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634Y1 - 웨이브퍼머용 헤어아이론 - Google Patents

웨이브퍼머용 헤어아이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634Y1
KR200444634Y1 KR2020070017645U KR20070017645U KR200444634Y1 KR 200444634 Y1 KR200444634 Y1 KR 200444634Y1 KR 2020070017645 U KR2020070017645 U KR 2020070017645U KR 20070017645 U KR20070017645 U KR 20070017645U KR 200444634 Y1 KR200444634 Y1 KR 2004446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glove
iron
handle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6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211U (ko
Inventor
이승수
Original Assignee
이승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수 filed Critical 이승수
Priority to KR20200700176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634Y1/ko
Publication of KR200900042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2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6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6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6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 A45D1/1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with a rotatable handle sleev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6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 A45D1/08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the jaws remaining parallel to each other during use, e.g. the jaws sliding parallel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16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a single heated member

Landscapes

  • Hair Curling (AREA)

Abstract

이 고안은 모발이 감겨지게 되는 모발권선부가 보다 신속하게 가열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모발을 가압하게 되는 글러브가 가압하는 동안에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약한 손힘으로도 글러브를 조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수월하면서도 양호한 퍼머시술이 도모되는 웨이브퍼머용 헤어아이론에 관한 것으로서, 아이론손잡이(10)와 모발권선부(20)를 길이방향으로 연결되게 하는 샤프트(11)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공전부재(30)를 구비하고 상기 공전부재(30)를 중심으로 시소운동되고 글러브손잡이(41)를 갖는 글러브(40)가 비틀림스프링(70)의 탄력에 의해 벌려지게 회동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발권선부(20)는 공기가 머무는 중공부(22)를 갖는 얇은 두께의 외피층(23)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외피층(23) 내면에는 히터공(24)이 각각 형성된 다수의 돌륜부(25)를 형성하여 상기 히터공(24)에 내장되는 봉히터(21)의 열에너지에 의해 중공부(22)의 공기와 외피층(23)이 가열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공전부재(30)의 일측부에 형성된 스톱홈부(31)에는 아이론손잡이(10)에 형성시킨 이동홈부(12)와 가이드공(13)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제어부재(60)의 스톱퍼로드부(61)가 삽입 및 이탈되도록 하여 원주방향으로의 공전부재(30) 회동이 제어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공전부재(30)에 고정단부(71)가 고정되는 비틀림스프링(70)은 자유단부(73)가 롤러(74)를 구비하고 글러브손잡이(41) 내면쪽으로 자유단부(73)의 탄력이 부여되도록 설치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Figure R2020070017645
헤어아이론, 미용아이론, 웨이브퍼머용 아이론

Description

웨이브퍼머용 헤어아이론{wey Ladles pu, me the hair child Rong}
본 고안은 웨이브 퍼머를 하는데 주로 쓰이는 헤어아이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신속한 퍼머 시술이 도모되는 동시에 모발을 퍼머 시술자가 보다 편리하게 사용 가능하게 하면서도 양호한 퍼머가 도모되도록 개선된 웨이브퍼머용 헤어아이론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KR 20-0358520 Y1 2004. 8. 11
[문헌 2] KR 20-0367464 Y1 2004. 11. 10
일반적으로 웨이브퍼머용 헤어아이론은 열에너지를 발산하는 모발권선부에 모발이 감겨지게 한 다음에 글러브에 의해서 가압되도록 하여 퍼머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모발권선부에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가 내장되고 있고, 주로 이용되고 있는 히터는 출원인에 의해 선등록 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358520호 및 동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67464호에 의해 개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의 히터로서 모발권선부 중앙부에 내장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므로 모발권선부 중앙부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가 그 모발권선부 외표면까지 신속하게 열전달이 되지 못하여 히터로부터 발생된 열에너지가 보다 신속하게 열전달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열전달율이 비교적 높은 황동으로 된 열전달부재를 거쳐서 모발권부의 외표면부까지 열에너지가 전달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히터로부터 모발권선부 외표면까지 열전달이 되도록 하는데 있어 황동 열전달부재를 통해야 하므로 신속한 열전달이 되지 않는 것이며, 그로 인해 퍼머시술자(미용사)가 웨이브퍼머를 시술하기 위해서 처음에 모발권선부가 퍼머가 되는 온도(퍼머온도)까지 가열되게 하는데 있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고 그로인해 시술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또한, 퍼머시술 과정에 모발 상태에 따라 온도 조절이 요구 되는데 이때 모발권선부 중앙부에 있는 히터로부터 모발권선부 외표면까지 열전달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모발권선부의 외표면의 신속한 온도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양호한 퍼머시술이 도모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야기 되었다.
그리고 웨이브퍼머용 헤어아이론은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67464호와 같이 모발을 가압하기 위한 글러브가 회전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길다란 모발을 웨이브 퍼머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 모발권선부에 모발이 감겨지게 하면서 글러브에 의해서 수시로 가압되게 하는 방법으로 시술을 하게 된다.
이때, 아이론손잡이와 글러브손잡이를 한 손으로 힘차게 쥐게 됨으로써 글러브가 모발권선부에 가압되어 그 사이에 있는 모발이 가압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시술작업을 직업적으로 반복게 되는 퍼머시술자의 경우 매우 힘든 작업일 뿐만 아니라 글러브가 모발을 가압하는 있는 동안 양호한 퍼머를 위해서 글러브가 회전되지 말아야 하기 때문에 더욱 힘차게 글러브손잡이를 쥐고 있어야 함으로써 퍼머시술이 더욱 힘든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그리고 양호한 퍼머시술을 하기 위해서 처음에 모발권선부를 가열되게 할 때 글러브도 가열되게 하는 방법이 동원된다. 이때 글러브가 가열되게 하기 위하여 모발권선부에 글러브가 밀착되게 하는데 이때에도 한동안 아이론손잡이와 글러브손잡이를 한 손으로 힘차게 잡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글러브가 벌어진 상태에서 모발권선부에 모발이 감겨지게 할 때 글러브가 제멋대로 회전되면 모발을 감는데 도리어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67464호와 같이 글러브가 벌 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채용되고 있는 비틀림스프링이 글러브 자체에 탄력이 부여되게 한 것이기 때문에 그 비틀림스프링이 접촉되는 돌출부를 글러브에 구성하여야 함에 따라 제조원가가 상승되고 취급에 장애가 따르는 등의 문제점이 초래되었을 뿐만 아니라 강력한 탄력을 가진 스프링을 사용해야 함으로써 글러브손잡이를 한손으로 잡아서 당기는 과정에 강한 힘으로 잡아야 하기 때문에 매우 힘든 퍼머시술을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양호한 퍼머 시술을 도모하고 보다 신속하게 퍼머를 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퍼머시술자가 보다 편리하고 수월하게 퍼머 시술을 할 수 있는 헤어아이론이 요구되었다.
본 고안은 모발이 감겨지게 되는 모발권선부가 보다 신속하게 가열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모발을 가압하게 되는 글러브가 가압하는 동안에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약한 손힘으로도 글러브를 조작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수월하면서도 양호한 퍼머시술이 도모되도록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아이론손잡이와 모발권선부를 길이방향으로 연결되게 하는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공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공전부재를 중심으로 시소운동되고 글러브손잡이를 갖는 글러브가 비틀림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벌려지게 회동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발권선부는 공기가 머무는 중공부를 갖는 얇은 두께의 외피층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외피층 내면에는 히터공이 각각 형성된 다수의 돌륜부를 형성하여 상기 히터공에 내장되는 봉히터의 열에너지에 의 해 중공부의 공기와 외피층이 가열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공전부재의 일측부에 형성된 스톱홈부에는 아이론손잡이에 형성시킨 이동홈부와 가이드공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동제어부재의 스톱퍼로드부가 삽입 및 이탈되도록 하여 원주방향으로의 공전부재 회동이 제어되도록 구성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제어부재의 스톱퍼로드부 저면부에는 밀착돌륜부가 더 돌출되도록 구성함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전부재에 고정단부가 고정되는 비틀림스프링은 자유단부가 롤러를 구비하고 글러브손잡이 내면쪽으로 자유단부의 탄력이 부여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또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모발이 감겨져서 열에너지를 부여하게 되는 모발권선부의 가열 속도가 빠르게 되므로 신속한 퍼머 시술이 도모되는 효과가 있고 글러브 회동을 간편한 조작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양호한 퍼머를 도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글러브손잡이를 당길 때 적은 손힘으로도 당길 수 있게 됨으로써 퍼머 시술자의 피로도 감소 효과 및 퍼머 시술의 능률을 높이기 때문에 제품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본 고안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실시된 헤어아이론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일측면 구 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헤어아이론은 전선(1)이 연결되는 아이론손잡이(10)를 구비하고 상기 아이론손잡이(10) 선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11) 선단부에 고정되는 길다란 모발권선부(20)를 구비한다.
그리고 아이론손잡이(10)와 모발권선부(20) 사이의 샤프트(11)에는 공전부재(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전부재(30)에는 글러브손잡이(41)를 갖는 글러브(40)가 받침대(50)의 양측 축단부(51)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축단부(51)를 중심으로 글러브(40)가 회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헤어아이론이 받침대(50)를 구비하지 않을 경우에는 축단부(51) 기능을 하게 되는 별도의 힌지축(미도시됨)으로 글러브(40)가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위에서 설명된 구성들은 이미 출원인의 선행기술들에 의해서 실시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전기 배선에 있어서도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모발권선부(20)에 수개의 길다란 봉히터(21)가 내장되도록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발권선부(20)는 주로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중공부(22)를 갖도록 형성하여 비교적 얇은 두께의 외피층(23)만 갖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외피층(23) 내면에 등간격으로 각각 히터공(24)을 가진 다수의 돌륜부(25)를 갖도록 하고 상기 히터공(24)에 봉히터(21)가 삽입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모발권선부(20)는 도 3의 (a)와 같이 직경이 작은 크기일 경우에는 2개의 봉히터(21)가 내장되고, 모발권선부(20)의 직경이 큰 직경을 갖는 경우에는 (b)와 같이 3개의 봉히터(21)가 내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에너지 공급에 의해서 봉히터(21)가 열에너지를 발생하게 되면 그 열에너지는 비교적 얇은 두께의 외피층(23)으로 곧바로 열전달이 되기 때문에 모발권선부(20)가 예전보다는 매우 빠른 속도로 가열되게 된다.
또한, 봉히터(21)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는 외피층(23) 내측에서 돌륜부(25)가 넓은 발산면적을 가지기 때문에 외피층(23)의 외표면적 보다는 내표면적이 더 크므로 중공부(22) 쪽으로 발산되는 열량이 더 많게 될 뿐만 아니라 외피층(23)의 외표면은 외부 공기와 접촉되므로 열량 손실이 따르는 반면에 중공부(22)는 외부공기와 접촉되지 않으므로 중공부(22)의 내부공기는 신속하게 뜨거운 공기가 되고, 그 뜨거운 공기에 의해서 외피층(23)이 더욱 신속하게 가열되는 배속가열현상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모발권선부(20)는 더욱 신속하게 가열되게 된다.
그러므로 퍼머시술을 할 때 퍼머를 할 수 있는 퍼머온도까지 신속하게 모발권선부(20)가 가열되므로 더욱 신속한 퍼머시술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퍼머시술 도중에 더욱 높은 퍼머온도로 상승시키고져 할 때에도 빠른 속도로 모발권선부(20)의 온도를 높일 수 있고 낮출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샤프트(11)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전부재(30)의 후미쪽에 스톱홈부(31)가 형성된다.(도 5 참조)
상기 스톱홈부(31)에는 아이론손잡이(10) 선단부에 설치되는 회동제어부재(60)의 스톱퍼로드부(61)가 삽입되고 이탈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동제어부재(60)는 아이론손잡이(10)의 선단부 외측부에 형성된 이동홈부(12)에 설치되고 스톱퍼로드부(61)는 이동홈부(12) 하측에서 직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가이드공(13)에서 길이방향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톱퍼로드부(61) 밑면에는 밀착돌륜부(62)를 구비함으로써 스톱퍼로드부(61)가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흔들림 없이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회동제어부재(60)를 도 4에서 가상선 도시와 같이 앞쪽으로 강제적으로 밀게 되면 스톱퍼로드부(61)가 전진되게 이동하여 공전부재(30)의 스톱홈부(31)에 삽입되고, 그로 인해서 공전부재(30)가 원주방향으로 회동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도 4에서 실선 도시와 같이 후미방향으로 회동제어부재(60)를 이동시키게 되면 스톱홈부(31)로부터 스톱퍼로드부(61)가 빠지게 되어 이탈하게 되므로 공전부재(30)는 원주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회동제어부재(60)의 조작에 의해서 공전부재(30)의 회전을 못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도 2의 도시와 같이 글러브(40)가 벌어진 상태에서 모발권선부(20)에 모발이 감겨지게 할 때 글러브(40)가 자유롭게 회동 됨으로써 방해가 되는 경우, 또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글러브(40)가 모발권선부(20)에 밀착되게 하고 모발에 열에너지를 몇분 동안 계속적으로 부여되게 하기 위하여 손잡이걸 림고리(80)에 글러브손잡이(41)가 걸림되게 한 상태에서도 글러브(40)가 모발권선부(20)로부터 유동되지 않게 하기 위해 공전부재(30)가 회동되지 못하도록 할 때 등 필요에 의해서 사용자가 회동제어부재(60)를 조작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글러브(40)가 비틀림스프링(70)의 벌어지는 탄력에 의해서 항시 벌어져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비틀림스프링(70)은 한쪽의 고정단부(71)가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72)에 의해서 공전부재(30)에 고정되고(도 4 참조), 다른 한쪽의 자유단부(73)에는 롤러(74)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글러브손잡이(41) 내측면에 얹혀지는 상태로 설치된다. 도 1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롤러(74)를 가진 자유단부(73)는 조립시에 화살표 도시 방향으로 제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러브손잡이(41)의 내측면 쪽으로 젖혀지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비틀림스프링(70)은 롤러(74)를 가진 글러브손잡이(41) 쪽으로 탄력이 작용되게 구성됨으로써 자유단부(73)의 길이를 예전보다 더욱 길게 구성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자유단부(73)의 길이가 길므로 글러브손잡이(41)를 한손으로 아이론손잡이(10)와 함께 잡고서 당겨지게 할 때 예전보다 적은 손힘으로도 당겨질 수 있게 되기 때문에 1회의 퍼머 시술을 할 때 수십번 또는 1일에 수백번씩 글러브손잡이(41)를 당겨서 퍼머 시술을 하게 되는 시술자(미용사)의 경우 힘이 덜 들고 피로도가 감소하게 하여 퍼머시술 능률이 향상되게 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실시된 헤어아이론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실시된 헤어아이론의 일측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Y-Y'선 단면도 상태를 나타낸 모발권선부의 실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공전부재 회동제어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공전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공전부재 회동 제어상태를 설명하는 일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아이론손잡이 11 : 샤프트
12 : 이동홈부 13 : 가이드공
20 : 모발권선부 21 : 봉히터
22 : 중공부 23 : 외피층
24 : 히터공 25 : 돌륜부
30 : 공전부재 31 : 스톱홈부
40 : 글러브 41 : 글러브손잡이
60 : 회동제어부재 61 : 스톱퍼로드부
62 : 밀착돌륜부 70 : 비틀림스프링

Claims (3)

  1. 아이론손잡이(10)와 모발권선부(20)를 길이방향으로 연결되게 하는 샤프트(11)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공전부재(30)를 구비하고 상기 모발권선부(20)가 봉히터(21)에 의해 가열되며 상기 공전부재(30)를 중심으로 시소운동되고 글러브손잡이(41)를 갖는 글러브(40)가 비틀림스프링(70)의 탄력에 의해 벌려지게 회동되고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회동제어부재(60)에 의해 회동이 제어되도록 하는 헤어아이론으로서;
    상기 모발권선부(20)의 가열속도를 높이기 위해 공기가 머무는 중공부(22)를 갖는 얇은 두께의 외피층(23)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외피층(23) 내면에는 각각의 봉히터(21)가 내장되는 히터공(24)을 갖는 다수의 돌륜부(25)를 형성시켜 중공부(22) 공기에 열전달되게 하는 넓은 발산면적을 갖도록 하여 중공부(22)의 공기와 외피층(23)의 가열시간이 단축되게 구성하고;
    상기 회동제어부재(60)는 저면에 밀착돌륜부(62)를 가진 스톱퍼로드부(61)를 구비하여 아이론손잡이(10)에 있는 이동홈부(12)와 가이드공(13)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스톱퍼로드부(61)가 글러브(40) 회동을 제어하기 위해 스톱홈부(31)에 삽입되게 이동하여 공전부재(30)의 회동이 구속되게 제어되도록 하고;
    상기 비틀림스프링(70)은 고정단부(71)가 공전부재(30)에 고정되고 글러브손잡이(41)에 탄력이 부여되게 하는 자유단부(73)에는 글러브손잡이(41) 내면에서 구름운동을 하는 롤러(74)를 구비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브퍼머용 헤어아이론.
  2. 삭제
  3. 삭제
KR2020070017645U 2007-10-31 2007-10-31 웨이브퍼머용 헤어아이론 KR2004446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645U KR200444634Y1 (ko) 2007-10-31 2007-10-31 웨이브퍼머용 헤어아이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645U KR200444634Y1 (ko) 2007-10-31 2007-10-31 웨이브퍼머용 헤어아이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211U KR20090004211U (ko) 2009-05-07
KR200444634Y1 true KR200444634Y1 (ko) 2009-05-26

Family

ID=41299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645U KR200444634Y1 (ko) 2007-10-31 2007-10-31 웨이브퍼머용 헤어아이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6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049B1 (ko) 2009-09-11 2010-10-29 엄호용 아이롱 퍼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049B1 (ko) 2009-09-11 2010-10-29 엄호용 아이롱 퍼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211U (ko)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7089B2 (en) Hairdressing apparatus
JP2009527338A5 (ko)
US20120138081A1 (en) Electric curling iron
JP2001104036A (ja) ヘアーアイロン
KR20110006571A (ko) 젖은모발퍼머시술이 가능한 헤어아이론
KR200444634Y1 (ko) 웨이브퍼머용 헤어아이론
JP2016518935A (ja) 毛髪成形装置、および毛髪成形装置を使用する方法
EP2152117B1 (fr) Appareil de traitement des cheveux
KR100696596B1 (ko) 미용기구세트 및 그것을 사용한 퍼머넌트웨이브 방법
CN101803819B (zh) 具有定发、烘发和卷发功能的整发器
CN203897572U (zh) 一种直发的装置
US20130008461A1 (en) Hair Styler Used for Conditioning, Drying and Curling Hair
CN206612355U (zh) 直拉式冷定型卷发器
EP2152116B1 (fr) Appareil de lissage des cheveux
EP0107748A1 (fr) Procédé et dispositif combinés d'aspiration et de séchage pour effectuer la mise en forme des chevelures
JP6902239B2 (ja) ヘアーアイロン
WO2015176399A1 (zh) 一种直发的方法和装置
TWI275365B (en) Rotary perm device
AU2010284845A1 (en) Hair curling device, kit and method
KR20100110667A (ko) 헤어 아이론
US20120186600A1 (en) Hair curling device, kit and method
KR101661202B1 (ko) 모발의 엉킴이 방지되는 헤어아이론
US2409791A (en) Croquignole iron
KR102146276B1 (ko) 다기능 헤어연출용 미용전열기기
KR20130005009U (ko) 트리트먼트용 매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