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261Y1 - A sub supporting apparatus for medical treatment - Google Patents
A sub supporting apparatus for medical treat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7261Y1 KR200447261Y1 KR2020080003388U KR20080003388U KR200447261Y1 KR 200447261 Y1 KR200447261 Y1 KR 200447261Y1 KR 2020080003388 U KR2020080003388 U KR 2020080003388U KR 20080003388 U KR20080003388 U KR 20080003388U KR 200447261 Y1 KR200447261 Y1 KR 20044726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heel
- locking
- friction
- support bracket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74 nur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6—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brak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사용자의 몸을 의지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 및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유닛과; 프레임 유닛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브라켓과; 지지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바퀴와; 바퀴가 자유롭게 회전되지 못하고, 일정 이상의 힘을 가했을 경우에 회전될 수 있도록 바퀴에 회전부하를 제공하는 브레이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보조 지지장치가 개시된다.A frame unit formed in a predetermined height and shape so as to rely on the user's body; A support bracket rotatably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unit; A wheel rotatably supported by the support bracket; Disclosed is a medical auxiliary support device including a brake unit that does not rotate freely and provides a rotational load to a wheel so that the wheel can be rotated when a predetermined force or more is applied.
의료, 지지, 바퀴, 브레이크, 고정 Medical, support, wheel, brake, fixed
Description
본 고안은 의료용 보조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가 이동시 몸을 지지한 채 이동할 수 있는 의료용 보조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auxiliary suppor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dical auxiliary support device that can move while supporting the body when the patient moves.
일반적으로 병원, 요양원 등에서 많이 사용되는 의료용 보조 지지장치중의 하나는, 혼자서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위하여 보조적으로 몸을 지지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일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In general, one of the medical auxiliary support device that is used a lot in hospitals, nursing homes, etc., alone can move in a state of supporting the body for the patient with an uncomfortable movement, an example thereof is shown in FIG.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의료용 보조 지지장치(10)는, 복수의 기둥(1)에 상부 프레임(2)과 하부프레임(3)이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2)에 손잡이(4)(5)가 연결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in the conventional medical
그리고 하부 프레임(3)의 하측에는 복수의 바퀴(6)가 브라켓(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7)은 하부 프레임(3)에 대해 통상적으로 360도 각도 회전되게 설치됨으로써, 환자가 손잡이(4,5)를 잡거나, 의지한 채 어느 방향으로도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A plurality of
상기 바퀴(6)도 통상적으로 전, 후 방향 각각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The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의료용 보조 지지장치(10)의 경우에는, 환자가 손잡이(4,5)를 잡거나 손잡이(4,5) 및 상부 프레임(2)에 몸을 기댄 상태로 이동할 때, 환자의 미는 힘에 의해서 상기 바퀴(6)가 회전됨으로써 환자가 힘들이지 않고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medical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의료용 보조 지지장치(10)에 의존한 채 환자가 이동할 때, 환자의 자세가 불안정하거나, 환자가 갑자기 힘들 주게 되면, 바퀴의 속도가 갑자기 빨라지게 됨으로써, 환자가 미처 바퀴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여 넘어지거나 주변 구조물 등에 충돌하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However, when the patient moves while relying on the conventional medical
특히, 환자가 종래의 의료용 보조 지지장치(10)에 지지한 상태로 경사진 곳을 지나갈 때, 중력에 의해서 바퀴가 갑자기 굴러갈 수 있게 된다. 이 경우에는, 더 큰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patient passes through the inclined state while supporting the conventional medical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환자 등 몸이 불편한 사람이 안전하게 몸을 의지한 채 이동할 수 있도록 개선된 의료용 보조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improved medical support device for assisting an uncomfortable person such as a patient to move safely on the bod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의료용 보조 지지장치는, 사용자의 몸을 의지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 및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유닛과; 상기 프레임 유닛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바퀴와; 상기 바퀴가 자유롭게 회전되지 못하고, 일정 이상의 힘을 가했을 경우에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바퀴에 회전부하를 제공하는 브레이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dical auxiliary suppo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rame unit formed in a predetermined height and shape so as to rely on the user's body; A support bracket rotatably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under the frame unit; A wheel rotatably supported by the support bracket; And a brake unit that does not rotate freely and provides a rotational load to the wheels so that the wheels can be rotated when a predetermined force or more is applied thereto.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유닛은, 상기 바퀴와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걸림턱 및 마찰면을 연속해서 가지는 마찰부재와;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제1위치와, 상기 걸림턱에서 벗어나 상기 마찰면을 타고 가이드 이동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상기 지지브라켓에 연결되는 걸림부재; 및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제1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brake unit, the friction member is install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wheel, and having a locking jaw and the friction surfac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catching member connected to the support bracket to move between the first position caught by the catching jaw and a second position that is guided out of the catching jaw; And an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move the locking member to the first position.
또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바퀴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바퀴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걸림턱은 상기 마찰부재의 외주에서 법선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 며, 상기 마찰면은 서로 이웃한 걸림턱들의 하단과 상단을 연결하도록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바퀴의 역방향 회전시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려서 역방향으로의 회전을 억제하고, 정방향 회전시에는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되면서 상기 탄성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마찰면에 밀착되어 이동되면서 회전부하를 제공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friction member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wheel is rotated with the wheel, the locking step is formed stepped in the normal direction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riction member, the friction surface is the lower end of the adjacent locking jaws and each other It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connect the upper end, the locking member is caught in the locking jaw when the reverse rotation of the wheel is suppressed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the press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while being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in the forward rotation It is good to provide a rotating loa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friction surface by.
또한, 상기 바퀴는, 상기 지지브라켓에 연결된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아이들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아이들바퀴 사이에 상기 마찰부재가 개재되어 결합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wheel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shaft connected to the support bracket, and comprises a first and second idler whee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fri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dler wheels It is preferable that the member is interposed and joined.
또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지지브라켓에 연결되는 회동축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회동축에 연결되며, 일단은 상기 걸림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브라켓에 연결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engaging member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pivot shaft connected to the support bracket, the elastic member is connected to the pivot shaf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engaging member,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upport bracket It's a good idea to include a spring.
또한, 상기 바퀴가 정방향 및 역방향 각각으로 회전되지 못하도록 강제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fixing unit for forcibly fixing the wheel so as not to rotate in each of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프레임유닛에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강시 상기 마찰부재에 근접하여 상기 마찰부재의 회전을 강제로 방해하며, 상승시 상기 마찰부재의 회전을 허용하는 간섭부재와; 상기 간섭부재가 상승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간섭부재가 하강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위치고정되게 로킹시키는 로킹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fixing unit is installed in the frame unit to be elevated and rotatable, when descending forcibly interferes with the rotation of the friction member in close proximity to the friction member, the interference member to allow the rotation of the friction member when raised Wow; An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raise the interference member; And a locking fixing part for locking the interference member to be selectively fixed in the lowered state.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조 지지장치에 따르면, 환자나 노약자 등 이 몸을 의지한 채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특히 이동시에 적절한 힘을 가했을 경우에만 단계적으로 이동하도록 바퀴에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급격한 이동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medical auxiliary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ient or the elderly can move conveniently depending on the body, in particular by providing a friction force to the wheel to move step by step only when the appropriate force at the time of movement, Safety accidents caused by sudden movements can be prevented.
또한, 고정유닛을 더 구비함으로써 이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바퀴를 고정시킴으로써, 비탈진 경사면 등에서도 바퀴를 고정시켜서 안전성을 향상시켜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fixing the wheel when not moving by further provided with a fixing uni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by improving the safety by fixing the wheel on a non-declined slope or the lik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조 지지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medical auxiliary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조 지지장치(100)는, 프레임유닛(110)과, 상기 프레임유닛(11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브라켓(120)과, 상기 지지브라켓(120)에 설치되는 복수의 바퀴(130)와, 상기 바퀴(130)의 회전시 단계적으로 마찰부하를 제공하기 위한 브레이크유닛(140) 및 고정유닛(150)을 구비한다.2, 3 and 4, the medical
상기 프레임유닛(110)은 복수의 기둥프레임(111)과, 상기 기둥프레임(111)의 하부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하부 프레임(113) 및 기둥프레임(111)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 프레임(115)과 손잡이 프레임(117)을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와 같은 프레임유닛(110)은 금속 파이프, 나무,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높이나 폭 등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들(111,113,115,117)은 서로 용접에 의해 결합되거나, 또는 나사 등에 의해 체결될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 프레임(117)은 환자나 노약자 등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손을 잡거나, 몸을 기대어 의지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그 형상 및 사이즈 등은 다양한 예가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상기 지지브라켓(120)은 프레임유닛(110)의 하부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복수가 각 기둥 프레임(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지지브라켓(120)은 베어링부재(121)에 의해 상기 프레임유닛(110)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유롭게 의료용 보조 지지장치(100)를 방향 전환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된다.The
상기 지지브라켓(120)은 커버부(123)와, 측벽부(125)를 구비할 수 있으며, 커버부(123)와 측벽부(125)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125)는 좌우에 한 쌍이 마련되어 상기 바퀴(130)를 지지한다.The
상기 바퀴(130)는 복수 마련되어 상기 지지브라켓(120)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체적으로 지지브라켓(120)의 측벽부(125)에 지지되는 지지축(1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퀴(130)는 상기 지지축(131)에 결합되며,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제1 및 제2아이들바퀴(133,134)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아이들바퀴(133,144)는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그들(133,134) 사이에는 후술할 마찰부재(141)가 개재되어 결합 된다.The
상기 브레이크 유닛(140)은 마찰부재(141)와, 걸림부재(143) 및 탄성부재(145)를 구비한다.The
상기 마찰부재(141)는 바퀴(130)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아이들바퀴(133,134)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지지축(131)에 결합된다. 이 마찰부재(141)의 외측에는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걸림턱(141a)과 마찰면(141b)이 서로 교번되게 연속해서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41a)은 마찰부재(141)의 외주(141c)에서 법선 방향으로 소정 깊이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찰면(141b)은 서로 이웃한 걸림턱(141a)의 하단과 상단을 연결하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상기 걸림부재(14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걸림턱(141a)에 걸리는 제1위치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141a)에서 벗어나 상기 마찰면(141b)을 타고 가이드 이동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도록 지지브라켓(120)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부재(143)는 지지브라켓(120)에 결합된 회동축(142)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As shown in FIG. 3, the
상기 탄성부재(145)는 상기 회동축(142)에 결합되며, 일단은 상기 걸림부재(143)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브라켓(120)에 지지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145)는 걸림부재(143)를 화살표 (C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함으로써, 걸림부재(143)가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되도록 가압하고, 제2위치로 이동시에도 걸림부재(143)가 마찰면(141b)에 밀착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한다.The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도 3과 같은 상태에서는 걸림부재(143)의 일단이 걸림턱(141a)에 걸린 상태이므로, 바퀴(130)는 역방향(B 방향)으로 회전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바퀴(130)와 마찰부재(141)는 정방향(A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나, 이때는 상기 탄성부재(145)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회전될 수 있는 힘이 바퀴(130)에 가해졌을 때에만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바퀴(130)가 A 방향으로 회전되어 굴러가기 위해서는, 탄성부재(145)의 탄성력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을 보조 지지장치(100)에 가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바퀴(130)가 회전되는 동안 걸림부재(143)의 일단은 걸림턱(141a)과 마찰면(141b)을 반복해서 경유하도록 움직이면서 바퀴(130)의 급격한 회전을 억제하고, 역방향(B)으로의 회전 또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환자나 노약자 등 몸이 불편한 사람이 상기 프레임유닛(110)에 몸을 의지한 채 이동시에는 적당한 힘으로 지지장치(100)를 정방향(A)으로 밀어야지만 바퀴(130)가 회전되므로 안정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경사진 곳 등에서의 과속이나 급격한 이동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경사진 곳을 올라갈 경우에는 바퀴(130)가 역방향(B)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하게 경사면을 이동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one end of the
상기 고정유닛(150)은 상기 바퀴(130)가 정방향(A) 및 역방향(B) 각각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고정유닛(150)은, 도 2, 도 3, 도 6,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유닛(110)에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간섭부재(151)와, 탄성부재(153) 및 로킹 고정부(155)를 구비한다.The
상기 간섭부재(151)는 프레임유닛(110)에 형성된 가이드공(110a)과, 상기 지지브라켓(120)에 형성된 가이드공(120a)에 결합되어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간섭부재(151)는 도 3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하강시, 그 하단이 상기 마찰부재(141)에 근접 또는 접촉하여 마찰부재(141)의 회전을 강제 로 방해하여 보조 지지장치(10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 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간섭부재(151)의 상단에는 회전손잡이(151a)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탄성부재(153)는 상기 간섭부재(151)가 상승하여 마찰부재(141)를 간섭하지 못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탄성부재(15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유닛(110)의 상부와 간섭부재(151)에 마련된 지지플랜지부(151b)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간섭부재(151)를 도 6의 가상선과 같은 상태로 하강시킨 상태로 상기 로킹 고정부(155)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면 탄성부재(153)는 압축된 상태로 유지된다.The
상기 로킹 고정부(155)는 상기 프레임유닛(110)의 상부에 마련된 제1로킹돌기(155a)와, 상기 간섭부재(151)에 마련된 제2로킹돌기(155b)를 구비한다. 상기 제1로킹돌기(155a)는 프레임유닛(110) 즉, 상부프레임(115)에 대략 'ㄱ'자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로킹돌기(155b)는 간섭부재(15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로킹돌기(155a)는 상부 프레임(115)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용접에 의해 결합되거나 또는 나사 등에 의해 체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로킹돌기(155b)는 간섭부재(151)의 외주에서 수평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도 6 및 도 7a와 같이 제1로킹돌기(155a)에 간섭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The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도 7b와 같은 상태에서 간섭부재(151)를 눌러서 하강시킨 상태로, 화살표 방향으로 90도 각도 회전시키면, 도 6의 가상선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로킹돌기(155b)가 제1로킹돌기(155a)의 하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153)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간섭부재(151)는 하강된 상태로 유 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도 3의 가상선과 같이 간섭부재(151)의 하단이 마찰부재(141)의 회전을 간섭하게 됨으로써, 마찰부재(141)는 A 및 B 방향 어느 쪽으로도 회전하지 못하고 위치 고정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이와 같이 상기와 같은 고정유닛(150)에 의하면, 사용자가 보조 지지장치(100)에 의지하여 이동하다가, 잠시 동안 한 장소에서 멈추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간섭부재(151)를 눌러서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서 바퀴(130)의 회전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갑작스럽게 바퀴(130)가 회전되거나, 또는 경사면 등에서 바퀴(130)가 스스로 회전되어서 발생하는 안정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xing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유닛(150)이 복수의 바퀴(130) 중에서 하나의 바퀴에 해당되는 위치에만 마련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적어도 2곳 이상의 바퀴에 고정유닛(150)에 각각 마련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an example that the fixing
도 1은 종래의 의료용 보조 지지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medical auxiliary support devic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보조 지지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dical auxiliary suppor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FIG.
도 4는 도 2의 요부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FIG.
도 5는 도 3의 상태에서 바퀴의 회전시 브레이크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rake unit when the wheel is rotated in the state of FIG.
도 6 내지 도 7b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고정유닛을 나타내 보인 도면.6 to 7b each show a fixed unit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의료용 보조 지지장치 110..프레임유닛100. Medical
120..지지브라켓 130..바퀴120.
140..브레이크 유닛 141..마찰부재140.Brake unit 141.Friction member
143..걸림부재 145..탄성부재143. Fastening
150..고정유닛 151..간섭부재150 ..
153..탄성부재 155..로킹고정부153.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3388U KR200447261Y1 (en) | 2008-03-14 | 2008-03-14 | A sub supporting apparatus for medical treat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3388U KR200447261Y1 (en) | 2008-03-14 | 2008-03-14 | A sub supporting apparatus for medical treat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9398U KR20090009398U (en) | 2009-09-17 |
KR200447261Y1 true KR200447261Y1 (en) | 2010-01-12 |
Family
ID=41532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03388U KR200447261Y1 (en) | 2008-03-14 | 2008-03-14 | A sub supporting apparatus for medical treat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7261Y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7503Y1 (en) * | 2012-12-05 | 2013-06-17 | 장병성 | Assistance medical device for the patient |
CN110292512A (en) * | 2019-06-21 | 2019-10-01 | 北京机械设备研究所 | One kind is novel to prevent falling walk helpe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82314A (en) | 2001-01-16 | 2002-10-02 | Combi Corp | Walking assistance vehicle |
KR200366683Y1 (en) | 2004-08-02 | 2004-11-09 | 이진우 | Cart-type moving support equipment |
JP2005014870A (en) | 2003-06-24 | 2005-01-20 | Yoshiro Hyodo | Method of improving welfare equipment |
KR100768644B1 (en) * | 2006-12-15 | 2007-10-18 | 김덕영 | Automatic brake device of walking aid |
-
2008
- 2008-03-14 KR KR2020080003388U patent/KR200447261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82314A (en) | 2001-01-16 | 2002-10-02 | Combi Corp | Walking assistance vehicle |
JP2005014870A (en) | 2003-06-24 | 2005-01-20 | Yoshiro Hyodo | Method of improving welfare equipment |
KR200366683Y1 (en) | 2004-08-02 | 2004-11-09 | 이진우 | Cart-type moving support equipment |
KR100768644B1 (en) * | 2006-12-15 | 2007-10-18 | 김덕영 | Automatic brake device of walking ai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9398U (en) | 2009-09-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47497B2 (en) | Manipulation device for wheelchair footrests | |
US7802659B2 (en) | Brake control device for a wheeled walker | |
US20060160666A1 (en) | Universal roller unit for a treadmill | |
US9333980B1 (en) | Assistance device for climbing stairs | |
KR200447261Y1 (en) | A sub supporting apparatus for medical treatment | |
KR101495743B1 (en) | Folding Grab-Bar | |
JP2018057631A (en) | Walker | |
KR101278720B1 (en) | Walking frame with brake | |
JP4105731B2 (en) | Cane | |
JPH10295749A (en) | Walk assisting unit | |
KR101342962B1 (en) | Folding type apparatus for walking assistance | |
JPH1156941A (en) | Staircase ascent/descent auxiliary device | |
JP3182010U (en) | Mobility aid | |
KR101026760B1 (en) | Wheelchair for easy driving on slopes and stairs | |
JP6099340B2 (en) | Stair climbing aid | |
JP6335414B2 (en) | Bathing assistance wheelchair | |
KR200488257Y1 (en) | walking aids chair | |
JP3168066U (en) | Wheelchair drive | |
JP4427497B2 (en) | Bathtub handrail | |
JP2007117441A (en) | Side rail for assisting standing up motion | |
JP2012144878A (en) | Movable handrail | |
JPH11206842A (en) | Bathing assist device | |
KR101589940B1 (en) | Apparatus for assisting walking | |
JP3158809U (en) | Foot-operated exercise equipment | |
JP4801647B2 (en) | Wheelchair footplate control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