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892Y1 - 블렌딩장치 - Google Patents

블렌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892Y1
KR200445892Y1 KR2020070016241U KR20070016241U KR200445892Y1 KR 200445892 Y1 KR200445892 Y1 KR 200445892Y1 KR 2020070016241 U KR2020070016241 U KR 2020070016241U KR 20070016241 U KR20070016241 U KR 20070016241U KR 200445892 Y1 KR200445892 Y1 KR 2004458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ending
container
space
uni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2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323U (ko
Inventor
김희택
Original Assignee
김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택 filed Critical 김희택
Priority to KR20200700162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892Y1/ko
Publication of KR200900033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3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8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8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05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2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블렌드를 판매하기 위한 블렌딩 제품을 생산하기에 적합한 블렌딩장치에 대한 것으로, 특히 음용하는 사람에게 공급하는 용기에 각종 재료를 넣고 직접 블렌딩장치로 블렌딩하게 되므로 블렌딩하는 용기를 세척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가능한 더 신속하게 블렌딩 된 제품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블렌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블렌딩장치는, 블렌딩용기(200)가 들어갈 수 있을 크기의 블렌딩 공간부(110)와, 이 블렌딩 공간부를 개폐하도록 전면에 갖춰진 도어(120)와, 선택적으로 조작을 위해 블렌딩 공간부의 주위에 조작부(130)가 갖춰진 본체(100)와; 상기 블렌딩 공간부(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블렌드 재료를 담은 블렌딩용기(200)를 올려놓고 상기 조작부(130)를 조작하면 작동신호를 받아 블렌딩 할 블렌딩용기(200)가 올려져 있는지 센서(350)가 이를 감지하여 블렌딩 할 블렌딩용기(200)가 있으면 실린더(310)를 작동시켜 블렌딩용기(200)를 블렌딩 공간부(110)의 상부로 이송시킨 후 일정시간 블렌딩이 완료되면 센서(350)가 역방향으로 작동하여 블렌딩 공간부(110)에서 블렌딩용기(200)를 인출할 수 있도록 작동되게 구성하는 블렌딩용기 승하강부(300)와; 상기 본체(100)의 내측 상부에 고정된 프레임(140)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블렌딩용기 승하강부(300)에서 블렌딩용기(200)가 상승하여 블렌딩용기밀폐뚜껑(430)과 밀착되면 이를 리미트스위치센서(460)가 감지하여 블렌딩되도록 모터(410)가 작동되고 일정시간 경과하면 모터의 작동이 완료되도록 한 블렌딩 부(400)를 포함한다.
블렌드, 용기, 블렌딩부

Description

블렌딩장치{BLENDING DEVICE}
본 고안은 블렌드를 판매하기 위한 블렌딩 제품을 생산하기에 적합한 블렌딩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용하는 사람에게 공급하는 용기에 각종 재료를 넣고 직접 블렌딩장치로 블렌딩하게 되므로 블렌딩하는 용기를 세척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가능한 더 신속하게 블렌딩 된 제품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블렌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렌드(Blend)라 하면 과일, 얼음, 알콜 등의 각종 재료를 넣고 섞어서 만든 음료를 말하는 것으로, 식당이나 선술집 등에서 널리 판매되고 있는 것이다.
종래의 블렌딩장치는 블렌드를 별도로 만들어서 용기로 적당량 담아서 공급하는 방식으로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종의 재료를 담을 수 있으면서 상부에는 뚜껑(21)이 결합되고 바닥에는 회전날(22)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블렌딩전용 용기(20)와, 이 블렌딩전용용기를 올려놓았을 때 상기한 회전날(22)이 구동될 수 있도록 모터(31)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30)이 받침대(11)에 의해 내장된 본체(1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블렌딩전용용기(20)에 다양한 재료를 넣고 모터(31)를 작동시켜 동력전달수단(30)을 매개로 회전날(22)이 회전하면서 블렌딩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렇게 블렌딩 된 음료를 음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블렌딩장치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날(2b)이 마련된 별도의 전용블렌딩용기(20)와, 이 용기에 맞는 뚜껑(21)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블렌딩된 블렌드를 소비자에게 공급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용블렌딩용기(20)에 블렌딩된 블렌드를 별도의 용기에 일정량 따라서 판매하게 되므로 블렌딩 할 때마다 별도의 용기에 블렌드를 따라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블렌딩을 할 때마다 전용블렌딩용기 및 뚜껑을 세척해야 하는 불편이 있어서 블렌딩 제품을 만들어 제공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 폐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음용하는 사람에게 공급하는 용기에 각종 재료를 넣고 직접 블렌딩장치로 블렌딩하게 되므로 블렌딩하는 용기를 세척할 필요가 없도록 한 블렌딩장치를 제공함에 제 1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다량의 블렌드를 가능한 더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블렌딩 장치를 제공함에 제 2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블렌딩장치는, 블렌딩용기가 들어갈 수 있을 크기의 블렌딩 공간부와, 이 블렌딩 공간부를 개폐하도록 전면에 갖춰진 도어와, 선택적으로 조작을 위해 블렌딩 공간부의 주위에 조작부가 갖춰진 본체와; 상기 본체(100)의 하부 소정위치에 고정된 실린더(310)와, 이 실린더에 의해 상기 블렌딩 공간부(110)의 상하로 이동되는 승하강하우징(320)과, 이 승하강하우징의 상부에서 끼워져 블렌딩용기(200)를 상부에 안착할 수 있도록 된 용기받침대하우징(330)과, 상기 승하강하우징에 지지되어 상기 용기받침대하우징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발부재(340)와, 상기 승하강하우징에 지지되어 탄발부재의 탄발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용기받침대하우징에 하중이 가해지면 이를 감지하도록 된 센서(350)와, 상기 용기받침대하우징(330)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승하강하우징(320)으로 끼워짐과 더불어 이 승하강하우징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너트(370)로 체결되는 가이드부(360)와, 상기 승하강하우징(320)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승하강하우징의 승강시 안내하도록 된 가이드봉(380)과,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된 프레임(141)에서 가이드봉이 빠지지 않도록 된 캡부재(390)를 포함하는 블렌딩용기 승하강부(300)와; 상기 본체의 내측 상부에 고정된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블렌딩용기 승하강부에서 블렌딩용기가 상승하여 블렌딩용기밀폐뚜껑과 밀착되면 이를 센서가 감지하여 블렌딩되도록 모터가 작동되고 일정시간 경과하면 모터의 작동이 완료되도록 한 블렌딩부를 포함한다.
삭제
본 고안의 블렌딩장치는, 상기 승하강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블렌딩용기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용기안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블렌딩장치는, 상기 블렌딩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 소정위치에 설치된 프레임에 고정된 모터와, 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의 하부에 설치된 회전날과, 상기 회전축에 중심이 끼워져 상하로 이동되도록 된 블렌딩용기밀폐뚜껑과, 상기 블렌딩용기밀폐뚜껑의 상부에 일체로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에 끼워져 상하로 안내되도록 된 복수의 안내핀과, 상기 안내핀에 끼워져 상기 프레임과 블렌딩용기밀폐뚜껑의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된 탄발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블렌딩용기밀폐뚜껑이 하부에서 상부로 압력이 가해지면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모터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리미트스위치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고안의 블렌딩장치는, 블렌딩용기가 들어갈 수 있을 크기의 블렌딩 공간부와, 이 블렌딩 공간부를 개폐하도록 전면에 갖춰진 도어와, 상기 블렌딩공간부의 상부에 조작부가 갖춰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조작부를 조 작하면 작동신호를 받아 본체에 고정된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안내되면서 실린더에 의해 상기 블렌딩 공간부로 일정길이 승.하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작부의 작동신호에 의해 블렌딩하도록 회전하며, 일정시간 회전이 완료되면 실린더의 승강으로 상기 블렌딩용기에서 빠져 블렌딩 공간부의 위쪽으로 빠져나가도록 상승하는 블렌딩부와, 상기 블렌딩 공간부의 하부에 블렌딩용기가 안착되어 블렌딩이 가능한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된 용기검출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블렌딩장치는, 상기 블렌딩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된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 고정된 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안내되는 이송판과, 상기 이송판의 소정위치에 고정된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에 고정설치된 회전날과, 상기 회전축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블렌딩용기밀폐뚜껑과, 상기 이송판에 수직으로 블렌딩용기밀폐뚜껑가 상하이동하도록 결합된 안내핀과, 상기 이송판과 블렌딩용기밀폐뚜껑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안내핀에 끼워진 스프링과, 상기 블렌딩용기밀폐뚜껑이 스프링의 압력에 대향하여 상부로 밀려올라 갈때 상기 모터에 회전신호를 보내도록 된 리미트스위치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블렌딩장치는, 상기 용기검출부는, 상기 블렌딩 공간부의 하부에 형성된 검출공간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용기받침과, 상기 용기받침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검출공간의 하부로 끼워진 가이드핀과, 상기 가이드핀을 수용하도록 상기 검출공간과 용기받침의 사이에 끼워진 스프링과, 상기 검출공간에 설 치되어 상기 용기받침에 일정 압력이상의 압력이 걸리는지 감지하여 일정한 조건에 도달하면 상기 모터에 작동신호를 보내도록 된 리미트스위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블렌딩장치는, 상기 본체에 적층된 블렌딩용기용 공급뚜껑을 공급하는 슈트가 상기 용기검출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상기 슈트로 공급된 블렌딩용기용 공급뚜껑을 인출할 수 있도록 된 뚜껑공급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블렌딩장치에 의하면, 음용하는 사람에게 공급하는 용기에 각종 재료를 넣고 직접 블렌딩장치로 블렌딩하게 되므로 블렌딩하는 용기를 세척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다량의 블렌드를 가능한 더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블렌딩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블렌딩용기가 상승하여 블렌딩되는 상태를 보인 설명도이다.
본 고안의 블렌딩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블렌딩용기(200) 가 들어갈 수 있을 크기의 블렌딩 공간부(110)와, 이 블렌딩 공간부를 개폐하도록 전면에 갖춰진 도어(120)와, 선택적으로 조작을 위해 블렌딩 공간부의 주위에 조작부(130)가 갖춰진 본체(100)와, 상기 블렌딩 공간부(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블렌드 재료를 담은 블렌딩용기(200)를 올려놓고 상기 조작부(130)를 조작하면 작동신호를 받아 블렌딩 할 블렌딩용기(200)가 올려져 있는지 센서(350)가 이를 감지하여 블렌딩 할 블렌딩용기(200)가 있으면 실린더(310)를 작동시켜 블렌딩용기(200)를 블렌딩 공간부(110)의 상부로 이송시킨 후 일정시간 블렌딩이 완료되면 센서(350)가 역방향으로 작동하여 블렌딩 공간부(110)에서 블렌딩용기(200)를 인출할 수 있도록 작동되게 구성하는 블렌딩용기 승하강부(300)와, 상기 본체(100)의 내측 상부에 고정된 프레임(140)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블렌딩용기 승하강부(300)에서 블렌딩용기(200)가 상승하여 블렌딩용기밀폐뚜껑과 밀착되면 이를 센서가 감지하여 블렌딩되도록 모터가 작동되고 일정시간 경과하면 모터의 작동이 완료되도록 한 블렌딩부(40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블렌딩용기 승하강부(300)는, 상기 본체(100)의 하부 소정위치에 고정된 실린더(310)와, 이 실린더에 의해 상기 블렌딩 공간부(110)의 상하로 이동되는 승하강하우징(320)과, 이 승하강하우징의 상부에서 끼워져 블렌딩용기(200)를 상부에 안착할 수있도록 된 용기받침대하우징(330)과, 상기 승하강하우징에 지지되어 상기 용기받침대하우징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발부재(340)와, 상기 승하강하우징에 지지되어 탄발부재의 탄발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용기받침대하우징에 하중이 가해지면 이를 감지하도록 된 센서(350)와, 상기 용기받침대하우징(330)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승하강하우징(320)으로 끼워짐과 더불어 이 승하강하우징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너트(370)로 체결되는 가이드부(360)와, 상기 승하강하우징(320)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승하강하우징의 승강시 안내하도록 된 가이드봉(380)과,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된 프레임(141)에서 가이드봉이 빠지지 않도록 된 캡부재(390)를 포함한다.
상기 승하강하우징(320)의 상부에는 상기 블렌딩용기(200)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용기안착부(33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안착부(331)는 본 실시예에서는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승하강하우징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블렌딩부(4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부 소정위치에 설치된 프레임(140)에 고정된 모터(410)와, 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411)의 하부에 설치된 회전날(420)과, 상기 회전축(411)에 중심이 끼워져 상하로 이동되도록 된 블렌딩용기밀폐뚜껑(430)과, 상기 블렌딩용기밀폐뚜껑(430)의 상부에 일체로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140)에 끼워져 상하로 안내되도록 된 복수의 안내핀(440)과, 상기 안내핀에 끼워져 상기 프레임(140)과 블렌딩용기밀폐뚜껑(430)의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된 탄발부재(450)와, 상기 프레임(14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블렌딩용기밀폐뚜껑(430)이 하부에서 상부로 압력이 가해지면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모터(41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리미트스위치센서(460)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블렌딩용기(200)가 상기 블렌딩용기 승하강부(300)의 승강에 의해 도 2와 같이 상승하면 상기 블렌딩용기밀폐뚜껑(430)을 상부로 가압하면서 밀착 되고, 이때 상기 리미트스위치센서(460)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모터(410)의 작동신호를 보내게 되면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서 일정시간동안 모터를 회전하도록 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상기 모터(410)는 정지하고 상기 블렌딩용기 승하강부(300)는 상기 실린더(310)에 작동신호를 보내어 도 1과 같이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실린더(310)에 의해 도 1의 상태와 같이 블렌딩용기(200)가 하강하게 되면 본체(100)의 블렌딩 공간부(110)의 전면에 설치된 도어(120)를 열어서 블렌딩용기(200)를 꺼내어 간단히 음용하게 된다.
한편 미설명부호 190은 용기유무확인센서로서, 용기가 있을 경우에는 이를 용기유무확인세서가 감지하여 상기 블렌딩용기 승하강부(300)와 블렌딩부(400)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신호를 제어부에 보내게 되지만, 용가가 없는 경우에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블렌딩용기 승하강부(300)와 블렌딩부(400)의 작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신호를 제어부에 보내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2실시예에 따른 블렌딩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블렌딩용기(200)가 들어갈 수 있을 크기의 블렌딩 공간부(110)와, 이 블렌딩 공간부를 개폐하도록 전면에 갖춰진 도어(120)와, 상기 블렌딩공간부(110)의 상부에 조작부(130)가 갖춰진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조작부(130)를 조작하면 작동신호를 받아 본체(100)에 고정된 프레임(140)에 의해 지지되어 안내되면서 실린더(151)에 의해 상기 블렌딩 공간부(110)로 일정길이 승.하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작부(130)의 작동신호에 의해 블렌딩하도록 회전하며, 일정시간 회전이 완료되면 실린더(151)의 승강으로 상기 블렌딩용기(200)에서 빠져 블렌딩 공간부(110)의 위쪽으로 빠져나가도록 상승하는 블렌딩부(150)와, 상기 블렌딩 공간부의 하부에 블렌딩용기(200)가 안착되어 블렌딩이 가능한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된 용기검출부(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블렌딩 공간부(110)의 후방에는 블렌딩용기(200)가 뒷쪽과 좌우측으로 쉽게 넘어가지 않도록 용기받침구(112)가 돌출되어 설치되고, 후방 하부에는 배출구(113)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120)는 내부를 볼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작부(130)는 공급되는 재료에 따라 믹싱 속도와 시간을 선택하도록 구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블렌딩부(150)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고정된 프레임(140)에 의해 지지되는 가이드부(152)와,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고,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고정된 실린더(151)의 로드(151a)에 의해 되어 상하로 안내되는 이송판(153)과, 상기 이송판의 소정위치에 고정된 모터(154)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155)과,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에 고정설치된 회전날(156)과, 상기 회전축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블렌딩용기밀폐뚜껑(157)과, 상기 이송판에 수직으로 블렌딩용기밀폐뚜껑가 상하이동하도록 결합된 안내핀(158)과, 상기 이송판과 블렌딩용기밀폐뚜껑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안내핀에 끼워진 스프링(159)과, 상기 블렌딩용기밀폐뚜껑이 스프링의 압력에 대향하여 상부로 밀려올라 갈때 상기 모터에 회전신호를 보내도록 된 리미트스위치센서(150a)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용기검출부(160)는, 상기 블렌딩 공간부(110)의 하부에 형성된 검출공간(11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용기받침(162)과, 상기 용기받침(162)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검출공간(111)의 하부로 끼워진 가이드핀(163)과, 상기 가이드핀(163)을 수용하도록 상기 검출공간(111)과 용기받침(162)의 사이에 끼워진 스프링(164)과, 상기 검출공간(111)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받침(162)에 일정 압력이상의 압력이 걸리는지 감지하여 일정한 조건에 도달하면 상기 모터(154)에 작동신호를 보내도록 된 리미트스위치(16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미설명부호 157a는 상기 블렌딩용기밀폐뚜껑(157)과 회전축(155)의 사이에 실링을 위해 상기 블렌딩용기밀폐뚜껑(157)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끼워져 안착되는 실링이고, 180은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구비된 광고부이다.
한편 상기 블렌딩부(150)는 블렌딩공간부(110)의 상부에 고정되고, 용기검출부(160)가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하면서 블렌딩용기(200)의 내부에 수용된 재료를 블렌딩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의 블렌딩장치의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본체(100)에 적층된 블렌딩용기용 공급뚜껑(201)을 공급하는 슈트(170)가 상기 용기검출부(16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상기 슈트(170)로 공급된 블렌딩용기용 공급뚜껑(201)을 인출할 수 있도록 된 뚜껑공급부(171)가 형 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블렌딩을 하기 위해서는 상기 블렌딩용기(200)에 각종 재료를 넣고 상기 블렌딩공간부(110)의 용기검출부(160)를 구성하는 용기받침(162)에 올려 놓고, 상기 조작부(130)에서 해당하는 재료를 선택하게 되면,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서 상기 실린더(151)의 작동 신호를 보내어 로드(151a)가 신장되면서 이송판(153)를 가이드부(152)의 안내를 받으면서 일정길이 하강시킨다.
이때 상기 이송판(153)에 탄력적으로 설치된 블렌딩용기필폐뚜껑(157)이 상기 블렌딩용기(200)를 일정압력으로 가압하며 밀폐되면, 상기 리미트스위치센서(150a)와 리미트스위치(161)가 온(ON)되면서 상기 모터(154)를 작동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회전축(155)가 회전하면서 회전날(156)에 의해 재료가 믹싱되어 블렌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상기 모터(154)의 작동이 멈추고 상기 실린더(151)에 승강신호가 보내지면 상기 로드(151a)가 신축되면서 이송판(153)을 가이드부(152)의 안내를 받으면서 일정길이 상승시키게 된다.
한편 상승전에 상기 블렌딩용기밀폐뚜껑(157)를 물을 분사하는 세척수단에 의해 일정시간 세척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세척수는 상기 블렌딩공간부(110)의 배출구(113)로 배출되면 된다.
또한 상기 뚜껑공급부(171)로는 상기 블렌딩용기용 공급뚜껑(201)이 공급되므로 상기 블렌딩공급부(110)에서 인출한 블렌딩용기(200)의 상부에 결합하여 이동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렌딩을 반복적으로 실시하면서 블렌드를 먹고자 하는 소비자에게 블렌딩된 블렌딩용기(200)를 공급이 가능하게 되므로 단시간에 많은 제품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블렌딩용기(200)를 소비자에게 직접 주는 방식이므로 상기 블렌딩용기(200)를 세척하지 않아도 되어 블렌드의 공급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을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블렌딩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블렌딩용기이 상승하여 블렌딩되는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3은 본 고안의 2실시예에 따른 블렌딩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용기투출구로 용기가 투입된 상태에서 블렌딩 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도 3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블렌딩장치가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전체사시도,
도 7은 종래의 블렌딩장치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본체 110 : 블렌딩공간부
111 : 검출공간 112 : 용기받침구
113 : 배출구 120 : 도어
130 : 조작부 140 : 프레임
150 : 블렌딩부 150a : 리미트스위치센서
151 : 실린더 152 : 가이드부
153 : 이송판 154 : 모터
155 : 회전축 156 : 회전날
157 : 블렌딩용기밀폐뚜껑 157a : 실링
158 : 안내핀 159 : 스프링
160 : 용기검출부 161 : 리미트스위치
162 : 용기받침 163 : 가이드핀
164 : 스프링 170 : 슈트
171 : 뚜껑공급부 180 : 광고부
200 : 블렌딩용기 201 : 블렌딩용기용 공급뚜껑
300 : 블렌딩용기 승하강부 310 : 실린더
320 : 승하강하우징 330 : 용기받침대하우징
340 : 탄발부재 350 : 센서
360 : 가이드부 370 : 너트
380 : 가이드봉 390 : 캡부재
400 : 블렌딩부 410 : 모터
420 : 회전날 430 : 블렌딩용기밀폐뚜껑
440 : 안내핀 450 : 탄발부재

Claims (8)

  1. 블렌딩용기(200)가 들어갈 수 있을 크기의 블렌딩 공간부(110)와, 이 블렌딩 공간부를 개폐하도록 전면에 갖춰진 도어(120)와, 선택적으로 조작을 위해 블렌딩 공간부의 주위에 조작부(130)가 갖춰진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하부 소정위치에 고정된 실린더(310)와, 이 실린더에 의해 상기 블렌딩 공간부(110)의 상하로 이동되는 승하강하우징(320)과, 이 승하강하우징의 상부에서 끼워져 블렌딩용기(200)를 상부에 안착할 수 있도록 된 용기받침대하우징(330)과, 상기 승하강하우징에 지지되어 상기 용기받침대하우징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발부재(340)와, 상기 승하강하우징에 지지되어 탄발부재의 탄발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용기받침대하우징에 하중이 가해지면 이를 감지하도록 된 센서(350)와, 상기 용기받침대하우징(330)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승하강하우징(320)으로 끼워짐과 더불어 이 승하강하우징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너트(370)로 체결되는 가이드부(360)와, 상기 승하강하우징(320)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승하강하우징의 승강시 안내하도록 된 가이드봉(380)과,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된 프레임(141)에서 가이드봉이 빠지지 않도록 된 캡부재(390)를 포함하는 블렌딩용기 승하강부(300)와;
    상기 본체(100)의 내측 상부에 고정된 프레임(140)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블렌딩용기 승하강부(300)에서 블렌딩용기(200)가 상승하여 블렌딩용기밀폐뚜껑(430)과 밀착되면 이를 리미트스위치센서(460)가 감지하여 블렌딩되도록 모터(410)가 작동되고 일정시간 경과하면 모터의 작동이 완료되도록 한 블렌딩부(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딩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하우징(320)의 상부에는 상기 블렌딩용기(200)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용기안착부(33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렌딩부(4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부 소정위치에 설치된 프레임(140)에 고정된 모터(410)와, 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411)의 하부에 설치된 회전날(420)과, 상기 회전축(411)에 중심이 끼워져 상하로 이동되도록 된 블렌딩용기밀폐뚜껑(430)과, 상기 블렌딩용기밀폐뚜껑(430)의 상부에 일체로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140)에 끼워져 상하로 안내되도록 된 복수의 안내핀(440)과, 상기 안내핀에 끼워져 상기 프레임(140)과 블렌딩용기밀폐뚜껑(430)의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된 탄발부재(450)와, 상기 프레임(14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블렌딩용기밀폐뚜껑(430)이 하부에서 상부로 압력이 가해지면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모터(41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리미트스위치센서(4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딩장치.
  5. 삭제
  6. 블렌딩용기(200)이 들어갈 수 있을 크기의 블렌딩 공간부(110)와, 이 블렌딩 공간부를 개폐하도록 전면에 갖춰진 도어(120)와, 상기 블렌딩공간부(110)의 상부에 조작부(130)가 갖춰진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조작부(130)를 조작하면 작동신호를 받아 본체(100)에 고정된 프레임(140)에 의해 지지되어 안내되면서 실린더(151)에 의해 상기 블렌딩 공간부(110)로 일정길이 승.하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작부(130)의 작동신호에 의해 블렌딩하도록 회전하며, 일정시간 회전이 완료되면 실린더(151)의 승강으로 상기 블렌딩용기(200)에서 빠져 블렌딩 공간부(110)의 위쪽으로 빠져나가도록 상승하는 블렌딩부(150)와, 상기 블렌딩 공간부의 하부에 블렌딩용기(200)가 안착되어 블렌딩이 가능한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된 용기검출부(160)를 포함하며,
    상기 블렌딩부(150)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고정된 프레임(140)에 의해 지지되는 가이드부(152)와,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고,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고정된 실린더(151)에 의해 되어 상하로 안내되는 이송판(153)과, 상기 이송판의 소정위치에 고정된 모터(154)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155)과,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에 고정설치된 회전날(156)과, 상기 회전축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블렌딩용기밀폐뚜껑(157)과, 상기 이송판에 수직으로 블렌딩용기밀폐뚜껑가 상하이동하도록 결합된 안내핀(158)과, 상기 이송판과 블렌딩용기밀폐뚜껑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안내핀에 끼워진 스프링(159)과, 상기 블렌딩용기밀폐뚜껑이 스프링의 압력에 대향하여 상부로 밀려올라 갈때 상기 모터에 회전신호를 보내도록 된 리미트스위치센서(150a)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딩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검출부(160)는, 상기 블렌딩 공간부(110)의 하부에 형성된 검출공간(11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용기받침(162)과,
    상기 용기받침(162)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검출공간(111)의 하부로 끼워진 가이드핀(163)과,
    상기 가이드핀(163)을 수용하도록 상기 검출공간(111)과 용기받침(162)의 사이에 끼워진 스프링(164)과,
    상기 검출공간(111)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받침(162)에 일정 압력이상의 압력이 걸리는지 감지하여 일정한 조건에 도달하면 상기 모터(154)에 작동신호를 보내도록 된 리미트스위치(16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딩장치.
  8. 제 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에 적층된 블렌딩용기용 공급뚜껑(201)을 공급하는 슈트(170)가 상기 용기검출부(16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상기 슈트(170)로 공급된 블렌딩용기용 공급뚜껑(201)을 인출할 수 있도록 된 뚜껑공급부(17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딩장치.
KR2020070016241U 2007-10-05 2007-10-05 블렌딩장치 KR2004458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241U KR200445892Y1 (ko) 2007-10-05 2007-10-05 블렌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241U KR200445892Y1 (ko) 2007-10-05 2007-10-05 블렌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323U KR20090003323U (ko) 2009-04-09
KR200445892Y1 true KR200445892Y1 (ko) 2009-09-10

Family

ID=41320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6241U KR200445892Y1 (ko) 2007-10-05 2007-10-05 블렌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89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603B1 (ko) * 2017-07-28 2019-04-01 엘에프피 주식회사 고분자 복합소재를 제조하기 위한 교반장치
WO2021178956A1 (en) * 2020-03-06 2021-09-10 Smoodi, Inc. Self-cleaning automated blended drink mach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0162A (ja) * 1994-02-03 1995-08-18 Fuji Electric Co Ltd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の原料撹拌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0162A (ja) * 1994-02-03 1995-08-18 Fuji Electric Co Ltd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の原料撹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323U (ko) 200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5358B2 (en) Automated mix in-cup apparatus and the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5148691B2 (ja) 飲料調整用機械における改良、または、飲料調整用機械に関連する改良
US20160324358A1 (en) Devices and methods to disintegrate foods
JP5450152B2 (ja) 飲料製造装置
CN103841866A (zh) 组合式榨汁机搅拌机
JP2010505583A (ja) 無人自動炊飯装置
CN101534687A (zh) 用于形成饮料的方法和装置
CN100396218C (zh) 翻盖型整果榨汁机
KR200445892Y1 (ko) 블렌딩장치
JP5537987B2 (ja) ミルクフォーマー及び飲料製造装置
CN201958677U (zh) 手持式搅拌机的制动结构
KR102142147B1 (ko) 발효 장치
US20220274822A1 (en) Beverage dispensing machine and pouch for use with beverage dispensing machine
JP2003085641A (ja) 飲料製造方法および飲料製造装置
JP5595752B2 (ja) 飲料製造装置
KR102128695B1 (ko) 원 컵 블렌더
CN210783973U (zh) 折叠式胶囊咖啡机
CN217180191U (zh) 一种麻醉科用药品检测器
CN219048051U (zh) 烹饪设备
TWI466649B (zh) 渣汁分離機
CN213664847U (zh) 饮品机
JP2011167395A (ja) 飲料製造装置
CN109414124B (zh) 自动果汁压榨机及制备压榨饮料的方法
WO2023107747A2 (en) Beverage dispensing machine and pouch for use with beverage dispensing machine
CN118000280A (zh) 一种饮品制造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