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763Y1 - 부유물 제거 장치가 구비된 조리 용기 - Google Patents

부유물 제거 장치가 구비된 조리 용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763Y1
KR200445763Y1 KR2020070013615U KR20070013615U KR200445763Y1 KR 200445763 Y1 KR200445763 Y1 KR 200445763Y1 KR 2020070013615 U KR2020070013615 U KR 2020070013615U KR 20070013615 U KR20070013615 U KR 20070013615U KR 200445763 Y1 KR200445763 Y1 KR 2004457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cooking
container
outside ai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36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1640U (ko
Inventor
장용옥
Original Assignee
장용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옥 filed Critical 장용옥
Priority to KR2020070013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763Y1/ko
Publication of KR200900016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6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7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7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부유물 제거 장치가 구비된 조리 용기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조리 용기는 조리 대상물에 대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외기; 및 상기 외기의 내부에 상기 조리 대상물에 대한 수용 공간과 독립된 공간을 이루어, 상기 조리 대상물에 대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유물이 수용되는 부유물 수용부;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조리 용기에 의하면, 용기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그 조리 과정에서 형성되는 부유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부유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구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부유물 제거 장치가 구비된 조리 용기{Cooking vessel comprising floating matters removing apparatus}
본 고안은 조리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조리 대상물에 대한 조리 시에 부유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서, 편리성이 향상된 부유물 제거 장치가 구비된 조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 용기는 그 내부에 조리 대상물인 음식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가진 것이다. 상기 조리 용기의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된 후, 외부 열원에서 열이 가해지면, 상기 조리 용기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이 조리된다.
이러한 조리 용기를 이용하여 국물, 육수가 이용되는 조리 대상물, 예를 들어 전골류, 국, 찌개, 탕, 특히 기름이 많은 돼지고기 샤브샤브 등의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 음식물 찌꺼기, 조리 대상물인 고기에서 배출되는 동물성 지방 등의 부유물이 조리 용기 내의 국물 표면에 부유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부유물은 조리 대상물의 맛을 변화시키거나, 시각적으로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고, 음용 시에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는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리 대상물에 발생되는 부유물은 제거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국자 등의 조리 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부유물을 일일이 제거하거나, 조리 도중 국물, 육수 등을 교환하는 등의 방식으로 상기 부유물에 대한 문제를 해소하여야 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작업자에게 번거로움을 초래할 수 있고, 음식물의 맛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시각적, 위생적으로 좋지 아니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내부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의 변화를 최소화하면서, 조리 도중 부유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편리한 조리 용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기름이 많은 돼지고기 샤브샤브는 그러한 부유물로 인해 대중화가 곤란하였는데,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조리 용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용기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그 조리 과정에서 형성되는 부유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조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리 용기의 다른 목적은 부유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구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조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리 용기는 조리 대상물에 대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외기; 및 상기 외기의 내부에 상기 조리 대상물에 대한 수용 공간과 독립된 공간을 이루어, 상기 조리 대상물에 대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유물이 수용되는 부유물 수용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리 용기에 의하면, 조리 용기에서, 조리 대상물이 외기 내의 수용 공간에 수용되고, 부유물이 외기 내에 형성된 부유물 수용부에 수용된다. 그러면, 조리 대상물에서 발생되는 부유물이 연통 홀을 통해 부유물 수용부로 수용되어, 효과적으로 제거되면서도, 외부에서 전달되는 열이 외기에 전체적으로 전달될 수 있어서, 외기 내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이 보다 효율적으로 가열될 수 있고, 조리에 소용되는 에너지가 감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조리 과정에서 부유물 제거를 위한 별도의 조치가 필요치 아니하여 편리하고, 기름 등의 부유물이 외부로 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리 용기에 의하면, 외기와, 부유물 수용부의 높이가 소정 높이만큼 차이가 나도록, 부유물 수용부가 낮게 형성된다. 그러면, 조리 과정에서 외기 내의 공간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 표면에 부유하는 음식물 찌꺼기, 동물성 지방 등의 부유물이 제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부유물의 제거는 외기 내의 수용 공간에 물, 국물, 육수 등 부유물보다 비중이 큰 물질을 추가적으로 더 부여함으로써, 외기 내의 내용물과, 부유물의 비중차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리 용기에 의하면, 격벽이 부유물 수용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형상을 이룬다. 그러면, 조리 과정에서 조리 용기에 열이 가해질 때, 격벽이 외기 및 부유물 수용부 사이의 상대적으로 짧은 구간에 형성되고, 상호 대칭되는 형상을 이룸으로써, 거의 유사한 패턴으로 열팽창 또는 수축하게 된다. 따라서, 격벽 또는 격벽과 외기 사이의 연결부에서의 균열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조리 용기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격벽이 형성됨에 따라, 외기 내의 수용 공간은 두 부분으로 구획되고, 연통 홀은 상기 구획된 일 측 공간과만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면, 연통 홀과 연통된 공간에는 상대적으로 기름 등의 부유물 발생량이 많은 고기류 등이 수용될 수 있고, 타측 공간에는 상대적으로 부유물 발생량이 적은 야채류 등이 수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리 용기에 의하면, 부유물 수용통이 조리 용기와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는 물품으로, 조리 용기에 대해 교체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조리 중 발생되는 부유물이 부유물 수용통에 수용될 수 있고, 부유물이 부유물 수용통의 한계 용량만큼 유입되면, 사용자가 부유물 수용통을 제거하고, 다른 빈 부유물 수용통을 부유물 수용부에 설치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조리 중 발생되는 부유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조리를 중단하는 등의 불편이나, 부유물을 국자 등으로 제거할 때의 위험 등을 초래하지 아니하면서, 장시간의 조리 과정 중 발생되는 부유물을 지속적으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를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를 보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를 보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를 보이는 수직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에 적용되는 부유물 수용통을 보이는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서 부유물 수용통이 설치된 조리 용기를 보이는 수직 단면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조리 용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100)는 조리 대상물을 수용하여, 그에 대한 조리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기(110)와, 부유물 수용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외기(110)는 상단이 개방된 형태의 그릇으로, 소정 직경의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외기(110)의 내부에는 조리 대상물인 음식물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외기(110)는 상기 부유물 수용부(120)를 내부에 수용한다. 상기 외기(110)는 상기 부유물 수용부(120)에 비해 그 크기가 더 크게, 예를 들어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외기(110)와, 상기 부유물 수용부(120) 사이에는 조리 대상물인 음식물의 수용 공간(111)이 형성된다. 상기 조리 대상물은 국물, 육수 등의 수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기(110)에는 상기 조리 용기(100)에 대한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113)가 형성될 수 있다. 파지의 용이를 위하여, 상기 손잡이(113)는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유물 수용부(120)는 상기 외기(110)의 내부, 예를 들어 상기 외기(110)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다. 상기 부유물 수용부(120)는 상기 외기(110)의 바닥면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된 형상을 이룬다. 그러면, 상기 부유물 수용부(120)에는 상기 외기(110)의 수용 공간(111)으로부터 그 내부의 부유물 수용 공간(123)을 공간적으로 구획하는 내벽(121)과, 상기 내벽(121)의 상단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상단턱(122)이 형성된다. 상기 내벽(121)은 상기 부유물 수용 공간(123)을 상기 외기(110)의 수용 공간(111)으로부터 공간적으로 독립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내벽(121)의 높이는 상기 외기(110)의 높이보다 소정 높이만큼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벽(121)에는 연통 홀(124)이 형성된다. 상기 연통 홀(124)은 상기 내벽(121)을 따라 다수 개가 일정 간격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통 홀(124)의 높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기(110)의 높이보다 소정 높이(H1)만큼 낮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외기(110)의 수용 공간(111)에 수용된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유물이 상기 연통 홀(124)을 통해 상기 부유물 수용 공간(123)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외기(110) 내의 수용 공간(111)에 수용되는 조리 대상물이 조리 과정에서 상기 부유물 수용부(120)를 넘어 넘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기(110) 내에 조리 대상물보다 비중이 더 큰 물질을 더 부가하여, 그 비중차에 의해 조리 대상물 표면의 부유물을 상기 연통 홀(124)을 통해 상기 부유물 수용부(120)로 넘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외기(110)와, 상기 부유물 수용부(120) 사이의 공간(111)에는 상기와 같이 조리 과정에서 상기 외기(110)에서 넘치는 조리 대상물이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리 용기(100)에서, 조리 대상물이 상기 외기(110) 내의 수용 공간(111)에 수용되고, 부유물이 상기 외기(110) 내에 형성된 부유물 수용부(120)에 수용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조리 대상물에서 발생되는 부유물이 상기 연통 홀(124)을 통해 상기 부유물 수용부(120)로 수용되어, 효과적으로 제거되면서도, 외부에서 전달되는 열이 상기 외기(110)에 전체적으로 전달될 수 있어서, 상기 외기(110) 내의 수용 공간(111)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이 보다 효율적으로 가열될 수 있고, 조리에 소용되는 에너지가 감소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조리 과정에서 부유물 제거를 위한 별도의 조치가 필요치 아니하여 편리하고, 기름 등의 부유물이 외부로 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외기(110)와, 상기 부유물 수용부(120)의 높이가 소정 높이만큼 차이가 나도록, 상기 부유물 수용부(120)가 낮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조리 과정에서 상기 외기(110) 내의 공간(111)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 표면에 부유하는 음식물 찌꺼기, 동물성 지방 등의 부유물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부유물의 제거는 상기 외기(110) 내의 수용 공간(111)에 물, 국물, 육수 등 상기 부유물보다 비중이 큰 물질을 추가적으로 더 부여함으로써, 상기 외기(110) 내의 내용물과, 상기 부유물의 비중차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외기(110)의 상단부는 외측 방향으로 소정 곡률로 만곡된 만곡부(112)이다. 상기 만곡부(112)가 상기 외기(110)의 외측 방향으로 만곡됨으로써, 상기 만곡부(112)에 의해 상기 외기(110)는 그 상단부가 펼쳐진 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상기 조리 용기(100) 외부로 조리 대상물이 튀는 현상 등이 신뢰성있게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외기(110)와, 상기 부유물 수용부(120) 중 적어도 하나는 금속, 석재 또는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외기(110)와, 상기 부유물 수용부(120) 중 적어도 하나는 질그릇, 오지그릇 등의 옹기(甕器)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기(110)와, 상기 부유물 수용부(120)의 적어도 하나는 황토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조리 대상물 중 육류, 특히 돼지 고기의 냄새가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고, 육질이 더욱 부드러워진다.
그 제조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외기(110)와, 상기 부유물 수용부(120)는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상단턱(122)은 상기 내벽(121)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그 외측으로 연장된다. 그러면, 상기 외기(110) 내의 음식물이 끓을 때, 상기 외기(110) 내의 음식물이 상기 상단턱(122)에 걸려, 상기 부유물 수용부(120)로 임의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단턱(122)은 상기 외기(110) 내에서 조리된 조리 대상물을 얹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조리 대상물 중 육류는 장시간 끓일 경우 그 맛과 부드러움이 변할 수 있으므로, 조리된 후 육수 등으로부터 꺼내어야 한다. 이러한 조리된 육류를 일반적인 외부 식기류 등에 놓을 경우 육류가 식어서 굳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단턱(122)에 조리된 육류를 얹음으로써, 육류에 보온이 가능할 정도의 적절한 열이 가해져서 육류가 식지 않으면서도, 장시간 끓일 경우의 맛과 부드러움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부유물 수용부(120)와 상기 외기(110)의 연결부 부근, 상세히는 상기 연결부의 상기 부유물 수용부(120)의 외벽 부근이 상기 조리 용기(100)에 대한 외부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열점이 형성되면, 상기 부유물 수용부(120)와 상기 외기(110)의 연결부 부근에서 상기 부유물 수용부(120)가 먼저 끓게 되어, 그로부터 상기 부유물 수용부(120)의 외벽을 타고 상승 대류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승 대류를 타고 부유물이 상기 연통 홀(124)을 통해 보다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부유물 수용부(120)의 저면은 하측으로 함몰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부유물 수용부(120)의 수용 용량이 증대되어, 조리 중 부유물 수용부(120)에 부유물이 수용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지만, 상기 조리 용기(100)를 덮는 덮개가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100)에서 부유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외기(110)의 내부 수용 공간(111)에 조리 대상물을 넣는다.
그 후, 상기 조리 용기(100)의 외부에서 상기 조리 용기(100)에 열을 가하여, 조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조리 과정에서, 상기 외기(110) 내부의 조리 대상물의 표면에 음식물 찌꺼기, 동물성 지방 등의 부유물이 부유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부유물 제거를 위하여, 상기 외기(110)의 조리 대상물에 국물, 육수 등 상기 조리 대상물보다 비중이 더 큰 물질을 추가적으로 더 넣는다. 상기 추가적인 물질은 상기 외기(110)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의 일종이거나, 그러한 조리 대상물에 적합한 국물, 육수, 물 등의 액체일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외기(110) 내의 조리 대상물의 맛의 변화 등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외기(110)에 상기 추가적인 물질이 투입되면, 상기 외기(110) 내부의 조리 대상물의 수위가 상승하게 되고, 그에 따라 조리 대상물의 표면에 부유한 부유물의 수위도 상승하게 된다. 그러한 상승에 의해, 상기 부유물의 수위가 상기 부유물 수용부(120)의 연통 홀(124)의 높이를 넘게 되면, 상기 부유물은 상기 연통 홀(124)을 통해 상기 부유물 수용부(120)로 유입되어, 그 내부에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 외기(110) 내에서 가열된 육수 등보다 새로 투입된 육수 등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이므로, 육수 등의 투입에 의해 부유물이 순간적으로 응고될 수 있다. 이러한 순간적으로 응고된 부유물이 상기 연통 홀(124)을 통해 상기 부유물 수용부(120)로 유입됨으로써, 부유물 제거 과정이 외부에서 용이하게 관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리 용기(100)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유물과, 상기 외기(110) 내의 조리 대상물의 비중차를 이용하여 조리 대상물에서 부유물을 제거함으로써, 조리 대상물에 시각적, 위생적인 문제를 발생시키지 아니하고, 조리 대상물의 맛을 변화시키지 아니하면서도, 그러한 부유물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제 1 실시예에서 기술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외기(210) 내부에 부유물 수용부(2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부유물 수용부(220)의 내벽(221)으로부터 상기 외기(210)까지 격벽(231, 232)이 형성된다.
상기 격벽(231, 232)은 상기 부유물 수용부(220)를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는 형상을 이룬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칭되는 물결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조리 과정에서 상기 조리 용기(100)에 열이 가해질 때, 상기 격벽(231, 232)이 상기 외기(210) 및 상기 부유물 수용부(220) 사이의 상대적으로 짧은 구간에 형성되고, 상호 대칭되는 형상을 이룸으로써, 거의 유사한 패턴으로 열팽창 또는 수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격벽(231, 232) 또는 상기 격벽(231, 232)과 상기 외기(210) 사이의 연결부에서의 균열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조리 용기(1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격벽(231, 232)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외기(210) 내의 수용 공간(211)은 두 부분으로 구획된다. 연통 홀(224)은 상기 구획된 일 측 공간과만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연통 홀(224)과 연통된 공간에는 상대적으로 기름 등의 부유물 발생량이 많은 고기류 등이 수용될 수 있고, 타측 공간에는 상대적으로 부유물 발생량이 적은 야채류 등이 수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부유물 수용부(320)의 내벽(321)의 상단에 연통 홈(324)이 형성된다. 상기 연통 홈(324)을 통해 외기(310) 내에서 발생된 부유물이 상기 부유물 수용부(32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연통 홈(324)은 일측, 예를 들어 그 상단이 개방된 형상을 이룸으로써, 청소 도구의 접근성이 개선되어, 청소가 용이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외기(410)의 일측 벽에서 타측 벽까지 연장되는 형상의 격벽(421, 423)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격벽(421, 423) 사이에는 보다 넓은 공간의 부유물 수용부(420)가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를 보이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부유물 수용부(520)의 바닥면에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 홀(530)이 형성된다. 그러면, 외기(510)에서 발생되어 연통 홀(524)을 통해 상기 부유물 수용부(520)로 유입된 부유물이 상기 배출 홀(5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상기 부유물 수용부(520)의 용량을 크게 하지 아니하고도,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유물을 지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부유물 수용부(520)의 감소된 용량만큼, 상기 조리 용기(500)의 조리 용량이 증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배출 홀(530)을 막는 마개(540)가 착탈식으로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에 적용되는 부유물 수용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서 부유물 수용통이 설치된 조리 용기를 보이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조리 용기(100)의 부유물 수용부(120)에 부유물 수용통(600)이 설치된다. 상기 부유물 수용통(600)은 상기 조리 용기(100)와 독립된 물품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부유물 수용부(120)에 착탈될 수 있다.
상기 부유물 수용통(600)은 수용통 저장부(620)와, 수용통 덮개(610)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통 저장부(620)에는 수용통 홀(622)이 형성되어, 부유물이 상기 수용통 홀(622)을 통해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수용통 홀(622)은 상기 부유물 수용부(120)의 연통 홀(124)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고, 부유물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연통 홀(124)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소정 높이만큼 약간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통 덮개(610)는 상기 수용통 저장부(620)에 힌지(61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통 덮개(610)가 상기 수용통 저장부(6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별도의 고정 수단, 예를 들어 결합 후크 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통 덮개(61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용통 저장부(620)에 수용된 부유물이 외부에서 인지되지 아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통 저장부(620)에 수용된 부유물에 의해 사용자에게 유발될 수 있는 불쾌감을 제거할 수 있고, 상기 부유물 수용통(600)을 이동시킬 때 내부에 수용된 부유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용통 저장부(620)에 수용된 부유물의 양을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통 덮개(610)의 일부에는 투명창(61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통 덮개(610)에는 파지 용이를 위한 손잡이(61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통 저장부(620)의 상단부에는 상단턱(621)이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부유물 수용부(120)의 상단턱(122), 상기 수용통 저장부(620)의 상단턱(621) 및 상기 수용통 덮개(610)가 조리된 음식물이 얹힐 수 있는 보다 넓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용통 덮개(610)와, 상기 수용통 저장부(620)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조리 용기(100)와 동일한 재질, 예를 들어 황토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부유물 수용통(600)은 상기 조리 용기(100)와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는 물품으로, 상기 조리 용기(100)에 대해 교체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조리 중 발생되는 부유물이 상기 부유물 수용통(600)에 수용될 수 있고, 부유물이 상기 부유물 수용통(600)의 한계 용량만큼 유입되면, 사용자가 상기 부유물 수용통(600)을 제거하고, 다른 빈 부유물 수용통(600)을 상기 부유물 수용부(620)에 설치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조리 중 발생되는 부유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조리를 중단하는 등의 불편이나, 부유물을 국자 등으로 제거할 때의 위험 등을 초래하지 아니하면서, 장시간의 조리 과정 중 발생되는 부유물을 지속적으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리 용기에 의하면, 조리 과정에서 조리 대상물에서 발생되는 부유물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어서, 그 사용 편리성이 크게 향상되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Claims (5)

  1. 조리 대상물에 대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외기;
    상기 외기의 내부에 상기 조리 대상물에 대한 수용 공간과 독립된 공간을 이루어, 상기 조리 대상물에 대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유물이 수용되는 부유물 수용부; 및
    상기 부유물 수용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부유물 수용부로 유입되는 부유물을 수용하는 부유물 수용통;을 포함하고,
    상기 부유물 수용부는 상기 외기의 내부에서 돌출되는 내벽과, 상기 내벽에 형성되어 상기 외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부유물이 상기 부유물 수용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외기와 상기 부유물 수용부를 연통시키는 연통 홀을 포함하며,
    상기 부유물 수용통은 상기 유입된 부유물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통 저장부와, 상기 수용통 저장부를 덮고 상기 수용통 저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불투명한 수용통 덮개와, 상기 수용통 덮개에 형성되는 투명창과, 상기 수용통 저장부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조리된 조리 대상물이 얹힐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상단턱과, 파지 용이를 위해 형성되는 손잡이와, 상기 부유물 수용부의 상기 연통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연통 홀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소정 높이만큼 낮게 형성되는 수용통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의 상단은 상기 외기 쪽으로 절곡되어, 조리된 조리 대상물이 얹힐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상단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
  4. 삭제
  5. 삭제
KR2020070013615U 2007-08-16 2007-08-16 부유물 제거 장치가 구비된 조리 용기 KR2004457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615U KR200445763Y1 (ko) 2007-08-16 2007-08-16 부유물 제거 장치가 구비된 조리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615U KR200445763Y1 (ko) 2007-08-16 2007-08-16 부유물 제거 장치가 구비된 조리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640U KR20090001640U (ko) 2009-02-19
KR200445763Y1 true KR200445763Y1 (ko) 2009-09-01

Family

ID=41298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3615U KR200445763Y1 (ko) 2007-08-16 2007-08-16 부유물 제거 장치가 구비된 조리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7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685B1 (ko) 2018-09-27 2019-03-18 박상혁 가열조리 육수의 기름부유물 제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877Y1 (ko) * 2002-05-31 2002-09-09 주식회사 광해물산 이중조리용기
KR200416760Y1 (ko) * 2006-02-17 2006-05-22 문인술 뚝배기의 격벽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877Y1 (ko) * 2002-05-31 2002-09-09 주식회사 광해물산 이중조리용기
KR200416760Y1 (ko) * 2006-02-17 2006-05-22 문인술 뚝배기의 격벽 결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685B1 (ko) 2018-09-27 2019-03-18 박상혁 가열조리 육수의 기름부유물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640U (ko) 200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05645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upporting and preparing foods
US20130125765A1 (en) Stock pot with fitted strainer-basket
US6532865B1 (en) Food cooking vessel
US20180049590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upporting and preparing foods
US20050076793A1 (en) Disposable frying pan insert
US8528466B2 (en) Liquid overflow platform and container for small appliances
US4873918A (en) Strainer pot with whistling spout
US20130292345A1 (en) Strainer Apparatus and Method
US20140007777A1 (en) Liquid overflow capture device for small appliances
GB2268680A (en) Water heating jug
KR200445763Y1 (ko) 부유물 제거 장치가 구비된 조리 용기
US20050072315A1 (en) Cooking assembly
US9192265B1 (en) Grease collector receptacle and cooking utensil for use therewith
GB2261362A (en) Water heating vessel
US2765105A (en) Fat saver vessel for gravy and the like
KR20130127724A (ko) 위생 무게중심 주방 조리기구
WO2007086664A1 (en) Heating vessel for handling overflowing soup
EP2133129B1 (en) Cooking accessory
KR970002596Y1 (ko) 전기튀김기의 기름배출장치
KR20130113889A (ko) 망형 덮개를 구비한 국자
KR200469890Y1 (ko) 프라이팬
KR200445761Y1 (ko) 조리 용기
KR20140040566A (ko) 돌솥 뚜껑
KR20080051822A (ko) 조리 용기 및 그 조리 용기에서의 부유물의 제거 방법
KR200325501Y1 (ko) 조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