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498Y1 - 청소용 밀대 걸레 - Google Patents
청소용 밀대 걸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6498Y1 KR200446498Y1 KR2020090007343U KR20090007343U KR200446498Y1 KR 200446498 Y1 KR200446498 Y1 KR 200446498Y1 KR 2020090007343 U KR2020090007343 U KR 2020090007343U KR 20090007343 U KR20090007343 U KR 20090007343U KR 200446498 Y1 KR200446498 Y1 KR 20044649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p
- cleaning
- disc
- state
- ba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5—Plate frames for mops of textile fringe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04—Handle constructions telescopic; extensible; sectio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 바닥, 벽면 등에 대한 청소의 능률 향상과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걸레가 자루부에 구비되는 구조로 제작되는 청소용 밀대 걸레로서, 특히 본 고안에서는 원판에 가닥을 가진 걸레가 새로운 타입으로 배치 및 고정되어져, 닦임 능력을 배가하고, 걸레의 가닥이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와 더불어 밀대 걸레용 세척탈수장치를 이용한 탈수 시에도 밀대 걸레의 회전에 대한 간섭 없이 파지가 가능하여 세척탈수장치를 이용한 완벽한 탈수는 물론, 탈수 수행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한 청소용 밀대 걸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일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관에 의해 하나로 이루어지게 되는 자루부와, 상기 자루부의 일단에 힌지 연결된 상태로 배치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저면에 형성되는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걸레가 구비되는 원판으로 이루어진 밀대 걸레로서, 상기 원판에는 통공이 원판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열로 배치되는 상태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통공에는 걸레의 중앙을 묶어서 형성되는 매듭부가 삽입되며, 이 매듭부에 박히게 되는 돌기는 통공의 내면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결관에는 외주 면을 감싸는 상태로 자유 회전 가능하게 중공부재가 결합되는 청소용 밀대 걸레가 제공된다.
청소, 밀대, 걸레, 탈수, 회전
Description
본 고안은 청소용 밀대 걸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판에 가닥을 가진 걸레가 새로운 타입으로 배치 및 고정되어져, 닦임 능력을 배가하고, 걸레의 가닥이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와 더불어 밀대 걸레용 세척탈수장치를 이용한 탈수 시에도 밀대 걸레의 회전에 대한 간섭 없이 파지가 가능하여 세척탈수장치를 이용한 완벽한 탈수는 물론, 탈수 수행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밀대 걸레는 실내 바닥, 벽면 등에 대한 청소의 능률 향상과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자루부의 일단에 걸레가 결합되는 배치 구조로 제작된다.
도 1 및 도 2a를 통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밀대 걸레(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복수의 연결관(12a ~ 12c)들이 서로 대응 체결되어져 하나로 이루어지는 자루부(12)와, 상기 자루부(12)와 힌지 연결되는 회전판(14)과, 상기 회전판(14)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판(16)과, 상기 원판(16)에 구비되는 걸레(18)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판(14)은, 저면에 원판(16)이 수용되는 취부 구조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수용홈(P)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 중앙에 배치되는 회전부재(22)는 자유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회전판(14)에 결합된다. 이때 회전부재(22)는 회전판(14)과 결합되는 고정캡(24)에 의해 회전판(1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위의 회전부재(22)에 형성되는 러그(26)는 자루부(12)의 하단에 배치되어 있는 연결관(12c)과 힌지 구조로 연결되는데, 이때, 연결관(12c)에 고정되는 상태로 구비되는 힌지부재(28)가 러그(26)와 체결부재(30)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그와 더불어 양측 면이 절개되는 상태로 터진 힌지부재(28)의 구조에 의해 자루부(12)는 체결부재(30)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28)의 하단에는 압지돌기(32)가 하향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도1 및 도 2b와 같이 자루부(12)가 세워진 상태에서 기울어진 상태가 되면, 고정캡(24)을 누르고 있던 압지돌기(32)의 누름력이 해제되어 회전판(14)은 회전부재(22)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자루부(12)가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면 압지돌기(32)가 고정캡(24)을 누르게 되어 힌지부재(28)와 고정캡(24)간 마찰력이 형성됨으로써, 회전판(14)은 회전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고, 자루부(12)가 기울어진 상태가 되면 마찰력이 해제되어 회전판(14)은 자유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3a 및 도 3b에는 가닥을 가진 걸레(18)가 원판(16)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 낸 것으로, 도면에서 보듯이 원판(16)에는 원판(16)의 선단 원주를 따라 통공(3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통공(34)에는 가닥을 가진 걸레(18)가 삽입되는 상태로 결합되는데, 이때 걸레(18)의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접고, 그 접힌 부분이 통공(34) 안으로 결합된다.
그런데, 위와 같이 구성되는 일반적인 밀대 걸레(10)는, 원판(16)으로부터 걸레(18)가 쉽게 빠져나오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가닥을 가지는 걸레(18)는 통공(34)에 꽉끼워지는 타입으로 고정되는데, 이때 통공(34)의 내면이 밋밋하여 걸레(18)와의 결합력이 미흡하고, 걸레(18)의 가닥 간에도 결속력이 없으므로, 밀대 걸레(18)의 사용 도중 걸레(18)의 가닥이 사물에 걸리거나 사용자의 발에 밟혀 당겨지게 될 경우, 걸레(18)를 이루는 가닥이 쉽게 빠져나오게 된다.
위와 같이 걸레(18)의 가닥이 빠져나오게 되면, 걸레(18)와 통공(34)간의 결합력은 더욱 느슨한 상태가 되어 단순 충격에도 걸레(18) 전체가 통공(34)로부터 전부 빠져나오게 되어, 결국 청소 도구로서의 기능이 상실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널리 판매되고 있는 밀대 걸레용 세척탈수장치를 이용하여 탈수를 수행하게 될 때, 도 4에서 보듯이 밀대 걸레(10)의 회전판(14) 및 원판(16)을 세척탈수장치의 바구니(36)에 수용시킨 상태로 자루부(12)를 세우고, 그 상태에서 바구니(36)의 회전을 통해 회전판(14)과 원판(16)을 연동 회전시켜 탈수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대 걸레(10)가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면 앞서 설명되었듯이 자루부(12)에 고정된 힌지부재(22)와 고정캡(24)간 마찰력이 형성되어져 회전판(14)만이 독립적으로 회전하지 못하고 자루부(12)도 연동하게 된다.
위와 같은 탈수 수행 과정에서 사용자는 밀대 걸레(10)가 쓰러지지 않도록 자루부(12)를 파지하고 있어야 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느슨한 파지에도 자루부(12)의 회전 간섭과 제동이 걸리게 됨으로써, 이와 연동하는 회전판(14)이 세척탈수장치의 바구니(36)와 동일한 회전속도를 내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세척탈수장치를 이용한 탈수가 미흡하고, 아울러 탈수의 수행에도 많은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일반적인 밀대 걸레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걸레가 새로운 타입으로 원판에 배치 및 고정되어 청소의 능률을 더욱 향상하고, 걸레의 가닥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밀대 걸레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위의 목적과 더불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밀대 걸레용 세척탈수장치를 이용한 탈수 시에도 밀대 걸레의 회전에 대한 간섭이나 저지 없이 파지를 보장함으로써, 세척탈수장치를 이용한 왁벽한 탈수 처리와, 탈수 수행에 따른 사용상 편의를 제공토록 하는 밀대 걸레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일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관에 의해 하나로 이루어지게 되는 자루부와, 상기 자루부의 일단에 힌지 연결된 상태로 배치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저면에 형성되는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걸레가 구비되는 원판으로 이루어진 밀대 걸레로서, 상기 원판에는 통공이 원판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열로 배치되는 상태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통공에는 걸레의 중앙을 묶어서 형성되는 매듭부가 삽입되며, 이 매듭부에 박히게 되는 돌기는 통공의 내면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결관에는 외주 면을 감싸는 상태로 자유 회전 가능하게 중공부재가 결합되는 청소용 밀대 걸레가 제공된다.
삭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통공에는 걸레의 중앙을 묶어서 형성되는 매듭부가 삽입되며, 이 매듭부에는 통공에 형성된 돌기가 박히게 됨으로써, 가닥을 가지는 걸레가 통공으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연결관에는 중공부재가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밀대 걸레용 세척탈수장치를 이용한 탈수 시에도 자루부의 회전에 대한 간섭 없이 밀대 걸레의 지지를 위한 파지가 가능하고, 그에 따라 밀대 걸레용 세척탈수장치를 이용한 완벽한 탈수와 함께 탈수 수행 시 편의성을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밀대 걸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밀대 걸레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에서는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b에서는 도 5a의 결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밀대 걸레를 설명하기에 앞서 도 1 내지 도 4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을 피하고자 생략한다.
도면에서 보듯이 본 고안에 따른 밀대 걸레(20)의 구성을 살펴보면, 복수의 연결관(12a ~ 12b)들이 하나로 연결되는 자루부(12)와, 이 자루부(12)의 하단에 구비된 힌지부재(28)와 힌지 연결되는 회전판(14)과, 상기 회전판(1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걸레(19)가 구비되는 원판(16)과, 위의 자루부(12)에 결합되는 중공부재(5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위와 같이 중공부재(50)가 자루부(12)의 연결관(12a)에 결합될 때, 중공부재(50)는 연결관(12a)이 중공부재(50)를 통과하는 상태로 결합된다. 이때, 연결관(12a)의 외면과 중공부재(50)의 내면 간 미세하지만 유격이 형성되도록 결합되어져 있어, 중공부재(50)는 연결관(12a)을 중심으로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와 더불어 상기 중공부재(50)가 결합되는 연결관(12a)의 양단에는 마디부(52)와 손잡이(54)가 배치되도록 형성하여, 중공부재(50)가 마디부(52)와 손잡이(54)에 의해 걸림 되도록 함으로써, 자루부(12)로부터 중공부재(5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12a)에 중공부재(50)가 배치되는 것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한 것이므로 중공부재(50)가 자루부(12)를 중심으로 하여 자유 회전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결합 및 배치 구조도 무 방하다.
한편, 도 5a를 참조하여 도 6a 및 도 6b에 보듯이 상기 원판(16)에는 선단 원주를 따라 복수의 통공(56)이 서로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통공(56)으로부터 원판(16)의 중심 방향으로 이격된 지점에도 원판(16)의 원주를 따라 복수의 통공(58)이 서로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다. 결국, 상기 통공(56, 58)은 원판(16)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열로 배치되는 상태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통공(56, 58)의 내면에는 톱니 형상의 돌기(56a, 58b)가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돌기(56a, 58b)는 통공(56, 58)의 내면 원주를 따라 배치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상기 통공(56, 58)에는 가닥을 이루는 걸레(19)가 삽입되는데, 이때, 걸레(19)의 중앙부 분에 별도의 실이나 걸레(19)의 여러 가닥 중 어느 하나의 가닥을 이용하여 걸레(19)의 중앙 부분을 견고하게 묶어서 형성된 매듭부(S)를 통공(56, 58) 안으로 끼워 넣게 된다. 이 경우, 앞서 설명되었듯이 통공(56, 58) 내면에는 돌기(56a, 58b)가 돌출되어 있어, 이 돌기(56a, 58b)가 매듭부(S)는 물론 걸레(19)의 가닥에 박혀지게 된다.
위에 설명된 도 6b에서는 통공(56)에 걸레(19)가 결합되는 과정과 결합 구조에 대한 요부만을 보여주고 있으나, 이러한 과정과 결합 구조는 통공(58)에 걸레(19)가 결합되는 과정 및 결합 구조와 동일하므로, 통공(58)에 걸레(19)가 결합되는 요부 도면은 생략한다.
위와 같이 걸레(19)의 매듭부(S)에 돌기(56a, 58b)가 박혀지게 되면, 예를 들어 밀대 걸레(20)를 이용하여 청소 도중 걸레(19)의 가닥이 사물에 걸리거나 사용자의 발에 밟혀져 빠지는 방향으로 당겨지더라도 복수의 가닥이 매듭부(S)에 의해 하나로 묶여져 있어, 걸레(19)의 전체로부터 일부 가닥만이 빠져나오기가 어렵게 된다.
위와 같이 일부 가닥만이 빠져나오기가 어렵게 되면, 그 당겨지는 힘에 의해 걸레(19)의 매듭부(S)가 통공(56, 58)으로부터 빠져나오려고 하지만 매듭부(S)는 돌기(56a, 58b)에 의해 걸림된 상태이므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된다.
한편, 도 7에서는 일반적인 밀대 걸레용 세척탈수장치를 이용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밀대 걸레의 탈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널리 판매되고 있는 밀대 걸레용 세척탈수장치를 이용하여 탈수를 수행하게 될 때, 밀대 걸레(20)의 회전판(14)을 세척탈수장치의 바구니(36)에 수용시킨 상태로 세우고,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탈수를 진행하게 된다.
위와 같이 밀대 걸레(20)가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면, 도 1 내지 도 2b를 통해 설명되었듯이 회전판(14)이 자유 회전하지 못하여 자루부(12)와 연동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자루부(12)의 연결관(12a)이 아닌 중공부재(50)를 파지하게 됨으로써, 자루부(12)와 회전판(14) 및 원판(16)이 세척탈수장치의 바구니(36)와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세척탈수장치를 이용한 완벽한 탈수가 이 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중공부재(50)가 자루부(12)의 연결관(12a)에 배치되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예에 불과하며, 중공부재(50)가 자유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면 자루부(12)의 어느 위치에 배치되어도 상관없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밀대 걸레(20)를 사용하게 되면, 걸레(19)의 빠짐이 방지됨은 물론, 닦임에 대한 닦임 능력이 배가되고, 그와 더불어 밀대 걸레용 세척탈수장치를 이용한 완벽한 탈수 및 탈수 수행 시에 편의성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청소용 밀대 걸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b는 자루부가 기울어진 상태에 대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3a는 가닥을 이루는 걸레가 원판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일반적인 세척탈수장치를 이용하여 밀대 걸레의 탈수 수행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청소용 밀대 걸레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6a는 가닥을 이루는 걸레가 원판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요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4의 대응 되는 도면으로써, 일반적인 세척탈수장치를 이용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밀대 걸레의 탈수 수행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 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20 : 밀대 걸레 12 : 자루부
14 : 회전판 16 : 원판
18, 19 : 걸레 22 : 회전부재
24 : 고정캡 26 : 러그
28 : 힌지부재 30 : 체결부재
32 : 압지돌기 34, 56, 58 : 통공
36 : 바구니 50 : 중공부재
52 : 마디부 54 : 손잡이부
56a, 58a : 돌기
Claims (2)
- 일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관에 의해 하나로 이루어지게 되는 자루부와, 상기 자루부의 일단에 힌지 연결된 상태로 배치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저면에 형성되는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걸레가 구비되는 원판으로 이루어진 밀대 걸레로서,상기 원판에는 통공이 원판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열로 배치되는 상태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통공에는 걸레의 중앙을 묶어서 형성되는 매듭부가 삽입되며, 이 매듭부에 박히게 되는 돌기는 통공의 내면에 구비되어 있고,상기 연결관에는 외주 면을 감싸는 상태로 자유 회전 가능하게 중공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밀대 걸레.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7343U KR200446498Y1 (ko) | 2009-06-08 | 2009-06-08 | 청소용 밀대 걸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07343U KR200446498Y1 (ko) | 2009-06-08 | 2009-06-08 | 청소용 밀대 걸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46498Y1 true KR200446498Y1 (ko) | 2009-11-04 |
Family
ID=41561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07343U KR200446498Y1 (ko) | 2009-06-08 | 2009-06-08 | 청소용 밀대 걸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6498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5526B1 (ko) * | 2009-12-14 | 2010-04-30 | 주식회사 리빙휴 | 회전식 청소도구 |
CN104665735A (zh) * | 2010-07-08 | 2015-06-03 | 赵一美 | 拖把组件及拖把的清洗和脱水方法 |
CN104939776A (zh) * | 2010-05-31 | 2015-09-30 | 赵一美 | 拖把的清洗方法及拖把的清洗和脱水方法 |
CN104939770A (zh) * | 2010-05-04 | 2015-09-30 | 赵一美 | 手压式拖把的清洗、脱水装置和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80002149Y1 (ko) * | 1985-12-05 | 1988-06-16 | 이규황 | 걸 레 |
JPH03147772A (ja) * | 1989-11-06 | 1991-06-24 | Japan Steel Works Ltd:The | 高水分・高油脂分原料の組織化方法およびその装置 |
KR0128585Y1 (ko) * | 1996-01-20 | 1998-12-01 | 이완근 | 식기 세척기용 세척구 |
-
2009
- 2009-06-08 KR KR2020090007343U patent/KR20044649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80002149Y1 (ko) * | 1985-12-05 | 1988-06-16 | 이규황 | 걸 레 |
JPH03147772A (ja) * | 1989-11-06 | 1991-06-24 | Japan Steel Works Ltd:The | 高水分・高油脂分原料の組織化方法およびその装置 |
KR0128585Y1 (ko) * | 1996-01-20 | 1998-12-01 | 이완근 | 식기 세척기용 세척구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5526B1 (ko) * | 2009-12-14 | 2010-04-30 | 주식회사 리빙휴 | 회전식 청소도구 |
WO2011074751A1 (en) * | 2009-12-14 | 2011-06-23 | Livinghue Co., Ltd. | Rotary cleaning instrument |
CN104939770A (zh) * | 2010-05-04 | 2015-09-30 | 赵一美 | 手压式拖把的清洗、脱水装置和方法 |
CN104939769A (zh) * | 2010-05-04 | 2015-09-30 | 赵一美 | 拖把组件及拖把的清洗、脱水方法 |
CN104939776A (zh) * | 2010-05-31 | 2015-09-30 | 赵一美 | 拖把的清洗方法及拖把的清洗和脱水方法 |
CN104665735A (zh) * | 2010-07-08 | 2015-06-03 | 赵一美 | 拖把组件及拖把的清洗和脱水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60338A (en) | Wet mop with self-contained wringer | |
US6112358A (en) | Mop, mop element and mop element assembly | |
JP6761027B2 (ja) | 回転絞り機構を有するモップ | |
KR200446498Y1 (ko) | 청소용 밀대 걸레 | |
US8756750B2 (en) | Mop wringer | |
US7520018B2 (en) | Mop with attached wringer | |
US20100218327A1 (en) | Rotary mop with a mop fabric capable of preventing a handle from emerging therefrom | |
JP3157542U (ja) | モップ構造 | |
CA2242824C (en) | String mop with wringer | |
US20090260169A1 (en) | Rotary mop with enhanced water-wringing effect | |
US20090025163A1 (en) | Cleaning implement | |
CN201879632U (zh) | 一种离心式脱水地拖系统 | |
US20060021171A1 (en) | Device for wringing out the material of domestic cleaning tools known as mops | |
TW201350072A (zh) | 搥打清洗用之旋轉脫水式拖把清洗器 | |
US6745429B2 (en) | Mop with wringing operation | |
CN208876416U (zh) | 一种平板拖把的清洗脱水机构 | |
US20070240270A1 (en) | Device for Cleaning Floors and Similar Surfaces | |
KR102008700B1 (ko) | 탈수가 용이한 자루걸레 | |
US8850651B1 (en) | Mop head and handle | |
KR200248905Y1 (ko) | 젖병 소제용 세척기 | |
CN201664273U (zh) | 一种拧干式拖把 | |
KR200239481Y1 (ko) | 탈수기능을 갖는 대걸레 | |
CN109984694A (zh) | 一种平板拖把及其清洗脱水机构 | |
CN212281245U (zh) | 清洁工具 | |
JP3782044B2 (ja) | 摺洗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