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835Y1 - 램프 장치 - Google Patents

램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835Y1
KR200444835Y1 KR2020070010623U KR20070010623U KR200444835Y1 KR 200444835 Y1 KR200444835 Y1 KR 200444835Y1 KR 2020070010623 U KR2020070010623 U KR 2020070010623U KR 20070010623 U KR20070010623 U KR 20070010623U KR 200444835 Y1 KR200444835 Y1 KR 2004448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ight
cover
main body
light e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6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0029U (ko
Inventor
박상윤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06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835Y1/ko
Publication of KR200900000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0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8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8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54Allowing or improving visual supervision, e.g. lamps, transparent parts, window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청정기에 탑재되어 이용되는 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램프로부터 출사된 빛을 원하는 방향으로 집중적으로 반사시킴으로써, 보다 밝고 고른 빛을 낼 수 있는 램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램프 장치는,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로 구성되어진 공기청정기에 적용되는 램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테두리 안쪽에 배치되어 빛을 출사시키기 위한 램프; 상기 램프를 상기 커버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 상기 램프로부터 출사된 빛이 진행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도광부; 및 상기 램프로부터 출사된 빛을 상기 본체와 커버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반사시키기 위해 상기 도광부에 설치되어 있는 반사판을 포함한다.
공기청정기, 램프, 반사판

Description

램프 장치{LAMP APPARATU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램프 장치가 적용되는 협탁형 공기청정기의 일실시예 외부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램프 장치가 탑재되어 있는 커버의 안쪽 평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램프 장치를 상세히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램프 장치가 탑재되어 있는 커버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램프 장치에 적용되는 반사판의 일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램프 장치에 적용되는 반사판의 또 다른 일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본체 200 : 커버
300 : 이격공간 400 : 램프 장치
410 : 램프 420 : 고정부
430 : 도광부 440 : 반사판
본 고안은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청정기에 탑재되어 이용되는 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는 공기 중의 먼지나 세균 등을 걸러 내어 공기를 깨끗하게 하는 장치로서, 그 형태에 따라 크게 스탠드형(Stnad Type)과 협탁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자동차나 선박 및 비행기 등에서 자주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생활수준이 향샹되면서 사무실이나 주택 등 다양한 곳까지 그 설치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공기청정기는 종래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기본기능 외에도 별도의 부가적인 기능들이 더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단순히 공기를 정화시키는 기능만을 수행하였으나,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공기청정기는 공기를 정화시켜 주는 기본기능 외에 별도로 소정의 향기를 풍겨줄 수 있는 향발생기능, 공기를 살균시켜주는 살균기능 및 산소를 발생시켜주는 산소발생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이 더 요구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램프를 이용하여 편안하거나 아름다운 분위기를 연출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을 위하여 램프 장치가 탑재되어 있는 공기청정기도 개발되고 있다. 특히, 이용이 편리하고 다양한 색깔을 가진 발광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발광다이오드를 램프로 이용하는 램프 장치가 외부 프레임에 설치되어져 있는 공기청정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램프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보다 밝고 선명하게 구현하기 위해서는 램프 즉, 발광다이오드의 숫자를 증대시켜야 하지만, 발광다이오드의 숫자가 증대되는 만큼 공기청정기의 제조 비용이 증가하게 되므로, 발광다이오드 숫자를 무한정으로 증대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램프로부터 출사된 빛을 원하는 방향으로 집중적으로 반사시킴으로써, 보다 밝고 고른 빛을 낼 수 있는 램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램프 장치는,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로 구성되어진 공기청정기에 적용되는 램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테두리 안쪽에 배치되어 빛을 출사시키기 위한 램프; 상기 램프를 상기 커버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 상기 램프로부터 출사된 빛이 진행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도광부; 및 상기 램프로부터 출사된 빛을 상기 본체와 커버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반사시키기 위해 상기 도광부에 설치되어 있는 반사판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램프 장치가 적용되는 협탁형 공기청정기의 일실시예 외부 구성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램프 장치가 적용되는 협탁형 공기청정기는 상단에 위치되는 커버가 협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는 본체(100) 및 상기 본체의 상단을 커버하도록 협탁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커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체와 커버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는 이격공간(300)이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300)을 통해 램프의 빛이 출사되어 무드를 조성하게 된다.
상기 본체(100)에는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 내부로 흡입된 공기 중의 먼지나 세균을 걸러 정화시키기 위한 필터,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공기토출구 등의 구성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상기 공기흡입구, 공기토출구 등은 상기 커버(200)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램프 장치가 적용되는 공기청정기가 협탁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예로 설명되어져 있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상기 공기청정기는 스탠드 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커버(200)는 본체의 상단을 커버하는 것이 아니라 본체의 정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램프 장치는 상기 커버(200)의 테두리를 따라 안쪽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램프 장치로부터 출사된 빛은 상기 커버(200) 내부에서 반사되어, 상기 커버(200)로부터 상기 본체(100) 방향으로 수직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상기 이격공간(300)에는 상기 램프 장치에 의해 다양한 색상의 빛이 조명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상기 램프 장치는 상기 본체(100)의 테두리를 따라 안쪽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복잡한 구성요소들이 탑재되어 있는 본체(100) 보다는 커버(200)에 램프 장치가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램프 장치가 상기 커버(200)의 테두리 안쪽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램프 장치가 탑재되어 있는 커버의 안쪽 평면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1에 도시된 커버(200)의 안쪽 평면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램프 장치를 상세히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2에 도시된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램프 장치가 탑재되어 있는 커버의 단면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4에 도시된 커버의 상단면이 협탁으로 이용되는 부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램프 장치(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0)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커버(200)의 안쪽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빛을 출사시키기 위한 램프(410), 상기 램프를 상기 커버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420), 상기 램프로부터 출사된 빛이 진행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도광부(430) 및 상기 램프로부터 출사된 빛을 상기 경로와 다른 방향으로 굴절시키기 위해 상기 도광부에 설치되어 있는 반사판(44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램프(410)는 다양한 종류의 발광체들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용이 간단하고 다양한 색상이 구현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LED)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420)는 상기 램프(410)를 커버의 안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고리, 나사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들이 이용될 수 있다.
도광부(430)는 상기 램프(410)로부터 출사된 빛의 진행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서, 빛이 감쇄되지 않고 진행될 수 있도록 반사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판(440)은 상기 램프(410)로부터 출사된 빛의 진행 경로를 원하는 방향으로 굴절시킴으로써, 상기 빛이 공기청정기의 외관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된 램프, 고정부, 도광부, 반사판으로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램프 장치(400)는 상기 커버(200)에 탑재되는 최소 단위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램프 장치(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0)의 테두리를 따라 다수개 탑재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200)의 테두리의 모든 모서리 부분 각각에는 상기 테두리의 장방향과 단방향을 향하도록 램프(410)가 배치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장방향의 테두리 중간 부분에는 양쪽 모서리를 향하도록 두개의 램프(410)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마주보고 있는 상기 램프(410)의 중간 지점에 해당되는 도광부(430)에는 상기 램프들로부터 출사된 빛이 서로 만나 상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단막이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하나의 램프 장치(400)에는 하나의 램프(410)가 배치되어 있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상기 램프는 다수개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도광부(430)를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빛을 출사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램프가 상기 램프 장치에 탑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램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램프(410)로 부터 출사된 빛은 상기 도광부(430)를 따라 진행하다가 상기 반사판(440)에 의해 굴절되어 도 1에 도시된 상기 이격 공간(300)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지게 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램프(410), 즉, 발광다이오드(410)에서 출사된 빛은 상기 도광부(430)를 따라 진행하다가 상기 도광부(430)에 설치되어 있는 반사판(440)에 의해 굴절되어, 상기 진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방향은 상기 커버(200)에서 상기 본체(100)를 향하는 방향을 말하는 것이므로, 상기 커버(200)와 본체(100) 사이에 이격되어져 있는 이격 공간(300)을 통해 상기 빛이 보여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반사판(4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램프(410)가 위치되어 있는 곳으로부터 경사진면을 갖게 된다.
한편, 상기 반사판(440)은 상기 램프로부터 출사된 빛을 소정의 방향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경사진면을 갖도록 형 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빛을 원하는 방향으로 보다 잘 반사시킬 수 있도록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램프 장치에 적용되는 반사판의 일예시도로서, 도 4에 도시된 반사판(440)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램프 장치에 적용되는 반사판(4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판의 전체 외관을 형성하는 반사판 본체(441) 및 상기 반사판 본체 중 상기 램프(410)로부터 출사된 빛과 대향하는 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빛의 진행경로와 다른 경로로 상기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반사체(44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반사판 본체(44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라리꼴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반사체(442)를 갖는 판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반사체(442)는 상기 반사판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램프(410)로부터 출사된 빛을 상기 이격공간(300) 쪽으로 반사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반사체(442)는 상기 램프(410)로부터 출사된 빛의 진행방향과 45도 각도 기울어져 있는 형태로 상기 반사판 본체(441)에 형성된다. 즉, 상기 이격공간(300)은 도 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램프로부터 출사된 빛과 90도 각도 방향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반사체(442)가 상기 빛의 진행방향과 45도 기울어져 있다면, 입사각과 반사각이 동일하다는 빛의 반사 원리에 의해 상기 빛은 상기 진행방향과 90도를 이루는 상기 이격공간(300) 방향으로 반사된다.
한편, 상기 반사체(442)는 상기 반사판 본체(441)에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 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형상으로 연속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사체(442)의 표면은 빛이 산란 및 확산되지 않도록 구조적인 처리 또는 화학적인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램프 장치에 적용되는 반사판의 또 다른 일예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램프 장치에 적용되는 또 다른 반사판(4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램프(410)로부터 출사된 빛의 진행경로와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져 있는 반사판 본체(441) 및 상기 반사판 본체의 면들 중 상기 빛의 진행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빛을 난 반사시키기 위한 도트(44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반사판 본체(44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라리꼴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판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트(443)는 상기 반사판 본체에 형성된 것으로서, 단순히 점형상으로 상기 반사판 본체(441)의 면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돌출된 형태나 움푹 파인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즉, 상기 도트(443)는 상기 램프로부터 출사된 빛을 난반사 시켜 상기 이격공간(300)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빛을 정확히 90도로 굴절시키지는 않지만 다양한 각도로 굴절시킴으로써 많은 빛이 상기 이격공간(300)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트가 형성되어져 있는 상기 반사판 본체(441)의 면은 빛이 산 란 및 확산되지 않도록 구조적인 처리 또는 화학적인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램프(410)에 인접되어 있는 상기 반사판 본체(441)의 면에는 인접되어 있지 않은 면보다 많은 도트(44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램프(410)와 인접되어 있는 반사판 본체(441)의 면에 보다 많은 도트(443)가 형성됨으로써, 램프의 밝은 빛이 보다 많은 곳으로 난반사되어 상기 이격공간(300)으로 반사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램프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램프로부터 출사된 빛을 이격공간으로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판을 구비함으로써, 본 고안이 탑재된 공기청정기에서 보다 밝고 선명한 조명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밝고 선명한 조명을 연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에게 공기청정기에 대한 구매 의욕을 높일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5)

  1.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로 구성되어진 공기청정기에 적용되는 램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테두리 안쪽에 배치되어 빛을 출사시키기 위한 램프;
    상기 램프를 상기 커버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
    상기 램프로부터 출사된 빛이 진행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도광부; 및
    상기 램프로부터 출사된 빛을 상기 본체와 커버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반사시키기 위해 상기 도광부에 설치되어 있는 반사판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판은,
    외관을 형성하는 반사판 본체; 및
    상기 반사판 본체 중 상기 램프로부터 출사된 빛과 대향하는 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빛을 상기 이격공간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다수의 반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장치.
  2. 삭제
  3. 삭제
  4.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로 구성되어진 공기청정기에 적용되는 램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테두리 안쪽에 배치되어 빛을 출사시키기 위한 램프;
    상기 램프를 상기 커버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
    상기 램프로부터 출사된 빛이 진행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도광부; 및
    상기 램프로부터 출사된 빛을 상기 본체와 커버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반사시키기 위해 상기 도광부에 설치되어 있는 반사판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판은,
    상기 램프로부터 출사된 빛의 진행경로와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져 있는 반사판 본체; 및
    상기 반사판 본체의 면들 중 상기 빛의 진행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에 형성되어 상기 빛을 난 반사시키기 위한 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 장치.
KR2020070010623U 2007-06-28 2007-06-28 램프 장치 KR2004448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623U KR200444835Y1 (ko) 2007-06-28 2007-06-28 램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623U KR200444835Y1 (ko) 2007-06-28 2007-06-28 램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029U KR20090000029U (ko) 2009-01-07
KR200444835Y1 true KR200444835Y1 (ko) 2009-06-09

Family

ID=41278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623U KR200444835Y1 (ko) 2007-06-28 2007-06-28 램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83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029U (ko) 200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44890A1 (en) Photocatalytic air cleaning structure for air cleaner, air cleaner having the air cleaning structure, and photocatalytic filter for use in the air cleaning structure
JP2008027886A5 (ko)
KR100997006B1 (ko) 공기정화가 가능한 led 조명등
RU2005137141A (ru) Структура светоизлучающего поверхностного тела
JP2012079600A (ja) 照明カバー
US20080232107A1 (en) Multifunction Lamp
JP2018536263A (ja) 照明装置およびこれを含む車両用ランプ
JP6045818B2 (ja) 照明装置
JP2017109158A (ja) 空気清浄機
CA2795004A1 (en) Light fixture
KR200444835Y1 (ko) 램프 장치
JP2014002962A (ja) 照明装置
JP2007000507A (ja) キッチンカウンター
JP5931079B2 (ja) 照明装置、照明器具及び照明システム
JP2012238552A (ja) 照明付き鏡
TW201507765A (zh) 繪圖台玩具
JP2022080067A (ja) 飛沫防護パネル
EP3894046A1 (en) Filtration device for the abatement of dust and/or particulate, for air sanitization and purification
ATE467083T1 (de) EINBAUVORRICHTUNG ZUR GLEICHMÄßIGEN BELEUCHTUNG VON WÄNDEN
CN209782897U (zh) 导光熏香装置
JP6366625B2 (ja) 外付殺菌消臭空気清浄装置
KR102556384B1 (ko) 통기성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 필터
CN210373083U (zh) 一种具有间接光结构的直下式平板灯
CN212644487U (zh) 一种透镜、配光组件和灯具
CN217356745U (zh) 导光板及照明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