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618Y1 - 자동차 실내등용 엘이디 램프 - Google Patents

자동차 실내등용 엘이디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618Y1
KR200444618Y1 KR2020080013655U KR20080013655U KR200444618Y1 KR 200444618 Y1 KR200444618 Y1 KR 200444618Y1 KR 2020080013655 U KR2020080013655 U KR 2020080013655U KR 20080013655 U KR20080013655 U KR 20080013655U KR 200444618 Y1 KR200444618 Y1 KR 2004446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ight
interior
substrate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6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현하
Original Assignee
차현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현하 filed Critical 차현하
Priority to KR20200800136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6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6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6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1Mounting arrangements for mounting lighting devices onto vehicle interior, e.g. onto ceiling or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6/00In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실내등용 엘이디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등의 내부에 삽입되는 기판에 색상의 변화가 가능한 멀티LED를 다수개 장착하여 기존의 할로겐 전구에 대비하여 수명 및 밝기는 향상시키고 발열 및 소비전력은 낮출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기판의 전면에 무접점스위치를 구비하여 실내등의 몸체에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외부에서 상기 멀티LED에서 발산되는 빛의 색상을 손쉽게 변화시킴으로써 자동차 내부의 분위기를 다양하게 바꿀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실내등용 엘이디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실내등용 엘이디 램프는, 커버와 몸체로 구성된 실내등의 내부에 삽입되어 빛을 발산하는 자동차 실내등용 엘이디 램프에 있어서, 상기 실내등의 내부에 삽입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전면에 복수개로 배열되되, 전원을 공급받아 빛이 발산되고, 소정의 모드전환신호를 입력받아 발산되는 빛의 색상이 변화되는 멀티LED와; 상기 멀티LED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실내등의 몸체에 구비되어 있는 전원공급원인 실내등전구소켓과 상기 멀티LED를 연결하는 전원공급선과; 상기 기판의 전면에 구비되되, 물체의 근접을 감지하여 상기 멀티LED에 모드전환신호를 보내는 무접점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동차, 실내등, 무드등, 멀티LED, 무접점스위치

Description

자동차 실내등용 엘이디 램프{LED LAMP FOR CAR INTERIOR LIGHT}
본 고안은 자동차 실내등용 엘이디 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등의 내부에 삽입되는 기판에 색상의 변화가 가능한 멀티LED를 다수개 장착하여 기존의 할로겐 전구에 대비하여 수명 및 밝기는 향상시키고 발열 및 소비전력은 낮출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기판의 전면에 무접점스위치를 구비하여 실내등의 몸체에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외부에서 상기 멀티LED에서 발산되는 빛의 색상을 손쉽게 변화시킴으로써 자동차 내부의 분위기를 다양하게 바꿀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실내등용 엘이디 램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모든 자동차의 실내에는 그 실내를 조명하기 위한 실내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실내등의 내부에는 할로겐 전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 할로겐 전구는 소비전력이 10W 정도로 비교적 높아 장시간 켜둘 경우 자동차의 배터리가 방전될 뿐 아니라 어두워서 바닥에 떨어진 물건을 구별하기 어렵고, 나아가 독서에는 더욱 부적합한 밝기이다.
또한, 상기 할로겐 전구는 필라멘트를 사용하므로 비교적 쉽게 단선될 뿐 아 니라 쉽게 희미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할로겐 전구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최근에는 LED를 이용하여 종래의 할로겐 전구를 대체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LED(Light Emitting Diode)는 반도체 장치로서 전기에너지를 빛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반도체에 전압을 가할 때 생기는 발광현상(전기장 발광)을 이용한다. 상기 LED는 1923년 탄화규소 결정의 발광 관측에서 비롯되었으며, 1923년에 비소화 갈륨 p-n 접합에서의 고발광 효율이 발견되면서부터 그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1960년대 말 이후에는 실용화되기에 이르렀다.
또한, 상기 LED는 에폭시 레진 엔클로져로 둘러싸인 매우 작은 칩을 사용하므로 소형화가 가능하고, LED 1개 기준으로 2 ~ 3.6V와 0.02 ~ 0.03A에서 작동 및 전력이 0.1W이하만 소비되는 절전형이고, 부품 손상이 적어 최대 100,000시간까지 사용 가능하고, 대부분의 에너지를 빛으로 전환하므로 높은 조명효율과 낮은 열을 발산사키는 장점이 있다.
이에,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6418호(공고일자: 2004년 07월 15일)에는 자동차 실내등용 엘이디 램프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LED램프는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데, LED의 특성상 수명이 길고 할로겐 전구와 동일한 형상을 취함으로써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었으나, 그 형상에 따른 공간의 제약을 받아 다수의 LED를 장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차량 내부를 충분히 밝힐 수 있을 정도의 광량을 확보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2927호(공고일자: 2006년 12월 07일)에는 자동차용 실내등 엘이디 램프 및 그 회로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또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LED램프는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데, 다수의 Super Flux LED를 사용함으로써 차량 내부를 충분히 밝힐 수 있을 정도의 광량을 확보할 수는 있었으나, 기판(110)에 고정홀(113)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홀(113)을 통하여 나사로 기판(110)과 실내등 몸체를 결합해야 함으로써 장착이 용이하지 않고, 자동차에 구비된 실내등연결소켓에 +,-극성을 반드시 구분하여 연결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상기 실내등연결소켓과의 연결을 위한 집게(124)는 충격에 의해 상기 실내등연결소켓에서 분리될 가능성이 존재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자동차 실내등용 LED램프는 자동차의 실내등 커버와 몸체 사이에 수용되어 장착되는 관계로 상기 커버의 외부에서 조작가능한 다른 기능을 위한 별도의 스위치수단을 구비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종래에는 단일 색상의 LED램프를 사용하여 왔고, 이는 LED램프의 색상에 따라 실내등의 용도를 차량 내부에서의 독서를 위해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차량 내부의 분위기 연출을 위해 사용할 것인지 등 오직 한가지 용도로만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실내등의 내부에 삽입되는 기판에 색상의 변화가 가능한 멀티LED를 다수개 장착하여 기존의 할로겐 전구에 대비하여 수명 및 밝기는 향상시키고 발열 및 소비전력은 낮출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기판의 전면에 무접점스위치를 구비하여 실내등의 몸체에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외부에서 상기 멀티LED에서 발산되는 빛의 색상을 손쉽게 변화시킴으로써 자동차 내부의 분위기를 다양하게 바꿀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실내등용 엘이디 램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기판의 전면에 기판고정테잎을 구비하여 기판을 실내등 커버의 내측에 부착함으로써 차종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갖는 실내등 커버에 상기 기판이 용이하게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기판과 상기 실내등 커버 사이의 공간이 최소한으로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멀티LED에서 발산되는 광량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상기 무접점스위치의 물체 감지력을 높일 수 있는 자동차용 엘이디 실내등 램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실내등전구소켓에 삽입되는 소켓연결캡을 구비하고, 상기 소켓연결캡의 양단에는 두개의 +전선을 각각 연결하여 상기 두개의 +전선 중 어느 하나의 +전선은 항상 멀티LED의 +단자와 연결되도록 하고, 자동차의 차체에 -전선으로 멀티LED의 -단자를 연결함으로써 자동차에 구비되어 있는 기존의 실내등전구소켓을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상기 소켓연결캡의 삽입방향에 관계없이 용이 하게 장착할 수 있는 자동차용 엘이디 실내등 램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엘이디 실내등 램프는, 커버와 몸체로 구성된 실내등의 내부에 삽입되어 빛을 발산하는 자동차 실내등용 엘이디 램프에 있어서, 상기 실내등의 내부에 삽입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전면에 복수개로 배열되되, 전원을 공급받아 빛이 발산되고, 소정의 모드전환신호를 입력받아 발산되는 빛의 색상이 변화되는 멀티LED와; 상기 멀티LED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실내등의 몸체에 구비되어 있는 전원공급원인 실내등전구소켓과 상기 멀티LED를 연결하는 전원공급선과; 상기 기판의 전면에 구비되되, 물체의 근접을 감지하여 상기 멀티LED에 모드전환신호를 보내는 무접점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엘이디 실내등 램프는, 접착력에 의해 상기 기판이 상기 실내등의 커버 내측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멀티LED의 두께에 상응하는 두께를 갖고 상기 기판의 전면에 구비되는 기판고정테잎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엘이디 실내등 램프는, 양단이 각각 통전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실내등전구소켓에 삽입되는 소켓연결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선은, 상기 멀티LED의 +단자에서 상기 소켓연결캡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두개의 +전선과, 상기 멀티LED의 -단자에서 자동차의 차체에 연결되는 한개의 -전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엘이디 실내등 램프는 멀티LED를 구비함으로써 기존의 할로겐 전구에 대비하여 수명 및 밝기는 향상시키고 발열 및 소비전력은 낮출 수 있고, 무접점스위치를 구비하여 실내등의 몸체에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외부에서 상기 멀티LED에서 발산되는 빛의 색상을 손쉽게 변화시킴으로써 자동차 내부의 분위기를 다양하게 바꿀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엘이디 실내등 램프는 기판의 전면에 기판고정테잎을 구비하여 기판을 실내등 커버의 내측에 부착함으로써 차종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갖는 실내등 커버에 상기 기판이 용이하게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기판과 상기 실내등 커버 사이의 공간이 최소한으로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멀티LED에서 발산되는 광량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상기 무접점스위치의 물체 감지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엘이디 실내등 램프는 실내등전구소켓에 삽입되는 소켓연결캡을 구비하고, 상기 소켓연결캡의 양단에는 두개의 +전선을 각각 연결하여 상기 두개의 +전선 중 어느 하나의 +전선은 항상 멀티LED의 +단자와 연결되도록 하고, 자동차의 차체에 -전선으로 멀티LED의 -단자를 연결함으로써 자동차에 구비되어 있는 기존의 실내등전구소켓을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상기 소켓연결캡의 삽입방향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엘이 디 실내등 램프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엘이디 실내등 램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엘이디 실내등 램프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시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엘이디 실내등 램프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엘이디 실내등 램프는 기판(10)과, 멀티LED(20)와, 소켓연결캡(30)과, 전원공급선(40)과, 무접점스위치(50)와, 기판고정테잎(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판(10)은 PCB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엘이디 실내등 램프를 지지하는 베이스 역할을 함과 동시에 멀티LED(20) 및 무접점스위치(50)가 장착되고 배선되는 회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커버(C)와 몸체(B)로 구성된 실내등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기판(10)의 후면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멀티LED(20)의 +단자를 상호 연결하는 +배선과, 상기 멀티LED(20)의 단자를 상호 연결하는 -배선이 인쇄되어 있고, 상기 +배선에는 상기 기판(10)에 장착되는 상기 멀티LED(20)의 개수 및 직렬 또는 병렬의 연결방식에 맞게 필요한 저항 및 콘덴서 등이 구비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멀티LED(20)는 상기 기판(10)의 전면에 복수개로 배열되되, 전원을 공급받아 빛이 발산되고, 소정의 모드전환신호를 입력받아 발산되는 빛의 색상이 변화된다.
즉, 상기 멀티LED(20)는 상기 기판(10)의 전면에 복수개로 배열됨으로써 실내를 밝힐 수 있는 충분한 광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자동차에 구비되어 있는 실내등전구소켓(S)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후술할 무접점스위치(50)를 통하여 모드전환신호를 입력받게 된다.
또한, 광원으로 멀티LED(20)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할로겐 전구에 대비하여 수명 및 밝기는 향상시키고 발열 및 소비전력은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멀티LED(20)는 하나의 LED속에 적색, 녹색, 청색의 3개의 칩과 상기 3개의 칩을 입력신호에 따라 제어하는 IC로 구성되어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 즉, RGB LED를 사용할 수도 있고, 하나의 칩으로 구성되지만 입력신호에 따라 발산되는 빛의 색상이 변화되도록 하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소켓연결캡(30)은 상기 멀티LED(20)의 +단자와 상기 실내등전구소켓(S)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양단이 각각 통전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양단에 두개의 +전선(41)이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실내등전구소켓(S)에 삽입된다.
즉, 상기 소켓연결캡(30)의 형상은 종래의 할로겐 전구와 같은 형상을 취하여 자동차에 구비되어 있는 기존의 실내등전구소켓(S)을 그대로 이용하여 간편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전원공급선(40)은 상기 멀티LED(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실내등의 몸체(B)에 구비되어 있는 전원공급원인 실내등전구소켓(S)과 상기 멀티LED(2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두개의 +전선(41)과 한개의 -전선(42)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두개의 +전선(41)은 상기 멀티LED(20)의 +단자에서 상기 소켓연결캡(3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다.
즉, 자동차에 구비되어 있는 실내등전구소켓(S)의 일단은 +극성의 전류가 흐르고 타단은 -극성의 전류가 흐르지만, 상기 소켓연결캡(30)은 양단에 상기 멀티LED(20)의 +단자와 연결된 두개의 +전선(41)이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실내등전구소켓(S)에 삽입됨으로써 삽입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2개의 +전선(41) 중 어느 하나의 +전선(41)은 항상 상기 멀티LED(20)의 +단자가 +극성의 전류가 흐르는 상기 실내등전구소켓(S)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한개의 -전선(42)은 상기 멀티LED(20)의 -단자에서 자동차의 차체에 연결된다.
즉, 자동차의 차체에는 항상 -전류가 흐르므로 상기 -전선(42)을 차체에 연결 즉, 접지하여 상기 멀티LED(20)에 전류가 통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전선(42)을 차체에 연결하는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42)의 말단에 O링(O)을 구비하고 자동차에 구비되어 있는 실내등고정볼트(F)에 연결한다면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무접점스위치(50)는 물체의 근접을 감지하여 상기 멀티LED(20)에 모드전환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기판(10)의 전면에 구비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등 몸체(B)에 커버(C)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외부에서 상기 무접점스위치(50)가 위치한 부근의 상기 커버(C)를 손으로 터치 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멀티LED(20)에서 발산되는 빛의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기판(10)의 전면에 물체의 근접을 감지할 수 있는 상기 무접점스위치(50)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기판고정테잎(60)은 접착력으로 상기 기판(10)이 상기 실내등의 커버(C) 내측에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멀티LED(20)의 두께에 상응하는 두께를 갖고 상기 기판(10)의 전면에 구비된다.
즉, 상기 기판고정테잎(60)은 상기 멀티LED(20)의 두께에 상응하는 두께를 갖고 상기 기판(10)의 전면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멀티LED(20)의 손상없이 차종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갖는 실내등 커버(C)에 상기 기판(10)이 용이하게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기판(10)과 상기 실내등 커버(C) 사이의 공간이 최소한으로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멀티LED(20)에서 발산되는 광량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상기 무접점스위치(50)의 물체 감지력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자동차용 엘이디 실내등 램프는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2b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엘이디 실내등 램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엘이디 실내등 램프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엘이디 실내등 램프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시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엘이디 실내등 램프의 사용상태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C 실내등 커버
B 실내등 몸체
S 실내등전구소켓
10 기판
20 멀티LED
30 소켓연결캡
40 전원공급선
41 +전선
42 -전선
50 무접점스위치
60 기판고정테잎

Claims (3)

  1. 삭제
  2. 커버와 몸체로 구성된 실내등의 내부에 삽입되어 빛을 발산하는 자동차 실내등용 엘이디 램프에 있어서,
    상기 실내등의 내부에 삽입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전면에 복수개로 배열되되, 전원을 공급받아 빛이 발산되고, 소정의 모드전환신호를 입력받아 발산되는 빛의 색상이 변화되는 멀티LED와;
    상기 멀티LED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실내등의 몸체에 구비되어 있는 전원공급원인 실내등전구소켓과 상기 멀티LED를 연결하는 전원공급선과;
    상기 기판의 전면에 구비되되, 물체의 근접을 감지하여 상기 멀티LED에 모드전환신호를 보내는 무접점스위치를 포함하되,
    접착력에 의해 상기 기판이 상기 실내등의 커버 내측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멀티LED의 두께에 상응하는 두께를 갖고 상기 기판의 전면에 구비되는 기판고정테잎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실내등용 엘이디 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양단이 각각 통전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실내등전구소켓에 삽입되는 소켓연결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선은, 상기 멀티LED의 +단자에서 상기 소켓연결캡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두개의 +전선과, 상기 멀티LED의 -단자에서 자동차의 차체에 연결되는 1개의 -전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실내등용 엘이디 램프.
KR2020080013655U 2008-10-14 2008-10-14 자동차 실내등용 엘이디 램프 KR2004446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655U KR200444618Y1 (ko) 2008-10-14 2008-10-14 자동차 실내등용 엘이디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655U KR200444618Y1 (ko) 2008-10-14 2008-10-14 자동차 실내등용 엘이디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618Y1 true KR200444618Y1 (ko) 2009-05-26

Family

ID=41348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655U KR200444618Y1 (ko) 2008-10-14 2008-10-14 자동차 실내등용 엘이디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6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765B1 (ko) * 2012-03-14 2014-05-07 김명덕 자동차 실내등용 터치식 발광 인쇄회로기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765B1 (ko) * 2012-03-14 2014-05-07 김명덕 자동차 실내등용 터치식 발광 인쇄회로기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46118A (zh) 发光模块和照明装置
JP2012028272A (ja) 照明装置
JP3138653U (ja) 発光ダイオードランプ
JP2012028222A (ja) Ledランプ用電源装置およびledランプシステム
US20100109553A1 (en) Led bulb with zener diode, zener diode assembly or resistor connected in series
US20090184669A1 (en) Light emitting diode lamp
KR20090000077U (ko) 방열형 엘이디 안전램프
KR200444618Y1 (ko) 자동차 실내등용 엘이디 램프
KR101177683B1 (ko) 퓨즈타입의 엘이디램프
KR100904211B1 (ko) 전원단자 일체형 엘이디램프모듈
US20120025719A1 (en) LED Tube and Drive Circuit thereof
CN110242867A (zh) 一种模组式led光源
US20090033246A1 (en) Light emitting diode lamp
US11428392B2 (en) Lighting apparatus
CN201318572Y (zh) 发光二极管模组及其所应用的灯具
US20140016316A1 (en) Illuminant device
CN209399164U (zh) 一种照明灯
KR101075881B1 (ko) 엘이디 조명장치
US20060011460A1 (en) Switch structure
KR200432927Y1 (ko) 자동차용 실내등 엘이디 램프 및 그 회로구조
CN206504210U (zh) 一种盘状led光源
US20130235571A1 (en) Recessed multicolored led lamp
KR20080074838A (ko) 일체형 수퍼 브라이트 엘이디 전구 및 그 제조 방법
CN209399182U (zh) 一种户外灯
CN209084478U (zh) 一种灯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