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960Y1 - 회전식 개폐구조를 갖는 펜슬 용기 - Google Patents

회전식 개폐구조를 갖는 펜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960Y1
KR200447960Y1 KR2020080003984U KR20080003984U KR200447960Y1 KR 200447960 Y1 KR200447960 Y1 KR 200447960Y1 KR 2020080003984 U KR2020080003984 U KR 2020080003984U KR 20080003984 U KR20080003984 U KR 20080003984U KR 200447960 Y1 KR200447960 Y1 KR 2004479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ntainer
inner cap
rotating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9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9870U (ko
Inventor
전준희
Original Assignee
전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준희 filed Critical 전준희
Priority to KR20200800039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960Y1/ko
Publication of KR200900098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8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9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9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6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tur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005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05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03Pen barrel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밀한 풀칠을 하거나 장식가루 등을 도포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펜슬 용기에 대한 것으로, 특히 내부가 비어 있는 용기의 상측에 별도의 내부캡을 나사 결합하고, 그 내부캡의 외부에는 별도의 회전캡을 결합 형성하되, 내부캡의 상부에는 배출공을 편심되게 형성하고, 회전캡의 상부에는 토출구를 편심 형성하여, 이들 배출공과 토출구의 위치에 따라 용기 내의 내용물이 배출되거나 차단되게 구성함으로써,
회전캡의 회전을 통해 용기 내의 내용물을 사용하거나 밀폐시킬 수 있어 한 손으로도 편리한 사용이 가능한 것이며, 회전캡은 내부캡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분실의 위험이 없어 취급성이 뛰어난 것이며, 회전캡의 회전량에 따라 배출구의 개방량이 조절되므로 결국 용기 내의 내용물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어 더욱 세밀하고 정교한 사용을 가능케 하는 효과가 것이다.
펜슬, 용기, 내부캡, 회전캡, 배출공, 토출구

Description

회전식 개폐구조를 갖는 펜슬 용기 {Pencil holder having spiral open-and-shut system}
본 고안은 세밀한 풀칠을 하거나 장식가루 등을 도포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펜슬 용기에 대한 것으로, 특히 페이스 페인팅이나 문신 효과를 나타내고자 하는 경우 접착액의 도포 또는 용기 내의 장식가루를 도포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펜슬 용기가 회전캡과 내부캡에 형성된 배출공의 일치 또는 불일치에 따라 용기 내의 내용물을 차단 또는 유출되게 한 펜슬 용기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많은 사람이 다양한 개성을 연출하고자 얼굴이나 팔 또는 다리 등의 피부에 문신이나 염색 또는 페인팅 등을 하여 독특한 장식 효과를 누리고자 하고 있는 것이다.
이때, 주로 사용되는 문신은 반영구적이고 시술이 까다로우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면서도 고가이므로 대부분의 사람은 염색이나 색칠에 의한 페인팅을 주로 이용하게 되는 것이며, 염색 등의 페인팅 보다는 수명이 짧지만 간편하고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접착필름 형태로 된 문신용 스티커를 사용하기도 한다.
여기서, 염료나 잉크 등을 이용한 페이스 페인팅 또는 보디 페인팅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염료나 잉크가 피부로 잘 고착 및 흡수되기 위한 접착제를 사용하기도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접착제를 도포한 상태에서 별도의 장식가루 등을 접착제에 도포함에 따라 더욱 화려하고 미려한 페인팅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접착제 또는 장식가루 등은 펜슬 형태의 용기에 담겨져 세밀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보관 및 취급되는 것인데, 이와 같은 펜슬 용기는 접착제 또는 장식가루 등이 수용되는 용기와 그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는 배출캡 및 배출캡의 배출공을 개폐시킬 수 있는 커버캡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이에 사용자가 상기한 펜슬 용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커버캡을 제거한 후 배출캡의 단부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해 용기 내의 접착제 또는 장식가루가 배출되게 함으로써, 필요한 부위나 요소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펜슬 형태로 제작되므로 세밀하게 접착제 도포 또는 장식가루의 도포를 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 정교하고 미려한 페인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펜슬 용기는 전기한 바와 같이 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반드시 커버캡을 제거한 상태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디 페인팅과 같이 한 손에는 파렛트 또는 염료통을 들고 다른 손으로 붓이나 펜슬을 쥐고 작업하여야 하는 특성상 상기한 커버캡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입과 손을 사용하거나 양손을 모두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또한, 실외나 야외에서 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용기와 완전히 분리되는 커버캡을 종종 분실하게 되므로 취급이 좋지 못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펜슬 용기의 배출공은 가변되지 않는 정형의 관통 구멍이므로 이와 같은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접착제 또는 장식가루의 배출량은 거의 일정하므로 극히 소량을 사용하고 싶거나 일시에 많은 량을 사용하고자 싶을 경우 이들을 만족시킬 수 없는 배출 구조를 갖고 있어 사용상의 불편함 역시 크다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용기의 선단에 결합되는 배출캡을 내부캡과 회전캡으로 구분 형성하고, 이들 내부캡과 회전캡의 선단에 각각 편심의 배출공을 형성함에 따라, 회전캡의 회전 위치에 따라 각각의 배출공이 서로 일치 또는 불일치하여 그 용기 내의 내용물이 배출되거나 차단되게 한 회전식 개폐구조를 갖는 펜슬 용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가 비어 있는 용기의 상측에 별도의 내부캡을 나사 결합하고, 그 내부캡의 외부에는 별도의 회전캡을 결합 형성하되, 내부캡의 상부에는 배출공을 편심되게 형성하고, 회전캡의 상부에는 토출구를 편심 형성하여, 이들 배출공과 토출구의 위치에 따라 용기 내의 내용물이 배출되거나 차단되게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고안은, 회전캡의 회전을 통해 용기 내의 내용물을 사용하거나 밀폐시킬 수 있어 한 손으로도 편리한 사용이 가능한 것이며, 회전캡은 내부캡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분실의 위험이 없어 취급성이 뛰어난 것이며, 회전캡의 회전량에 따라 배출구의 개방량이 조절되므로 결국 용기 내의 내용물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 어 더욱 세밀하고 정교한 사용을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펜슬 용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펜슬 용기의 캡부분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고안 펜슬 용기는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의 용기(10)와 그 용기(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내부캡(20) 및 내부캡(20)의 외측에 결합되는 회전캡(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의 용기(10) 상부 외면에는 수나사부(11)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캡(20)의 하측 내면에는 암나사부(22)가 형성되어 있어 이들 수나사부(11)와 암나사부(22)의 상호 결합에 의해 용기(10)와 내부캡(20)이 결합되는 것이며, 회전캡(30)은 내부캡(20)의 외면에 긴밀하게 삽입되어 서로 결합되는 형태를 갖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내부캡(20)의 외면에는 걸림돌기(24)가 형성되고 회전캡(30)의 내면에는 상기한 걸림돌기(24)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홈(33)이 형성되어 있어 이들의 상호 결합력에 의해 내부캡(20)과 회전캡(30)이 견고하게 결합됨은 물론 상기한 회전캡(30)은 내부캡(20)으로부터 자유로운 평면상 좌우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내부캡(20)의 상측부에는 평면상 원형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부에 위치하는 배출공(21)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캡(30)의 상측부에는 내,외를 관통하는 토출구(31)가 평면상 원형의 일측부에 위치되게 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들 배출공(21)에 형성된 면과 토출구(31)가 형성된 면이 서로 맞닿게 구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회전캡(30)의 회전에 따라 배출공(21)과 토출구(31)의 일치 또는 불일치에 의해 용기(10)를 개폐되게 구성한 것이다.
즉, 상기한 배출공(21)과 토출구(31)는 각각 편심 위치하고 있어, 도 3의 도시와 같이 회전캡(30)의 회전을 통해 배출공(21)과 토출구(31)가 서로 어긋나게 되면 배출공(21)이 차단되는 형태를 보이게 되므로 결국 용기(10) 내의 내용물은 외부로 배출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이나, 도 4의 도시와 같이 이들이 서로 일치된 상태에서는 배출공(21)과 토출구(31)가 관통되면서 열린상태가 되어 용기(10) 내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고안에 따른 펜슬 용기를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한 회전캡(30)만을 가볍게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도 토출구(31)의 평면상 좌우회전에 의해 내부캡(20)의 배출공(21)과 회전캡(30)의 토출구(31)의 평면상 위치가 일치 또는 불일치하면서 전기한 바와 같이 용기(10)를 개폐할 수 있어 더욱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내부캡(20)의 외면 일측으로 별도의 걸림구(23)를 돌출 형성하고, 회전캡(30)의 외면 일측에도 돌출 형성된 위치확인구(32)를 형성함으로써, 내부캡(20)의 걸림구(23)가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되어 회전캡(30)의 회전시 위치확인구(32)가 내부캡(20)의 걸림구(23)에 의해 회전이 저지되는 상태에서 내부캡(20)의 배출공(21)과 회전캡(30)의 토출구(31)가 서로 일치된 상태가 되도록 제작하게 되면 완전 개구된 상태에서 회전캡(30)의 회전이 멈추어지면서 매번 개폐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아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 펜슬 용기는 상기와 같은 회전캡(30)의 평면상 좌우회전을 통해 용기(10)의 내부를 개폐할 수 있는 것으로서, 회전캡(3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배출공(21)과 토출구(31)의 일치 상태가 가변되면서 개방되는 배출공(21)의 개폐량이 달라지게 되므로 결국 개방상태의 배출공(2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용기(10) 내의 내용물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소량을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에 매우 합리적인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펜슬 용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펜슬 용기의 캡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펜슬 용기의 전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펜슬 용기의 개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용기 11 : 수나사부
20 : 내부캡 21 : 배출공
22 : 암나사부 23 : 걸림구
24 : 걸림돌기
30 : 회전캡 31 : 토출구
32 : 위치확인구 33 : 걸림홈

Claims (4)

  1. 내부가 비어 있는 용기(10)를 구비하고, 그 용기(10)의 선단에는 내부캡(20)을 결합 형성하며, 상기 내부캡(20)의 외측에는 별도의 회전캡(30)을 각각 결합하여 구성하되,
    내부캡(20)의 상측부에는 평면상 원형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부에 배출공(21)을 형성하고, 회전캡(30)의 상측부에는 평면상 원형의 일측에 토출구(31)를 형성하여, 회전캡(30)의 좌우회전에 의해 배출공(21)과 토출구(31)의 일치 또는 불일치에 의해 용기(10)를 개폐되게 구성하는 회전식 개폐구조를 갖는 펜슬 용기에 있어서,
    내부캡(20)의 하측단 외면에는 돌출상의 걸림구(23)를 형성하고, 회전캡(30)의 하측단 외면에는 상기 걸림구(23)와 대응하는 위치확인구(32)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구(23)의 일측에 위치확인구(32)가 면접되면 내부캡(20)의 배출공(21)과 회전캡(30)의 토출구(31)가 서로 일치되도록 구성하고,
    내부캡(20)의 하측부 외면에는 륜상의 걸림돌기(24)를 돌출 형성하고, 회전캡(30)의 하측부 내면에는 상기 걸림돌기(24)와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홈(33)을 형성하여, 이들 걸림돌기(24)와 걸림홈(33)의 계지력에 의해 내부캡(20)과 회전캡(30)이 서로 결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개폐구조를 갖는 펜슬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080003984U 2008-03-27 2008-03-27 회전식 개폐구조를 갖는 펜슬 용기 KR2004479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984U KR200447960Y1 (ko) 2008-03-27 2008-03-27 회전식 개폐구조를 갖는 펜슬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984U KR200447960Y1 (ko) 2008-03-27 2008-03-27 회전식 개폐구조를 갖는 펜슬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870U KR20090009870U (ko) 2009-10-01
KR200447960Y1 true KR200447960Y1 (ko) 2010-03-05

Family

ID=41533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984U KR200447960Y1 (ko) 2008-03-27 2008-03-27 회전식 개폐구조를 갖는 펜슬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960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5057U (ja) * 1984-04-27 1985-11-20 ライオン株式会社 内容物注出機構付キヤツプ
KR940002881Y1 (ko) * 1989-12-26 1994-04-27 주식회사 럭 키 용기의 뚜껑부 회전 개폐장치
JP2003104407A (ja) * 2001-09-28 2003-04-09 Pentel Corp 位置決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5057U (ja) * 1984-04-27 1985-11-20 ライオン株式会社 内容物注出機構付キヤツプ
KR940002881Y1 (ko) * 1989-12-26 1994-04-27 주식회사 럭 키 용기의 뚜껑부 회전 개폐장치
JP2003104407A (ja) * 2001-09-28 2003-04-09 Pentel Corp 位置決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870U (ko)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1763B2 (en) Powder cosmetic brush
US9185960B2 (en) Stylus for cosmetics, nail polish applicator and systems and kits based thereon
US8066019B2 (en) Cosmetic powder container with rotating dispensing mechanism
KR101228464B1 (ko) 파우더용 화장품 용기
CN111083921A (zh) 便携式化妆盒
KR200447960Y1 (ko) 회전식 개폐구조를 갖는 펜슬 용기
KR200469710Y1 (ko) 화장품 용기
KR200455005Y1 (ko) 내용물에 대한 용이 배출을 위한 주사기형 앰플
KR200421167Y1 (ko) 디스펜서
KR101199770B1 (ko) 회전식 화장품 용기
KR102101926B1 (ko) 화장품 용기
US9486052B2 (en) Nail polish container
CN210192258U (zh) 一种儿童锁盒子
KR200475887Y1 (ko) 액상 립스틱 용기
CN208909207U (zh) 360°镜面旋转多层气垫
JP3153523U (ja) 液体容器
JP4184048B2 (ja) 塗布栓
KR200448748Y1 (ko) 콤팩트 케이스
WO2020029169A1 (zh) 一种化妆粉容器
KR200402652Y1 (ko) 편리하게 잡고 사용할 수 있는 아이새도우 용기
KR100913150B1 (ko) 스패출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뚜껑 및 화장품 용기
KR20190107315A (ko) 화장품 컴팩트 용기
KR200496210Y1 (ko) 휴대용 화장품 케이스
KR101318678B1 (ko) 밀폐형 화장품 용기
CN209750110U (zh) 一种转轴隐形眼镜护理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