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785Y1 - 곡물적재함 - Google Patents

곡물적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785Y1
KR200447785Y1 KR2020090005137U KR20090005137U KR200447785Y1 KR 200447785 Y1 KR200447785 Y1 KR 200447785Y1 KR 2020090005137 U KR2020090005137 U KR 2020090005137U KR 20090005137 U KR20090005137 U KR 20090005137U KR 200447785 Y1 KR200447785 Y1 KR 2004477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rail
discharge
horizontal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1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일철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일철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일철강
Priority to KR20200900051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7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7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7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4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comprising a screw or screws enclosed in a tubular hou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4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38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by dumping, tripping, or releasing load carri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51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라이드 방식의 배출레일이 구비된 곡물적재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곡물적재함에서 이송된 곡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슬라이드 방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좌우방향으로 회전구동이 이루어져 다양한 위치로의 곡물을 배출하기 위한 슬라이드 방식의 배출레일이 구비된 곡물적재함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곡물이 적재되는 호퍼형태로서, 내측 하부면에 수평이송스크류가 설치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본체와 연통되어 수평이송스크류의 끝단과 기어박스에 의해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이송스크류가 내부에 구성되며 상단부에 좌우회전이 가능한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 연통되는 유도관가 형성된 원기둥 형태의 수직이송관과 상기 유도관의 끝단 하부면에 끼움되어 고정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한 배출레일부와 상기 수평이송스크류의 회전중심축과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구동이 가능하도동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곡물적재함, 슬라이드, 배출레일부, 포크삽입홈

Description

곡물적재함{SLIDE TYPE GRAIN-TRANSFER MACHINE}
본 고안은 슬라이드 방식의 배출레일이 구비된 곡물적재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된 곡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레일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겹치거나 펼칠 수 있는 구동이 가능하여 길이 조절이 용이하여 다양한 위치로 곡물을 배출할 수 있으며, 지게차에 구성된 포크가 끼움될 수 있는 포크 삽입홈을 구성하여 곡물적재함의 이동이 간편하여 관리와 사용이 용이한 슬라이드 방식의 배출레일이 구비된 곡물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의 탈곡시에 이용되는 컴바인은 자체 저장용기를 구비하고 있으나 용량이 적고 또한, 경작면적에 따라 탈곡작업이 장시간 계속되므로 탈곡작업 중 용기내에 곡물이 가득차게 되면 이를 옮겨 담아서 운반해 주어야 한다.
이러한 탈곡작업시의 곡물운반수단으로서 경운기나 트렉터의 트레일러나 화물자동차 등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이들은 적재용량이 적어 대부분은 용량이 크고 또 트레일러나 화물자동차에 탑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호퍼형 적재함을 제작 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호퍼형 적재함은 배출이 배출구를 통하여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곡물을 투입해야하는 위치는 각각의 곡물 가공기의 종류와 형태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상기 배출구가 곡물을 투입해야하는 가공기의 투입구에 맞춰 위치를 변경해야하는 수작업이 병행되어야 하므로 힘이 들고 작업인력을 필요로 하며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다양한 위치로 곡물을 이송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좌우회전과 슬라이드 방식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배출레일이 구비하여 곡물의 배출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는 곡물적재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곡물이 적재되는 호퍼형태로서, 내측 하부면에 수평이송스크류가 설치되어 있는 몸체와 상기 본체와 연통되어 수평이송스크류의 끝단과 기어박스에 의해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이송스크류가 내부에 구성되며 상단부에 좌우회전이 가능한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 연통되는 유도관가 형성된 원기둥 형태의 수직이송관과 상기 유도관의 끝단 하부면에 끼움되어 고정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한 배출레일부와 상기 수평이송스크류의 회전중심축과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구동이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하단에는 수직받침과 수평받침으로 구성되는 지지프레임을 구성하되, 상기 수평받침은 지게차에 구성된 포크가 끼움될 수 있는 포크삽입홈이 길이방향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레일부는 상기 유도관의 하부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끼움 되기 위하여 양측면이 상부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
Figure 112009025890546-utm00001
" 형태의 레일로서, 걸림대가 양 끝단에 설치되는 고정레일과 상기 고정레일의 외부면에 접하는 형태이며 양 끝단에 설치되는 가로대 중 상단에 위치한 것이 걸림대에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슬라이딩레일이 고정레일의 외부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에는 수평이송스크류의 회전중심축에 전달되는 구동력을 제어할 수 있는 레버가 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곡물적재함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길이를 연장할 수 있으며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다양한 위치로 곡물을 배출하기 용이하며, 배출작업의 조작과 관리가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버의 조작의 배출작업을 조절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고, 자게차로 곡물적재함의 간편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포크삽입홈을 구성하여 운반시에 필요한 작업인력을 줄일 수가 있으며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배출레일이 구비된 곡물적재함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곡물적재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곡물적재함은 장방형 구조를 가지고 있는 호 퍼형 적재함(1)은 하방향으로 갈수록 경사면이 형성되어 경사면을 타고 내려오는 곡물을 호퍼형 적재함 하부면과 배출구(2) 내측에 각각 구성되어 있는 이송스크류가 구동장치(4)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곡물을 보조배출구(3)를 통하여 배출하게 된다.
이때, 보조배출구(3)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배출구(2) 일측에서 일정부분만이 돌출되는 형태로 길이조절이 불가능한 고정된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곡물을 투입해야하는 투입구의 거리가 멀거나 높이가 상이할 경우에는 곡물이 제대로 유입되지 않고 이탈되어 이송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배출레일이 구비된 곡물적재함 사시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한 종래의 곡물적재함에서 발생되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슬라이드 방식의 배출레일이 구비된 곡물적재함(100)은 곡물이 적재되는 호퍼형태로서, 내측 하부면에 수평이송스크류(11)가 설치되어 있는 몸체(10)와 상기 본체와 연통되어 수평이송스크류의 끝단과 기어박스에 의해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이송스크류(21)가 내부에 구성되며 상단부에 좌우회전이 가능한 회전부(22)와 상기 회전부에 연통되는 유도관(23)가 형성된 원기둥 형태의 수직이송관(20)와 상기 유도관의 끝단 하부면에 끼움되어 고정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한 배출레일부(30)와 상기 수평이송스크류의 회전중심축과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구동이 가능하도동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장치(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종래에는 곡물적재함을 곡물을 수확하는 장소에 위치시킨 후 낱알 형 태로 수확되는 곡물을 적재하여 수확지에서 건조기 또는 다른 가공기들이 위치한 장소까지 운반하기 위하여 별도의 화물차량 및 트레일러를 이용하여 운반하도록 하였으나, 상당한 부피감과 중량감이 있는 곡물적재함을 화물차량에 구비된 화물칸에 적재하기에 많은 노동력이 소비되고, 작업의 어려움이 호소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몸체(10)의 하단에는 수직받침(51)과 수평받침(52)으로 구성되는 지지프레임(50)을 구성하되, 상기 수평받침은 지게차에 구성된 포크가 끼움될 수 있는 포크삽입홈(60)이 길이방향으로 구성하여, 곡물적재함의 운반을 지게차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 중 수직이송관과 배출레일부의 결합도이다.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 형태의 수직이송관(20)은 내부에 수직으로 입설된 수직이송스크류(21)가 구성되어 몸체(10) 내측 하부면에 위치한 수평이송스크류(11)에 의하여 수평으로 이송된 곡물을 수직으로 이송하게 되는데, 이때, 수직으로 이송된 곡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수직이송관의 상단부를 좌우회전이 가능한 회전부(22)가 끼움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부에 방사방향으로 연통되어 곡물의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유도관(23)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성된다.
상기 유도관(23)은 도면에 도시된 원기둥 형태뿐만 아니라 상기한 것과 같이 곡물의 배출 경로를 유도하는 기능을 형성하게 되면, 사각형태 등과 같이 다른 형태로도 구성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이때, 상기 유도관의 끝단 하부면에 끼움되어 고정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한 배출레일부(30)은 상기 유도관의 하부면에 일부를 감싸는 형태의 레일로서, 양끝단에 걸림대(32a,32b)가 양 끝단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레일(31)의 일단이 상기 유도관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고정레일(31)을 구성함에 있어서 바람직한 방법으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측면이 상부로 절곡되어 있는 "
Figure 112009025890546-utm00002
" 형태로 레일을 구성하여 곡물이 배출과정에서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나, 도면에 도시된 유도관의 일부를 감싸는 반원기둥 형태 등과 같이 다양한 실시예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레일(31)의 외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길이가 연장가능한 형태의 슬라이딩레일(33)이 결합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슬라이딩레일(33)은 고정레일의 외부면에 접하는 형태이며, 양 끝단에 설치되는 가로대(34a,34b) 중 상단에 위치한 가로대(34a)가 양 걸림대(32a,32b) 사이에 위치하도록 고정레일과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레일(33)이 고정레일(31)의 회부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상기한 슬라이딩 구동이 걸림대 사이 구간내에서만 유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정레일(50)로부터 슬라이딩레일(60)이 슬라이드되어 레일의 총길이가 최대로 길어진 상태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때, 슬라이딩레일의 상단에 위치한 가로대(34a)가 고정레일의 하단에 위치한 걸림대(32b)에 걸리게 되어, 일정 길이 이상으로 연장되지 않게 되어 두 결합이 완전하게 분리되어나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배출레일부의 슬라이드 동작도로서, 슬라이딩레일(33)이 슬라이드되어 고정레일(31)과 겹쳐치도록 하여 레일의 총길이가 짧아지 상태를 나타내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라이딩레일(33)이 고정레일(31)과 겹쳐지도록 슬라이딩구동이 이루어진ㄹ때 각각의 가로대(34a,34b)가 각각의 걸림대(32a,32b)에 걸리도록 구성되었다.
이때, 상기 가로대(34a,34b)와 걸림대(32a,32b)는 각각 고정레일(31)과 슬라이딩레일(33)의 상부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양측면의 상부를 연결하되, 상부방향으로 같은 높이를 갖도록 돌출되어 걸림턱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레일과 슬라이딩레일의 접하는 부위에 롤러(도면에 도시되지 않은)를 더 구성하여 슬라이드 구동이 보다 월할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나, 이러한 구성에 제한되지 않는다 할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배출레일부의 좌우회전 동작도이다. 상대적으로 크기와 질량감이 큰 농기계 및 가공기에 곡물을 투입하기 위하여, 곡물적재함 전체를 옮기지 않고 배출구의 좌우회전 구동및 슬라이드 방식으로 길이를 연장하여 다양한 위치로 곡물을 이송할 수 있는 모습을 도시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본 고안에 의한 슬라이드 방식의 배출레일이 구비된 곡물적재함은 슬라이드방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다양한 위치로의 배출, 즉 곡물이 투입되어야 하는 다양한 형태의 건조기 등과 같은 곡물 가공이에 구성된 곡물 투입구에 선택적으로 직접 닿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곡물의 이송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배출레일이 구비된 곡물적재함 정면도로서, 본 고안에 의한 슬라이드 방식의 배출레일이 구비된 곡물적재함(100)의 하단부에 수직받침(51)과 수평받침(52)으로 구성되는 지지프레임(50)을 구성하여 몸체(10)를 지지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수평받침(52)에는 지게차에 구성된 포크가 끼움될 수 있는 포크삽입홈(6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호펴형태의 몸체(10) 내측 하부면에 설치된 수평이송스크류(11)의 상부에는 덮개판(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몸체 일부가 덮여진 형태로 구성되게 되는데, 이러한 덮개판에 의해 곡물이 수평이송스크류에 유입되는 경로를 개폐를 조절하여 곡물의 이송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한데, 상기와 같은 덮개판 개폐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이송량조절레버(13)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구성하여 곡물의 이송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레버의 의한 구동력 제어 동작도로서,
수평이송스크류(11) 및 수직이송스크류(21)의 회전구동을 위하여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의 중심축과 수평이송스크류의 회전중심축(12)가 벨트(45)로 연결된 구동장치(40)의 벨트 하부에서 상기한 단속폴리의 상하로의 위치를 변경하여 벨트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구동력 전달을 제어할 수 있는 단속폴리(44)가 힌지(43)에 의하여 전달축(42)에 결합되며, 상기 전달축의 끝단에 레버(41)가 구성되며, 이와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곡물 적재함의 이송작업을 일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한 것과 같은 구성으로 곡물적재함에 구성되는 배출구를 슬라이드식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좌우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곡물적재함의 슬라이드식 배출구로서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당업자로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설명을 고려하여 충분히 변경, 변환, 치환 및 대체할 수 있을 것이고,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종래 곡물적재함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배출레일이 구비된 곡물적재함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 중 수직이송관과 배출레일부의 결합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배출레일부의 슬라이드 동작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배출레일부의 좌우회전 동작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 방식의 배출레일이 구비된 곡물적재함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레버의 의한 구동력 제어 동작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몸체 11:수평이송스크류
20:수직이송관 21:수직이송스크류
22:회전부 23:유도관
30:배출레일부 31:고정레일
33:슬라이드레일 40:구동장치
41:레버 50:지지프레임
60:포크삽입홈

Claims (4)

  1. 곡물이 적재되는 호퍼형태로서, 내측 하부면에 수평이송스크류(11)가 설치되어 있는 몸체(10); 상기 본체와 연통되어 수평이송스크류의 끝단과 기어박스에 의해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이송스크류(21)가 내부에 구성되며 상단부에 좌우회전이 가능한 회전부(22)와 상기 회전부에 연통되는 유도관(23)가 형성된 원기둥 형태의 수직이송관(20); 상기 유도관의 끝단 하부면에 끼움되어 고정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배출레일부(30); 상기 수평이송스크류의 회전중심축과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구동이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장치(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곡물적재함에 있어서,
    상기 배출레일부(30)는 상기 유도관의 하부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끼움되기 위하여 양측면이 상부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
    Figure 112009058809564-utm00011
    " 형태의 레일로서, 걸림대(32a,32b)가 양 끝단에 설치되는 고정레일(31); 상기 고정레일의 외부면에 접하는 형태이며 양 끝단에 설치되는 가로대(34a,34b) 중 상단에 위치한 것이 걸림대에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레일(3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슬라이딩레일이 고정레일의 외부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몸체(10)의 하단에는 수직받침(51)과 수평받침(52)으로 구성되는 지지프레임(50)을 구성하되, 상기 수평받침은 지게차에 구성된 포크가 끼움될 수 있는 포크삽입홈(60)이 길이방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장치(40)에는 수평이송스크류의 회전중심축에 전달되는 구동력을 제어할 수 있는 레버(4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적재함.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090005137U 2009-04-28 2009-04-28 곡물적재함 KR2004477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137U KR200447785Y1 (ko) 2009-04-28 2009-04-28 곡물적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137U KR200447785Y1 (ko) 2009-04-28 2009-04-28 곡물적재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785Y1 true KR200447785Y1 (ko) 2010-02-25

Family

ID=44211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137U KR200447785Y1 (ko) 2009-04-28 2009-04-28 곡물적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78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366B1 (ko) * 2010-05-28 2012-10-15 최영백 회전가능한 유도구가 형성된 곡물 적재함
CN108093891A (zh) * 2018-02-06 2018-06-01 洛阳景森农业有限公司 一种红薯淀粉生产用多层组合式红薯储藏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905A (ko) * 1996-09-30 1998-07-06 게라드 반 루이젠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 및 그 밸브
KR200441197Y1 (ko) * 2007-02-16 2008-07-31 김창곤 회전과 연장조절이 가능한 곡물 적재함의 배출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905A (ko) * 1996-09-30 1998-07-06 게라드 반 루이젠 동물용 사료 공급장치 및 그 밸브
KR200441197Y1 (ko) * 2007-02-16 2008-07-31 김창곤 회전과 연장조절이 가능한 곡물 적재함의 배출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366B1 (ko) * 2010-05-28 2012-10-15 최영백 회전가능한 유도구가 형성된 곡물 적재함
CN108093891A (zh) * 2018-02-06 2018-06-01 洛阳景森农业有限公司 一种红薯淀粉生产用多层组合式红薯储藏装置
CN108093891B (zh) * 2018-02-06 2023-07-18 洛阳景森农业有限公司 一种红薯淀粉生产用多层组合式红薯储藏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0189A (en) Portable grain cart
KR200447785Y1 (ko) 곡물적재함
US11067337B2 (en) Grain dryer unload system
US3755918A (en) Grain storage bin construction
KR101191366B1 (ko) 회전가능한 유도구가 형성된 곡물 적재함
US9637037B1 (en) Seed cart
EP1245439A1 (en) Fodder supply vehicle
US1547686A (en) Combination feed carrier and distributor
US2601618A (en) Unloading assembly for wagon boxes
US3240366A (en) Portable material handling apparatus
KR101416336B1 (ko) 곡물적재함의 하부배출장치
JP2008265963A (ja) 種芋等供給機
KR101197396B1 (ko) 이동식 양방향 사료 공급장치
KR200468113Y1 (ko) 하부배출구가 형성된 곡물 적재함
KR200451630Y1 (ko) 동력 배출장치를 구비한 곡물적재함의 보조 배출장치
KR200441197Y1 (ko) 회전과 연장조절이 가능한 곡물 적재함의 배출구
KR101203833B1 (ko) 사료차량의 반송장치
JP3076074U (ja) 肥料分配装置
KR20100030062A (ko) 다목적 곡물적재함
CN104386439A (zh) 易观察的菜籽运送设备
KR200292914Y1 (ko) 곡물 이송기
CN219859541U (zh) 一种散装饲料输送装置
JP3582064B2 (ja) 飼料運搬装置
CN214454434U (zh) 用于饲料加工的散装原料卸料装置
KR101029709B1 (ko) 트레일러형 다목적 곡물적재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