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177Y1 -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 - Google Patents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177Y1
KR200446177Y1 KR2020090008131U KR20090008131U KR200446177Y1 KR 200446177 Y1 KR200446177 Y1 KR 200446177Y1 KR 2020090008131 U KR2020090008131 U KR 2020090008131U KR 20090008131 U KR20090008131 U KR 20090008131U KR 200446177 Y1 KR200446177 Y1 KR 2004461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unit
unit
folding
magn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1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수한
하태양
Original Assignee
하수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수한 filed Critical 하수한
Priority to KR20200900081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1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1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177Y1/ko
Priority to PCT/KR2009/006680 priority patent/WO201015094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5/00Eyepieces; Magnifying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5/00Eyepieces; Magnifying glasses
    • G02B25/002Magnifying glasses
    • G02B25/004Magnifying glasses having binocular arrang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4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fitting over or clamping 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에 관한 것으로, 두개의 렌즈부가 절첩되고, 절첩된 렌즈부가 몸체에 회동되어 몸체부에 내삽되어 보관되는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몸체부(1)와 제1렌즈부(2), 제2렌즈부(2)로 구성되며, 제1렌즈부(1)의 일측에 회동이 용이하도록 구비된 제2렌즈부(3)가 결합되고, 상기와 같이 결합된 제1렌즈부(2)는 제2렌즈부(3)의 상측면으로 겹치도록 절첩된 후 제2렌즈부(3)를 몸체부(1)의 내측으로 회동시켜 내삽하여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확대경, 휴대용 확대경,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 절첩식 확대경

Description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PORTABLE FOLDED MAGNIFIER}
본 고안은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에 관한 것으로, 두개의 렌즈부가 절첩되고, 절첩된 렌즈부가 회동되어 몸체부에 내삽되어 보관되는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확대경은 물체를 크게 확대하여 보는 도구로서 노안 등의 이유로 인하여 작은 글씨 및 작은 물체를 확대해서 보는 도구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확대경의 경우 확대경 렌즈에 손잡이를 부착한 형태가 많이 사용되어 왔고, 이러한 확대경은 한손으로 확대경을 파지해야 하는 불편함으로 인하여 양손을 모두 사용해야 하는 경우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렌즈만을 확대경렌즈로 교체한 안경형태의 확대경이 개발되어 안경처럼 착용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안경형태의 확대경 및 확대경에 손잡이를 부착한 형태의 경우 소지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고, 또한 안경형태 또는 손잡이가 부착된 형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한 상황에 따라 각각의 확대경를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본 고안의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을 제공함으로써, 확대경의 휴대가 용이하고, 또한 몸체부로부터 확대경 렌즈부가 분리되기 때문에 안경착용자의 안경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는 몸체부(1)와 제1렌즈부(2), 제2렌즈부(3)로 구성되며, 제1렌즈부(2)의 일측에 회동이 용이하도록 구비된 제2렌즈부(3)가 결합되고, 상기와 같이 결합된 제1렌즈부(2)는 제2렌즈부(3)의 상측면으로 겹치도록 절첩된 후 제2렌즈부(3)를 몸체부(1)의 내측으로 회동시켜 내삽하여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몸체부(1)로부터 제1렌즈부(2)가 결합되어 있는 제2렌즈부(3)를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안경에 용이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을 제공함으로써, 확대경의 휴대가 용이하며, 안경착용자가 렌즈만을 안경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확대경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당업자가 본 고안의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은 본 고안의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의 전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의 몸체부(1)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고안의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은 몸체부(1)와 제1렌즈부(2) 및 제2렌즈부(3)로 구성되며, 상기 제1렌즈부(2)와 제2렌즈부(3)를 절첩가능하도록 결합한 후 몸체부(1)에 착탈이 용이하도록 결합하여 완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의 몸체부(1)는 상측판(12)과 하측판(13)의 사이에 제1렌즈부(2) 및 제2렌즈부(3)가 내삽될 수 있도록 빈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측판(13)의 일측에 렌즈부결합돌기(1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렌즈부결합돌기(11)는 하측판(13)의 일측에 상측판(12)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상측판(12)과의 사이가 이격되어 개방됨으로써 제1렌즈부(2) 및 제2렌즈부(3)를 몸체부(1)에 결합할 때, 상기 개방되어 있는 부분으로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2렌즈부(3)는 확대경렌즈(33)를 구비하고, 안경의 다리에 결합될 수 있는 안경부결합홀(31)이 구비되며, 제1렌즈부(2)와 결합되는 제2절첩부(32) 및 몸체부(1)의 일측에 형성된 렌즈부결합돌기(11)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구멍(3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확대경렌즈(33)는 통상적인 확대경 기능을 하는 렌즈면 무엇이든 가능하며, 상기 안경부결합홀(31)은 제2렌즈부(3)의 일측에 위치하여 안경(4 : 도8참조)의 다리부분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절첩부(32)는 제1렌즈부(2)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절첩부(22)와 대응하여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제2절첩부(32)의 반대측에는 결합구멍(34)이 형성되어 몸체부(1)의 렌즈부결합돌기(11)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2렌즈부(3)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렌즈부(2)는 안경의 다리에 결합될 수 있는 안경부결합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렌즈부(3)의 일측에 형성된 제2절첩부(32)에 결합되는 제1절첩부(22)가 구비되며, 확대경렌즈(23)와 제1렌즈부(2)와 제2렌즈부(2)를 펼쳤을 때, 각각의 렌즈부(제1 및 제2렌즈부)가 필요이상으로 꺽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꺽임방지턱(24)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렌즈부(2)에 제2렌즈부(3)를 결합하고 다시 제1렌즈부(2)가 결합된 제2렌즈부(3)의 일부분을 몸체부(1)의 상측판(12)과 하측판(13)사이에 삽입하고 제2렌즈부(3)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구멍(34)을 몸체부(1)의 하측판(13) 일측에 형성된 렌즈부결합돌기(11)에 삽입하여 결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렌즈부(2)와 제2렌즈부(3)를 결합한 후 몸체부(1)에 결합하여 본 고안의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를 완성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본 고안의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는 제1렌즈부(2)와 제2렌즈부(3)를 제1절첩부(22)에 제2절첩부(32)를 결합하기 때문에 제1렌즈부(2)를 제2렌즈부(3)의 상측방향으로 회동시켜 제1절첩부(22)와 제2절첩부(32)를 중심으로 제2렌즈부(3)의 상단에 제1렌즈부(2)를 겹쳐지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2렌즈부(3) 위에 제1렌즈부(2)가 겹쳐지면 제2렌즈부(3)를 몸체부(1)의 측면방향으로 회동시켜 몸체부(1)의 내측으로 내삽하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의 렌즈부를 절첩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의 렌즈부를 몸체부에 삽입하기위한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의 절첩후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고안의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제2렌즈부(3)와 결합되어 있는 제1렌즈부(2)를 절첩부(제1절첩부(22) 및 제2절첩부(32))를 축으로 하여 절첩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제1렌즈부(2)를 절첩하여 제2렌즈부(3)의 상측방향으로 겹쳐지게 한다.
상기와 같이 제1렌즈부(2)를 제2렌즈부(3)의 상측에 겹쳐지게 한 후, 몸체부(1)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제2렌즈부(3)를 몸체부(1)의 일측에 구비된 렌즈부결합돌기(11)를 축으로 하여 횡측방향으로 회전시켜 몸체부(1)의 상측판(12)과 하측판(13) 사이의 공간으로 내삽하여 보관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휴대를 위해 몸체부(1)에 절첩되어 내삽되어 있는 렌즈부(제1렌즈부 및 제2렌즈부)를 전개하여 사용할 때는 상기에 서술한 방법과 반대로, 몸체부(1)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렌즈부결합돌기(11)를 축으로 하여 횡측방향으로 회전시켜 몸체부(1)의 외측으로 이동 시킨후 제2렌즈(3)에 겹쳐져 있는 제1렌즈부(2)를 절첩부(제1절첩부 및 제2절첩부)를 축으로 하여 상측방향으로 회동시켜 제1렌즈부(2)를 펼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렌즈부(2)의 일측에 형성된 꺽임방지턱(24)이 제2렌즈부(3)의 일측에 접하게 됨으로써, 제1렌즈부(2)가 과도하게 꺽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몸체부(1)로부터 렌즈부(제1렌즈부 및 제2렌즈부)를 펼쳐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의 또다른 활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의 또다른 활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고안의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는 통상적인 확대경 사용방법인 한손으로 확대경를 파지하고 사용자의 눈에 근접하게 위치하여 사용하는 방법 이외에도, 몸체부(1)로부터 렌즈부(제1렌즈부 및 제2렌즈부)를 분리하여 안경을 착용해야 하는 사용자의 안경에 직접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고안의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의 제1렌즈부(2)와 제2렌즈부(3)는 몸체부(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어 안경에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제1렌즈부(2)가 결합되어 있는 제2렌즈부(3)는 몸체부(1)의 일측에 형성된 렌즈부결합돌기(11)에 결합구멍(34)을 삽입하여 몸체부(1)와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와 같이 결합되어 있는 제2렌즈부(3)를 렌즈부결합돌기(11)의 상측방향으로 이동시킨후 렌즈부결합돌기(11)와 상측판(12)사이의 개방되어있는 공간을 통하여 몸체부(1)로부터 제1렌즈부(2)가 결합되어 있는 제2렌즈부(3)를 이탈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몸체부(1)로부터 이탈시킨 제2렌즈부(3)와 제1렌즈부(2)를 안경(4)의 렌즈 안쪽에 위치하도록 장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렌즈부(2)와 제2렌즈부(3)의 일측에 형성된 안경부결합홀(21, 31)을 안경(4)의 다리에 삽입하여 장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안경(4) 착용자가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본 고안의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의 렌즈부(제1렌즈부 및 제2렌즈부)를 장착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않은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의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의 몸체부(1)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의 렌즈부를 절첩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의 렌즈부를 몸체부에 삽입하기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의 절첩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의 또다른 활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
1 : 몸체부 2 : 제1렌즈부
3 : 제2렌즈부 11 : 렌즈부결합돌기
12 : 상측판 13 : 하측판
21 : 안경부결합홀 22 : 제1절첩부
23 : 확대경렌즈 24 : 꺽임방지턱
31 : 안경부결합홀 32 : 제2절첩부
33 : 확대경렌즈 34 : 결합구멍

Claims (6)

  1.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에 있어서, 상측판(12)과 하측판(13)의 사이에 빈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하측판(13)의 일측에 렌즈부결합돌기(11)가 형성되어 있는 몸체부(1);와
    제1절첩부(22)가 구비되며, 확대경렌즈(23)가 구비되어 있는 제1렌즈부(2); 및
    상기 제1렌즈부(2)에 구비되어있는 제1절첩부(22)와 결합되는 제2절첩부(32)와 확대경렌즈(33)가 구비되며, 몸체부(1)에 형성되어 있는 렌즈부결합돌기(11)에 삽입되는 결합구멍(34)이 형성되어 있는 제2렌즈부(3)로 구성되며,
    상기 제1렌즈부(2)와 제2렌즈부(3)는 제1절첩부(22)와 제2절첩부(32)에 의해 결합된후, 제2렌즈부(3)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멍(34)을 몸체부(1)에 형성되어 있는 렌즈부결합돌기(11)에 삽입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부(2)는 상측방향으로 회동하여 제2렌즈부(3)에 겹쳐지고, 제1렌즈부(2)가 겹쳐진 제2렌즈부(3)는 렌즈부결합돌기(11)를 축으로하여 횡측방향으로 회동하여 몸체부(1)에 내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의 일측에 형성된 렌즈부결합돌기(11)는 하측판(13)에서 상측판(12)쪽으로 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상측판(12)과 렌즈부결합돌기(11) 사이에는 개방되어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부(2)의 일측에는 꺽임방지턱(24)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부(2)에는 안경부결합홀(21)과 제2렌즈부(3)에 안경부결합홀(32)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부(2)가 결합되어 있는 제2렌즈부(3)는 몸체부(1)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렌즈결합돌기(11)의 상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렌즈부결합돌기(11)로 부터 이탈시킨 후, 상측판(12)과 렌즈부결합돌기(11)사이의 개방되어 있는 공간을 통하여 몸체부(1)로부터 이탈시켜 안경(4)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
KR2020090008131U 2009-06-24 2009-06-24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 KR2004461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131U KR200446177Y1 (ko) 2009-06-24 2009-06-24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
PCT/KR2009/006680 WO2010150949A1 (ko) 2009-06-24 2009-11-13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131U KR200446177Y1 (ko) 2009-06-24 2009-06-24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177Y1 true KR200446177Y1 (ko) 2009-10-05

Family

ID=41648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131U KR200446177Y1 (ko) 2009-06-24 2009-06-24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46177Y1 (ko)
WO (1) WO201015094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046Y1 (ko) * 1996-02-15 1999-03-30 박수안 레져용 안경
KR20000066292A (ko) * 1998-03-24 2000-11-15 윌리암 에이. 코너 길이 조절가능한 안경다리를 가진 접기식 안경 프레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9335B1 (en) * 1999-11-30 2002-06-25 Steven R. Lipawsky Foldable eyewear
US20040032652A1 (en) * 2002-08-13 2004-02-19 Holmes Delores Naomi Collapsible viewing instrument
US7399077B2 (en) * 2004-04-23 2008-07-15 Mcdermott Elizabeth Ann Eyeglasses with integral ca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046Y1 (ko) * 1996-02-15 1999-03-30 박수안 레져용 안경
KR20000066292A (ko) * 1998-03-24 2000-11-15 윌리암 에이. 코너 길이 조절가능한 안경다리를 가진 접기식 안경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50949A1 (ko) 201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3496B2 (en) Handy shades
US9645410B2 (en) Foldable glasses with magnifier
CN106030381B (zh) 可折叠的眼镜装置
US20090073376A1 (en) Flip up safety, magnificaition or reading glasses
US20170242267A1 (en) Foldable glasses with magnifier
KR200446177Y1 (ko) 휴대용 절첩식 확대경
CN203688923U (zh) 一种折叠式保健眼镜
KR102093791B1 (ko) 돋보기 안경
JP2011056067A (ja) 手鏡
KR200388895Y1 (ko) 접이식 일회용 돋보기
KR20060095645A (ko) 접이식 일회용 돋보기
JP3162412U (ja) レンズフレームの折り畳み可能なメガネ装置
KR101571392B1 (ko) 접이식 보조안경이 구비된 안경
KR200415602Y1 (ko) 원상 복귀용 접철수단이 구비된 안경
JP4889767B2 (ja) 眼鏡フレーム
JP2009251279A (ja) 眼鏡及び眼鏡ケース
JP3114190U (ja) コンパクトミラー
KR200177211Y1 (ko) 휴대용 돋보기안경과 휴대용 돋보기안경 수납용 볼펜형안경 케이스
KR20120000828U (ko) 기능성 접이식 안경
JP3131656U (ja) メガネ保護ケース
JP7201331B2 (ja) 折り畳み可能な眼鏡フレーム
KR200383968Y1 (ko) 절첩식 이중 돋보기 안경
KR200465334Y1 (ko) 접이식 안경
KR200282071Y1 (ko) 별도의 돋보기가 구비된 안경집
JP2006243684A (ja) 挿入型望遠メガ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