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077Y1 - 수목 지지대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수목 지지대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077Y1
KR200447077Y1 KR20090004013U KR20090004013U KR200447077Y1 KR 200447077 Y1 KR200447077 Y1 KR 200447077Y1 KR 20090004013 U KR20090004013 U KR 20090004013U KR 20090004013 U KR20090004013 U KR 20090004013U KR 200447077 Y1 KR200447077 Y1 KR 2004470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ree
coupling
hole
ban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040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형
Original Assignee
김세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형 filed Critical 김세형
Priority to KR200900040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077Y1/ko
Priority to JP2009008788U priority patent/JP3157675U/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0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077Y1/ko
Priority to CN2010200002019U priority patent/CN201781825U/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2Tree-ba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수목과 인접된 지면에 세워져 상기 수목을 지지하는 지지목을 상호 연결하여 수목에 지지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목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목을 상호 연결하여 수목에 지지하는 띠 형상의 연결조임부재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수목 지지대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수목을 부분적으로 감싸는 밀착브라켓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목이 결합되는 결합하우징이 일정 각도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탄력적으로 휘거나 복원되는 탄성이음부에 의해 일체로 연이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밀착브라켓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조임부재가 끼워지는 연결공이 횡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결합하우징의 저면에는 상기 지지목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하측 개구된 지주결합공이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밀착브라켓의 내측면에는 수목과의 접촉 면적을 작게하기 위한 접촉돌조가 돌출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연결조임부재는 띠 형상의 밴드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림요홈이 일정간격을 두면서 형성되고, 상기 밴드부의 일단부에는 결합편이 일체로 연이어지게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편의 내부에는 상기 밴드부의 타단부가 끼워져 지나는 가이드홈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내측면에는 상기 밴드부에 다수 형성된 걸림요홈이 선택적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대용 연결구가 제공된다.
Figure R2020090004013
수목, 지지목, 지지부재, 연결조임부재

Description

수목 지지대용 연결구{TREE SUPPORTER FOR CONNECTING MEMBER}
본 고안은 수목 지지대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과일나무나 정원수, 가로수 등의 수목을 지지 보호하기 위해 상기 수목의 주변에 세워지는 다수의 지지목을 보다 간편하게 상호 연결하여 수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목 지지대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원의 과일나무나 정원수, 가로수 등의 수목이 곧고 튼튼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비 바람 등에 의해 수목이 쓰러져 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대부분 수목의 주변에 지지목을 설치하여 수목을 보호하게된다.
이러한 지지목은 주로 목재로 이루어지며, 대부분 하단부가 수목의 주변인 지면에 부분적으로 매입된 상태로 세워지고, 상단부는 수목에 지지된 상태에서 철사나 고무밴드 등에 의해 상호 엮이어 연결 고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지지목은 그 설치작업 즉 상단부를 수목에 지지하 여 상호 연결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함은 물론 외관상 보기에도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지지목의 상단부 및 상기 상단부를 연결하여 수목에 지지한 철사나 고무밴드 등에 의해 수목이 패이면서 이 물질이 스며들어 수목이 죽거나 썩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수목과 인접된 지면에 세워져 수목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목을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상호 연결함은 물론 지지목이 설치된 수목을 안전하게 보호하여 곧고 튼튼한 수목으로 성장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목 지지대용 연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수목(1)과 인접된 지면에 세워져 상기 수목(1)을 지지하는 지지목(2)을 상호 연결하여 수목(1)에 지지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수목(1)을 부분적으로 감싸는 밀착브라켓(111)의 일측에 상기 지지목(2)이 결합되는 결합하우징(112)이 탄력적으로 휘거나 복원되는 탄성이음부(113)에 의해 일정 각도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밀착브라켓(111)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조임부재(120)가 끼워지는 연결공(114)이 횡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결합하우징(112)의 저면에는 상기 지지목(2)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하측 개구된 지주결합공(115)이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밀착브라켓(111)의 내측면에는 수목(1)과의 접촉 면적을 작게하기 위한 접촉돌조(116)가 돌출 형성된 지지부재(110)와;
띠 형상의 밴드부(121)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림요홈(122)이 일정간격을 두면서 형성되고, 상기 밴드부(121)의 일단부에는 결합편(123)이 일체로 연이어지게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편(123)의 내부에는 상기 밴드부(121)의 타단부가 끼워져 지나는 가이드홈(124)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124)의 내측면에는 상기 밴드부(121)에 다수 형성된 걸림요홈(122)이 선택적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고정돌기(125)가 돌출 형성된 연결조임부재(120)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수목 지지대용 연결구(100)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10)는 사출 성형 작업에 의해 내부에 횡방향의 연결공(114)을 갖는 밀착브라켓(111)과 탄성이음부(113)와 내부에 지주결합공(115)을 갖는 결합하우징(112)과 접촉돌기(116)가 하나의 몸체를 이루면서 일체로 성형되어 구성되며;
상기 지지목(2)이 끼워져 일체로 결합되는 지지부재(110)의 결합하우징(112)상단부에 상기 지주결합공(115)으로 끼워진 지지목(2)의 상단부가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노출공(117)이 지주결합공(115)과 부분적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연결조임부재(120)의 밴드부(121) 타단부에는 상기 결합편(123)의 가이드홈(124)으로 원활하게 삽입되는 진입경사부(126)가 형성되고, 상기 진입경사부(126)에는 공구가 끼워지는 공구삽입공(127)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대용 연결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인 수목 지지대용 연결구는 수목에 대하여 지지목이 일정 각도 기울어지게 설치구조와 동일하게 지지부재의 밀착브라켓와 결합하우징이 상호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교차되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지지목 상호 간의 결합 및 지지목을 수목에 지지하는 작업이 보다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인 수목 지지대용 연결구는 지지부재의 밀착브라켓과 결합하우 징이 탄력적으로 휘거나 복원되는 탄성이음부에 의해 일체로 연이어 지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수목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지지목의 설치 각도와 상관 없이 상기 지지목을 상호 원활하게 연결하여 수목에 지지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인 수목 지지대용 연결구는 지지부재의 밀착브라켓 내측면에 접촉돌조가 돌출 형성되어 수목과의 접촉면적을 작게 하였음으로 수목의 원활한 성장을 도모할 수 있도록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인 수목 지지대용 연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수목 지지대용 연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조립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수목 지지대용 연결구의 주요부인 지지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는 본 고안인 수목 지지대용 연결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인 수목 지지대용 연결구(100)는 수목(1)과 인접된 지면에 세워져 상기 수목(1)을 지지하는 지지목(2)을 상호 연결하여 수목(1)에 지지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목(2)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부재(110)와, 상기 지지목(2)을 상호 연결하여 수목(1)에 지지하는 띠 형상의 연결조임부재(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110)는 상기 수목(1)의 둘레를 부분적으로 감싸는 밀착브라켓(111)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목(2)이 결합되는 결합하우징(112)이 일정 각도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탄력적으로 휘거나 복원되는 탄성이음부(113)에 의해 일체로 연이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밀착브라켓(111)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조임부재(120)가 끼워지는 연결공(114)이 횡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결합하우징(112)의 저면에는 상기 지지목(2)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하측 개구된 지주결합공(115)이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밀착브라켓(111)의 내측면에는 수목(1)과의 접촉 면적을 작게하기 위한 접촉돌조(116)가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접촉돌기(116)는 밀착브라켓(111)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이어지게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밀착브라켓(111)에 대하여 수평 또는 사선 방향으로 연이어지게 돌출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10)의 지주결합공(115)은 수목(1)을 지지하는 지지목(2)의 단면과 동일하게 단면 원형이나 다각형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목(2)이 끼워져 일체로 결합되는 지지부재(110)의 결합하우징(112) 상단부에는 경우에 따라 상기 지주결합공(115)으로 끼워진 지지목(2)의 상단부가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노출공(117)이 지주결합공(115)과 부분적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지지목(2)의 상단부를 지주결합공(115)에 맞도록 경사지게 절단하지 않고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10)의 결합하우징(112) 외측면에는 경우에 따라 상기 지주결합공(115)으로 끼워진 지지목(2)을 고정하는 못(3)이 끼워져 지지되는 못결합홈(118)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조임부재(120)는 일정두께를 갖는 띠 형상의 밴드부(121)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림요홈(122)이 일정간격을 두면서 형성되고,
상기 밴드부(121)의 일단부에는 상대적으로 밴드부(121)보다 두께 및 넓이가 큰 결합편(123)이 일체로 연이어지게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편(123)의 내부에는 상기 밴드부(121)의 타단부가 끼워져 지나는 가이드홈(124)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124)의 내측면에는 상기 밴드부(121)에 다수 형성된 걸림요홈(122)이 선택적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고정돌기(125)가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연결조임부재(120)의 밴드부(121) 타단부에는 경우에 따라 상기 결합편(123)의 가이드홈(124)으로 원활하게 삽입되는 진입경사부(126)가 형성되고, 상기 진입경사부(126)에는 공구나 손가락을 끼워 밴드부(121)를 잡아 당길 수 있도록 하는 공구삽입공(127)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10)의 밀착브라켓(111)과 결합하우징(112)과 탄성이음부(113)는 탄력성을 갖는 고무와 같은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출 성형 작업에 의한 일 공정에 의해 상기 밀착브라켓(111)과 탄성이음부(113)와 결합하우징(112)이 일체로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수목 지지대용 연결구(100)를 이용해 수목(1) 주변에 기울러지게 다수 세워진 지지목(2)을 상호 연결할 경우에는
먼저, 각각의 지지목(2) 상단에 각각 지지부재(110)의 지주결합공(115)에 끼워 결합하고,
이후 상기 지지목(2)에 각각 결합된 지지부재(110)의 연결공(114)에 연결조임부재(120)의 진입경사부(126)를 진입 통과시켜 상기 연결조임부재(120)가 각각의 지지부재(110)를 연결하면서 동시에 수목(1)의 둘레를 감싸도록 하며,
이후 상기 연결조임부재(120)의 타단부에 형성된 진입경사부(126)를 상기 연결조임부재(120)의 일단부에 형성된 결합편(123)의 가이드홈(124)으로 끼운다.
이후 상기 연결조임부재(120)의 가이드홈(124)을 통과한 진입경사부(126) 부위를 잡아당겨 상기 연결조임부재(120)의 가이드홈(124) 내부에 형성된 걸림고정돌기(125)가 밴드부(121)의 걸림요홈(122)에 선택적으로 걸려 고정되도록 하면 상기 다수의 지지목(2)을 연결하여 수목(1)에 지지목(2)을 고정 시키는 작업이 신속하게 완료된다.
이때, 즉 상기 연결조임부재(120)를 잡아당겨 지지부재(110)를 연결함과 동시에 수목(1)에 지지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부재(110)의 탄성이음부(113)가 지면에 세워진 지지목(2)의 설치각도에 따라 능동적으로 휘거나 복원되면서 그 상태를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목(2)의 연결 및 수목(1)과의 지지 작업이 보다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지지부재(110)의 못결합홈(118)에 못(3)을 끼운 후 망치로 못(3) 을 타격하여 지지목(2)에 박게되면 상기 지지부재(110)에 결합된 지지목(2)의 결합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수목 지지대용 연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조립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수목 지지대용 연결구의 주요부인 지지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3는 본 고안인 수목 지지대용 연결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목 2 : 지지목
3 : 못
100 : 수목 지지대용 연결구
110 : 지지부재 111 : 밀착브라켓
112 : 결합하우징 113 : 탄성이음부
114 : 연결공 115 : 지주결합공
116 : 접촉돌조 117 : 노출공
118 : 못결합홈 120 : 연결조임부재
121 : 밴드부 122 : 걸림요홈
123 : 결합편 124 : 가이드홈
125 : 걸림고정돌기 126 : 진입경사부
127 : 공구삽입공

Claims (4)

  1. 수목(1)과 인접된 지면에 세워져 상기 수목(1)을 지지하는 지지목(2)을 상호 연결하여 수목(1)에 지지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수목(1)을 부분적으로 감싸는 밀착브라켓(111)의 일측에 상기 지지목(2)이 결합되는 결합하우징(112)이 탄력적으로 휘거나 복원되는 탄성이음부(113)에 의해 일정 각도 기울어지게 배치되어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고, 상기 밀착브라켓(111)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조임부재(120)가 끼워지는 연결공(114)이 횡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결합하우징(112)의 저면에는 상기 지지목(2)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하측 개구된 지주결합공(115)이 기울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밀착브라켓(111)의 내측면에는 수목(1)과의 접촉 면적을 작게하기 위한 접촉돌조(116)가 돌출 형성된 지지부재(110)와;
    띠 형상의 밴드부(121)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림요홈(122)이 일정간격을 두면서 형성되고, 상기 밴드부(121)의 일단부에는 결합편(123)이 일체로 연이어지게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편(123)의 내부에는 상기 밴드부(121)의 타단부가 끼워져 지나는 가이드홈(124)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124)의 내측면에는 상기 밴드부(121)에 다수 형성된 걸림요홈(122)이 선택적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걸림고정돌기(125)가 돌출 형성된 연결조임부재(120)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수목 지지대용 연결구(100)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10)는 사출 성형 작업에 의해 내부에 횡방향의 연결공(114)을 갖는 밀착브라켓(111)과 탄성이음부(113)와 내부에 지주결합공(115)을 갖는 결합하우징(112)과 접촉돌기(116)가 하나의 몸체를 이루면서 일체로 성형되어 구성되며;
    상기 지지목(2)이 끼워져 일체로 결합되는 지지부재(110)의 결합하우징(112)상단부에 상기 지주결합공(115)으로 끼워진 지지목(2)의 상단부가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노출공(117)이 지주결합공(115)과 부분적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연결조임부재(120)의 밴드부(121) 타단부에는 상기 결합편(123)의 가이드홈(124)으로 원활하게 삽입되는 진입경사부(126)가 형성되고, 상기 진입경사부(126)에는 공구가 끼워지는 공구삽입공(127)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대용 연결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조임부재(120)의 밴드부(121) 타단부에는 상기 결합편(123)의 가이드홈(124)으로 원활하게 삽입되는 진입경사부(126)가 형성되고, 상기 진입경사부(126)에는 공구가 끼워지는 공구삽입공(127)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대용 연결구.
KR20090004013U 2009-04-07 2009-04-07 수목 지지대용 연결구 KR2004470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4013U KR200447077Y1 (ko) 2009-04-07 2009-04-07 수목 지지대용 연결구
JP2009008788U JP3157675U (ja) 2009-04-07 2009-12-10 樹木支持装置用連結具
CN2010200002019U CN201781825U (zh) 2009-04-07 2010-01-04 树木支撑台用连接部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4013U KR200447077Y1 (ko) 2009-04-07 2009-04-07 수목 지지대용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077Y1 true KR200447077Y1 (ko) 2009-12-22

Family

ID=43813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04013U KR200447077Y1 (ko) 2009-04-07 2009-04-07 수목 지지대용 연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157675U (ko)
KR (1) KR200447077Y1 (ko)
CN (1) CN201781825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783B1 (ko) * 2011-02-23 2011-05-23 김세흥 보호캡을 갖춘 수목서포터
KR200455111Y1 (ko) 2010-12-23 2011-08-17 김귀성 수목 지주대용 가압 접속장치
KR101195483B1 (ko) * 2010-03-19 2012-10-29 이종철 수목 보호 지지대
KR200468701Y1 (ko) * 2011-07-28 2013-09-03 이주형 밴드형 수목 지주대
KR102265472B1 (ko) 2021-03-16 2021-06-14 최치행 수목 보호 지지대
KR102322503B1 (ko) 2021-07-20 2021-11-04 최치행 수목 보호 지지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57943B (zh) * 2011-05-18 2013-04-10 杭州中艺园林工程有限公司 一种树木支撑装置
CN102657058B (zh) * 2012-05-23 2015-12-02 四川国光农化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固定树木的支撑架支座装置
CN106134919A (zh) * 2015-04-14 2016-11-23 朱培池 支树带
CN106134920A (zh) * 2015-04-14 2016-11-23 朱培池 支树窝
CN105638375B (zh) * 2016-03-03 2019-03-12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矮化果树的固定装置
CN107278800A (zh) * 2017-07-28 2017-10-24 陈烁 歪树扶正支架
CN109156258B (zh) * 2018-09-07 2021-06-25 温州大学瓯江学院 一种树木加固支撑装置
CN113711837B (zh) * 2021-07-26 2023-07-04 重庆市璧山区玖直农产品种植股份合作社 一种树木造型方法及装置
CN115191286B (zh) * 2022-08-31 2023-05-16 浙江滕头园林股份有限公司 一种重点乔木抗风装置及安装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379Y1 (ko) * 1994-09-07 1997-03-21 김복성 가로수 보호용 밴드 체결구
KR200247322Y1 (ko) 1998-12-24 2001-12-28 김영춘 수목 지지대
KR20020061583A (ko) * 2002-07-04 2002-07-24 현동원 수목지지대
KR100730703B1 (ko) 2007-01-19 2007-06-20 이광모 수목성장보호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379Y1 (ko) * 1994-09-07 1997-03-21 김복성 가로수 보호용 밴드 체결구
KR200247322Y1 (ko) 1998-12-24 2001-12-28 김영춘 수목 지지대
KR20020061583A (ko) * 2002-07-04 2002-07-24 현동원 수목지지대
KR100730703B1 (ko) 2007-01-19 2007-06-20 이광모 수목성장보호대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483B1 (ko) * 2010-03-19 2012-10-29 이종철 수목 보호 지지대
KR200455111Y1 (ko) 2010-12-23 2011-08-17 김귀성 수목 지주대용 가압 접속장치
KR101035783B1 (ko) * 2011-02-23 2011-05-23 김세흥 보호캡을 갖춘 수목서포터
WO2012115426A2 (ko) * 2011-02-23 2012-08-30 Kim Se Heung 보호캡을 갖춘 수목서포터
WO2012115426A3 (ko) * 2011-02-23 2012-11-01 Kim Se Heung 보호캡을 갖춘 수목서포터
KR200468701Y1 (ko) * 2011-07-28 2013-09-03 이주형 밴드형 수목 지주대
KR102265472B1 (ko) 2021-03-16 2021-06-14 최치행 수목 보호 지지대
KR102322503B1 (ko) 2021-07-20 2021-11-04 최치행 수목 보호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57675U (ja) 2010-02-25
CN201781825U (zh)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7077Y1 (ko) 수목 지지대용 연결구
KR20100114634A (ko) 수목 지지대
KR101521641B1 (ko) 원호형 수목지지대
US20200375123A1 (en) Tree support assembly
KR200457513Y1 (ko) 농업용 조립식 지주
AU2018223005B2 (en) Post attachment
US7014331B2 (en) Light system on trees and other objects
KR102555187B1 (ko) 농작물 줄기 고정구
KR102359374B1 (ko) 고추작물 지지대용 와이어 연결장치
KR20100009552U (ko) 과수나무의 가지처짐방지용 견인줄결속부를 가지는 방조망설치용 와이어고정부재
KR20170052412A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나뭇가지 처짐 및 흔들림 방지용 유인지지대
KR200427902Y1 (ko) 포도 비가림용 골조
CN217884632U (zh) 一种护树支撑装置
KR20150130697A (ko) Diy 다용도 말뚝
KR200429591Y1 (ko) 수목지지대
KR200401883Y1 (ko) 수목지지대용 결착부재
KR20140028641A (ko) 비닐하우스용 비닐고정장치
KR101120199B1 (ko) 농작물 지지대
JP6265610B2 (ja) 電気柵用ワイヤ支持具及び樹木を利用した電気柵装置
AU2010202766B2 (en) Plant Hanging Bracket
KR200401881Y1 (ko) 가지유인구
KR20170067114A (ko) 360도 회전 받침대가 구비된 길이조절이 가능한 나뭇가지 처짐 및 흔들림 방지용 유인지지대
KR200415466Y1 (ko) 차광망을 고정시키는 갈고리끈
JP2008301785A (ja) 有害獣侵入防止柵設置用支柱並びに有害獣侵入防止柵
KR20160001671U (ko) 밴드부재 부착형 친환경 펜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