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450Y1 - 다용도 공구 - Google Patents

다용도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450Y1
KR200446450Y1 KR2020070020161U KR20070020161U KR200446450Y1 KR 200446450 Y1 KR200446450 Y1 KR 200446450Y1 KR 2020070020161 U KR2020070020161 U KR 2020070020161U KR 20070020161 U KR20070020161 U KR 20070020161U KR 200446450 Y1 KR200446450 Y1 KR 2004464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fixed
fixed body
present
pain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1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074U (ko
Inventor
이성원
Original Assignee
(주)칠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칠칠공사 filed Critical (주)칠칠공사
Priority to KR20200700201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450Y1/ko
Publication of KR200900060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0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4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4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10Hand tools for removing partially or for spreading or redistribut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e.g. colour touc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공구는 고정 몸체, 상기 고정 몸체에서 일측으로 연장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자루 부재, 상기 고정 몸체의 다른 일측에 고정되고 벽면 또는 바닥에 도포된 도료층의 제거를 위한 복수의 제1 공구, 그리고 상기 제1 공구와 이웃하여 상기 고정 몸체의 또 다른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공구에 의해 제거되는 도료층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제2 공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건축물의 벽면 또는 바닥면에 도포된 도료층의 제거시 하나의 자루 부재에 고정된 복수의 제1 공구, 제2 공구를 변경 사용하므로 작업시 편의성이 증대되고, 각각의 공구를 휴대할 필요없이 본 고안의 다용도 공구만을 휴대하므로 작업에 필요한 공구의 휴대성이 증대될 수 있다.
자루 부재, 고정 몸체, 손잡이부, 제1 공구, 제2 공구

Description

다용도 공구{Many purposes tool}
본 고안은 다용도 공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면 또는 바닥면에 도포된 도료층의 제거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내,외의 벽면 또는 바닥면에는 건축물의 내관 및 외관의 미관을 위하여 다양한 색상의 페인트를 칠하게 된다.
그리고 건축물 내,외의 벽면 또는 바닥면에 칠해진 페인트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페인트 색이 변질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페인트 색이 변질된 경우에는 새로운 페인트로 건축물의 벽면 또는 바닥면을 칠하게 된다. 이때, 새로운 페인트를 칠하기 위해 이미 칠해져 있는 페인트 즉, 도료층을 제거한 후 페인트 칠 작업을 실시한다.
이미 페인트가 칠해져있는 도료층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벽면 또는 바닥면을 긁기 위한 다양한 공구가 필요하며, 일반적으로는 헤라, 쇠솔, 붓을 공구로 사용한다.
종래에 도료층의 제거시는 먼저 헤라를 이용하여 벽면을 긁으면서 1차적으로 도료층을 제거하였으며, 이때 헤라를 이용한 도료층의 제거는 한계가 있어 도료층의 일부만이 제거된다.
그리고 헤라를 이용하여 벽면 또는 바닥면을 긁을시 분말 형태의 이물질이 발생되며, 그 이물질은 붓을 사용하여 벽면 또는 바닥면에서 털어내었다.
완전히 제거되지 못한 도료층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해서 다시 쇠솔을 이용하여 벽면 또는 바닥면을 긁으면서 여전히 남아있는 도료층을 제거하였으며, 이때 발생되는 이물질은 다시 붓을 사용하여 털어내었다.
종래에는 위와 같은 작업시 사용되는 헤라, 붓, 쇠솔 각각을 작업자가 휴대하여야 하는 휴대상의 불편함이 발생되었다.
그리고 상기 공구 각각을 변경 사용할시 휴대용 공구함 등에서 각각의 공구를 넣고 빼면서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도료층의 제거시 사용되는 공구의 휴대가 간편하고, 공구의 변경 사용시 매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용도 공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공구는 고정 몸체, 상기 고정 몸체에서 일측으로 연장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자루 부재, 상기 고정 몸체의 다른 일측에 고정되고 벽면 또는 바닥에 도포된 도료층의 제거를 위한 복수의 제1 공구, 그리고 상기 제1 공구와 이웃하여 상기 고정 몸체의 또 다른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공구에 의해 제거되는 도료층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제2 공구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1 공구는 스크래퍼, 강모의 브러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공구는 연모의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공구는 상기 고정 몸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제1 공구는 상기 경사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몸체 및 손잡이부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일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공구는 상기 고정 몸체 및 손잡이부 사이에 개재되는 각도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각도 조절 수단은 상기 고정 몸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홈을 가지는 지지 부재,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를 가지는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공구는 상기 각도 조절 수단은 상기 고정 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 구멍,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에 결속되어 상기 체결 구멍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공구에 의하면, 건축물의 벽면 또는 바닥면에 도포된 도료층의 제거시 하나의 자루 부재에 고정된 복수의 제1 공구, 제 2 공구를 변경 사용하므로 작업시 편의성이 증대되고, 각각의 공구를 휴대할 필요없이 본 고안의 다용도 공구만을 휴대하므로 작업에 필요한 공구의 휴대성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공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공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공구(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루 부재(10), 제1 공구(21, 21'), 제2 공구(22)를 포함한다.
자루 부재(10)는 합성수지재의 사출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 몸체(11), 손잡이부(12)를 포함한다.
고정 몸체(11)는 다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 2에 도시된 측면을 기준으로 그 전방에 형성된 전면에 제1 공구(21, 21') 및 제2 공구(22)가 고정된다.
손잡이부(12)는 고정 몸체(11)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바, 도 1에서와 같이 고정 몸체(11)의 후방측 중앙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 몸체(11)와 일체로 형성된다.
제1 공구(21, 21')는 건축물의 벽면 또는 바닥면 등에 도포된 페인트 등의 도료층을 제거하기 위해 벽면 또는 바닥면의 도료층을 긁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제2 공구(22)는 제1 공구(21, 21')에 의해 긁히면서 발생되는 이물질을 털어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공구(21, 21')는 고정 몸체(11)의 전면에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와 같이 고정 몸체(11)의 전면 중심부를 기준으로 그 양측에 위치되게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공구(21, 21')는 고정 몸체(11)의 전면 중심부를 기준으로 어느 일측에 구비되는 스크래퍼(21), 다른 일측에 구비되는 강모의 브러쉬를 포함한다. 그리고 강모의 브러쉬는 철재의 와이어인 강모로 구성된 와이어 브러쉬(21')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공구(22)는 제1 공구(21, 21')의 스크래퍼(21), 와이어 브러쉬(21') 사이의 중앙에 위치되고 연모의 브러쉬를 포함한다. 그리고 연모의 브러쉬는 섬유재로 형성되는 연모로 구성된 섬유 브러쉬(22)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공구의 사용상 이점이 부각 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면 또는 바닥면 등에는 건축물의 미관을 위하여 페인트를 도포하게 되며, 새롭게 페인트를 도포하기 위해서는 이미 도포되어 있는 페인트를 제거하여야 한다. 이때,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공구(1)를 사용하여 이미 도포된 페인트를 제거할 수 있다.
먼저, 작업자는 손잡이부(12)를 파지한 후 도 3과 같이 고정 몸체(11) 일측의 스크래퍼(21)를 사용하여 건축물의 벽면 또는 바닥면을 긁으면서 이미 도포된 페인트를 1차적으로 제거한다. 이때, 이미 도포된 페인트가 벗겨지면서 분말 형태의 이물질이 발생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고정 몸체(11) 중앙에 위치된 섬유 브러쉬(22)을 사용하여 벗겨진 페인트를 벽면 또는 바닥면에서 털어내면서 제거한다.
위의 과정을 거치면 벽면 또는 바닥면에 미리 도포된 페인트는 그 일부가 제거된다. 이때, 작업자는 도 4와 같이 스크래퍼(21)의 반대편에 위치된 와이어 브러쉬(21')을 이용하여 다시 벽면 또는 바닥면을 긁으면서 미쳐 제거되지 못한 페인트를 2차적으로 제거하며, 이때 역시 분말 형태의 이물질이 발생된다.
이후 작업자는 다시 고정 몸체(11) 중앙의 섬유 브러쉬(22)을 사용하여 벗겨진 페인트를 벽면 또는 바닥면에서 털어내면서 제거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공구(1)에 의하면 건축물의 벽면 또는 바닥면에 페인트 등이 도포된 도료층의 제거시 필요 공구들 각각을 휴대하여 사용시마다 교체 사용하는 번거러움 없이 하나의 고정 몸체(11)에 일체로 구비된 복수 의 제1 공구(21, 21'), 제2 공구(22)를 변경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공구로 도료층의 제거시 필요한 작업을 모두 실시할 수 있으며, 필요 공구 각각을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해결된다.
따라서, 도료층 제거시 작업의 편리함과 더불어 공구 휴대의 간편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공구(2)를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공구(1)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공구(2)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공구(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몸체(11)의 전면 중심부를 기준으로 그 양측에 제1 경사면(13) 및 제2 경사면(14)을 가지며, 제1 경사면(13) 및 제2 경사면(14)에는 제1 공구(21, 21')가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공구(1)와 동일하다.
즉, 제1 경사면(13)에는 스크래퍼(21)가 일체로 고정되어 있으며, 제2 경사면(14)에는 와이어 브러쉬(21')이 일체로 고정되어 있고, 제1 경사면(13) 및 제2 경사면(14) 사이의 중앙부에는 섬유 브러쉬(22)이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공구(2)에 의하면 복수의 제1 공구(21, 21'), 제2 공구(22)가 각각 독립된 면에 고정되므로 도료층 제거를 위해 복수의 제1 공구(21, 21'), 제2 공구(22)를 변경 사용시 상호간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공구(3)를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공구(1) 및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공구(2)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공구(3)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공구(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몸체(31)와 손잡이부(32)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고정 몸체(31)와 손잡이부(32) 사이에 개재되는 각도 조절 수단(41)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공구(2)와 동일하다.
이때, 고정 몸체(31)의 양측 측면부에는 다수의 지지홈(43a)을 가지는 스프라켓 형태의 지지 부재(43)가 일체로 형성되며, 지지 부재(43)의 중앙에는 축 구멍(43b)이 형성된다.
그리고 손잡이부(32)의 전방측 양측에는 고정 몸체(31)를 향하여 연장되고 중심축(34)을 가지는 연장부(33)가 형성되고, 연장부(33)에는 지지 부재(43)의 지지홈(43a)들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돌출된 복수의 체결 부재(44)가 일체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공구(3)에 의하면 손잡이부(31)의 연장부(33)에 형성된 중심축(2)이 지지 부재(43)의 축 구멍(43b)에 체결되어 손잡이부(32) 및 고정 몸체(31)가 결합되며, 이때 복수의 체결 부재(44)가 지지 부재(43)의 대응하는 지지홈(43a)에 각각 지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고정 몸체(31)를 상측 또는 하측 으로 회동시키면 복수의 체결 부재(44)가 지지 부재(43)의 지지홈(43a)들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면서 중심축(34)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고정 몸체(31)와 손잡이부(32)가 이루는 각도는 작업자가 손잡이부(32)를 파지한 상태로 사용하기에 편리한 상태로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1 공구(21, 21'), 제2 공구(22)를 변경 사용시 상호간의 간섭이 더욱 발생되지 않으며, 사용상의 편의성이 더욱 더 증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공구(4) 및 도 6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공구(2)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공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공구(4)는 각도 조절 수단(42)이 고정 몸체(31)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 구멍(45), 그리고 손잡이부(42)에 결속되어 체결 구멍(45)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고정 부재(46)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6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때, 손잡이부(32)의 일측 연장부(33)에는 체결 구멍(45)에 선택적으로 대응되는 관통 구멍(35)이 형성되고, 고정 부재(46)는 관통 구멍(35) 및 체결 구멍(45)에 체결되는 핀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공구(4)에 의하면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고정 몸체(31)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회동시키면서 복수의 제1 공구(21, 21'), 제2 공구(22)를 작업자가 손잡이부(32)를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고정 몸체(31) 및 손잡이부(32)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위와 같이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핀으로 구성된 고정 부재(46)를 관통 구멍(35) 및 체결 구멍(45)에 체결하면 각도의 조절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상의 편의성이 더욱 더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공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공구의 사용상태도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공구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공구의 분리 사시도, 그리고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공구의 분리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3,4 : 다용도 공구 10 : 자루 부재
11,31 : 고정 몸체 12,32 : 손잡이부
21,21' : 제1 공구 22 : 제2 공구
33 : 연장부 34 : 중심축
35 : 관통 구멍 41,42 : 각도 조절 수단
43 : 지지 부재 44 : 체결 부재
45 : 체결 구멍 46 : 고정 부재

Claims (6)

  1. 전면부 양측에 경사면을 가지는 고정 몸체, 상기 고정 몸체에서 일측으로 연장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자루 부재,
    상기 고정 몸체의 상기 경사면들에 각각 고정되고 벽면 또는 바닥에 도포된 도료층의 제거를 위한 스크래퍼 및 강모의 브러쉬로 구성된 제1 공구, 그리고
    상기 제1 공구와 이웃하도록 상기 스크래퍼 및 강모의 브러쉬 사이에서 상기 고정 몸체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공구에 의해 제거되는 도료층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연모의 브러쉬로 구성된 제2 공구를 포함하는 다용도 공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고정 몸체 및 손잡이부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인 다용도 공구.
  5. 제4항에서,
    상기 고정 몸체 및 손잡이부 사이에 개재되는 각도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각도 조절 수단은
    상기 고정 몸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홈을 가지는 지지 부재,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홈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를 가지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다용도 공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 수단은
    상기 고정 몸체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 구멍,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에 결속되어 상기 체결 구멍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다용도 공구.
KR2020070020161U 2007-12-14 2007-12-14 다용도 공구 KR2004464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161U KR200446450Y1 (ko) 2007-12-14 2007-12-14 다용도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161U KR200446450Y1 (ko) 2007-12-14 2007-12-14 다용도 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074U KR20090006074U (ko) 2009-06-18
KR200446450Y1 true KR200446450Y1 (ko) 2009-10-30

Family

ID=41290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161U KR200446450Y1 (ko) 2007-12-14 2007-12-14 다용도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45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562A (ko) 2015-07-03 2017-01-11 주식회사 이비아이 복합원료용 교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4892A (en) 1975-11-17 1976-10-12 Kyriakou George S Brush and scraper holder
JP3062675U (ja) * 1999-04-01 1999-10-08 久 松嶋 スクレパ―付ハケ「ケレンハケ」
JP3064239U (ja) * 1999-05-25 2000-01-07 株式会社アサヒペン 塗料剥がし作業用刷毛
KR200373554Y1 (ko) 2004-10-27 2005-01-17 엄승훈 스크래퍼와 일체화된 퍼티 주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4892A (en) 1975-11-17 1976-10-12 Kyriakou George S Brush and scraper holder
JP3062675U (ja) * 1999-04-01 1999-10-08 久 松嶋 スクレパ―付ハケ「ケレンハケ」
JP3064239U (ja) * 1999-05-25 2000-01-07 株式会社アサヒペン 塗料剥がし作業用刷毛
KR200373554Y1 (ko) 2004-10-27 2005-01-17 엄승훈 스크래퍼와 일체화된 퍼티 주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074U (ko) 200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0941B2 (en) Brush and roller cleaner
JPH11503965A (ja) シリコーン絵筆画具
USD656667S1 (en) Hair treatment applicator
CN107205609A (zh) 包括通用手柄和可互换的工具头部的工具组合件
US20170311709A1 (en) Paint brush with clip attachment
US20150296973A1 (en) Paint brush cleaning device
US6712498B1 (en) Straddle mixer
KR200446450Y1 (ko) 다용도 공구
US5351350A (en) Dusper
US20080060158A1 (en) Paint brush with cantilevered clamping panel and removable bristle pack
US7266858B2 (en) Three in one paintbrush cleaner and conditioner
US20210235958A1 (en) Interlinking sheath for interchangeable cleaning items and method
US20100252077A1 (en) Drill-mounted paint roller cleaner
CN106028888A (zh) 具有内刷位于外刷上的刷结构的面部清洗装置
US20060213544A1 (en) Paintbrush cleaning device
CN207277771U (zh) 一种建筑装修用刮漆刀
JP2007245134A (ja) 塗装用刷毛の洗浄具
CN213370519U (zh) 一种可双面使用的平板刷
KR101663242B1 (ko) 도장부스 내부의 이물질 제거용 스크레퍼
RU2294126C1 (ru) Сменная кисть
GB2474718A (en) Covers for paint containers
US20120011675A1 (en) Tool for removing acoustic ceiling material
US20160355052A1 (en) Device for cleaning a paint roller
JP4132045B2 (ja) 壁面洗浄装置
KR200294329Y1 (ko) 분해 조립이 가능한 물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