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961Y1 - 좁은 실내 공간용 셔틀콕 - Google Patents

좁은 실내 공간용 셔틀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961Y1
KR200445961Y1 KR2020090002627U KR20090002627U KR200445961Y1 KR 200445961 Y1 KR200445961 Y1 KR 200445961Y1 KR 2020090002627 U KR2020090002627 U KR 2020090002627U KR 20090002627 U KR20090002627 U KR 20090002627U KR 200445961 Y1 KR200445961 Y1 KR 2004459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lecock
base
feather
racket
feath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26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웅
Original Assignee
김상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웅 filed Critical 김상웅
Priority to KR20200900026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9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9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9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63B67/183Feathered missiles
    • A63B67/187Shuttlecocks
    • A63B67/193Shuttlecocks with all feathers made in one pie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4Badmint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좁은 실내공간에서 경기가 가능하도록 한 셔틀콕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의 직경과 수직길이가 17-22mm, 전체 수직길이가 65-73mm, 베이스 상부면과 깃털 사이의 기립각은 60°-69°이며, 상기한 깃털은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깃털의 수는 10-14개이고 베이스와 접하는 면에 하부로 체결구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베이스에 꽂히도록 한 것이다.
셔틀콕, 배드민턴, 라켓

Description

좁은 실내 공간용 셔틀콕{Shuttle cock for narrow space}
본 고안은 좁은 실내공간에서 경기가 가능하도록 한 셔틀콕에 관한 것이다.
라켓을 사용하는 경기로는 테니스, 배드민턴, 스쿼시, 스피드민턴 등이 있으며, 이러한 라켓을 사용하는 경기는 각 경기종목별로 라켓의 크기나 중량, 그리고 라켓으로 치는 공(셔틀콕)등이 다른 규격을 가지고 있다.
이 중 배드민턴은 네트를 중앙에 두고 라켓으로 셔틀콕(shuttlecock: 깃털공)을 쳐서 네트를 넘기는 경기로서, 서브권과 상관없이 해당 랠리에서 이긴 편이 득점하여 한 게임 21점(초등부는 17점)을 선취한 편이 승리하고, 20:20 동점(초등부 16:16)인 경우 2점을 연속하여 득점한 편이 승리하며 29:29(초등부 24:24)인 경우 30점(초등부 25점)에 먼저 도달한 편이 승리한다.
이러한 배드민턴 경기를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용품은 라켓과 셔틀콕, 네트 등이 있으며, 셔틀콕의 비행곡선에 따라 일정한 높이와 폭을 갖는 공간이 요구된다.
상기한 라켓 용품 중 셔틀콕은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새의 깃털(20)을 반구상(半球狀)의 코르크로 이루어진 베이스(10)에 꽂은 것으로, 무게 는 4.5∼5.5g이고, 코르크의 지름은 2.5∼2.8cm이고 깃털의 수는 16장, 깃털 끝에서 베이스 상부면까지의 길이는 6.4∼7.0cm여야 하며, 깃털 끝의 지름은 58~68mm, 베이스(10)의 상부면과 깃털(20)의 외주면은 65°~75°정도의 각을 갖게 되고, 최고속도는 320km/h이며, 경기자가 코트의 한쪽 끝에서 언더핸드로 쳐서 반대편 백바운더리 라인 안쪽의 53~99cm 사이에 떨어져야 한다.
그리고, 배드민턴은 셔틀콕이 상대적으로 가볍고 깃털이 일정한 각도로 벌어져 있어서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실외에서 경기를 할 경우 약한 바람에도 셔틀콕이 원하는 방향과 거리로 비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되어 경기가 자주 중단되거나 경기에 대한 흥미를 잃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정식 경기는 외기의 통풍을 모두 차단한 실내 경기장에서 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천정은 최소 9m이상 높이를 가져야 하고, 코트의 라인은 폭이 단식의 경우 5.18m 복식의 경우 6.1m이며, 양쪽 백 바운더리 라인 사이의 길이가 13.4m로서 중심에 중앙부가 l.524m, 지주쪽이 l.55m인 네트가 설치되며, 단식의 롱 서비스 라인은 네트로부터 6.7m이고, 복식의 롱서비스 라인은 5.94m로 구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배드민턴 경기를 위해서는 실내 공간의 천정 높이가 최소 9m 이상이 요구되나, 이와 같이 9m이상을 갖는 공간은 실내경기장을 제외하고는 거의전무하므로 일반인이 바람의 저항을 받지 않고 경기를 수행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아울러, 배드민턴 경기는 해당 코트에 최대 4명까지 밖에 경기를 할 수 없으므로 공간대비 운동인원수의 비율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공간대비 운동인원수의 비율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넓고 긴 길이의 코트 규격을 정한 이유는 라켓과 셔틀콕의 구조에 따른다. 즉, 종래의 라켓과 셔틀콕을 가지고 정확한 스윙방법과 정확한 각도로 가격했을 경우의 비행경로를 적용하여 비행거리와 비행높이를 확보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종래의 셔틀콕은 16개의 깃털이 약 70°정도의 기립각(베이스와 깃털 사이의 각도)을 가지므로 비행 중 공기저항을 감안하여 충분한 비거리를 갖기 위해서는 타격시 정확한 스텝과 몸동작을 유지하여야 하는데, 예를 들면 스매싱의 타격 각도는 약 60도 정도, 하이클리어의 각도는 80도 정도, 푸쉬는 70도 정도이고, 이러한 타격자세에서 손동작과 함께 스텝도 정확하게 밟아주어야만 몸에 무리가 가지않고 정확한 타격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관절에 발생되는 무리로 인한 통증을 일명, 테니스엘보(의학용어로는 상완골외상과염(上腕骨外傷顆炎))라고 하며, 원인은 팔꿈치에서 손바닥에 이르는 뼈를 싸고 있는 힘줄이 부분적으로 파열되는 데 있다.
이러한 테니스 엘보에서 힘줄 파열은 공 혹은 셔틀콕이 라켓에 맞았을 때 생기는 진동이 팔에 자극을 주기 때문에 생기는데, 라켓에 맞는 진동은 공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커지게 되므로 최대한 가벼운 공 혹은 셔틀콕을 사용하는 경우가 관절등에 무리가 가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배드민턴이 바람의 저항을 많이 받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배드민턴과 테니스를 접목한 스피드민턴이 보급되고 있으며, 이는 배드민턴 셔틀콕의 베이스를 코르크가 아닌 고무재질로 하여 무겁게 한 스피더를 사용하여, 배 드민턴에 비하여 속도감을 개선하므로서 바람의 저항을 적게 받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스피드민턴의 스피더는 셔틀콕보다 무거워서 관절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속도가 빨라서 노약자나 어린이가 하기에 적합하지 않으며, 코트 규격 역시 5.5m의 정사각형을 12.8m 띄워서 사용하는 것이므로, 총 23.8m의 공간이 요구되어 실내에서는 경기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테니스 역시 공이 무겁고 속도가 빠르며, 넓은 코트가 요구되어 실내에서 즐기기에는 부적합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배드민턴을 포함한 라켓경기의 문제인 경기가 가능한 실내공간의 확보가 어려워서 실내에서 경기를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셔틀콕을 가볍고 작게 하여 좁은 실내에서도 경기가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신체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좁은 실내 공간용 셔틀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베이스의 직경과 수직길이가 17-22mm, 전체 수직길이가 65-73mm, 베이스 상부면과 깃털 사이의 기립각은 60°-69°이며, 상기한 깃털은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깃털의 수는 10-14개이고 베이스와 접하는 면에 하부로 체결구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베이스에 꽂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서 깃털은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깃털들이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서로 연결되도록 하고, 깃털의 종단은 파동모양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체결구는 깃털의 베이스와 접하는 면에 하부로 원통형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벽과 상기한 돌출벽의 하종단에 외부로 돌출형성된 고정돌기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깃털의 수가 줄고 베이스의 직경과 전체 크기가 작아지면서 셔틀콕이 가벼워지므로, 타격시 사용자에게 하중에 의 한 부담이 줄어들어서 노약자나 어린이 등도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셔틀콕의 줄어든 중량만큼 타격시 발생되는 충격도 작아지므로 관절등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셔틀콕이 가벼워지면서 깃털과 베이스의 상부면 사이 각도는 종래에 비하여 좁아지게 되므로 즉 깃털이 종래보다 더 넓게 퍼지게 꽂혀지므로 비행중 저항을 많이 받아서 비행속도와 고도가 떨어지고, 셔틀콕의 전체크기가 작아지므로 좁은 실내공간에서도 배드민턴 경기를 즐길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라켓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라켓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라켓을 사용할 때 같이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셔틀콕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셔틀콕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네트의 규격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코트의 규격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종래 라켓 용품과 본 고안의 라켓 용품을 사용한 경우 셔틀콕의 괘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배드민턴 용품은 크게, 라켓과 셔틀콕 및 네트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라켓은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반 배드민턴 라켓은 무게규정이 없으나 본 고안은 셔틀콕의 거리를 많이 나가지 않게 하기 위하여 무게를 50g-70g범위로 하고, 전체길이 430-470mm, 전체폭은 150-185mm, 스트링부(110)의 길이는 200-225mm이고, 손잡이(120)와 샤프트(130) 및 스로트(140)의 치수는 총 230mm-255mm범위에서 조정한다.
그리고, 샤프트(130)는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경이 5-7mm이고, 단면두께는 0.5-1.5mm로 한다.
또한, 손잡이(120)의 치수는 90-160mm로 하는데, 이는 손잡이를 잡을 때 불편함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면서 손잡이 치수를 최소로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스트링의 간격은 한변이 0.6-1.2cm인 사각형이 되도록 하는데, 이는 하기에서 설명할 셔틀콕이 치수가 줄어든 만큼 좁게 형성하여 타구시 셔틀콕이 스트링사이에 끼는 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셔틀콕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르크 재질 베이스(210)의 직경과 수직길이가 17-22mm, 상기한 베이스(210) 끝부분으로부터 깃털(220)의 끝까지 즉 셔틀콕의 총 수직 길이가 65-73mm, 베이스(210)의 상부면과 깃털(220)사이의 기립각은 60°-69°, 총 중량은 2.1g-2.6g을 갖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깃털(220)은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깃털의 수는 10-14개이고 베이스(210)와 접하는 면에 하부로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결구(222)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베이스(210)에 꽂히도록 한 것으로, 상기한 깃털(220)은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깃털들이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서로 연결되도록 하고, 깃털(220)의 종단은 파동모양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체결구(222)는 깃털(220)의 베이스(210)와 접하는 면에 하부로 원통 형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벽(222a)과 상기한 돌출벽(222a)의 하종단에 외부로 돌출형성된 고정돌기(222b)로 구성되며, 상기한 체결구(222)가 체결되는 베이스(210)에는 돌출벽(222a)과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홈(212)이 형성되어, 돌출벽(222a)이 삽입홈(212)으로 삽입되어 종단의 고정돌기(222b)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셔틀콕은 언더 핸드의 풀 스트로크로 쳤을 때 타구위치로부터 5m-7.1m 사이에 착지되어야 하며, 이러한 비거리는 상기한 바와 같이 깃털의 수와 치수를 줄이고, 중량을 감소시키며 기립각을 적게 함으로서 얻어지는 것이다.
특히, 상기에서 깃털의 기립각이 60°-69°로서 종래의 구성에 비하여 좁아지므로, 기립각이 줄어든 만큼 깃털이 옆으로 퍼지게 되므로, 비행중 공기저항을 많이 받아서 비거리가 줄어들게 된다.
네트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 높이 1.45m, 지주쪽높이 1.47m, 폭 4.3m로 구성되며, 네트의 그물눈은 한변이 1-1.8cm인 사각형이되도록 한다.
그리고, 코트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8.6m, 폭 4.3m이며, 네트를 중심으로 숏서비스라인은 1.33m, 복식 롱 서비스라인은 네트로부터 3.88m, 단식 롱서비스라인은 네트로부터 4.3m에 위치하며, 코트의 폭은 복식 사이드라인으로 사용되고 단식 사이드라인은 코트폭으로부터 내측으로 각각 0.42m 들어온 위치에 위치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셔틀콕은 베이스의 크기가 대폭 감소되고 깃털의 수가 감소되어 전체적으로 크기가 작아지고 중량이 종래에 비하여 큰폭으로 감소되고, 깃털의 기립각이 종래에 비해서 좁아지게 되므로 주행중 공기저항을 많이 받게 되어 종래에 비하여 비행높이가 낮아지고 비행거리가 짧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주행거리와 높이를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7의 점선은 롱 하이 서비스시의 종래 배드민턴 라켓과 셔틀콕의 사용시 비행괘적을 나타내고, 실선은 본 고안의 라켓과 셔틀콕을 사용한 롱 하이 서비스시의 셔틀콕의 비행괘적을 나타내는 것으로, 본 고안의 비행괘적이 종래에 비하여 낮고 짧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셔틀콕과 라켓을 사용할 경우 셔틀콕의 비행높이가 낮아지고 비행거리가 짧아지게 되므로 실내에서 운동이 가능하며, 통상 3-4m 높이의 실내에서 경기가 가능하게 된다.
도 1a는 종래의 셔틀콕 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셔틀콕 측단면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라켓을 나타내는 도면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라켓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셔틀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셔틀콕의 단면도
도 5는 네트의 규격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코트의 규격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종래 라켓 용품과 본 고안의 라켓 용품을 사용한 경우 셔틀콕의 괘적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스트링부 120 : 손잡이
210 : 베이스 220 : 깃털
222 : 체결구 222a : 돌출벽
222b : 고정돌기

Claims (2)

  1. 베이스의 직경과 수직길이가 17-22mm, 전체 수직 길이가 65-73mm, 깃털의 수는 10-14개로 구성되고, 베이스 상부면과 깃털 사이의 기립각은 60°-69°, 총 중량은 2.1g-2.6g이며, 상기한 깃털은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깃털의 수는 10-14개이고 베이스와 접하는 면에 하부로 베이스에 고정되는 체결구가 일체로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좁은 실내 공간용 셔틀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깃털은 서로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종단은 파동모양을 갖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좁은 실내 공간용 셔틀콕.
KR2020090002627U 2009-03-09 2009-03-09 좁은 실내 공간용 셔틀콕 KR2004459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627U KR200445961Y1 (ko) 2009-03-09 2009-03-09 좁은 실내 공간용 셔틀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627U KR200445961Y1 (ko) 2009-03-09 2009-03-09 좁은 실내 공간용 셔틀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961Y1 true KR200445961Y1 (ko) 2009-09-10

Family

ID=43658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2627U KR200445961Y1 (ko) 2009-03-09 2009-03-09 좁은 실내 공간용 셔틀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9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639U (ko) * 2015-01-20 2016-07-28 사회복지법인 밀알복지재단 거실 패드민턴 세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2266A (en) * 1987-07-18 1989-01-25 Gosen Kk Control of shape of shuttle of shuttle cock
JPH09168619A (ja) * 1995-12-20 1997-06-30 Goosen:Kk シャトルコック
JP2007195861A (ja) 2006-01-30 2007-08-09 Mizuno Technics Kk シャトルコック
KR200442049Y1 (ko) 2008-07-14 2008-10-02 이지스 주식회사 배드민턴 셔틀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2266A (en) * 1987-07-18 1989-01-25 Gosen Kk Control of shape of shuttle of shuttle cock
JPH09168619A (ja) * 1995-12-20 1997-06-30 Goosen:Kk シャトルコック
JP2007195861A (ja) 2006-01-30 2007-08-09 Mizuno Technics Kk シャトルコック
KR200442049Y1 (ko) 2008-07-14 2008-10-02 이지스 주식회사 배드민턴 셔틀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639U (ko) * 2015-01-20 2016-07-28 사회복지법인 밀알복지재단 거실 패드민턴 세트
KR200484232Y1 (ko) * 2015-01-20 2017-08-16 사회복지법인 밀알복지재단 거실 패드민턴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70233A1 (en) Novelty and sport training projectile
US5018746A (en) Field game apparatus and method
US8216094B2 (en) Barrier ball game
KR200443747Y1 (ko) 좁은 실내 공간용 라켓
US6709353B1 (en) Racquet sport game and shuttlecock for use therewith
US4717155A (en) Ladle-ball racket
KR200445961Y1 (ko) 좁은 실내 공간용 셔틀콕
US10646763B2 (en) Training bat assembly
KR200442049Y1 (ko) 배드민턴 셔틀콕
US3865371A (en) Playing field with net and basket structure
US20020147062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batting practice and playing baseball
US4307882A (en) Ball game for indoor use
US6244980B1 (en) Throwing and hitting sports toy
US7104902B2 (en) Throw and catch game and method of playing same
US3709490A (en) Play, sports and training apparatus
JP2012533394A (ja) 狭い室内空間用ラケット競技セット
KR200447562Y1 (ko) 좁은 실내 공간용 라켓 경기의 셔틀콕
KR880002368B1 (ko) 테니스보올
US20220339512A1 (en) Method of Game Playing of Forehand Strike
US20180126242A1 (en) An Improved Tee for Ball Sports
US20220176217A1 (en) Game net and shuttlecock for your therewith
US20200360782A1 (en) SquareThrowing Game
US20160074727A1 (en) Sports Game
US20070142138A1 (en) Training article for throwing and catching
KR200421747Y1 (ko) 운동용 스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