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076Y1 -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한 가방 - Google Patents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한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076Y1
KR200445076Y1 KR2020070018268U KR20070018268U KR200445076Y1 KR 200445076 Y1 KR200445076 Y1 KR 200445076Y1 KR 2020070018268 U KR2020070018268 U KR 2020070018268U KR 20070018268 U KR20070018268 U KR 20070018268U KR 200445076 Y1 KR200445076 Y1 KR 2004450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bag
light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82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668U (ko
Inventor
남궁희
Original Assignee
남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궁희 filed Critical 남궁희
Priority to KR20200700182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076Y1/ko
Publication of KR200900046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6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0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0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45C15/06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with illumin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42Devices for identifying luggage; Means for attach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가방에서는 발광 다이오드가 가방의 잠금장치나, 잠금장치 주변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적으로, 발광 다이오드의 전원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가방의 손잡이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부는 상표나 상품 로고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한 가방{BAGS HAVING LIGHT EMITTING DIODE}
본 고안은 가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별표지 혹은 인식표지로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가방에 관한 것이다.
가방은 내부에 물건을 수용할 공간을 가지고, 이동시 물건을 옮기기 편리하게 손잡이, 멜빵 등의 지참 수단을 가진다. 이런 가방의 물건 수용 및 지참 이동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수용할 물건이 무엇인가에 따라 많은 다양한 형태의 가방이 제작 사용되고 있다. 가방은 또한 단지 물건을 넣어 지참, 이동하는 기능을 가질뿐 아니라 사용자의 개성을 표출하고 미감을 주는, 토탈 패션의 한 구성부분을 이루기도 한다.
한편, 가방 가운데 등산 가방 등 옥외 활동에 필요한 가방이나 아동용 책가방은 쉽게 발견되어 안전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눈에 잘 띄는 시인성을 중요한 요소로 디자인되고 있다. 이런 가방의 시인성은 종래에는 대개 가방의 색깔과 명도나 채도 대비와 같은 색 대비를 이용한 것이 대부분이다. 한편, 다른 안전 장비에서 이용하듯이 가방에 야광 표지를 하여 사용하거나 반사 표지를 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볼 수 있다.
그리고, 가방을 지참한 사용자의 시인성을 높이는 수단으로 가방의 일부에 발광 수단을 설치하는 아이디어도 제시된 바 있다. 가령,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05-0004357을 참조하면, 가방의 측방이나 후방 표면 일부에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설치하고, 별도로 스위치를 달아 스위치를 개폐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가 빛을 내거나 꺼진 상태가 되도록 하는 아이디어가 제시된 바 있다.
가방에 발광 수단을 사용할 경우, 발광 수단에 에너지를 공급할 전원이 필요하며, 이동에 사용되는 가방의 특성상 발광 수단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 장치가 거추장스럽게 장착되거나, 많은 부피나 무게를 차지해서도 않된다는 제약조건이 따르게 된다.
한편, 한정된 전원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발광 수단의 사용 방법과 그 구현을 위한 장치가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발광 수단으로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가방에 있어서,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가방 자체를 인식할 수 있고, 조명이 없는 곳에서 가방의 잠금장치를 용이하게 인식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부가적 측면에 의하면, 가방에 구비되는 발광 다이오드에 에너지를 공급할 전원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 가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부가적 측면에 따르면, 발광 수단으로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가방에 있어서, 발광 다이오드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가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의 부가적인 일 측면에 의하면 로고나 상표를 발광 다이오드부로 형성하여 시인성을 높여 광고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은,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가방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상기 가방 의 잠금장치나 상기 잠금장치 주변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부가적 측면은,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가방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전원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가방의 손잡이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가방의 손잡이는 적어도 일부가 자체의 특정한 형태를 가지는 경질의 케이스로 이루어진 부분을 가지고, 그 내부에 전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잠금장치 주변부는 잠금장치와 직접 접하거나, 발광 다이오드 발광을 통해 잠금장치를 직접 밝힐 수 있는 거리 내의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통상 가방의 잠금장치는 손잡이 주변에 설치되므로 손잡이에 전원 장치를 설치하면 잠금장치나 잠금장치 주변에 설치된 발광 다이오드와 손잡이의 전원 장치를 연결하는 선로를 짧게 하여 선로 사고에 의해 통전이 되지 않는 위험을 줄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손잡이와 가방 본체의 연결부를 통해 전기 선로가 형성되어 가방 본체의 일부에 설치되는 발광 다이오드에 전원이 연결될 수 있고, 손잡이 가운데 가방 본체의 연결부는 직접 손이 닿지 않는 부분이므로 이 부분에 발광 다이오드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발광 다이오드는 평면상 발광체 혹은 표면에서 볼록하게 도드라진 발광체를 반구형 투명질이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단면을 기준으로 반원형 투명질이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발광체로부터 발광을 인식할 수 있는 입체각 범위를 넓힐 수 있다.
전원 장치는 발광 다이오드에 인가되는 전압 신호의 형태를 몇 가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 회로 및 그 구동 회로에 연결되어 일부를 이루는 스위치를 가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령, 평소에 꺼짐 상태이면서 리모콘 신호에 의해 짧은 순간 강한 빛을 내는 찾기 모드, 약한 정도의 빛을 계속하여 발생시키는 연속 모드, 중간 정도의 빛을 주기적으로 점멸하도록 발생시키는 점멸 모드 등을 가질 수 있다. 리모콘은 가방 잠금장치에 대한 열쇠(키)에 부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는 전원으로 축전지와 발전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발전장치로는 태양전지판, 진동자발전기, 바퀴달린 가방에서 바퀴의 회전 동력을 이용하는 회전자발전기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발전장치는 축전지 및 발광 다이오드 (발광 다이오드 및 부속 회로를 포함하는 모듈 형태를 포함한다)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어두운 공간에서 잠금장치를 가진 가방의 잠금장치를 쉽게 인식하고, 잠금 해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부가적 구성에 따르면, 잠금장치나 주변의 발광 다이오드에 대한 전원장치의 설치가 용이하게 되고, 전원을 안정적으로 인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 발광 다이오드에 대한 전원 인가 모드에 외부 리모콘에서 통제할 수 있는 수신 장치를 부가하여 자신의 가방을 쉽게 발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및 도2는 각각 본 고안의 서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LED)를 부착한 가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에 따르면, 트렁크 형태의 가방(10)은 보이지 않는 하단부의 힌지 구조를 통해 두 부분으로 전개되며, 두 부분이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는 손잡이(13)와 손잡이(13) 부근의 잠금장치(15)가 설치된다. 잠금장치(15)는 이 실시예에서 키(KEY) 박스 형태의 것이며, 잠금장치의 주변에는 원주형태로 부착되는 발광 다이오드부(17)가 존재한다. 어두운 곳에서 열쇠(KEY)로 잠금장치(15)를 열기 위해서는 잠금장치(15)의 정확한 열쇠 구멍 위치를 알아야 하며, 발광 다이오드부(17)는 발광을 통해 열쇠 구멍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한다.
통상, 잠금장치(15)는 설치된 가방(10) 평면에서 돌출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잠금장치(15) 주변의 돌출부에 발광 다이오드부(17)를 설치하고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주변에서 해당 가방(10)을 인식하는 수단이 될 수도 있다.
도2에 따르면, 가방(20) 및 손잡이는 도1의 실시예와 유사한 형태이며, 다만, 잠금장치(25)는 키박스 형태가 아닌 번호키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별도의 열쇠(KEY)는 필요하지 않지만 어두운 곳에서 잠금장치(25)를 열기 위해서는 조명 장치가 필요하며, 잠금장치(25) 주변에 있는 발광 다이오드부(27)는 조명 장치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내부에 설치되어 정확히 도시되지는 않으나, 손잡이와 가방(20)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23)에는 손잡이 부분(231) 내부의 전원 장치와 발광 다이오드부(27)를 연결하는 전기 선로가 형성된다. 손잡이 부분(231)의 전원 장치와 발광 다이오드부(27)는 공간적으로 매우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므로 연결용 전기 선로는 짧아지며, 그 경로상에서 외부 힘에 의해 손상이 이루어질 염려도 줄어들게 된다. 또한, 이런 실시예는 전원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가방의 다른 공간을 할당할 필요가 없으며, 가방의 얇은 피복이나 벽체에 전원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어려움을 덜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3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의 손잡이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3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서 손잡이(33)는 원통형의 경질 케이스(331)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손잡이(33) 일부를 이루는 원통형 경질의 케이스(331)는 힌지나 절곡가능한 단순 연결부를 통해 개폐가 가능한 두 반원통 부분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질 케이스(331)는 어느 정도의 외력에도 자체의 형태를 유지하는 케이스를 의미하며, 성형과 절연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통상적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손잡이(33)는 두 반원통 부분 가운데 한쪽을 열 어 원통형 전지가 경질 케이스(331)에 장착하기에 용이하게 이루어져 있다.
한편, 손잡이(33)에서 손으로 파지하게 되며 원통형 경질 케이스(331)를 구비하는 수평 부분을 가방(30) 본체에 연결하는 연결부 두 곳 가운데 한 곳에는 그 일부 구간에서 표면을 둘러싸듯이 발광 다이오드부(37)가 면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33) 내에서 전원 장치와 발광 다이오드부(37)가 모두 설치되므로 전기 선로는 더욱 짧아질 수 있으며, 전기 선로가 길어지면서 발생하는 주울열과 같은 손실도 방지될 수 있다.
손잡이 연결부는 가방 본체에서 돌출되는 부분이며, 손잡이(33)가 누워있을 때에도 적어도 일부는 가방(30) 본체에서 돌출되므로, 이 부분에 발광 다이오드부(37)가 면상으로 둘러싸듯이 설치되어 발광이 이루어지면 이 부분을 중심으로 발광이 이루어지는 입체각이 넓어 주변에서 인식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손잡이 연결부 가운데 다른 하나에는 전원 장치의 전원을 발광 다이오드부(37)에 인가하는 스위치(333) 혹은 조절기가 설치된다. 도시된 것과 다르지만 스위치(333)가 두 손잡이 연결부가 마주보는 내측면에 설치되면 외부의 의도되지 않는 접촉에 의해 스위치가 오작동하게 되는 빈도를 줄일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도 손잡이 연결부의 발광 다이오드부(37)는 조명으로 역할하여 어두운곳에서 손잡이(33) 주변에 형성되는 잠금장치(35)의 위치나 번호키의 숫자를 인식하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의 발광 다이오드의 용례를 나타내는 설명도 이다.
도4의 실시예에서는 가방(10)의 손잡이(13) 주변에 있는 키박스형 잠금장치(15) 주변의 발광 다이오드부(17)는 손잡이의 본체 연결부에 설치된 모드 스위치(133)에 의해 외부 리모콘의 버튼(191)을 누를 때에만 발광이 이루어지고, 다른 경우는 발광이 이루어지지 않는 모드로 세팅된다.
따라서, 항공기를 이용하면서 가방(10)을 화물로 부치고, 공항에서 화물을 찾게 될 때와 같이 여러 비슷한 가방들 사이에서 근거리에 있는 자신의 화물을 찾을 때에는 가방 열쇠(19)나 열쇠 고리에 리모콘을 설치하여 리모콘 버튼(191)을 누르면 정해진 파형의 신호가 발생된다. 이 신호는 발광 다이오드부(17)를 구동하는 조절 회로부(미도시)에 연결되며 리모콘 신호와 동조되도록 이루어진 수신기에 수신되어 발광 다이오드부(17)를 일정한 패턴으로 발광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이 발광 패턴을 인식하여 주변에서 자신의 가방(10)을 손쉽게 발견할 수 있다.
리모콘에서 발생되는 신호 패턴을 몇 가지로 하고, 이 신호 패턴마다 발광 다이오드부(17)에서 발광하는 패턴을 다르게 하면 주변 상황에 보다 적합한 발광이 이루어져 보다 쉽게 자신의 가방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발광 다이오드부의 구성이 이루어진 한 예와 그 예에서 빛이 방출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예에서는 발광 다이오드부의 발광 다이오드(171)는 평면상으로 대상에 부착되어 있다. 면광원의 일반적인 예에 따르면, 발광 다이오드(171) 평면과 수직한 방향으로는 많은 빛이 방출되고, 특정 방향과 발광 다이오드(171) 평면의 법선과 이루는 각이 커질수록 그 특정 방향으로 방출되는 빛의 양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171)를 단순히 평면상으로 가방 일부에 부착하는 것은 가방을 쉽게 인식하는 범위를 좁히는 결과가 된다.
본 예에서와 같이 평면상으로 부착되는 발광 다이오드(171) 위쪽에 유리나 플라스틱 등의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 반구부(173)를 설치하면, 투명 재질은 공기보다 굴절율이 크므로, 방출되는 전체 빛의 양은 증가하지 않지만, 발광 다이오드면과 수직한 방향으로만 집중되던 빛을 일정 부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빛은 보다 넓은 입체각 범위로 일정 이상 량의 빛을 방출할 수 있게 된다. 즉, 일정 이상 조도에 대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다고 볼 때, 반구부(173)가 없는 경우보다 더 넓은 입체각 범위에서 사용자는 가방의 발광 다이오드부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도1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잠금장치(키박스:15)를 둘러싸는 형태로 발광 다이오드부를 형성하였던 것을 잠금장치(15) 주변의 상품 로고(logotype)나 상표에 발광 다이오드부(17)를 설치하여 키박스를 비출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발광 다이오드부(17)는 밝은 표시창에 불투명한 재질로 로고를 인쇄하여 붙이는 방식으로 형성하는 것이 전체 조도를 높이기 위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잠금장치 주변에 설치하는 형태와 함께 혹은 독립적으로 발광 다이오드부를 가방의 외측에서 잘 보이는 넓은 면에도 상표 형태로 설치하거나 혹은 상품의 로고(18:logotype)를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표시는 어두운 곳에서 잘 띄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경광등의 역할을 함과 동 시에 잘 구성된 로고나 상표를 미적으로 표시하여 가방(10)의 사용자나 그 외의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심리적 만족감이나 미감을 느끼게 할 수도 있으며, 가방의 생산, 판매자로서는 일종의 광고 수단으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혹은 가방을 기념품의 일종이나, 홍보용으로 제작하여 자신의 홍보 상품의 상표나 로고를 부착한 후 가방을 나누어주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다.
이런 형태의 실시예에서 로고(18)나 상표는 넓은 면에 잘 보이도록 설치되는 것이 중요하며, 전체가 밝은 표시창에 불투명 재질로 로고를 표시하는 것보다는 로고나 상표의 형태가 빛을 발하는 부분이 되도록 발광 다이오드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넓은 면을 효율적으로 발광시키기 위해서는 주변이 밝은 때에는 인식력이 떨어지므로 발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고, 주변이 어두울 때에는 밝게 빛나도록 광센서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발광 다이오드부가 구동되도록 하는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박스형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 다이오드(50) 구동을 위한 전원 장치로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65) 및 발전 장치(40)를 함께 사용한 일종의 하이브리드형 전원 장치를 사용한다. 이차전지(65)와 발전 장치(40)는 발광 다이오드와 단순히 병렬로 연결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일단 발전 장치(40)에서 충전 제어 회로(63)를 통해 이차전지(65) 충전을 실시하고, 이차전지(65)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회로(67)를 통해 전원을 인가하여 발광 다이오드(50)에서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구동회로(67)에는 조절 스위치가 설치되어 발광을 개시 및 중단시킬 수 있고, 스위치는 모드를 지정할 수 있도록 모드 선택부(673)를 구비하는 구동회로(67) 구성을 통해 발광의 정도, 점멸 유무, 점멸 주기 등을 정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를 복수개 혹은 복수 종류로 설치하고, 구동회로에 릴레이를 설치하여 보다 다양한 패턴의 발광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특히 발광의 정도는 결국 발광 다이오드를 흐르는 전류의 양을 통해 조절할 수 있으며, 그 조절에 광센서(675)가 사용될 수 있다. 가령, 외부광이 강할 때에는 발광 다이오드(50)의 발광을 차단하고, 조도가 일정 이하가 될 때에만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발광의 효과를 높이고 전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충전 제어 회로(63)는 충전과정의 효율과 안전을 위한 것으로, 충전 제어 회로에도 FET 등의 스위칭 소자를 이용한 자동 스위치가 설치되어 이차전지의 전압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거나, 충전 전류가 일정 수준이 넘으면 충전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다. 충전 제어 회로(63)는 이차 전지(65) 자체에 이차 전지 모듈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구동회로(67)와 함께 PCB 기판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에도 PCB 기판 자체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가방 손잡이 일부나 가방 본체 일부에 내장 설치하나 구동회로에 연결되는 온/오프 스위치 혹은 모드 선택 스위치는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가방 외측에 드러나게 설치된다.
또한, 구동회로(67)에는 리모콘 신호 수신기(671)가 설치되어 리모콘 신호를 받아 스위칭을 조절하면서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여부 및 발광 패턴이 결정될 수도 있다.
스위치의 여러 선택 모드나 구동회로의 구체적인 회로 구성은 조명이나 표 시 장치 분야에서 이미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이들 회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하이브리드형 전원 장치는 건전지 등의 일회용 전지로 대체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발전 장치로는 태양전지판과 같은 광전지, 진동자발전기, 회전자발전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발전 장치의 구체적 구성은 이미 관련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 회전자 발전기는 가방 자체에 바퀴가 달려 있는 경우에 바퀴의 회전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1 및 도2는 각각 본 고안의 서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LED)를 부착한 가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의 손잡이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의 발광 다이오드의 용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발광 다이오드부의 구성이 이루어진 한 예와 그 예에서 빛이 방출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6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발광 다이오드부가 잠금장치 주변을 비추거나 넓은 면에 설치된 상품 로고나 상표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발광 다이오드부가 구동되도록 하는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박스형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30: 가방 (본체) 13, 33: 손잡이
15, 25, 35: 잠금장치 17, 27, 37: 발광 다이오드부
40: 발전 장치 50: 발광 다이오드
63; 충전 제어 회로 65: 이차전지
67: 구동 회로 671: 수신기
133, 333: 스위치 191: 리모콘 버튼
18: 로고(logotype)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잠금장치와 발광 다이오드가 구비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잠금장치나 상기 잠금장치 주변부에 설치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평면상에 부착된 평면형 발광체를 상기 평면과 수직한 단면을 기준으로 반원형 투명질이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가방.
  6. 삭제
  7. 삭제
  8. 발광 다이오드가 상품 로고(logotype)나 상표를 나타내도록 발광하거나,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표시면 위에 상품 로고나 상표를 불투명으로 부착하여 광고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가방.
KR2020070018268U 2007-11-13 2007-11-13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한 가방 KR2004450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268U KR200445076Y1 (ko) 2007-11-13 2007-11-13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한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268U KR200445076Y1 (ko) 2007-11-13 2007-11-13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한 가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668U KR20090004668U (ko) 2009-05-18
KR200445076Y1 true KR200445076Y1 (ko) 2009-06-26

Family

ID=41299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8268U KR200445076Y1 (ko) 2007-11-13 2007-11-13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한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07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35190A (zh) * 2016-06-03 2016-09-14 海宁滴滴箱包智能科技有限公司 具有双灯带的自能箱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668U (ko) 2009-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4291B2 (en) Pocketbook light
US7494236B2 (en) Safety warning light emitter and safety umbrella using the same
JP2012516000A (ja) ポータブル照明装置および取付け方法
US20090193689A1 (en) Microprocessor enabled article of illuminated footwear with wireless charging
US20120147594A1 (en) Purselight
US20080198585A1 (en) Purse illumination assembly
JP6322227B2 (ja) 照明装置
CN113543674B (zh) 改进的照明式步行辅助装置
US20120106141A1 (en) Graphic light module for use with portable device
US9500347B2 (en) Package and light device
TW201816232A (zh) 可折疊警示三角總成
KR200445076Y1 (ko) 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한 가방
WO2017165137A1 (en) Lumen wand
KR20110003871U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KR20190042155A (ko) Led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가방의 디스플레이 패턴 제공시스템
CN203242176U (zh) 多功能交通信号灯及控制电路和灯箱
KR101402327B1 (ko) 엘이디가 구비된 인조네일
KR200457857Y1 (ko)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를 구비한 가방
JP2005031596A (ja) 表示器具
JP3230237U (ja) スマート発光装置
KR200401234Y1 (ko) 가방, 배낭, 텐트 또는 신발의 표면 부착용 조명로고
TWM550556U (zh) 自主式發光背心
CN211442114U (zh) 汽车发光装置
KR0174345B1 (ko) 신발의 표시장치 및 그 표시방법
KR200312899Y1 (ko) 화장품 케이스의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