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619Y1 - 다목적 부품 보관함 - Google Patents

다목적 부품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619Y1
KR200445619Y1 KR2020080000153U KR20080000153U KR200445619Y1 KR 200445619 Y1 KR200445619 Y1 KR 200445619Y1 KR 2020080000153 U KR2020080000153 U KR 2020080000153U KR 20080000153 U KR20080000153 U KR 20080000153U KR 200445619 Y1 KR200445619 Y1 KR 2004456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cover
main body
coupling portion
storag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01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944U (ko
Inventor
이윤숙
Original Assignee
이윤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숙 filed Critical 이윤숙
Priority to KR20200800001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619Y1/ko
Publication of KR200900069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9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6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6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목적 부품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납공간(102)이 마련되는 본체(100)와, 본체(100) 상에 일정 면적으로 단차져셔 돌출 형성되며 하방과 수납공간(102)을 향하는 일면이 개구된 결합부(110)와, 결합부(110)에 연결 설치되도록 단부측에 회전결합부(132)가 마련되며 본체(100)의 상면을 덮는 덮개(130)와, 덮개(130)가 본체(100)로부터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부(110)와 회전결합부(132)에 형성되는 힌지수단을 포함하며, 힌지수단은, 결합부(1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힌지핀(120)과, 회전결합부(132)에 형성되어 힌지핀(120)에 개구된 일측을 통하여 삽입 위치되는 힌지공(140)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새로운 힌지 구조로 하여 보관함 본체로부터 덮개의 개폐가 용이하고, 별도의 클램프 장치 없이도 덮개의 닫힌 상태나 개방 각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부품 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반영구적인 힌지 구조로 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보관함, 힌지, 개폐

Description

다목적 부품 보관함{A MULIT PURPOSE PARTS STORAGE CASE}
본 고안은 다목적 부품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 회로부품 등과 같이 작은 부품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간편한 개폐 작동으로 부품들을 쉽게 찾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목적 부품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회로부품 등은 작업에 필요한 부품들을 작업자가 쉽게 찾아 사용할 수 있도록 진열 및 보관함으로서 각종 전자 제품의 정비업소나 기계제품의 생산라인 및 조립라인에서 각각의 용도에 적합한 부품들을 가능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물품 보관함은 주로 목재, 합성수지, 금속판 등을 함체로 형성하여 내부 공간에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특히 이와 같은 재질로 제작된 보관용기는 주로 함체와 덮개를 스프링과 힌지(hinge)로 결합시켜 여닫을 수 있고 별도의 클램프(clamp)장치 등에 의하여 잠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물품 보관함에는 힌지 장치와 클램프장치 등이 구비되어야만 여닫을 수 있고 잠글 수 있는 것이므로 전체적인 보관함의 제작이 까다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스프링과 힌지, 클램프 등의 부품들이 다수 사용되어 보관함의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었다.
또한, 스프링의 힌지 구조는 쉽게 파손되어 반영구적이지 못한 문제점과 같이 부품을 꺼낼 때에 열려 있는 힌지 구조의 덮개가 닫혀서 사용자의 부상 위험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단순하면서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힌지 구조로 하여 보관함 본체로부터 덮개의 개폐가 용이한 다목적 부품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별도의 클램프 장치 없이도 덮개의 닫힌 상태나 개방 각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다목적 부품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목적 부품 보관함에 있어서,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본체와, 본체 상에 일정 면적으로 단차져셔 돌출 형성되며 하방과 수납공간을 향하는 일면이 개구된 결합부와, 결합부에 연결 설치되도록 단부측에 회전결합부가 마련되며 본체의 상면을 덮는 덮개와, 덮개가 본체로부터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부와 회전결합부에 형성되는 힌지수단을 포함하며, 힌지수단은, 결합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힌지핀과, 회전결합부에 형성되어 힌지핀에 개구된 일측을 통하여 삽입 위치되는 힌지공을 포함하는 다목적 부품 보관함을 제공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힌지핀은, 길이 방향의 수평면과, 수평면의 일단으로부터 직교하여 이어지는 수직면과, 수직면과 수평면을 잇는 원호면으로 구성되고, 힌지공은, 개구부와, 개구부의 내측 상단부에 형성되어 수평면에 위치시 덮개의 닫힘 상태가 유지되고 수직면에 위치시 덮개의 열림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멈춤면과, 멈춤면으로부터 이어져서 원호면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면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 힌지핀의 수직면은 수평면으로부터 예각으로 기울어져서 덮개의 열림 유지 상태를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다목적 부품 보관함에 따르면, 새로운 힌지 구조로 하여 보관함 본체로부터 덮개의 개폐가 용이하고, 별도의 클램프 장치 없이도 덮개의 닫힌 상태나 개방 각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부품 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반영구적인 힌지 구조로 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부품 보관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부품 보관함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부품 보관함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다목적 부품 보관함은, 내부에 수납공간(102)이 마련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결합부(110)와, 결합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130)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체(100)는 사각틀체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특히 그 내부면에는 소정깊이로 회로부품 등의 보관 물품을 수납시킬 수 있는 수납공간(102)이 마련된다.
수납공간(102)은 하나의 공간일 수도 있으며, 부품의 분리를 위하여 격벽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체(100)의 상면상에 일체로 하여 결합부(110)가 형성된다.
결합부(110)는 일정 면적을 가지는 직사각 형상으로 본체(100)의 상면 중 중심에서 일단부측으로 근접하여 돌출 형성되되, 하방과 수납공간(102)을 향하는 일면이 개구되어 있다.
덧붙여, 본체(100)에는 결합부(110)의 하부로 하면이 개구된 하부공간(104)이 마련되며, 이 하부공간(104)을 통하여 본체(100) 자체의 무게를 줄이고자 하는 목적과 같이 손잡이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한편, 결합부(110)에는 개구된 내측면 사이에 힌지핀(120)이 형성된다.
힌지핀(120)의 형상은 수평면(122)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수평면(122)의 일단부로부터 직교하여 수직면(124)이 이어진다.
그리고 힌지핀(120)의 수평면(122)과 수직면(124)을 일체로 잇는 원호면(126)이 존재한다.
여기서 수직면(124)은 수평면(122)의 일단으로부터 예각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덮개(130)는 결합부(110)의 힌지핀(120)에 설치되어 본체(100)의 수납공간(102)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100)의 상면에 위치된다.
덮개(100)는 수납공간(102)의 면적보다는 커야 하며, 일단부측에 결합부(110)에 연결 설치되는 회전결합부(132)가 마련된다. 회전결합부(132)는 탄성 지지되는 합성수지재 이면 바람직하다.
이 회전결합부(132)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힌지공(140)이 일체로 형성된다.
힌지공(140)은 힌지핀(120)에 결합되어 덮개(130)의 개폐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힌지핀(120)을 통과시킬 수 있는 크기의 개구부(142)가 형성되며, 개구부(142)의 내측 상단부에 수평한 멈춤면(144)과 멈춤면(144)으로부터 이어지는 회전면(146)이 형성된다.
멈춤면(144)은 힌지핀(120)의 수평면(122)에 위치시 덮개(130)의 닫힘 상태가 유지되고, 수직면(124)에 위치시에는 덮개(130)의 열림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회전면(146)은 원호면(126)을 따라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부품 보관함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도 3b를 참고하면, 본체(100)의 수납공간(102)내에 사용 용도 별로 다수의 회로부품을 수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수납된 회로부품을 꺼내 사용하고자 할 시에는 덮개(130)의 회전결합부(132)와 반대 방향의 일단부를 잡고 상방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힌지공(140)의 멈춤면(144)과 힌지핀(120)의 수평면(122)이 맞닿아 있어서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열리지 않던 상태에서 사용자의 강제 회전시 탄성의 회전결합부(132)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면(146)이 원호면(126)을 따라 회전하면서 멈춤면(144)은 수평면(122)으로부터 벗어나 수직면(124)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서 덮개(130)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개방 각도는 수직면(124)의 기울기에 의하여 결정된다. 여기서는 예각의 기울기를 가지는 수직면(124)을 통하여 덮개(130)가 둔각으로 개방된다. 그리고 덮개(130)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수직면(124)과 멈춤면(144)의 형합으로 개방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덮개(130)가 불시에 닫히는 불안감 없이 안전하게 수납공간(102)에 보관되어 있는 부품들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게 된다.
부품의 취출이 완료되어 다시 덮개(130)를 닫을 때에는 위와 반대로 덮개(130)가 하방을 향하도록 강제 회전시키게 되며, 힌지공(140)의 멈춤면(144)이 수직면(124)으로부터 이탈되어 수평면(122)에 위치되어 덮개(130)의 닫힘 상태가 유지되어 수납공간(102)을 밀폐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개선된 간단한 힌지구조를 통하여 덮개(130)의 개폐가 용이하며, 이에 따라 부품의 수납이 용이하고, 종래에 스프링과 같은 별도의 부품이 필요 없어 제조 단가가 저렴하며,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본 고안은 하나의 본체(100)내에 회로부품을 수납하여 보관하는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회로부품을 사용용도에 따라 무수히 많은 양의 부품을 수납하여 보관할 필요가 있게되며, 특히 크기에 따라 본체(100)의 크기도 달리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부품 보관함은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부품 보관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부품 보관함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부품 보관함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02 : 수납공간
104 : 하부공간 110 : 결합부
120 : 힌지핀 122 : 수평면
124 : 수직면 126 : 원호면
130 : 덮개 132 : 회전결합부
140 : 힌지공 142 : 개구부
144 : 멈춤면 146 : 회전면

Claims (4)

  1. 다목적 부품 보관함에 있어서,
    내부에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에 일정 면적으로 단차져셔 돌출 형성되며 하방과 상기 수납공간을 향하는 일면이 개구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연결 설치되도록 단부측에 회전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본체의 상면을 덮는 덮개와,
    상기 덮개가 상기 본체로부터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부와 회전결합부에 형성되는 힌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수단은,
    상기 결합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힌지핀과,
    상기 회전결합부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핀에 개구된 일측을 통하여 삽입 위치되는 힌지공
    을 포함하는 다목적 부품 보관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결합부는 탄성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다목적 부품 보관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은,
    길이 방향의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의 일단으로부터 직교하여 이어지는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과 상기 수평면을 잇는 원호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힌지공은,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내측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면에 위치시 상기 덮개의 닫힘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수직면에 위치시 상기 덮개의 열림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멈춤면과,
    상기 멈춤면으로부터 이어져서 상기 원호면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면으로 구성되는 다목적 부품 보관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의 수직면은 상기 수평면으로부터 예각으로 기울어져서 상기 덮개의 열림 유지 상태를 돕는 다목적 부품 보관함.
KR2020080000153U 2008-01-04 2008-01-04 다목적 부품 보관함 KR2004456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153U KR200445619Y1 (ko) 2008-01-04 2008-01-04 다목적 부품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153U KR200445619Y1 (ko) 2008-01-04 2008-01-04 다목적 부품 보관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944U KR20090006944U (ko) 2009-07-08
KR200445619Y1 true KR200445619Y1 (ko) 2009-08-19

Family

ID=41334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0153U KR200445619Y1 (ko) 2008-01-04 2008-01-04 다목적 부품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619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0821U (ko) * 1989-10-06 1991-06-14
JPH0417622U (ko) * 1990-06-05 1992-02-13
JP2002209629A (ja) 2001-01-19 2002-07-30 Yoshida Industry Co Ltd 化粧料容器
KR200417750Y1 (ko) 2006-03-20 2006-06-02 김화석 부품 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0821U (ko) * 1989-10-06 1991-06-14
JPH0417622U (ko) * 1990-06-05 1992-02-13
JP2002209629A (ja) 2001-01-19 2002-07-30 Yoshida Industry Co Ltd 化粧料容器
KR200417750Y1 (ko) 2006-03-20 2006-06-02 김화석 부품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944U (ko) 200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40962A1 (en) Mortise lock
KR101839005B1 (ko) 가변 보관함
KR200445619Y1 (ko) 다목적 부품 보관함
KR100783650B1 (ko) 도난기구 침투 방지를 위한 도어용 우유 투입구 개폐 장치
CN104903667B (zh) 冰箱
EP1684039B1 (en) Refrigerated cabinet with an apparatus for keeping the door ajar
KR101839105B1 (ko) 회전식 노브를 구비한 소형 소화기
CN109373685B (zh) 冰箱
KR200457075Y1 (ko) 용기용 잠금장치
CN211535204U (zh) 一种医疗箱快速开合结构及其医疗箱
CN205370126U (zh) 门锁结构
KR101208201B1 (ko) 김치냉장고의 냉기커버 구조
JP4133937B2 (ja) 収納ケース
CN114572511B (zh) 一种计算机储存运输装置
US20020171334A1 (en) Drawer for cabinet of microcomputer
CN211687015U (zh) 自动门结构及具有其的机器人
CN220522263U (zh) 防拆自锁机构及电子设备
KR200352648Y1 (ko) 수평유지형 수납대를 갖는 공구함
CN103381924A (zh) 具有旋转锁扣装置的箱子
KR200412267Y1 (ko) 게시판 일체형 사물함
KR200228378Y1 (ko) 씨디 수납함
CN201484885U (zh) 一种新型附件盒
JP2021016701A (ja) 宅配ボックス用の台座、及び台座付き宅配ボックス
KR200165566Y1 (ko) 부품박스
TWI541449B (zh) 具可掀式蓋體的組合件及其可移動的轉軸模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