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330Y1 - 급수 및 배수관 연결 배관재 - Google Patents

급수 및 배수관 연결 배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330Y1
KR200447330Y1 KR2020080001412U KR20080001412U KR200447330Y1 KR 200447330 Y1 KR200447330 Y1 KR 200447330Y1 KR 2020080001412 U KR2020080001412 U KR 2020080001412U KR 20080001412 U KR20080001412 U KR 20080001412U KR 200447330 Y1 KR200447330 Y1 KR 2004473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onnector
pipe
tubular body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4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7867U (ko
Inventor
김윤규
Original Assignee
김윤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규 filed Critical 김윤규
Priority to KR20200800014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330Y1/ko
Publication of KR200900078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8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3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3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2001/1206Pipes with specific features for influencing flow characteri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06Attach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급수 및 배수관을 연결시키는 가요성 배관재에 관한 것으로, 원하는 길이대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연한 관체 및 원터치 방식의 커넥터 구조로 이루어져 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시공 편의성도 향상된 급수 및 배수관 연결 배관재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급수 및 배수관 연결 배관재는,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진 관체와, 상기 관체와 연결될 수관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별개로 이루어져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입구 측에 결합되어 상기 관체가 관통되는 삽입관과, 상기 삽입관에 의해 몸체의 내부에 고정되고 관체의 삽입 방향에 대해 경사진 형태로 돌출된 다수의 가압편이 형성되어 관체의 삽입은 가능하되 이탈은 방지되도록 하는 결속링과, 상기 관체의 단부에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가압편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을 외향 지지하는 내부지지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관체, 커넥터, 결속링, 내부지지관, 인장재

Description

급수 및 배수관 연결 배관재 {CONNECTOR FOR WATER PIPE}
본 고안은 급수 및 배수관을 연결시키는 가요성 배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굴곡 및 절단이 용이한 연질 소재의 관체 및 원터치 결합 방식의 커넥터로 이루어져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배관 연결작업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급수 및 배수관 연결 배관재에 관한 것이다.
욕실이나 주방 등 다양한 장소에서 급수 및 배수관을 연결시키는 용도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요성 배관재가 사용되고 있다.
도시된 연결 배관재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유연한 내부관(10)을 둘러싸도록 금속 와이어를 직조한 구조의 외부관(11)이 구비되고, 외부관(11)의 양단부에 마감재(12) 및 너트 형태의 연결구(13)가 구비되어 각 연결구(13)를 급수관이나 배수관 등의 수관(20)에 나사결합하는 방식으로 배관작업을 행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연결 배관재는 상기 외부관(11)이 금속섬유 구조로 이루어지고, 나사결합 방식의 연결구(13)를 구비한 구조이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절단이 어려울 뿐 아니라 절단시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어 연결될 수관(20)이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도 필요 이상으로 긴 배관재를 사용할 수밖에 없어 시공이 불편하고 배관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원하는 길이대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연한 관체 및 원터치 방식의 커넥터 구조로 이루어져 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시공 편의성도 향상된 급수 및 배수관 연결 배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진 관체와, 상기 관체와 연결될 수관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별개로 이루어져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입구 측에 결합되어 상기 관체가 관통되는 삽입관과, 상기 삽입관에 의해 몸체의 내부에 고정되고 관체의 삽입 방향에 대해 경사진 형태로 돌출된 다수의 가압편이 형성되어 관체의 삽입은 가능하되 이탈은 방지되도록 하는 결속링과, 상기 관체의 단부에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가압편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을 외향 지지하는 내부지지관을 포함하는 급수 및 배수관 연결 배관재가 제공된다.
상기 본 고안의 연결 배관재는, 상기 커넥터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결속링의 가압편을 지지하는 지지홈이 형성된 지지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체에 망 또는 나선형을 이루도록 선형 인장재가 매입 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지지관의 외주면에 관체와 내부지지관 및 결속링 간의 체결력 증대를 위한 걸림돌부가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관체를 커넥터에 삽입하면 결속링에 의해 간단하게 결합이 이루어지고, 내부지지관에 의해 관체의 결합부가 외향 지지되어 내부 수압이 강해도 관체와 커넥터 간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금속섬유로 이루어진 외부관이 필요 없어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되고, 관체를 원하는 길이대로 절단하여 용이하게 커넥터에 연결할 수 있어 급수 및 배수 배관작업이 간편하게 되고 배관 연결 상태도 양호하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관체를 선형 인장재가 매입된 구조로 하여 내부 수압에 의한 팽창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높은 수압을 갖거나 온수를 공급하는 관로의 배관에도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내부지지관에 걸림돌부를 형성하여 관체에 삽입된 내부지지관이 쉽게 이탈되지 않고 관체와 결속링 간의 체결력도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체결 안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 배관재의 일실시예를 각각 결합 및 분해 상태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배관재는 유연한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관체(100)와 급수 또는 배수용 수관(20)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나사 결합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된 커넥터(110)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체(100)는 연결될 배관 구조에 따라 원하는 형태로 용이하게 굴곡 및 절단할 수 있도록 유연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되, 용도에 따라 보강재를 내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수관의 연결을 위한 경우, 관체(100)가 가열된 상태에서 내부 수압에 의해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은 인장재(101)가 관체(100)에 매입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장재(101)가 성긴 그물망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상기 커넥터(110)는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수관(20)과 별체로 이루어진 경우, 수관(20)에 연결 가능하도록 일측에 나사결합부(111)가 구비된 몸체(113)의 내부에 삽입관(115), 결속링(117), 지지링(119) 및 내부지지관(121)이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관(115)은 커넥터(110)의 입구 측에 구비되며,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고 외주부에 돌기 또는 홈 형태의 걸림부(116)가 형성되어 커넥터 몸체(113) 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 결합된다. 이 삽입관(115)은 관체(100)의 삽입 통로를 제공하는 한편, 상기 결속링(117)과 지지링(119)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결속링(117)은 상기 몸체(113)의 내벽면과 삽입관(115)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되는 환형몸체(118)에 일방향으로 돌출된 가압편(123)이 다수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편(123)은 관체(100)의 삽입 방향에 대해 경사진 형태로 절곡되어 관체(100)에 이탈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경우, 관체(100)의 외주면을 가압하면서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링(119)은 내주면에 상기 결속링(117)의 가압편(123)이 안착되는 지지홈(120)을 구비하여 상기 가압편(123)이 관체(100)의 외주면에 근접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부지지관(121)은 관체(100)의 내부에 관체(100)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지지하도록 삽입되어 커넥터(110) 내부로 삽입된 관체(100)가 내측으로 함몰되지 않도록 관체(100)의 내벽면을 외향 지지하여 결속링(117)에 의한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지지관(121)의 둘레면에는 걸림돌부(122)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부(122)는 도시된 쐐기형 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쐐기형으로 이루어질 경우 관체(100)에 삽입은 용이하되 이탈은 방지되도록 비대칭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걸림돌부(122)는 관체(100)에 대하여 내부지지관(121)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과 함께 관체(100)를 외향 가압하여 결속링(117)에 의한 관체(100)의 체결력을 높이는 기능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배관 연결재는 상기 커넥터(110)에 관체(100) 를 삽입하기만 하면 상기 결속링(117)에 의해 양측이 체결되어 원터치 결합방식으로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고, 특히 상기 내부지지관(121)에 의해 관체(100)의 결합부가 외측으로 가압된 상태로 견고하게 지지되므로, 관체(100) 내부로 이송되는 수압이 강해도 커넥터(110)와 관체(100)의 체결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고가의 외부관(11)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 제조비용이 저렴하게 되고, 관체(100)를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절단한 후 커넥터(110)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급수 및 배수 배관작업을 간편하게 행할 수 있고, 배관 상태도 미관상으로 양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장재(101)가 그물망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적절한 인장강도를 갖는 선형부재가 상기 관체(100)에 매입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장재(101)가 나선형으로 말린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급수 및 배수관 연결 배관재를 부분 절개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급수 및 배수관 연결 배관재의 일실시예를 각각 결합 및 분해 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 배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4)

  1.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진 관체(100)와, 상기 관체(100)와 연결될 수관(20)에 일체로 구비되거나 별개로 이루어져 결합되는 커넥터(110)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110)는 몸체(113)와, 상기 몸체(113)의 입구 측에 결합되어 상기 관체(100)가 관통되는 삽입관(115)과, 상기 삽입관(115)에 의해 몸체(113)의 내부에 고정되고 관체(100)의 삽입 방향에 대해 경사진 형태로 돌출된 다수의 가압편(123)이 형성되어 관체(100)의 삽입은 가능하되 이탈은 방지되도록 하는 결속링(117)과, 상기 관체(100)의 단부에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가압편(123)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을 외향지지하는 내부지지관(121)과, 상기 커넥터 몸체(113)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결속링(117)의 가압편(123)을 지지하는 지지홈(120)이 형성된 지지링(119)을 포함하는 급수 및 배수관 연결 배관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100)에 선형 인장재(101)가 매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 및 배수관 연결 배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지지관(121)의 외주면에 관체(100)와 내부지지관(121) 및 결속링(117) 간의 체결력 증대를 위한 걸림돌부(12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 및 배수관 연결 배관재.
KR2020080001412U 2008-01-30 2008-01-30 급수 및 배수관 연결 배관재 KR2004473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412U KR200447330Y1 (ko) 2008-01-30 2008-01-30 급수 및 배수관 연결 배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412U KR200447330Y1 (ko) 2008-01-30 2008-01-30 급수 및 배수관 연결 배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867U KR20090007867U (ko) 2009-08-04
KR200447330Y1 true KR200447330Y1 (ko) 2010-01-15

Family

ID=41294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412U KR200447330Y1 (ko) 2008-01-30 2008-01-30 급수 및 배수관 연결 배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3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094B1 (ko) * 2010-02-26 2012-06-22 (주)삼원 코브라 수도꼭지용 가변토수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468B1 (ko) * 2010-09-13 2012-04-19 주식회사 기승금속 견고한 결합구조의 합성수지제 연결배관을 구비한 냉온수 및 혼합수 공급용 싱글레버수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004B1 (ko) * 2002-08-07 2004-12-03 오승근 가스호스 연결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004B1 (ko) * 2002-08-07 2004-12-03 오승근 가스호스 연결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094B1 (ko) * 2010-02-26 2012-06-22 (주)삼원 코브라 수도꼭지용 가변토수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867U (ko) 2009-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7330Y1 (ko) 급수 및 배수관 연결 배관재
KR101095470B1 (ko) 파이프분리방지수단을 갖는 지중매설관연결용 고정밴드
JP2008144823A (ja) スリーブホルダ
US7249789B2 (en) Water well casing
KR100881351B1 (ko) 이탈 방지구조로 이루어진 확관단부를 갖는 관
KR20070013179A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101008205B1 (ko) 편수관
CN210687388U (zh) 软管接头和软管管路
EP2100070B2 (en) Connection assembly for the connecting of a cylindrical branch of a plastic pipe, and method for the attaching of a cylindrical branch to a plastic pipe
KR101778100B1 (ko) 스프링클러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00794A (ko) 배관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연결 방법
RU2256115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деталь
KR100959302B1 (ko) 쐐기를 이용한 관 연결구
KR101329279B1 (ko) 파이프 연결구조 및 파이프 연결방법
JP4288272B2 (ja) 竪樋の取付具及びこれを用いた竪樋の取付構造
KR102083942B1 (ko) 철근이음장치
JP3133487U (ja) 三方継手
KR20100094048A (ko) 플랜지 타입 메카니컬 조인트
CN103292099A (zh) 直插式快接管件
KR100743207B1 (ko) 플랜지 일체형 접속용 합성수지관
KR102516942B1 (ko) 관 및 박스연결구
KR102158265B1 (ko) 철근 이음용 반자동 커플러
KR101090746B1 (ko) 복합 나선관
TWI723672B (zh) 管接頭及卡固構件
KR101794867B1 (ko) 주름이중벽관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