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072Y1 - 페인트 도장용 롤러 - Google Patents
페인트 도장용 롤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7072Y1 KR200447072Y1 KR20080001658U KR20080001658U KR200447072Y1 KR 200447072 Y1 KR200447072 Y1 KR 200447072Y1 KR 20080001658 U KR20080001658 U KR 20080001658U KR 20080001658 U KR20080001658 U KR 20080001658U KR 200447072 Y1 KR200447072 Y1 KR 20044707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dy portion
- paint
- roller
- closing
- hand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2—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 B05C17/03—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or with a reservoir or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outside the coating roller
- B05C17/0308—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or with a reservoir or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outside the coating roller the liquid being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oating roll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2—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 B05C17/0217—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comprising a frame supporting the coating roller at both ends or being intented to be hold at both ends by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페인트 도장용 롤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한 번의 페인트 공급에 의해 오랫동안 페인트 도장이 가능하면서도 페인트 도장시 벽면과의 접촉에 따른 마모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페인트 도장용 롤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양단이 개구되고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둘레면을 따라 복수의 연통공이 형성되며, 가압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합성 수지재로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둘레면을 따라 설치되는 브러시부; 상기 몸체부의 개구된 양단을 폐쇄하는 한 쌍의 폐쇄캡; 상기 두 폐쇄캡 중 적어도 어느 한 폐쇄캡을 관통하여 일부가 상기 몸체부 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유입관; 그리고, 사용자의 파지 영역을 제공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로부터 연장된 상태로 상기 두 폐쇄컵을 연속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몸체부가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대를 가지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도장용 롤러가 제공된다.
페인트 도장용 롤러, 폐쇄캡, 유입관, 라운드부
Description
본 고안은 페인트 도장용 롤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한 번의 페인트 공급에 의해 오랫동안 페인트 도장이 가능하면서도 페인트 도장시 벽면과의 접촉에 따른 마모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페인트 도장용 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인트 도장용 롤러는 건물의 벽면 등에 페인트를 도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이다.
이러한 페인트 도장용 롤러는 페인트 도장용 붓과는 달리 구름 동작에 의해 작업자가 쉽고 편리하게 페인트를 도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한 통상의 페인트 도장용 롤러는 잦은 페인트의 추가 공급이 이루어져야만 하였던 불편함이 있다.
즉, 페인트통에 페인트 도장용 롤러를 담가 페인트를 브러시에 묻힌 다음 도장 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상기 브러시에 묻은 페인트의 사용이 이루어지면 재차적인 페인트 공급을 위한 행위가 진행되어야만 하였고, 이러한 행위의 주기는 상당히 짧음으로 인해 작업자가 큰 불편함을 느낄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물론, 종래에는 국내 실용신안공보 실1991-6264호 및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476429호 등과 같이 롤러의 내부 공간에 페인트가 수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페인트가 지속적으로 브러시에 공급되도록 하여 잦은 페인트 공급의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들은 각 롤러의 내부 공간에 페인트를 충전하기 위해 캡(혹은, 개폐용 마개)를 분리한 후 상기 롤러의 내부 공간에 페인트를 공급하여 충전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캡의 분리시 각 롤러 내부 공간에 잔존하는 페인트가 외부로 유출되어 주변을 어지럽히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뿐만 아니라 캡의 원치않는 탈거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캡을 상기 롤러에 강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함으로써 그 분리 과정에 어려움이 클 수밖에 없었던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 제공되고 있는 캡은 원통형의 몸체에 비해 더욱 큰 직경을 갖도록 구성됨에 따라 페인트의 도장 작업 도중 상기 캡의 둘레면이 페인트 도장면과 지속적으로 맞닿음에 따른 마모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페인트 도장용 롤러는 브러시(혹은, 스펀지 등)가 감기는 원통형의 몸체가 통상 금속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표면이 고르지 못한 부위에 대한 페인트 도장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문제점 역시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충전된 페인트의 간단한 구조를 통해 별도의 조작없이 페인트를 쉽게 충전할 수 있고, 표면에 고르지 못한 부위에의 도장도 원활히 진행될 수 있으며, 캡의 마모가 최소화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페인트 도장용 롤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페인트 도장용 롤러는 양단이 개구되고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둘레면을 따라 복수의 연통공이 형성되며, 가압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합성 수지재로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둘레면을 따라 설치되는 브러시부; 상기 몸체부의 개구된 양단을 폐쇄하는 한 쌍의 폐쇄캡; 상기 두 폐쇄캡 중 적어도 어느 한 폐쇄캡을 관통하여 일부가 상기 몸체부 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유입관; 그리고, 사용자의 파지 영역을 제공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로부터 연장된 상태로 상기 두 폐쇄컵을 연속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몸체부가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대를 가지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각 유입관의 길이는 상기 폐쇄캡의 길이에 비해서는 길게 형성되되, 몸체부의 길이에 비해서는 짧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폐쇄캡은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 삽입 결합되면서, 내측 벽면으 로는 상기 각 유입관이 관통 설치되는 내측단과, 상기 내측단과는 일체형을 이루면서 상기 몸체부의 외벽면에 밀착되는 외측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외측단의 둘레면에는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외측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된 라운드부 및 상기 라운드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금속 재질의 링체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끝단 외주면에는 페인트 도장면과 접촉되도록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된 접촉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각 연통공은 상기 몸체부의 축 방향을 따라 긴 슬릿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몸체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는 지그재그로 어긋나게 배치된 형성되고, 상기 각 연통공의 양끝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연결대에는 상기 몸체부와의 틈새를 폐쇄하는 링형 패킹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페인트 도장용 롤러는 몸체부 내에 페인트를 충전한 상태로 사용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넓은 벽면을 도장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상기 몸체부 내로 페인트를 충전하기 위한 과정이 폐쇄캡을 탈거시키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페인트 도장용 롤러를 페인트통에 담그는 과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페인트 충전 작업이 간편하면서도 편리하게 진행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의 페인트 도장용 롤러는 몸체부의 양단을 폐쇄하는 각 폐쇄캡의 둘레면을 라운드부로 형성하거나 별도의 금속 재질의 링체를 추가로 설치하거나 혹은, 몸체부의 양끝단 둘레면에 접촉부를 추가로 형성하는 일련의 구성을 통해 상기 각 폐쇄캡과 벽면 간의 지속적인 접촉에 따른 마모가 최소화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고안의 페인트 도장용 롤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첨부된 도 1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도장용 롤러는 크게 몸체부(100)와, 브러시부(200)와, 한 쌍의 폐쇄캡(300)과, 복수의 유입관(400) 및 손잡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가다.
우선, 상기 몸체부(100) 및 브러시부(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몸체부(100)는 페인트 도장용 롤러의 몸체를 이루는 부위로써, 양단이 개구되고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몸체부(100)의 직경이나 길이는 페인트 도장용 롤러의 규격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몸체부(100)가 가압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합성 수지재로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는, 페인트를 도장하기 위한 벽면이 고르지 않더라도 상기한 합성 수지재가 가지는 고유의 탄력성에 의해 균일한 페인트 도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브러시부(200)는 상기 몸체부(100)의 둘레면을 따라 구비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100)의 양끝단 외측면에는 상기 브러시부(200)의 끝단이 감길 수 있도록 감김홈(110)을 각각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페인트 도장 작업 도중 상기 브러시부(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브러시부(200)는 통상의 스폰지가 될 수도 있고, 복수의 실을 감아 이루어진 브러시가 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몸체부(100)에는 둘레면을 따라 복수의 연통공(120)이 형성된다.
즉, 상기 몸체부(100)의 내부 공간은 페인트의 충전 공간으로 사용되고, 상기 각 연통공(120)은 상기 몸체부(100) 내에 충전된 페인트가 상기 브러시부(200)로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각 연통공(120)은 상기 몸체부(100)의 축 방향 및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면서 서로 간의 위치가 대응되지 않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몸체부(100)의 축 방향을 향해 길게 형성된 슬릿(slit)으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각 연통공(120)은 서로 이격되지 않고 단일의 구성으로 상기 몸체부(100)의 축 방향을 향해 길게 형성할 수도 있지만, 이의 경우 상기 몸체부(100)가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등 상기 몸체부(100)의 강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됨으로써 바람직하지는 않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각 연통공(120)을 상기 몸체부(100)의 원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이의 경우 상기 각 연통공(120)의 형성 방향이 상기 몸체부(100)의 구름 방향과 동일 방향을 이루기 때문에 상기 몸체부(100) 내에 충전된 페인트가 상기 각 연통공(120)을 통해 원활히 유출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연통공(120)을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함과 동시에 몸체부(100)의 축 방향을 따라 긴 슬릿으로 형성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각 연통공(120) 간의 이격 거리는 적어도 상기 각 연통공(120)의 길이에 비해 동일하거나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몸체부(120)의 강도는 적정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페인트의 원활한 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한 각 연통공(120)의 양 끝단은 각진 상태의 모서리가 발생되지 않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는 페인트 도장 작업 도중 작업자의 가압력에 의해 몸체부(100)가 변형되면서 각 연통공(120)의 폭 등이 좁아지더라도 상기 각 연통공(120)의 모서리 부위에 브러시부가 걸려 끊기는 문제점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더욱 원활한 페인트의 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각 연통공(120)과 연통공(120) 사이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는 연통공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한 쌍의 폐쇄캡(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한 쌍의 폐쇄캡(300)은 상기 몸체부(100)의 개구된 양단을 폐쇄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상기한 각 폐쇄캡(300)은 상기 몸체부(100)의 내주면에 삽입 결합되는 내측단(310)과, 상기 내측단(310)과는 일체형을 이루면서 상기 몸체부(100)의 외벽면에 밀착되는 외측단(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내측단(310)과 외측단(320) 사이의 부위에 상기 몸체부(100)가 요입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몸체부(100)의 개구된 부위가 폐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폐쇄캡(300)을 구성하는 각 부위 중 상기 외측단(320)의 둘레면에 상기 몸체부(10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외측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된 라운드부(33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제시한다.
이는, 상기 각 폐쇄캡(300)의 외측단(320) 둘레면이 실질적으로 페인트가 도장되는 벽면에 접촉되는 부위임을 고려할 때 잦은 마찰에 의한 마모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각 폐쇄캡(300)의 외측단(320) 둘레면에 라운드부(330)를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원활한 구름은 가능하면서도 벽면과의 접촉 면적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한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금속 재질의 링체(도시는 생략함)를 상기 라운드부(330)의 외주면에 추가로 감쌈으로써 상기 각 폐쇄캡(300)에 대한 마모가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각 폐쇄캡(300)의 외측단(320) 둘레면에 라운드부(330)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도 3과 같이 상기 몸체부(100)의 끝단 외주면에 라운드지게 돌출된 접촉부(340)를 더 형성함으로써 상기 접촉부(340)가 벽면(페인트 도장면)과 접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복수의 유입관(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복수의 유입관(400)은 몸체부(100) 외부의 페인트를 상기 몸체부(100) 내로 공급되도록 하면서도 상기 몸체부(100) 내의 페인트가 상기 몸체부(100) 외부로 유출됨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 일련의 관(pipe)이다.
이때, 상기 각 유입관(400)은 상기 한 쌍의 폐쇄캡(300) 중 적어도 어느 한 폐쇄캡(300)의 내측단(310)이 이루는 내벽면을 관통하면서 일부가 상기 몸체부(100) 내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특히, 상기한 각 유입관(400)의 길이는 상기 폐쇄캡(300)의 길이에 비해서는 길게 형성되되, 몸체부(100)의 길이에 비해서는 짧게 형성됨을 제시한다. 이는, 몸체부(10)) 내에 페인트가 충전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100)를 어느 한 측으로 기울이더라도 상기 각 유입관(400)을 통해 유출될 수 있는 페인트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한 각 유입관(400)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상기 몸체부(100) 내에 충전되는 페인트의 양이 많아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각 유입관(400)은 두 폐쇄캡(300) 중 어느 하나의 폐쇄캡(300)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두 폐쇄캡(300)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로 제시된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각 유입관(400)이 두 폐쇄캡(300) 모두에 설치될 경우 상기 각 유입관(400)의 길이는 대략 상기 몸체부(100) 전체 길이의 1/3 ~ 1/2 정도의 길이를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각 유입관(400)이 어느 하나의 폐쇄캡(300)에만 설치된다면 상기 각 유입관(400)의 길이는 대략 몸체부(100) 내의 중앙측 부위(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봤을 때 중앙측 부위)에 이르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손잡이부(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손잡이부(500)는 사용자의 파지 영역을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 몸체부(100)가 구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구성으로써, 손잡이(510) 및 연결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510)는 상기 사용자의 파지 영역을 제공하는 부위이고, 상기 연결대(520)는 상기 손잡이(510)로부터 연장된 상태로 상기 두 폐쇄컵(300)을 연속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몸체부(100)가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위이다.
특히, 상기 연결대(520)의 각 부위 중 상기 몸체부(100)가 설치되는 부위의 양측편에는 상기 몸체부(100)와의 틈새를 폐쇄하는 링형 패킹(530)이 더 구비됨을 제시한다.
이러한 구조는 몸체부(100)가 상기 연결대(520)에 원활한 구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야 함을 고려할 때 상기 몸체부(100)와 연결대(520) 사이에는 비교적 큰 틈새가 발생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즉, 통상의 페인트 도장 중에는 상기 틈새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사용자가 페인트 도장용 롤러를 어느 한 측 방향으로 기울였을 경우에는 그 기울어진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100)가 유동되면서 상기 링형 패킹(530)에 의해 상기 틈새가 폐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틈새를 통한 몸체부(100) 내의 페인트가 유출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도장용 롤러의 사용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페인트가 충전된 페인트통에 페인트 도장용 롤러를 담근다.
이에 따라, 브러시부(200)는 상기 페인트가 적셔짐과 더불어 몸체부(100) 내에는 상기 페인트가 충전된다. 이때 상기 페인트는 각 폐쇄캡(300)을 관통하여 설치된 각 유입관(400)을 통해 상기 몸체부(100) 내로 충전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몸체부(100) 내에 페인트가 충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충전된 페인트가 상기 각 유입관(400)을 통해 유출되기 전까지는 원치않는 유출이 방지된다.
물론, 상기 각 유입관(400)을 통한 일부의 유출이 발생될 수도 있지만, 상기한 각 유입관(400)은 상기 몸체부(100) 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 각 유입관(400)을 통해 유출되는 양은 극히 미미하며, 실질적으로는 상기 몸체부(100) 내에 충전된 페인트는 상기 몸체부(100)에 형성된 각 연통공(120)을 통해 브러시부(200)로 유출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00)에 감겨진 브러시부(200)는 상기 몸체부(100) 내에 충전된 페인트를 지속적으로 제공받으면서 페인트가 적셔진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한 몸체부(100) 내의 페인트가 완전히 소진되기 전까지는 벽면에 대한 페인트 도장 작업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페인트 도장 작업이 진행될 경우에는 페인트 도장용 롤러 를 구성하는 한 쌍의 폐쇄캡(300) 둘레면이 페인트 도장을 위한 벽면에 지속적으로 접촉된다. 그러나, 상기한 각 폐쇄캡(300)의 둘레면에는 라운드부(330)가 형성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한 라운드부(330)가 상기 벽면에 지속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실질적인 접촉 면적은 그다지 크지 않으며, 이로 인해 마모에 따른 문제점은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전술한 페인트 도장 작업 도중 작업자는 페인트 도장용 롤러를 어느 한 측 방향으로 기울여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의 경우 상기 페인트 도장용 롤러를 구성하는 몸체부(100)는 그 자중에 의해 세워진 방향으로 연결대(520)를 타고 미끄러져 흘러 내리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몸체부(100)의 이동이 발생될 경우에는 연결대(520)의 몸체부(100) 양측에 설치된 링형 패킹(530)이 상기 몸체부(100)와 상기 연결대(520) 간의 틈새를 막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한 틈새를 통해 몸체부(100) 내에 충전된 페인트가 유출됨은 방지된다. 이는, 첨부된 도 4와 같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페인트 도장 작업 도중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작업을 일시 중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페인트 도장용 롤러를 페인트통에 걸쳐 놓으면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도장용 롤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도장용 롤러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도장용 롤러의 내부 구조 중 라운드부가 몸체부에 형성된 상태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 도장용 롤러를 수직하게 세웠을 경우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Claims (8)
- 양단이 개구되면서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둘레면을 따라 복수의 연통공이 형성되며, 가압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합성 수지재로 형성된 몸체부;상기 몸체부의 둘레면을 따라 설치되는 브러시부;상기 몸체부의 개구된 양단을 폐쇄하는 한 쌍의 폐쇄캡;상기 두 폐쇄캡 중 적어도 어느 한 폐쇄캡을 관통하여 일부가 상기 몸체부 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폐쇄캡의 길이에 비해서는 길게 형성되되, 몸체부의 길이에 비해서는 짧게 형성되는 복수의 유입관;사용자의 파지 영역을 제공하는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로부터 연장된 상태로 상기 두 폐쇄컵을 연속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몸체부가 구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대를 가지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폐쇄캡은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 삽입 결합되면서, 내측 벽면으로는 상기 각 유입관이 관통 설치되는 내측단과, 상기 내측단과는 일체형을 이루면서 상기 몸체부의 외벽면에 밀착되는 외측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도장용 롤러.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외측단의 둘레면에는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외측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된 라운드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도장용 롤러.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라운드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금속 재질의 링체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도장용 롤러.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몸체부의 끝단 외주면에는 페인트 도장면과 접촉되도록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된 접촉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도장용 롤러.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각 연통공은 상기 몸체부의 축 방향 및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면서 서로 간의 위치가 대응되지 않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몸체부의 축 방향을 향해 길게 형성된 슬릿으 로 형성되고,상기 각 연통공의 양끝단은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도장용 롤러.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손잡이부의 연결대에는상기 몸체부와의 틈새를 폐쇄하는 링형 패킹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도장용 롤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80001658U KR200447072Y1 (ko) | 2008-02-04 | 2008-02-04 | 페인트 도장용 롤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80001658U KR200447072Y1 (ko) | 2008-02-04 | 2008-02-04 | 페인트 도장용 롤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8060U KR20090008060U (ko) | 2009-08-07 |
KR200447072Y1 true KR200447072Y1 (ko) | 2009-12-22 |
Family
ID=41300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80001658U KR200447072Y1 (ko) | 2008-02-04 | 2008-02-04 | 페인트 도장용 롤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7072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5744B1 (ko) | 2020-02-13 | 2020-07-20 | 김성언 | 건축물의 도장 및 방수 시공 및 보수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0269Y1 (ko) * | 2009-11-10 | 2010-09-15 | 김범택 | 페인트 롤러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3153051U (ko) | 1977-05-10 | 1978-12-01 | ||
US4735522A (en) * | 1985-11-25 | 1988-04-05 | Myun Sik Kim | Paint roller with internal reservoir |
US4808438A (en) | 1988-02-01 | 1989-02-28 | Vladimir Rozenshtei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a marble motif |
US6877925B2 (en) | 2002-02-01 | 2005-04-12 | Products Of Tomorrow, Inc. | Paint rolling system |
-
2008
- 2008-02-04 KR KR20080001658U patent/KR20044707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3153051U (ko) | 1977-05-10 | 1978-12-01 | ||
US4735522A (en) * | 1985-11-25 | 1988-04-05 | Myun Sik Kim | Paint roller with internal reservoir |
US4808438A (en) | 1988-02-01 | 1989-02-28 | Vladimir Rozenshtei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a marble motif |
US6877925B2 (en) | 2002-02-01 | 2005-04-12 | Products Of Tomorrow, Inc. | Paint rolling system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5744B1 (ko) | 2020-02-13 | 2020-07-20 | 김성언 | 건축물의 도장 및 방수 시공 및 보수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8060U (ko) | 2009-08-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702739A (en) | Paint roller | |
US5937865A (en) | Hair coloring applicator | |
US4530369A (en) | Fountain toothbrush | |
US2357763A (en) | Paint applicator and stippler | |
US7682098B2 (en) | Two stage double piston manual liquid applicator | |
CN105073595A (zh) | 排气容器组件 | |
CN106423702A (zh) | 将液体涂覆材料涂覆至紧固组件的一部分的装置和方法 | |
KR200447072Y1 (ko) | 페인트 도장용 롤러 | |
US6053650A (en) | Paint applicator | |
US4735522A (en) | Paint roller with internal reservoir | |
KR20120110473A (ko) | 원심력에 의해 배출되게 한 페인트 저장통을 갖는 경사형 롤러 브러시 | |
KR20150007776A (ko) | 휴대용 페인트 도장용구 | |
KR20120110474A (ko) | 원심력에 의해 배출되게 한 페인트 저장통을 갖는 평면형 롤러 브러시 | |
US8171595B1 (en) | Roller for coating a curved surface | |
US7037018B1 (en) | Art paint rolling system | |
US2605487A (en) | Paint roller applicator | |
KR102088054B1 (ko) | 자동 페인트 공급 롤러 | |
KR102080073B1 (ko) | 페인트 자동 공급 롤러 | |
CA2411969A1 (en) | Method of fluid application and applicator assembly thereof | |
JP6810440B2 (ja) | 穴あきスクリュー中栓、及び該中栓付き容器用キャップ | |
KR100339030B1 (ko) | 저장식 페인트로울러 | |
CN112056744A (zh) | 油漆滚筒刷 | |
TW201540375A (zh) | 噴灑頭之儲存 | |
JP6401040B2 (ja) | 液体収納容器 | |
CN204078359U (zh) | 除毛膏专用的具有阀门的毛刷软管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08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