 구조의 인공어초
KR200428057Y1 (ko) 다공간 생물 육성초
KR101167655B1 (ko) 팔각지붕형 인공어초
JP2008029267A (ja) 魚礁
KR100979420B1 (ko) 터널식 인공어초
KR100996879B1 (ko) 패류 부착구조를 갖는 강재골조 인공어초
KR100704144B1 (ko) 인공어초
KR101199870B1 (ko) 해중림 조성용 구조물
KR101738836B1 (ko) 바이오 세라믹 벽돌을 이용한 인공어초
KR100734466B1 (ko) 해중림 조성용 하우스형 인공어초
KR101421610B1 (ko) 해삼 어초
KR101056619B1 (ko) 애쉬콘크리트가 충전된 강철원기둥 인공어초와 그 제조방법
KR200442652Y1 (ko) 친환경 중층 부유식 파야오형 해양 구조물
KR20090000183U (ko) 터널형 강제어초
KR200392536Y1 (ko) 해중림 조성용 하우스형 인공어초
KR200389608Y1 (ko) 복합형 어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