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135Y1 - 브라인드 - Google Patents

브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135Y1
KR200447135Y1 KR20090003377U KR20090003377U KR200447135Y1 KR 200447135 Y1 KR200447135 Y1 KR 200447135Y1 KR 20090003377 U KR20090003377 U KR 20090003377U KR 20090003377 U KR20090003377 U KR 20090003377U KR 200447135 Y1 KR200447135 Y1 KR 2004471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late
blind
indoo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033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섭
Original Assignee
김형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섭 filed Critical 김형섭
Priority to KR200900033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1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1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1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4Details of interconnection or interaction of tapes and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2Details of ladder-tapes or ladder chains, e.g. buckles for local shortening of t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로 들어오는 햇빛을 원활하게 차단하기 위하여 창틀에 설차하여 사용하는 브라인드로써 작동부에 의해 제어되는 유동부를 통하여 실내 공기 순환을 이루면서도 햇빛이 원활하게 차단되도록 가림판을 조절할 수 있어 실내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억제하면서도 실내채광 및 실내공기순환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는 브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내측에 다수개의 유동부가 구비된 장형 바의 형상으로 창틀의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된 유동부와 전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유동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작동부와, 상기 유동부와 다수개의 연결끈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유동부의 작동에 따라 상,하 유동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가림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첫째, 실내로 들어오는 햇빛을 차단하기 위하여 사용할 때 창틀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브라인드로써 작동부를 통하여 유동부 각각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유동부와 연결끈을 통하여 연결 구성된 가림판을 상,하 유동되게 조절하여 단독주택 또는 아파트의 저층과 같이 실내공간이 노출될 수 있는 장소에서도 실내공간의 노출을 방지하면서도 원활하게 실내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둘째,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유동부, 제2유동부, 제3유동부를 각각 또는 동시에 조절하여 실내채광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 또는 실내공간이 외부에서 완전히 차단되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편리하게 가림판의 각도변경 및 상,하 조절을 이 루며 사용할 수 있다.
셋째, 제1가림판 및 제2가림판이 유동부를 통하여 원활하게 각도변경 또는 상,하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실내 채광확보 또는 햇빛차단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고, 실내공간의 노출방지 또는 햇빛을 완전히 차단하는 경우에도 효율적인 실내공기순환을 이룰 수 있다.
넷째, 실내로 들어오는 공기 흐름을 억제하지 않으면서도 실내공간이 노출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여 사용자의 사생활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다섯째, 유동부를 이루는 각각의 모터를 통하여 유동바를 조절한 후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작동부를 조절하여 유동바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실내 채광확보 및 햇빛차단을 이룰 수 있다.
브라인드.

Description

브라인드{blinds}
본 고안은 브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동부를 통하여 본체의 내측에 설치된 제1유동부, 제2유동부, 제3유동부를 조절하여 상기 제1유동부, 제2유동부, 제3유동부와 연결끈을 통하여 결합된 제1가림판 및 제2가림판의 각도 및 상,하 유동을 원활하게 조절함으로써 실내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실내공기의 순환을 이루면서도 실내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햇빛을 차단하거나 채광을 확보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원활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 브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라인드는 창틀에 설치하여 실내로 들어오는 햇빛을 차단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브라인드는 실내의 채광을 확보하기 위하여 브라인드의 경사각이 동일한 경사각을 이루도록 조절하여 실내의 채광을 확보하며 사용하는 것이다.
예컨대, 종래의 브라인드는 도 1에서와 같이, 연결끈(2)이 권취되게 연결된 회동부(1)를 통하여 상기 회동부(1)의 작동에 따라 상기 연결끈(2)과 결합된 가림판(3)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종래의 브라인드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회동부(1)를 조절하여 상기 연결끈(2) 및 가림판(3)을 조절함으로써 실내로 들어오는 햇빛을 차단하거나 실내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브라인드는 창틀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도시된 도 2에서와 같이, 브라인드를 이루는 가림판(3)의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하게 됨으로써 햇빛을 받기 어려운 아파트의 저층이나 단독주택과 같은 곳에서는 일정한 각도로 조절된 가림판(3)의 사이를 통하여 실내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사생활이 침해받을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2에서와 같이, 가림판(3)이 밀착되도록 조절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실내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억제하여 설치된 브라인드를 통하여 실,외의 공기순환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내로 들어오는 햇빛을 차단하기 위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 창틀에 편리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브라인드로서, 작동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제1가림판 및 제2가림판의 각도 및 상,하 유동을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어 실내공간이 노출될 수 있는 장소에서도 실내공기의 순환을 원활하게 이루면서도 실내공간의 노출을 방지하며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는 브라인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햇빛의 방향이 변화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편리하게 작동부를 통하여 유동부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유동부와 연결끈을 통하여 결합된 제1가림판 및 제2가림판의 경사각을 원활하게 조절하여 실내공간의 외부 노출을 최대한 억제하면서도 실내채광을 확보할 수 있고, 실내공간의 외부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경우에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브라인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인 브라인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내측에 다수개의 유동부가 구비된 장형 바의 형상으로 창틀의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된 유동부와 전선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유동부의 회전 을 제어하는 작동부와, 상기 유동부와 다수개의 연결끈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유동부의 작동에 따라 상,하 유동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가림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림판은 일면이 창틀의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연결끈을 통하여 상기 유동부와 결합되는 다수개의 제1가림판과, 일면이 창틀의 내측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연결끈을 통하여 상기 유동부와 결합되는 다수개의 제2가림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가림판 및 제2가림판은 상호 인접하는 내측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상기 연결끈을 통하여 설치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부는 상기 제1가림판의 상측에 상기 연결끈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제1가림판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제1유동부와, 상기 제2가림판의 상측에 상기 연결끈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제2가림판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제2유동부와, 상기 제1가림판 및 제2가림판의 상측에 상기 연결끈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제1가림판 및 제2가림판의 상,하 유동을 조절하는 제3유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유동부,제2유동부,제3유동부는 상기 본체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동바와, 상기 모터와 대향되게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바의 일단이 삽입되는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는 상기 본체에 고정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는 결합바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바에는 방사상 을 이루도록 다수개의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바는 원형 바의 형상으로 일측에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결합홈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베어링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돌기가 구비되며, 길이방향으로 상기 연결끈이 권취되는 다수개의 권취홈이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1유동부의 모터를 작동시키는 제1스위치와, 상기 제2유동부의 모터를 작동시키는 제2스위치와, 상기 제3유동부의 모터를 작동시키는 제3스위치와, 상기 제1스위취, 제2스위치, 제3스위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모터는 양방형 회전이 가능한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가림판 및 제2가림판은 상기 연결끈을 통하여 적층 구조를 이루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가림판 및 제2가림판은 장형의 판 형상으로 상기 연결끈의 결합이 용이하게 다수개의 연결고리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체결볼트를 통하여 벽체에 설치가 용이하게 다수개의 체결공이 구비된 체결판이 더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첫째, 실내로 들어오는 햇빛을 차단하기 위하여 사용할 때 창틀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브라인드로써 작동부를 통하여 유동부 각각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유동부와 연결끈을 통하여 연결 구성된 가림판을 상,하 유동되게 조절하여 단독주택 또는 아파트의 저층과 같이 실내공간이 노출될 수 있는 장소에서도 실내공간의 노출을 방지하면서도 원활하게 실내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둘째,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유동부, 제2유동부, 제3유동부를 각각 또는 동시에 조절하여 실내채광을 이루고자 하는 경우 또는 실내공간이 외부에서 완전히 차단되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편리하게 가림판의 각도변경 및 상,하 조절을 이루며 사용할 수 있다.
셋째, 제1가림판 및 제2가림판이 유동부를 통하여 원활하게 각도변경 또는 상,하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실내 채광확보 또는 햇빛차단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고, 실내공간의 노출방지 또는 햇빛을 완전히 차단하는 경우에도 효율적인 실내공기순환을 이룰 수 있다.
넷째, 실내로 들어오는 공기 흐름을 억제하지 않으면서도 실내공간이 노출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여 사용자의 사생활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다섯째, 유동부를 이루는 각각의 모터를 통하여 유동바를 조절한 후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작동부를 조절하여 유동바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실내 채광확보 및 햇빛차단을 이룰 수 있다.
이하,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원 고안인은 한쪽 방향으로 블라인드를 조절하여 실내채광을 확보하는 종래의 브라인드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햇빛을 차단하는 브라인드 본연의 기능은 물론이고, 실내공간이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면서도 채광확보 및 실내공기 순환을 이룰 수 있는 브라인드를 제안하게 된 것이다.
먼저, 도시된 도 3 내지 도 11에 따라 구성을 설명한다.
장형의 바 형상으로 내측에 다수개의 유동부(200)가 구비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측으로 상기 유동부(200)와 전선(L)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유동부(200)의 회전을 제어하는 작동부(300)를 설치 구성하며, 상기 유동부(200)에는 다수개의 연결끈(400)을 통하여 상기 유동부(200)의 작동에 따라 상,하 유동되도록 다수개의 가림판(500)을 설치 구성한다.
상기 가림판(500)은 상기 유동부(200)에 결합시,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일면이 창틀(700)의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연결끈(400)을 통하여 다수개의 제1가림판(510)이 설치 구성되고, 상기 제1가림판(510)의 하단으로 상기 연결끈(400)을 통하여 다수개의 제2가림판(520)이 설치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가림판(510) 및 제2가림판(520)은 상기 연결끈(400)을 통하여 상기 본체(100)의 하향 방향으로 설치되되, 상호 인접하는 내측 중심방향에서 외측방향으로 각각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연결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가림판(500)이 설치 구성되는 경우에 상기 유동부(200)는 상기 제1가림판(510)의 상측에 상기 제1가림판(510)의 경사각을 조절하도록 상기 연결끈(400)을 통하여 제1유동부(210)가 연결 구성되고, 상기 제2가림판(520)의 상측에는 상기 제2가림판(520)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제2유동부(220)가 상기 연결끈(400)을 통하여 연결 구성되며, 상기 제1가림판(510) 및 제2가림판(520)의 상측에는 상기 제1가림판(510) 및 제2가림판(520)의 상,하 유동을 조절하는 제3유동부(230)가 상기 연결끈(400)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도록 연결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유동부(200)는 도 6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1가림판(510)을 조절하도록 제1유동부(210)가 설치 구성되고, 상기 제2가림판(520)을 조절하도록 제2유동부(220)가 설치 구성되며, 상기 제1가림판(510) 및 제2가림판(520)을 동시에 상,하 유동되게 조절하도록 제3유동 부(230)가 설치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가림판(510) 및 제2가림판(520)의 각도 및 상,하 유동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제1유동부(210), 제2유동부(220), 제3유동부(230)를 사용자가 상기 작동부(300)를 통하여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가림판(510) 또는 제2가림판(520)을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유동부(210), 제2유동부(220), 제3유동부(230)는 도 3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211,221,231)와, 상기 모터(211,221,231)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동바(212,222,232)와, 상기 모터(211,221,231)와 대향되게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바(212,222,232)의 일단이 삽입되는 베어링(213,223,233)으로 구성된다.
이는 즉, 상기 제1유동부(210), 제2유동부(220), 제3유동부(230)는 상술한 모터(211,221,231), 유동바(212,222,232), 베어링(213,223,233)으로 각각 구성되어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유동부(210), 제2유동부(220), 제3유동부(230)를 통하여 상기 제1가림판(510) 및 제2가림판(520)의 각도 조절 및 상,하 유동을 더욱 원활하게 각각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모터(211,221,231)는 상기 본체(100)에 고정 결합되는 몸체부(211a,221a,231a)와, 상기 몸체부(211a,221a,231a)의 일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는 결합바(211b,221b,231b)와, 상기 결합바(211b,221b,231b)에 방사상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결합돌기(211c,221c,231c)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211a,221a,231a)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내측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작동부(300)를 통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바(211b,221b,231b)는 상기 몸체부(211a,221a,231a)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유동바(212,222,232)의 일측에 결합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바(211b,221b,231b)는 상기 유동바(212,222,232)와 결합되는 경우 상기 몸체부(211a,221a,231a)의 회전이 상기 결합바(211b,221b,231b)로 전달되고, 상기 결합바(211b,221b,231b)의 회전방향을 따라 상기 유동바(212,222,232)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바(211b,221b,231b)의 외측에는 다수개의 결합돌기(211c,221c,231c)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동바(212,222,232)는 원형 바의 형상으로 일측에 상기 결합돌기(211c,221c,231c)가 삽입되는 결합홈(212a,222a,232a)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베어링(213,223,233)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돌기(212a,222a,232a)가 구비되며, 길이방향으로는 상기 연결끈(400)이 권취되는 다수개의 권취홈(212c,222c,232c)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는 즉, 상술한 모터(211,221,231)와 유동바(212,222,232)가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유동바(212,222,232)의 결합홈(212a,222a,232a)에 상기 모터(211,221,231)의 결합바(211b,221b,231b)가 결합 구성되어 상기 모터(211,221,231)의 몸체부(211a,221a,231a) 회전에 따라 상기 결합바(211b,221b,231b)가 회전하면 상기 유 동바(212,222,232) 또한 대응되는 회전을 이룰 수 있도록 결합 구성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모터(211,221,231)와 유동바(212,222,232)가 결합되어 상기 모터(211,221,231)의 작동에 따라 상기 유동바(212,222,232)가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동바(212,222,232)의 권취홈(212c,222c,232c)에 상기 제1가림판(510) 및 제2가림판(520)과 연결된 연결끈(400)이 각각 연결 구성되어 상기 유동바(212,222,23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끈(400)이 상,하 유동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즉, 상기 모터(211,221,231)를 통하여 상기 유동바(212,222,232)가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유동바(212,222,232)의 권취홈(212c,222c,232c)에 권취되며 연결된 상기 연결끈(400)이 각각 상,하 유동되어 상기 제1가림판(510) 또는 제2가림판(520)의 상,하 유동이 조절되는 것이다.
더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바(212,222,232)가 상기 모터(211,221,231)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경우에도 상기 모터(211,221,231)의 결합바(211b,221b,231b)에 결합되는 상기 유동바(212,222,232)의 길이방향 반대편에는 상기 베어링(213,223,233)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돌기(212a,222a,232a)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베어링(213,223,233)과 결합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유동바(212,222,232)의 회전이 억제되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설치 구성된 후에는 사용자가 상기 제1가림판(510) 및 제2가림판(520)의 각도 및 상,하 유동을 상기 작동부(300)를 통하여 원활하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가림판(510) 및 제2가림판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상,하 유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제1가림판(510) 및 제2가림판(520)의 각도를 원활하게 외부에서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작동부(300)는 상기 제1유동부(210)의 모터(211)를 작동시키는 제1스위치(310)와, 상기 제2유동부(220)의 모터(221)를 작동시키는 제2스위치(320)와, 상기 제3유동부(230)의 모터(231)를 작동시키는 제3스위치(330)와, 상기 제1스위취(310), 제2스위치(320), 제3스위치(3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340)로 구성된다.
이때, 특히 상기 유동바(212,222,232)의 권취홈(212c,222c,232c)에 감긴 연결끈(400)을 도 8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상,하 유동시킨 후에 다시 도 6과 같은 원상태를 이루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모터(211,221,231)는 상기 작동부(300)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되,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모터(211,221,231)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작동부(300)의 설명에서는 상기 제1유동부(210), 제2유동부(220), 제3유동부(230)의 모터(211,221,231)를 각각 작동시키기 위한 제1스위치(310), 제2스위치(320), 제3스위치(330) 및 상기 제1스위취(310), 제2스위치(320), 제3스위치(3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340)의 구성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바(212,222,232)의 권취홈(212c,222c,232c)에 권취되게 연결된 연결끈(400)을 감거나 풀기 위하여 상기 모터(211,221,231)의 작동을 역방향으로 전환하는 방향전환스위치(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모터(211,221,231)를 통하여 상기 유동바(212,222,232)의 권취홈(212c,222c,232c)에 권취되게 연결된 연결끈(400)을 원활 하게 감거나 풀 수 있는 구성이라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상기 작동부(300) 및 모터(211,221,231)의 구성을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가림판(510) 및 제2가림판(520)은 상기 연결끈(400)을 통하여 연결되되, 상기 제3유동부(230)를 통하여 상기 제1가림판(510) 및 제2가림판(520)이 동시에 상,하 유동될 수 있도록 중심부가 적층 구조를 이루도록 연결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가림판(510) 및 제2가림판(520)은 장형의 판 형상을 이루며, 상기 연결끈(400)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기 연결끈(400)이 결합되는 다수개의 연결고리(511,521)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를 통하여 도 6 및 도 8,도 9,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끈(400)을 통하여 연결된 상기 제1가림판(510) 및 제2가림판(520)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작동부(300)를 통하여 상기 제1가림판(510) 및 제2가림판(520)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연결끈(400)을 통한 상호 결합이 풀어지지 않게 되어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에는 체결볼트(P)를 통하여 벽체(800)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다수개의 체결공(610)이 구비된 체결판(600)이 더 결합되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본체(100)를 사용자가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더욱 원활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설치하고자 하는 창틀(700) 또는 벽체(800)에 도 6에서와 같 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브라인드를 설치 구성한다.
이 경우, 도시된 제1가림판(510) 및 제2가림판(520)의 사이를 통하여 공기의 순환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되, 상기 제1가림판(510) 및 제2가림판(520)을 통하여 햇빛은 물론이고 실내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작동부(300)의 전원스위치(340)를 작동시킨 후 상기 제1스위치(310)를 작동시키면 상기 제1유동부(210)의 모터(211)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모터(211)와 연결된 유동바(212)가 회전되게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상기 유동바(212)의 권취홈(212c)에 연결된 연결끈(400)이 상,하 유동되게 됨으로써 상기 제1가림판(510)의 일측이 상,하 유동되게 작동되는 것이다.
이는 즉,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제1유동부(210)의 모터(211)를 작동시켜 상기 제1가림판(510)의 일측이 상측으로 유동되게 하는 경우에는 실내로 들어오는 햇빛의 양을 원활하게 조절하며 실내채광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작동부(300)를 통하여 상기 제1유동부(210)의 모터(211)를 작동시켜 도 6에서와 같은 원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9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2유동부(220)의 모터(221)를 작동시키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가림판(520)의 일측이 상승하여 실내로 공기의 유입은 가능하게 하면서도 실내공간의 외부노출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제3유동부(230)의 모터(231)를 작동시키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가림판(510) 및 제2가림판(520)의 중심부가 동시에 상,하 유동되게 조절됨으로써 실내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작동부(300)를 통하여 상기 제1유동부(210), 제2유동부(220), 제3유동부(230)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가림판(510) 및 제2가림판(520)의 각도 및 상,하 유동을 원활하게 조절하여 실내공간의 외부노출 차단 및 실내채광확보등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이 실내공간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는 경우에도 실내,외의 공기 순환이 상기 제1가림판(510) 및 제2가림판(520)의 사이를 통하여서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브라인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종래 브라인드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브라인드의 부분 절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브라인드의 부분 절개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인 브라인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인 브라인드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인 유동부를 도시한 부분 발췌 확대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제1유동부의 작동에 따른 작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유동부의 작동에 따른 작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는 본 고안에 따른 제3유동부의 작동에 따른 작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인 브라인드의 본체에 체결판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본체 200: 유동부
210: 제1유동부 211,221,231: 모터
211a,221a,231a: 몸체부 211b,221b,231b: 결합바
212c,222c,232c: 권취홈 212,222,232: 유동바
211c,221c,231c: 결합돌기 212a,222a,232a: 결합홈
213,223,233: 베어링 212a,222a,232a: 삽입돌기
220: 제2유동부 230: 제3유동부
300: 작동부 310: 제1스위치
320: 제2스위치 330: 제3스위치
340: 전원스위치 400: 연결끈
500: 가림판 510: 제1가림판
520: 제2가림판 600: 체결판
610: 체결공 700: 창틀
800: 벽체 P: 체결볼트

Claims (11)

  1. 내측에 다수개의 유동부(200)가 구비된 장형 바의 형상으로 창틀(700)의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구비된 유동부(200)와 전선(L)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유동부(200)의 회전을 제어하는 작동부(300)와,
    상기 유동부(200)와 다수개의 연결끈(400)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유동부(200)의 작동에 따라 상,하 유동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가림판(500)을 포함하고,
    상기 가림판(500)은
    일면이 창틀(700)의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연결끈(400)을 통하여 상기 유동부(200)와 결합되는 다수개의 제1가림판(510)과,
    일면이 창틀(700)의 내측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연결끈(400)을 통하여 상기 유동부(200)와 결합되는 다수개의 제2가림판(520)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가림판(510) 및 제2가림판(520)은 상호 인접하는 내측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상기 연결끈(400)을 통하여 설치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인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200)는
    상기 제1가림판(510)의 상측에 상기 연결끈(400)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제1가림판(510)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제1유동부(210)와,
    상기 제2가림판(520)의 상측에 상기 연결끈(400)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제2가림판(520)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제2유동부(220)와,
    상기 제1가림판(510) 및 제2가림판(520)의 상측에 상기 연결끈(400)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제1가림판(510) 및 제2가림판(520)의 상,하 유동을 조절하는 제3유동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인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동부(210),제2유동부(220),제3유동부(230)는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211,221,231)와,
    상기 모터(211,221,231)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동바(212,222,232)와,
    상기 모터(211,221,231)와 대향되게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바(212,222,232)의 일단이 삽입되는 베어링(213,223,233)을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브라인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모터(211,221,231)는
    상기 본체(100)에 고정 결합되는 몸체부(211a,221a,231a)와,
    상기 몸체부(211a,221a,231a)의 일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돌출 형성되는 결합바(211b,221b,231b)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바(211b,221b,231b)에는 방사상을 이루도록 다수개의 결합돌기(211c,221c,231c)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인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동바(212,222,232)는
    원형 바의 형상으로 일측에 상기 결합돌기(211c,221c,231c)가 삽입되는 결합홈(212a,222a,232a)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베어링(213,223,233)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돌기(212a,222a,232a)가 구비되며,
    길이방향으로 상기 연결끈(400)이 권취되는 다수개의 권취홈(212c,222c,232c)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인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300)는
    상기 제1유동부(210)의 모터(211)를 작동시키는 제1스위치(310)와,
    상기 제2유동부(220)의 모터(221)를 작동시키는 제2스위치(320)와,
    상기 제3유동부(230)의 모터(231)를 작동시키는 제3스위치(330)와,
    상기 제1스위취(310), 제2스위치(320), 제3스위치(3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인드.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모터(211,221,231)는 양방형 회전이 가능한 모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인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가림판(510) 및 제2가림판(520)은
    상기 연결끈(400)을 통하여 적층 구조를 이루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인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가림판(510) 및 제2가림판(520)은
    장형의 판 형상으로 상기 연결끈(400)의 결합이 용이하게 다수개의 연결고리(511,521)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인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에는
    체결볼트(P)를 통하여 벽체(800)에 설치가 용이하게 다수개의 체결공(610)이 구비된 체결판(600)이 더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인드.
KR20090003377U 2009-03-24 2009-03-24 브라인드 KR2004471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3377U KR200447135Y1 (ko) 2009-03-24 2009-03-24 브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3377U KR200447135Y1 (ko) 2009-03-24 2009-03-24 브라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135Y1 true KR200447135Y1 (ko) 2009-12-28

Family

ID=45931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03377U KR200447135Y1 (ko) 2009-03-24 2009-03-24 브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1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24914A (zh) * 2013-12-14 2014-07-16 庞群 室内明暗平衡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2906U (ko) * 1993-03-31 1994-10-20 대우전자부품 주식회사 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2906U (ko) * 1993-03-31 1994-10-20 대우전자부품 주식회사 블라인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24914A (zh) * 2013-12-14 2014-07-16 庞群 室内明暗平衡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4028B2 (en) Smart wall
US20120211175A1 (en) 3-way blind systems
EP3759292B1 (en) Shading system with hidden blind rotation mechanism
KR200447135Y1 (ko) 브라인드
KR20110099458A (ko) 전동식 블라인드 장치
KR101188018B1 (ko) 타프
KR20100020136A (ko) 천막 조립체.
US20040118050A1 (en) Dual casement window structure
CN106958413A (zh) 一种可以在任意位置打开任意大小的卷帘
KR100500716B1 (ko) 양방향 권취형 롤브라인드
KR100968703B1 (ko) 이동수단을 구비한 상향식 전동스크린
WO2023031666A1 (en) A retractable panel
KR200493368Y1 (ko) 글램핑용 인디안 텐트
KR20110017586A (ko) 버티컬 블라인더
KR200322910Y1 (ko) 다각 입체형 소주택의 차양막 결합구조
KR102160460B1 (ko) 간접조명이 가능한 블라인드 장치
CN207268152U (zh) 一种折叠式窗户雨挡
CN208462206U (zh) 通风防尘装置及机柜
ES2219147B1 (es) Conjunto constructivo modular, con disposicion evolutiva.
KR20100121848A (ko) 접이식 창문
KR100704208B1 (ko) 깃발의 자동 게양장치
KR101459075B1 (ko) 방충망 일체형 루버창 시스템
KR102286238B1 (ko) 독립 구동 형 블라인드
KR200215995Y1 (ko) 블라인드
KR102028024B1 (ko) 멀티 블라인드용 헤드레일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