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061Y1 -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잔유물 배출시스템 - Google Patents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잔유물 배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061Y1
KR200445061Y1 KR2020090000750U KR20090000750U KR200445061Y1 KR 200445061 Y1 KR200445061 Y1 KR 200445061Y1 KR 2020090000750 U KR2020090000750 U KR 2020090000750U KR 20090000750 U KR20090000750 U KR 20090000750U KR 200445061 Y1 KR200445061 Y1 KR 2004450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plate
conveyor
apron
inci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7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장길
Original Assignee
고장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장길 filed Critical 고장길
Priority to KR20200900007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0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0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061Y1/ko
Priority to PCT/KR2010/000374 priority patent/WO2010085090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7/00Inclined or stepped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00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combustion chambers
    • F23J1/02Apparatus for 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ash-pits, e.g. by employing trucks or conveyors, by employing suc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잔유물을 연속적으로 배출되게 하며 이송컨베이어의 에이프런판을 내구성이 양호한 구조로 함과 동시에 물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잔유물 배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폐기물 투입구를 갖는 소정 체적의 소각로와 상기 소각로의 내부에 계단식으로 배열된 화격자를 포함하며, 상기 화격자의 하단에 장착되어 소각잔유물의 낙하경로가 되는 복수개의 중공슈트와, 분진제거용 물이 채워지는 소정 길이의 수평케이스와 이 수평케이스의 일측에서 위쪽으로 둔각을 이루며 절곡된 경사케이스로 구분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경사케이스의 끝단부에 소각잔유물의 개방되게 형성된 최종배출구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그 양측 위치에 상하 배열되는 컨베이어용 가이드레일과, 상기 컨베이어용 가이드레일을 따라 순환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송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잔유물 배출시스템을 제공한다.
폐기물, 소각로, 소각잔유물, 슈트, 케이싱, 컨베이어

Description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잔유물 배출시스템{System for discharge cinder used in waste matters incinerator}
본 고안은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잔유물 배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물 소각로내의 소각잔유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컨베이어에 소각잔유물이 낙하하여 쌓이는 에이프런판을 내구성이 양호한 구조로 함과 동시에 물 배출이 용이하게 개선시킨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잔유물 배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병합발전설비의 원료가 되는 각종 폐기물은 소각로 내에서 연소되면 고열 상태의 연소재나 금속조각 등의 소각잔유물이 생성되며, 생성된 소각잔유물은 이송용 컨베이어쪽으로 낙하하여 배출된다.
첨부한 도 1은 종래의 폐기물 소각로인 바, 도 1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그 작동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폐기물 소각로(100)는 폐기물 투입구(102)와, 소각로 내부에 계단식으로 배치된 망상형 화격자(104)와, 상기 화격자(104)의 하단에 장착된 복수개의 댐퍼(106)와, 상기 화격자(104)의 끝단부에 형성된 큰 부피의 소각잔유물이 낙하하는 낙하구(108)와, 상기 소각잔유물이 낙하하는 낙하구(108)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유압구동형 엑스트랙터(110)와, 상기 엑스트랙터(110)의 배출구로부터 각 댐퍼(106)를 지나 소각잔유물의 집하장까지 연장된 이송컨베이어(11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폐기물 소각로의 작동 흐름을 보면, 먼저 폐기물 투입구(102)를 통하여 투입된 폐기물은 소각로(100; Incinerator) 내부의 화격자(104) 상면으로 쌓이게 됨과 함께 강력한 화염에 의하여 소각되어 소각잔유물을 생성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소각잔유물에 포함된 금속조각 등과 같은 불연성 조각은 고열을 내재한 상태로 화격자(104) 사이의 틈새로 통과하면서 자중에 의하여 각 댐퍼(106)쪽으로 낙하하게 되고, 이렇게 낙하된 소각잔유물은 각 댐퍼(106)를 통하여 이송컨베이어(112)로 낙하된다.
연이어, 상기 이송컨베이어(112)가 연속적인 이송동작을 함에 따라 이송컨베이어(112)의 끝단에 인접한 집하장에 소각잔유물이 적하되어 진다.
한편, 대부분의 소각잔유물은 화격자(104)를 통과하여 댐퍼(106)쪽으로 낙하되지만 큰 부피의 소각잔유물은 화격자(104)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화격자(104)의 끝단에 형성된 소각잔유물의 낙하구(108)를 통해 낙하되며, 낙하된 큰 부피의 소각잔유물은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엑스트랙터(110)에 의해 이송컨베이어(112)쪽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엑스트랙터(110)에 의해 밀려나는 큰 부피의 소각잔유물도 이송컨베이어(112)에 적치된 상태로 이송되어 집하장으로 배출되어 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폐기물 소각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소각잔유물이 갑자기 많이 배출되는 경우에는 댐퍼의 작동에 부하가 걸리게 되면서 많은 양의 소각잔유물을 처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철사나 금속조각 등의 불연물이 댐퍼 등에 끼이게 되면, 댐퍼 등의 고장으로 인하여 전체 소각로 시스템을 정지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화격자의 아래쪽에 다수개의 댐퍼 및 엑스트랙터를 설치함에 따라 소각로의 설비 자체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고, 이송컨베이어를 비롯한 주변장치에 고열과 분진이 침투되어 이송컨베이어의 동작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다수개의 댐퍼와 엑스트랙터 등의 고가 장비를 설치해야 함에 따라 소각설비의 구축을 위한 공사비 및 운용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화격자에서 낙하되는 많은 양의 소각잔유물을 연속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소각잔유물이 낙하하여 쌓이는 이송컨베이어의 에이프런판을 내구성이 양호한 구조로 개선하고, 소각잔유물이 외부로 최종 배출될 때 소각잔유물에 포함된 물을 용이하게 배출되게 한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잔유물 배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폐기물 투입구를 갖는 소정 체적의 소각로와 상기 소각로의 내부에 계단식으로 배치된 화격자를 포함하며, 상기 화격자의 하단에 장착되어 소각잔유물의 낙하경로가 되는 복수개의 중공슈트와, 분진제거용 물이 채워지는 소정 길이의 수평케이스와 이 수평 케이스의 일측에서 위쪽으로 둔각을 이루며 절곡된 경사케이스로 구분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경사케이스의 끝단부에 개방되게 형성된 최종배출구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그 양측 위치에 상하 배열되는 컨베이어용 가이드레일과, 상기 컨베이어용 가이드레일을 따라 순환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송컨베이어로 구성하되,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케이싱내에서 그 양측에 배열된 컨베이어용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는 다수의 롤러와, 상기 다수의 롤러 중 이송컨베이어의 이송방향에 있는 롤러를 상호 연결하는 체인링크와, 상기 체인링크의 안쪽 위치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일체로 형성된 측판과, 이송컨베이어의 이송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롤러들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샤프트와, 상기 다수의 샤프트 외경에 삽입되는 파이프 형태인 복수개의 에이프런 연결고리와, 상기 다수의 샤프트에 삽입된 에이프런 연결고리에 일체로 용접되는 판체 구조의 다수의 에이프런판과, 상기 다수의 에이프런판 중 연속된 두개의 에이프런판 상면에 일체로 장착되되 상기 측판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일체로 장착되는 역"V"자형 앵글판과, 상기 다수의 에이프런판 중 앵글판을 갖는 두개의 에이프런판의 다음에 오는 에이프런판 상면에 일체로 장착되되 상기 측판보다 높게 장착되어 케이싱의 내표면에 침적된 소각잔유물을 긁어내는 스크래치판으로 이루어진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잔유물 배출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본 고안에서, 상기 앵글판과 스크래치판의 전후 부위에는 물 배출구멍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에이프런판의 배면에 대한 보강지지물로서 상기 케이싱의 길이방향을 따라 찬넬보강판이 일체로 장착되고, 이 찬넬보강판의 상면에는 완충용 PP 라이너가 일체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고안은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화격자에서 이송컨베이어까지의 소각잔유물의 낙하경로를 중공슈트로 개선함으로써 많은 양의 소각잔유물을 연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되므로 소각잔유물의 처리용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으며, 또한 폐기물 소각장의 건축시에도 건물의 높이를 낮출 수 있고, 소각잔유물이 자중에 의해 낙하하게 되므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둘째, 소각잔유물이 낙하되어 쌓이는 이송컨베이어의 에이프런판 배면에 찬넬 보강판 및 PP라이너를 설치하여 지지해 줌으로써 큰 부피의 무거운 소각잔유물이 낙하되는 경우에 충격을 완충할 수 있으므로 에이프런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에이프런판에 일체로 형성되는 앵글판과 스크래치판에 물 배출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소각잔유물이 외부로 최종 배출될 때 소각잔유물에 포함된 분진제거용 물이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케이싱의 수평케이스의 타측단 내표면을 원호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소각잔유물이 케이싱의 내부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케이싱의 측면에 점검창을 다수개 부착함으로써 케이싱 내부의 부품들에 대한 점검 및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소각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잔유물 배출시스템 구성 중 중공슈트와 케이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소각로의 상부에는 폐기물 투입구(14)를 갖는 소정 체적의 소각로(10)와 상기 소각로(10)의 내부에 계단식으로 배열된 화격자(12)가 배치된다.
특히, 상기 화격자(12)의 하단에는 수직관 형태인 복수개의 중공슈트(16)가 장착된다.
이에, 상기 소각로(10)의 폐기물 투입구(14)를 통해 공급된 폐기물은 상기 화격자(12)상에 쌓이게 됨과 함께 강력한 화염에 의하여 소각되어 소각잔유물을 생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소각잔유물은 미세한 분진가루에서부터 큰 부피(예를 들어 자동차용 휠과 같은 금속성의 물질)를 갖는 이물질 등이 뒤썩인 상태이지만, 상기 화격자(12)의 밑으로 중공슈트(16)가 바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크거나 작은 부피를 갖는 소각잔유물이 중공슈트(16)를 통해 용이하게 낙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공슈트(16)의 하단부에는 케이싱(18)이 배치되는데, 이 케이싱(18)은 소각잔유물의 배출방향을 따라 길다랗게 배열된 사각체 형상으로서, 분진제거용 물이 채워지는 소정 길이의 수평케이스(18a)와 이 수평케이스(18a)의 일측에서 위쪽으로 둔각을 이루며 절곡된 경사케이스(18b)로 구분되며, 상기 케이싱(18)은 소정의 크기로 분할 제작하여 케이싱 결합부(18c)에서 결합되게 한다.
첨부한 도 5에 도시된 사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8)의 경사케이스(18b)의 끝단부에는 소각잔유물의 최종 배출을 위한 최종배출구(20)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18)의 내부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컨베이어용 가이드레일(22)이 배열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컨베이어용 가이드레일(22)은 상기 케이싱(18)의 내부에서 그 양측 위치에 상하로 배열되어 무한궤도레일과 같이 연속적인 순환 경로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18)의 수평케이스(18a)의 타측단 내 표면은 소각잔유물이 눌러 붙거나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후술하는 바와 같은 스크래치판(38)에 의하여 긁어짐이 가능한 원호면(46)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싱(18)의 측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점검창(48)이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이 점검창(48)을 통하여 상기 케이싱(18)의 내부에 설치되는 이송컨베이어(30)의 각종 부품들에 대한 점검 및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컨베이어용 가이드레일을 따라 순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송컨베이어에 대한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잔유물 배출시스템 구성 중 이송컨베이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잔유물 배출시스템 구성 중 이송컨베이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B-B선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서 이송컨베이어(30)는 체인식 컨베이어가 적용되는데, 상기 체인식 이송컨베이어(30)는 케이싱(18)내에서 그 양측에 배열된 컨베이어용 가이드레일(22)에 다수의 롤러(24)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고, 이 다수의 롤러(24)중 이송컨베이어의 이송방향에 있는 롤러(24)들은 서로 인접된 것 끼리 체인링크(26)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또한, 상기 이송컨베이어(30)의 이송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롤러(24)들은 회전축이 되는 샤프트(29)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이때, 상기 체인링크(26)의 안쪽 위치에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수직으로 세워진 측판(28)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샤프트(29) 외경에 복수개의 에이프런 연결고리(32)가 삽입되는데, 이 복수개의 에이프런 연결고리(32)는 인발강관인 파이프를 절단하여 사용한다.
특히, 상기 샤프트(29)에 삽입된 에이프런 연결고리(32)에 소각잔유물이 쌓이게 되는 다수의 에이프런판(34)이 일체로 용접된다.
예를 들어, 상기 샤프트(29)에 5개의 에이프런 연결고리(32)가 삽입된다면, 상기 샤프트(29)를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될 에이프런판(34)은 첫번째와 세번째와 다섯번째의 에이프런 연결고리(32)에 일체로 용접되고, 상기 샤프트(29)를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될 에이프런판(34)은 두번째와 네번째의 에이프런 연결고리(32)에 일체로 용접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다수의 에이프런판(34)이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다수의 에이프런판(34: apron plate)) 중 연속된 두개의 에이프런판(34) 상면에는 상기 측판(28)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역"V"자형 앵글판(36)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에이프런판(34) 중 앵글판(36)을 갖는 두개의 에이프런판(34) 다음에 오는 에이프런판(34) 상면에는 상기 케이싱(18)의 내표면에 침적된 소각잔유물을 긁어서 제거할 수 있도록 직각삼각형 단면 구조를 갖는 스크래치판(38)이 상기 측판(28)보다 높은 높이로 장착된다.
특히, 상기 앵글판(36)과 스크래치판(38)의 전후 부위에서 그 하단 위치에는 물 배출구멍(40)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앵글판(36)과 스크래치판(38)과 물 배출구멍(40)의 기능은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한편, 상기 화격자(12)에 연소된 폐기물의 잔유물, 즉 소각잔유물이 중공슈트(16)를 통해 에이프런판(34)상에 직접 낙하되기 때문에 큰 부피의 무거운 소각잔유물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에이프런판(34)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이프런판(34)이 받는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하여 소각잔유물이 낙하하여 쌓이는 이송컨베이어(30)의 에이프런판(34) 배면에 보강지지물이 설치된다.
즉, 상기 케이싱(18)의 길이방향을 따라 에이프런판(34)의 배면을 받쳐줄 수 있는 찬넬보강판(42)이 일체로 장착되고, 특히 상기 찬넬보강판(42)의 상면에는 에이프런판(34)의 배면에 대한 완충재로서 완충용 PP(폴리프로필렌)라이너(44)가 일체로 부착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잔유물 배출시스템에 대한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잔유물 배출시스템에 대한 작동을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상기 소각로(10)의 폐기물 투입구(14)를 통해 공급된 폐기물은 화격자(12)상에 쌓이게 됨과 함께 강력한 화염에 의하여 소각되어 소각잔유물을 생성하며, 이 소각잔유물은 중공슈트(16)를 통해 케이싱(18)의 수평케이스(18a) 내의 이송컨베이어(30)쪽으로 낙하된다.
이때, 상기 케이싱(18)의 수평케이스(18a) 내로 낙하된 소각잔유물은 수평케이스(18a)내에 채워진 물속에 잠기게 되어 냉각되어짐과 동시에 소각잔유물에 포함된 분진 등이 비산되는 것이 용이하게 방지되어 진다.
또한, 상기 소각잔유물은 수평케이스(18a)내의 이송컨베이어(30)의 에이프런판(34)상에 낙하되며 쌓이게 되는데, 소각잔유물의 낙하로 인한 충격을 상기 에이프런판(34)이 받더라도 에이프런판(34)의 배면을 받쳐주고 있던 찬넬보강판(42) 및 완충용 PP라이너(44)에서 그 충격을 용이하게 완충시켜 주게 된다.
한편, 상기 이송컨베이어(30)가 순환 구동함에 따라 소각잔유물은 에이프런판(34)에 쌓인 상태로 배출방향을 따라 이송되며, 상기 케이싱(18)의 경사케이스(18b)의 끝단부에 형성된 최종배출구(20)쪽으로 이송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에이프런판(34)은 수평케이스(18a) 내의 물속에서 나와서 경사케이스(18b)의 최종배출구(20)로 이송되는데, 이때 에이프런판(34)도 경사케이스(18b) 내에서 경사진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에이프런판(34)이 경사지게 되더라도 에이프런판(34)상에 쌓인 소각잔유물이 경사진 아래쪽 방향으로 흘러내리지 않게 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에이프런판(34)상에 역"V"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앵글판(36)이 소각잔유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차단해주기 때문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에이프런판(34)이 수평케이스(18a) 내의 물속에서 나와서 경사케이스(18b) 내를 지날 때, 소각잔유물에 많은 양의 물이 포함된 상태이지만, 상기 앵글판(36)과 스크래치판(38)의 전후 부위에서 그 하단위치에 형성된 물 배출구멍(40)을 통하여 물이 빠져나가게 되고, 빠져나간 물은 다시 수평케이스(18a)내로 복귀되어 진다.
이렇게 물이 제거된 소각잔유물은 상기 경사케이스(18b)의 최종배출구(20)를 통해 집하장으로 적하되어 진다.
한편, 상기 케이싱(18)의 수평케이스(18a) 및 경사케이스(18b)의 내벽면에 소각잔유물의 분진 등이 눌러 붙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에이프런판(34)을 포함하는 이송컨베이어(30)의 계속적인 순환 이동에 의하여 눌러 붙은 분진 등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즉, 상기 이송컨베이어(30)의 순환 이송시 상기 에이프런판(34)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스크래치판(38)이 상기 수평케이스(18a) 및 경사케이스(18b)의 내벽면에 눌러 붙은 소각잔유물의 분진 등을 긁어내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눌러 붙은 분진 등이 용이하게 제거되어 에이프런판(34)상에 다시 쌓이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상기 수평케이스(18a)의 타측단의 내표면이 원호면(46)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원호면(46)을 따라 이송콘베이어(30)에 장착된 스크래치판(38)이 지나가면서 수평케이스(18a)의 내표면에 눌러 붙은 소각잔유물의 분진 등을 제거하게 되므로 수평케이스(18a)의 내표면에는 소각잔유물의 분진 등이 침적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싱(18) 내의 수면에는 소각잔유물에 포함된 분진 등에 의해 부유물이 발생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부유물은 별도의 스크레퍼에 의해 제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잔유물을 중공슈트를 통해 연속적으로 배출하여 이송컨베이어로 용이하게 이송시켜 소각잔유물 처리용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에이프런판의 배면에 대해 찬넬보강판 및 완충용 PP라이너를 보강하여 큰 부피의 무거운 소각잔유물이 낙하되는 경우에도 충격을 완충할 수 있으므로 에이프런판을 견고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소각잔유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폐기물 소각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소각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잔유물 배출시스템 구성 중 중공슈트와 케이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잔유물 배출시스템 구성 중 케이싱의 경사케이스의 배출구를 확대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잔유물 배출시스템 구성 중 이송컨베이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잔유물 배출시스템 구성 중 이송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잔유물 배출시스템 구성 중 이송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도 7의 B-B선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잔유물 배출시스템에 대한 작동을 설명하는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소각로 12 : 화격자
14 : 폐기물 투입구 16 : 중공슈트
18 : 케이싱 18a : 수평케이스
18b : 경사케이스 18c : 케이싱 결합부
20 : 최종배출구 22 : 컨베이어용 가이드레일
24 : 롤러 26 : 체인링크
28 : 측판 29 : 샤프트
30 : 이송컨베이어 32 : 에이프런 연결고리
34 : 에이프런판 36 : 앵글판
38 : 스크래치판 40 : 물 배출구멍
42 : 찬넬보강판 44 : PP 라이너
46 : 원호면 48 : 점검창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폐기물 투입구(14)를 갖는 소정 체적의 소각로(10)와 상기 소각로(10)의 내부에 계단식으로 배치된 화격자(12)를 포함하며, 상기 화격자(12)의 하단에 장착되어 소각잔유물의 낙하경로가 되는 복수개의 중공슈트(16)와, 분진제거용 물이 채워지는 소정 길이의 수평케이스(18a)와 이 수평 케이스의 일측에서 위쪽으로 둔각을 이루며 절곡된 경사케이스(18b)로 구분되는 케이싱(18)과, 상기 케이싱(18)의 경사케이스(18b)의 끝단부에 개방되게 형성된 최종배출구(20)와, 상기 케이싱(18)의 내부에서 그 양측 위치에 상하 배열되는 컨베이어용 가이드레일(22)과, 상기 컨베이어용 가이드레일(22)을 따라 순환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송컨베이어(30)로 구성하되, 상기 이송컨베이어(30)는 케이싱(18)내에서 그 양측에 배열된 컨베이어용 가이드레일(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는 다수의 롤러(24)와, 상기 다수의 롤러(24) 중 이송컨베이어의 이송방향에 있는 롤러(24)를 상호 연결하는 체인링크(26)와, 상기 체인링크(26)의 안쪽 위치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일체로 형성된 측판(28)과, 이송컨베이어의 이송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롤러(24)들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샤프트(29)와, 상기 다수의 샤프트(29) 외경에 삽입되는 파이프 형태인 복수개의 에이프런 연결고리(32)와, 상기 다수의 샤프트(29)에 삽입된 에이프런 연결고리(32)에 일체로 용접되는 판체 구조의 다수의 에이프런판(34)과, 상기 다수의 에이프런판(34) 중 연속된 두개의 에이프런판(34) 상면에 일체로 장착되되 상기 측판(28)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일체로 장착되는 역"V"자형 앵글판(36)과, 상기 다수의 에이프런판(34) 중 앵글판(36)을 갖는 두개의 에이프런판(34)의 다음에 오는 에이프런판(34) 상면에 일체로 장착되되 상기 측판(28)보다 높게 장착되어 케이싱(18)의 내표면에 침적된 소각잔유물을 긁어내는 스크래치판(38)으로 이루어진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잔유물 배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앵글판(36)과 스크래치판(38)의 전후 부위에는 물 배출구멍(40)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에이프런판(34)의 배면에 대한 보강지지물로서 상기 케이싱(18)의 길이방향을 따라 찬넬보강판(42)이 일체로 장착되고, 상기 찬넬보강판(42)의 상면에는 완충용 PP라이너(44)가 일체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잔유물 배출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20090000750U 2009-01-21 2009-01-21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잔유물 배출시스템 KR2004450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750U KR200445061Y1 (ko) 2009-01-21 2009-01-21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잔유물 배출시스템
PCT/KR2010/000374 WO2010085090A2 (ko) 2009-01-21 2010-01-21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잔유물 배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750U KR200445061Y1 (ko) 2009-01-21 2009-01-21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잔유물 배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061Y1 true KR200445061Y1 (ko) 2009-06-26

Family

ID=41648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750U KR200445061Y1 (ko) 2009-01-21 2009-01-21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잔유물 배출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45061Y1 (ko)
WO (1) WO201008509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82214A (zh) * 2019-10-29 2020-02-11 深圳慧格科技服务咨询有限公司 应用于建筑废弃物回收处理的智慧监管系统
CN117308606B (zh) * 2023-11-28 2024-02-23 浙江百能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相变储能的熔融物溜槽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5016A (ja) * 1994-02-15 1995-08-22 Hitachi Zosen Corp 焼却炉の側壁構造および耐火レンガ
KR200142563Y1 (ko) * 1997-05-20 1999-06-01 고장길 소각폐기잔유물 이송콘베이어
KR200263266Y1 (ko) * 2001-06-21 2002-02-04 고장길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잔유물 이송 배출 장치
KR200404646Y1 (ko) * 2005-07-15 2005-12-27 홍종태 소각재 수냉이송배출장치
JP4096013B2 (ja) * 2006-06-19 2008-06-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水砕スラグの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85090A3 (ko) 2010-11-04
WO2010085090A2 (ko) 201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4814E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dry removal of bottom ash
EP2266897B1 (en) Waste treating system with a waste conveyor
AU2006203642A1 (en) Dry slag discharge device for coal-fired boiler
KR20030008203A (ko) 건설폐기물의 자원 재활용 방법 및 그 장치
KR200445061Y1 (ko)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잔유물 배출시스템
CN111102580A (zh) 用于回转窑危险废物焚烧装置的进料系统
AU2006203646B2 (en) Dry slag discharge device for coal-fired boiler
US3504645A (en) Enclosed conveyor return run for incinerators
US4949653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incineration
KR100517356B1 (ko) 매립폐기물 선별장치
KR20010089073A (ko) 2단 역회전 매립토사 쓰레기 선별장치
RU2586418C2 (ru) Колосниковая решетка котла и котел
US3404643A (en) Incinerators
TW201726528A (zh) 柵篩裝置及灰分排出系統
CN1942555B (zh) 焦炉操作设备
CN210709778U (zh) 一种用于大落差灰场的卸灰装置
CN215709260U (zh) 具有渣灰分选功能的双向灰渣输送机
US3416469A (en) Incinerator
KR200263266Y1 (ko) 폐기물 소각로의 소각잔유물 이송 배출 장치
KR101452720B1 (ko) 소각로 재 이송용 컨베이어의 에이프런 조립체
JP7236229B2 (ja) 摺動式バースクリーン及びこれを用いた搬送選別装置
CN215760224U (zh) 一种悬挂式建筑施工垃圾通道
KR200142563Y1 (ko) 소각폐기잔유물 이송콘베이어
CN201487971U (zh) 一种燃煤锅炉排渣装置
CN216988472U (zh) 干渣机串联清扫链缓冲斗入口用滤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