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640Y1 - 급수 및 급탕수용 분배기 구조 - Google Patents

급수 및 급탕수용 분배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640Y1
KR200446640Y1 KR20070017632U KR20070017632U KR200446640Y1 KR 200446640 Y1 KR200446640 Y1 KR 200446640Y1 KR 20070017632 U KR20070017632 U KR 20070017632U KR 20070017632 U KR20070017632 U KR 20070017632U KR 200446640 Y1 KR200446640 Y1 KR 2004466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or
water supply
hot water
distribu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176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200U (ko
Inventor
원재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럼파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럼파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럼파스트
Priority to KR200700176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640Y1/ko
Publication of KR200900042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2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6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6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16L3/10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the members being joined by means of two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급수 및 급탕수용 분배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급수 및 급탕수용 분배기 구조는 분배기 케이스 내부에 분배기관을 고정하기 위해 결합부재를 사용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내부에 분배기관을 지지한 뒤, 상기 분배기 케이스의 내부 측면에 고정함으로써, 분배기의 조립작업 및 분배기관 연결 작업시 분배기 내부에 장애물이 없으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급수 및 급탕수용 분배기에 있어서,
분배기 케이스와;
상기 분배기 케이스의 내부를 관통 형성되어 급수 및 급탕수가 이송되고, 상기 급수 및 급탕수가 원하는 곳으로 분배되도록 외주면에 다수개의 분배구가 형성되는 분배기관과;
상기 분배기관을 분배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해 분배기관의 양끝단부에 결합되어 분배기 케이스의 측면에 고정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배기, 결합부재, 급수, 급탕수, 배관

Description

급수 및 급탕수용 분배기 구조{The water supply and hot-water supply distributor}
본 고안은 급수 및 급탕수용 분배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급수 및 급탕수용 분배기 구조는 분배기 케이스 내부에 분배기관을 고정하기 위해 결합부재를 사용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내부에 분배기관을 지지한 뒤, 상기 분배기 케이스의 내부 측면에 고정함으로써, 분배기의 조립작업 및 분배기관 연결 작업시 분배기 내부에 장애물이 없으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급수 및 급탕수용 분배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수 및 급탕수 분배기는 보일러와 같은 난방장치에 연결된 급탕수분배기와 일반 수도관에 연결된 급수분배기로 구성된 것으로, 급탕수분배기는 보일러에서 가온된 온수를 여러 개소의 난방 장소로 나누어 분배하고, 급수 분배기 또한 여러 개소의 필요한 급수 장소에 나누어 분배를 해주고 있다.
이때, 분배기는 대략 사각형의 박스에 내장되고, 박스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나 슬라브에 매입되므로, 분배기가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 설치된다.
이러한 분배기용 박스는 대략 사각형으로 이루어져 그 상면이 개구된 박스본 체와, 상기 박스본체의 내부 바닥면에 볼트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상면에는 대략 반원형의 삽입홈이 형성된 복수개의 하측지지편과, 저면에 반원형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하측지지편에 볼트로 결합되는 상측지지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각 지지부재는 박스본체의 내부 바닥면에 좌우 한 쌍씩 두 개열로 배치된다.
따라서, 각각의 하측지지편을 볼트에 의해 박스본체의 바닥면에 고정하고, 한 쌍의 분배기의 양단부를 하측지지편의 삽입홈에 안착시킨 다음, 상측지지편 저면의 삽입홈을 분배기에 끼워서 상측지지편을 하측지지편에 볼트로 고정함으로써, 한 쌍의 분배기의 양단부를 박스본체에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분배기용 박스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한 쌍의 분배기를 상하 동일선상에 배치할 수 없고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해야 하기 때문에, 박스본체의 사이즈가 그만큼 커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분배기용 박스는 분배기가 차지하는 부분만큼 사이즈가 커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나아가 현장 설치 작업 및 취급 등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분배기용 박스는 한 쌍의 분배기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네 개의 하측지지편과 상측지지편이 구비되어야 하고, 각 지지편에 의해 분배기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한 개소의 지지편을 적어도 네 개의 볼트로 체결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분배기용 박스는 분배기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많은 개수의 볼트가 필요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급수 및 급탕수용 분배기 구조는 분배기 케이스 내부에 분배기관을 고정하기 위해 결합부재를 사용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내부에 분배기관을 지지한 뒤, 상기 분배기 케이스의 내부 측면에 고정함으로써, 분배기의 조립작업 및 분배기관 연결 작업시 분배기 내부에 장애물이 없으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급수 및 급탕수용 분배기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고안은 급수 및 급탕수용 분배기에 있어서,
분배기 케이스와;
상기 분배기 케이스의 내부를 관통 형성되어 급수 및 급탕수가 이송되고, 상기 급수 및 급탕수가 원하는 곳으로 분배되도록 외주면에 다수개의 분배구가 형성되는 분배기관과;
상기 분배기관을 분배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해 분배기관의 양끝단부에 결합되어 분배기 케이스의 측면에 고정되는 결합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 및 급탕수용 분배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급수 및 급탕수용 분배기 구조는 분배기 케이스 내부에 분배기관을 고정하기 위해 결합부재를 사용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내부에 분배기관을 지지한 뒤, 상기 분배기 케이스의 내부 측면에 고정함으로써, 분배기의 조립작업 및 분배기관 연결 작업시 분배기 내부에 장애물이 없으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은 급수 및 급탕수용 분배기에 있어서,
분배기 케이스와;
상기 분배기 케이스의 내부를 관통 형성되어 급수 및 급탕수가 이송되고, 상기 급수 및 급탕수가 원하는 곳으로 분배되도록 외주면에 다수개의 분배구가 형성되는 분배기관과;
상기 분배기관을 분배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해 분배기관의 양끝단부에 결합되어 분배기 케이스의 측면에 고정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배기 구조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급수 및 급탕수용 분배기(50) 구조는 분배기 케이스(10)와, 분배기관(20)과, 결합부재(30)로 구성된다.
상기 분배기 케이스(10)는 직사각형의 틀로 형성되어 내부에 분배기관(20)과, 결합부재(3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분배기 케이스(10)의 외주면에는 내부에 설치되는 분배기관(20)와 연통되는 외부 배관(미도시)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외부 배관은 외부에 설치된 수도시설(미도시) 및 보일러(미도시) 등의 장치에 연결되어 급수 및 급탕수를 분배기(50)에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분배기 케이스(10)의 외주면은 외부배관(미도시)이 분배기관(20)이 연통되도록 다수개의 연통홀(11)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11)의 외주면에는 외부배관이 결합되거나 외부배관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연 결구(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통홀(11)은 외부 배관을 통해 분배기(50)에 유입된 급수 및 급탕수가 원하는 곳에 이송되도록 분배기 케이스(10)의 양측면에 형성되거나 또는 분배기 케이스(10)의 하측면에 다수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배기 케이스(10)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는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분배기관(20)은 원통형 관으로 형성되어 분배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분배기관(20)을 분배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해 결합부재(30)가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분배기관(20)의 외주면에는 분배기 케이스(10)의 외부면에 설치된 외부 배관을 통해 이송된 급수 및 급탕수가 원하는 곳으로 분배되도록 다수개의 분배구(21)가 설치되고, 상기 분배구(21)의 끝단부에는 원하는 곳으로 급수 및 급탕수를 이송시킬 배관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분배기관(20)은 급수 및 급탕수에 맞춰 다수개로 형성되어 분배기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는데, 상기 분배기관(20)의 분배구(21)가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배구(21)에 다수개의 배관이 설치시 상호 겹쳐지지 않도록 분배기관(20)을 엊갈리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분배구(21)는 다수개로 형성되어 그 중 하나가 외부의 급수 및 급탕수가 유입되도록 외부 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분배구(21)는 분배기관(20)의 하 단부 뿐만 아니라 상측부에도 형성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배기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배기관을 고정하는 결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30)는 분배기관(20)을 분배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해 분배기관(20)의 양끝단부에 결합되어 분배기 케이스(10)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고정부(31)와, 덮개부(32)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31)는 분배기 케이스(10)의 내부 측면에 고정되어 분배기관(20)을 지지하고, 상기 고정부(31)의 내주면은 원통형의 분배기관(20)이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호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배기관(20)의 외주면에 맞춰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31)는 분배기관(20)을 지지하면서 분배기 케이스(10)의 내부 측면에 고정되도록 일단면에 다수개의 고정홀(33)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33)을 통해 볼트 등의 고정부재(40)를 사용하여 분배기 케이스(10)에 고정된다.
상기 덮개부(32)는 고정부(31)의 일측에 힌지(36) 결합되어 상기 힌지(36)를 중심축으로 해서 타측만 상,하로 개폐되어 분배기관(20)이 결합부재(30)에 탈착되고, 상기 덮개부(32)의 타측(상,하로 개폐되는 부위)에는 분배기관(20)이 착설된 후, 고정부(31)와 고정부재(40)에 의해 결합되도록 결합홀(3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40)는 볼트 등이 일반적인 고정부재(40)가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32)의 내주면은 상기 고정부(31)의 내주면과 마찬가지로 분배기관(20)의 외주면에 맞춰서 형성되고, 그래야 상기 분배기관(20)을 결합부재(30)의 내부에서 흔들림이 없이 잡아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30)의 내주면은 분배기관(20)의 관경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덮개부(32)가 고정부(31)에 결합시, 상기 덮개부(32)의 결합홀(35)을 통해 고정부재(40)가 삽입되어 고정부(31)에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부(31)에 결합홈(3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34)은 덮개부(32)가 고정부(31)에 결합됐을때, 상기 결합홀(35)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이상에서 기술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실시예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고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배기 구조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배기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배기관을 고정하는 결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분배기 케이스 11 : 연통홀
20 : 분배기관 21 : 분배구
30 : 결합부재 31 : 고정부
32 : 덮개부 33 : 고정홀
34 : 결합홈 35 : 결합홀
40 : 고정부재 50 : 분배기

Claims (4)

  1. 급수 및 급탕수용 분배기에 있어서,
    분배기 케이스(10)와;
    상기 분배기 케이스(10)의 내부를 관통 형성되어 급수 및 급탕수가 이송되고, 상기 급수 및 급탕수가 원하는 곳으로 분배되도록 외주면에 다수개의 분배구(21)가 형성되는 분배기관(20)과;
    상기 분배기관(20)을 분배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해 분배기관(20)의 양끝단부에 결합되어 분배기 케이스(10)의 측면에 고정되는 결합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분배기 케이스(10)의 내부 측면에 고정되어 분배기관(20)을 지지하는 고정부(31)와; 상기 고정부(31)의 일측에 힌지(36) 결합되어 상기 힌지(36)를 중심축으로 해서 상,하로 개폐되어 분배기관(20)이 탈착되고, 상기 힌지(36)가 형성된 반대측에는 분배기관(20)이 착설된 후, 고정부(31)에 고정부재(40)를 통해 결합되도록 결합홀(35)이 형성되는 덮개부(32)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재(30)의 고정부(31)에는 분배기 케이스(10)의 내부 측면에 고정되도록 일단면에 다수개의 고정홀(33)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33)을 통해 볼트 등의 고정부재(40)를 사용하여 분배기 케이스(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 및 급탕수용 분배기 구조.
  2. 급수 및 급탕수용 분배기에 있어서,
    분배기 케이스(10)와;
    상기 분배기 케이스(10)의 내부를 관통 형성되어 급수 및 급탕수가 이송되고, 상기 급수 및 급탕수가 원하는 곳으로 분배되도록 외주면에 다수개의 분배구(21)가 형성되는 분배기관(20)과;
    상기 분배기관(20)을 분배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해 분배기관(20)의 양끝단부에 결합되어 분배기 케이스(10)의 측면에 고정되는 결합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분배기 케이스(10)의 내부 측면에 고정되어 분배기관(20)을 지지하는 고정부(31)와; 상기 고정부(31)의 일측에 힌지(36) 결합되어 상기 힌지(36)를 중심축으로 해서 상,하로 개폐되어 분배기관(20)이 탈착되고, 상기 힌지(36)가 형성된 반대측에는 분배기관(20)이 착설된 후, 고정부(31)에 고정부재(40)를 통해 결합되도록 결합홀(35)이 형성되는 덮개부(32)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31)에는 덮개부(32)와 볼트 등의 고정부재(40)를 사용하여 결합되도록 상기 덮개부(32)의 결합홀(35)과 접촉되는 부위에 결합홈(3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 및 급탕수용 분배기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1)에는 덮개부(32)와 볼트 등의 고정부재(40)를 사용하여 결합되도록 상기 덮개부(32)의 결합홀(35)과 접촉되는 부위에 결합홈(3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 및 급탕수용 분배기 구조.
  4. 삭제
KR20070017632U 2007-10-31 2007-10-31 급수 및 급탕수용 분배기 구조 KR2004466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7632U KR200446640Y1 (ko) 2007-10-31 2007-10-31 급수 및 급탕수용 분배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7632U KR200446640Y1 (ko) 2007-10-31 2007-10-31 급수 및 급탕수용 분배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200U KR20090004200U (ko) 2009-05-07
KR200446640Y1 true KR200446640Y1 (ko) 2009-11-17

Family

ID=41299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17632U KR200446640Y1 (ko) 2007-10-31 2007-10-31 급수 및 급탕수용 분배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640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702Y1 (ko) 2005-07-20 2005-10-06 천재홍 급수급탕 및 난방수 분배기용 박스구조물
KR200405738Y1 (ko) 2005-10-26 2006-01-10 (주)워터피앤에스 분배기 박스
KR20060031745A (ko) * 2004-10-09 2006-04-13 (주)파워클 급수 및 난방 분배기 고정용 박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1745A (ko) * 2004-10-09 2006-04-13 (주)파워클 급수 및 난방 분배기 고정용 박스
KR200397702Y1 (ko) 2005-07-20 2005-10-06 천재홍 급수급탕 및 난방수 분배기용 박스구조물
KR200405738Y1 (ko) 2005-10-26 2006-01-10 (주)워터피앤에스 분배기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200U (ko)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21878A1 (ko) 옥외 배관용 히팅재킷
KR200446640Y1 (ko) 급수 및 급탕수용 분배기 구조
KR102217390B1 (ko) 동파 방지를 위한 냉기전도 차단수단을 갖는 부동급수전
KR200491002Y1 (ko) 냉온수 분배 장치
ITMI20071882A1 (it) Radiatore ad elevata flessibilita&#39; di utilizzo
KR200442961Y1 (ko) 축열물질을 이용한 전기보일러
KR20160119462A (ko) 배관연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보일러의 난방분배기
KR20090093356A (ko) 이중 관 구조의 온수배관
KR20190003886A (ko) 냉온수 분배 장치
RU62501U1 (ru) Полотенцесушитель и элемент для отвода воздуха
CN111457448B (zh) 供水用分配管以及利用该分配管的供水用分配器
KR101255822B1 (ko) 전기보일러의 가열기 구조
KR101640938B1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보일러
CN210718774U (zh) 一种热箱组件用换热结构
JP4262223B2 (ja) 貯湯タンク
KR101226630B1 (ko) 고효율 전기 보일러
KR20110066994A (ko) 냉온수기용 온수탱크와 그의 제조방법
US20210380925A1 (en) Fermentation tank
US20190316073A1 (en) Fermentation tank
CN210425219U (zh) 一种移动式空气热对流智能控温取暖器
JP2013170708A (ja) 貯液ユニット、補強部材および給湯装置
KR100775050B1 (ko) 수도설비
KR20130131219A (ko) 압력분산 장치가 구비된 온수관
KR200435534Y1 (ko) 수도설비
KR101160598B1 (ko) 냉온수 혼합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