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555Y1 - 인라인 스케이트 - Google Patents
인라인 스케이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4555Y1 KR200444555Y1 KR2020080006925U KR20080006925U KR200444555Y1 KR 200444555 Y1 KR200444555 Y1 KR 200444555Y1 KR 2020080006925 U KR2020080006925 U KR 2020080006925U KR 20080006925 U KR20080006925 U KR 20080006925U KR 200444555 Y1 KR200444555 Y1 KR 20044455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support
- hole
- foot
- boo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pecial auxiliary arrangements, e.g. illuminating, marking, or push-off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에 결합되는 바퀴의 직경을 동일하게 구성하면서도, 중족골두부의 가압에 의한 부츠의 파손이 없는 롱 마운트 구성의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후족부와 족지부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나사공(3a)이 구비된 고정부(3)를 형성한 부츠(2)와, 4개의 바퀴(4)가 축 결합되는 2개의 프레임(5)을 상기 고정부(3)와 포개지는 조립구멍(6a)이 구비된 고정플레이트(6)로 연결하고, 조립구멍(6a)을 통해서 볼트(7)를 나사공(3a)에 체결하는 롱 마운트(long mount)타입으로 구성한 공지의 인라인 스케이트(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부츠(2)의 안쪽에 위치하면서 발의 중족골두부를 지지하도록 반달 형상의 지지구(8)를 안쪽 프레임(5)에 설치하되, 상기 지지구(8)의 고정은 프레임(5)에 2~3개의 나사구멍(9)을 형성하고, 상기 반달 형상의 지지구(8)에는 지지구(8)의 중심에서 상사점(H) 반대쪽으로 편심되는 위치에 형성한 고정구멍(8a)과, 상기 고정구멍(8a)을 중심으로 하는 호 형상의 가이드구멍(8b)을 형성하고, 고정구멍(8a)과 가이드구멍(8b)으로 고정볼트(10)를 내입하여 나사구멍(9)에 체결함으로 해서 지지구(8)를 고정한 것으로서, 롱 마운트 구성의 인라인 스케이트(1)를 제공하면서도 중족골두부를 캠 구성의 지지구(8)로 지지하여 발바닥의 힘을 바퀴(4)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중족골두부의 누르는 힘에 의해 부츠(2) 바닥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고, 다양한 구성의 부츠(2)에 호환성 있는 적용이 가능하며,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롱 마운트 구성의 인라인 스케이트(1)에도 호환성을 가질 수 있어 쉽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인라인 스케이트, 지지구, 캠, 바퀴, 중족골두부
Description
본 고안은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에 결합되는 바퀴의 직경을 동일하게 구성하면서도, 중족골두부의 가압에 의한 부츠의 파손이 없는 롱 마운트 구성의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롤러스케이트 화는 양쪽 신발바닥에 똑같이 롤러를 전후 2열 또는 1열로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 중에 롤러가 1열로 달린 인라인 스케이트 화(inline skates)는 스피드와 다양한 스케이팅 기술을 구사할 수 있고, 스트레스 해소와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어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일반적인 인라인 스케이트(100)의 실시예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바퀴(111)가 결합된 프레임(110)의 상부에 고정플레이트(112)를 형성하고, 고정플레이트(112)를 부츠(120)의 전후측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부(121)와 포갠 상태에서 이들을 고정수단(130)으로 결합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라인 스케이트(100)는 부츠(120)의 전후측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부(121)는 후족부(발뒤축)와 중족골두부에 위치하도록 중심간 거리가 165mm(a)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고정부(121)에 결합되도록 프레임(110)의 전후측에 형성한 고정플레이트(112)의 경우 앞쪽 고정플레이트(112)를 뒤쪽보다 약 10mm 이상 낮은 위치에 형성하여 발을 안전적으로 받칠 수 있으면서 발에서 제공하는 구름력을 바퀴(111)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121)의 중심간 거리를 165mm(a)로 구성한 상태에서 100mm 이상의 직경을 갖는 바퀴(111)를 적용할 경우 앞쪽에서 2번째 바퀴(111)를 프레임(110)의 앞쪽 고정플레이트(112)에 간섭되므로 이웃하는 바퀴(111)들 보다 직경이 조금 작은 것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구성으로 바퀴(111)를 배열할 경우 각 바퀴(111)의 지상고가 다르고 그로인해 바퀴(111)에 전달되는 힘의 미세한 차이로 인한 속력 감소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근자에는 이런 문제점을 일소코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츠(2)의 전후측에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부(121)와, 프레임(110)의 상부에 형성한 고정플레이트(112) 사이의 간격을 195mm로 제작한 롱 마운트(long mount)구성의 제품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런 제품들은 인체공학을 무시한 구조로 사용에 따른 많은 문제점이 있다.
즉, 롱 마운트 제품의 경우 부츠(120)의 앞쪽 고정부(121)가 족지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발에서 제공되는 힘을 바퀴(111)로 충분하게 전달하기가 어렵고, 또한 누르는 힘이 강한 중족골두부를 받치는 부위에 공간(p)형성되고, 그로 인해 프레임(110)에 지지되지 않은 상태로 허공에 떠 있으므로 부츠(120) 바닥이 체중에 파 손되는 경우도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기한 종래 롱 마운트 구성의 인라인 스케이트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고안을 연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프레임에 결합되는 바퀴의 직경을 동일하게 구성하면서도, 중족골두부의 가압에 의한 부츠의 파손이 없는 롱 마운트 구성의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에서는 부츠에 형성된 고정구와, 프레임에 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의 간격을 195mm의 롱 마운트(long mount)로 구성함에 있어서, 프레임에 중족골두부에 해당되는 부츠의 바닥을 지지할 수 있는 캠 구성의 지지구를 설치하여 부츠 바닥을 지지하도록 함으로 해서 프레임에 4개의 대형 바퀴를 적용할 수 있으면서도 부츠의 파손에 따른 문제점 등을 일소할 수 있게 하였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에 의하면 롱 마운트 구성의 인라인 스케이트를 제공하면서도 중족골두부를 캠 구성의 지지구로 지지함으로 발바닥의 힘을 바퀴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중족골두부의 누르는 힘에 의해 부츠 바닥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고, 다양한 구성의 부츠에 호환성 있는 적용이 가능하며,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롱 마운트 구성의 인라인 스케이트에도 호환성을 가질 수 있어 쉽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기대 이상의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후족부와 족지부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나사공을 구비된 고정부를 형성한 부츠와, 4개의 바퀴가 축 결합되는 2개의 프레임을 상기 고정부와 포개지는 조립구멍이 구비된 고정플레이트로 연결하고, 조립구멍을 통해서 볼트를 나사공에 체결하는 롱 마운트(long mount)타입으로 구성한 공지의 인라인 스케이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부츠의 안쪽에 위치하면서 발의 중족골두부를 지지하도록 반달 형상의 지지구를 안쪽 프레임에 설치하되, 상기 지지구의 고정은 프레임에 2~3개의 나사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구에는 지지구의 중심에서 상사점 반대쪽으로 편심되는 위치에 형성한 고정구멍과, 상기 고정구멍을 중심으로 하는 가이드구멍을 형성하고, 고정구멍과 가이드구멍으로 고정볼트를 내입하여 나사구멍에 체결하여 지지구를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나사구멍은 부츠의 후방 고정부의 나사공 중심과 150~180mm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지지구는 바깥쪽 프레임에 더 설치하고, 상기 지지구의 상사점 부분을 연결편으로 상호 연결 구성한 것을 특징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시된 바와 같이 부츠(2)의 전후에 각각 후족부와 족지부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나사공(3a)을 구비된 고정부(3)를 형성하고, 100~110mm의 직경을 갖는 4개의 바퀴(4)가 축 결합되는 2개의 프레임(5)을 상기 고정부(3)와 포개지는 조립구멍(6a)이 구비된 고정플레이트(6)로 상호 연결 구성하고, 고정수단인 볼트(7)로 프레임(5)을 부츠(2)에 고정하는 롱 마운트(long mount;양측 고정부의 중심거리가 195mm로 구성된 제품.)타입으로 구성한 인라인 스케이트(1)의 구성을 적극적으로 개량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롱 마운트 구성으로 인라인 스케이트(1)를 구성할 경우 발의 중족골두부가 위치하는 부츠(2)의 바닥과 프레임(5)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반달 형상인 캠 구성의 지지구(8)를 프레임(5)에 부가 설치하여 발의 중족골두부를 지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캠 구성의 지지구(8) 결합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앞쪽 고정플레이트(6)의 후방에 결합되는 것으로, 프레임(5) 상단에 복수의 나사구멍(9)을 동일 높이로 형성하고, 지지구(8)에는 고정구멍(8a)과 가이드구멍(8b)을 형성하고 고정볼트(10)로 고정한 구성이다.
상기 반달 형상인 지지구(8)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멍(8a)은 지지구(8)의 중심에서 상사점(H) 반대쪽으로 형성하고, 가이드구멍(8b)은 고정구멍(8a)을 중심 으로 하사점(S) 쪽에 호 형상으로 형성하여 고정구멍(8a)에 결합되는 고정볼트(10)를 중심으로 지지구(8)를 회동할 때 지지구(8)의 상사점(H) 쪽이 부츠(2)의 하단에 접하여 지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나사구멍(9)은 대략 3개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구(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사점(H)이 부츠(2)의 전방 쪽으로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회동되게 하거나, 도 6과 같이 상사점(H)이 부츠(2)의 후방 쪽으로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회동되게 하면 된다.
상기 지지구(8)의 상사점(H)과 하사점(S)의 높이 차이는 대략 8mm정도가 나도록 구성하고, 나사구멍(9)은 부츠(2)의 후방 고정부(3)의 나사공(3a) 중심과 150~180mm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게 설계하여, 여러 회사에서 생산되는 부츠(2)에 호환성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지지구(8)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츠(2)의 안쪽에 위치하도록 일측 프레임(5)에 설치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부츠(2)를 보다 안정성 있게 잡아주도록 도 7, 도 8에 도시된 제2실시예와 같이 양측 프레임(5)에 대칭되게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게 제2실시예와 같이 구성할 경우 발의 중족골두부가 위치하는 부츠(2)의 바닥을 양측에서 받쳐주므로 보다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도 9, 도 10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몇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3실시예에 의하면 프레임(5)의 양측에 결합되는 지지구(8)의 상사점(H) 부 분을 연결편(11)으로 상호 연결 구성한 것이다.
이런 구성으로 지지구(8)를 구성할 경우 프레임(5)을 연결하고 부츠(2)를 지지하는 고정플레이트(6)를 하나 더 형성한 것과 같이 부츠(2)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인라인 스케이트(1)는 부츠(2)와 프레임(5)을 체결수단인 볼트(7)를 느슨하게 결합한 상태에서 지지구(8)를 회동시킨다. 지지구(8)는 고정구멍(8a)에 결합되는 고정볼트(10)를 중심으로 회동될 때 상사점(H)의 높이가 점차 높아지는데, 지지구(8)가 부츠(2)의 바닥면과 접한 상태에서 고정볼트(10)를 조여서 지지구(8)를 프레임(5)에 고정한 후 부츠(2)와 프레임(5)을 결합하는 볼트(7)를 긴밀하게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단순한 설계변경이나 관용수단의 치환 등의 경우에도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도 1, 도 2는 종래 인라인 스케이트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지지구의 결합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서 지지구의 상사점(H)이 부츠의 후방 쪽으로 위치되게 한 상태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지지구 결합의 제2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지지구 결합의 제3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인라인 스케이트 2:부츠
3:고정부 4:바퀴
5:프레임 6:고정플레이트
7:볼트 8:지지구
8a:고정구멍 8b:가이드구멍
9:나사구멍 11:연결편
Claims (4)
- 후족부와 족지부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나사공(3a)이 구비된 고정부(3)를 형성한 부츠(2)와, 4개의 바퀴(4)가 축 결합되는 2개의 프레임(5)을 상기 고정부(3)와 포개지는 조립구멍(6a)이 구비된 고정플레이트(6)로 연결하고, 조립구멍(6a)을 통해서 볼트(7)를 나사공(3a)에 체결하는 롱 마운트(long mount)타입으로 구성한 공지의 인라인 스케이트(1)를 구성함에 있어서,상기 부츠(2)의 안쪽에 위치하면서 발의 중족골두부를 지지하도록 반달 형상의 지지구(8)를 안쪽 프레임(5)에 설치하되,상기 지지구(8)의 고정은 프레임(5)에 2~3개의 나사구멍(9)을 형성하고, 상기 반달 형상의 지지구(8)에는 지지구(8)의 중심에서 상사점(H) 반대쪽으로 편심되는 위치에 형성한 고정구멍(8a)과, 상기 고정구멍(8a)을 중심으로 하는 호 형상의 가이드구멍(8b)을 형성하고, 고정구멍(8a)과 가이드구멍(8b)으로 고정볼트(10)를 내입하고 나사구멍(9)에 체결하여 지지구(8)를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프레임(5)에 형성되는 나사구멍(9)은 부츠(2)의 후방 고정부(3)의 나사공(3a) 중심과 150~180mm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지지구(8)는 바깥쪽 프레임(5)에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지지구(8)의 상사점 부분을 연결편(11)으로 상호 연결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6925U KR200444555Y1 (ko) | 2008-05-27 | 2008-05-27 | 인라인 스케이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6925U KR200444555Y1 (ko) | 2008-05-27 | 2008-05-27 | 인라인 스케이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44555Y1 true KR200444555Y1 (ko) | 2009-05-19 |
Family
ID=41348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06925U KR200444555Y1 (ko) | 2008-05-27 | 2008-05-27 | 인라인 스케이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4555Y1 (ko) |
-
2008
- 2008-05-27 KR KR2020080006925U patent/KR20044455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30326908A1 (en) | Golf shoe outsole | |
US20120159814A1 (en) | Footwear with orthotic midsole | |
US9591888B2 (en) | Footwear assemblies having diagonally opposing reinforced insole portions and associated methods | |
KR20100017256A (ko) | 신발용 클리트, 이러한 클리트를 갖는 신발 밑창, 그리고 신발 | |
RU2014127889A (ru) | Лыжный ботинок | |
US6880833B2 (en) | Modular roller skate apparatus | |
KR200444555Y1 (ko) | 인라인 스케이트 | |
WO2005070246A3 (en) | Sport shoes with improved characteristics | |
KR20070032606A (ko) | 인라인 스케이트 | |
KR20110100897A (ko) | 인라인 스케이트 | |
US10524533B2 (en) | Roller skate system having a rail and a boot | |
KR100940036B1 (ko) | 스케이팅 신발 | |
KR200348286Y1 (ko) | 인라인 롤러 스케이트 | |
US6592130B2 (en) | Frame particularly for in-line skates | |
KR200471091Y1 (ko) | 롤러 및 브레이크를 탈부착하는 스케이팅신발 | |
KR100572145B1 (ko) | 바퀴 달린 신발용 바퀴 고정구 | |
KR200280202Y1 (ko) | 롤러 브레이드와 스케이트를 구비한 신발 | |
KR200256799Y1 (ko) | 인라인 스케이트 프레임 결합구 | |
CN202155018U (zh) | 一种竞速板鞋 | |
KR20030085360A (ko) | 휴대용 롤러 블레이드 | |
KR200356800Y1 (ko) | 인라인스케이트용 바퀴의 바퀴살구조 | |
KR20070082904A (ko) | 스케이팅슈즈 | |
KR20120025838A (ko) | 다목적 부츠 고정용 스키 커넥터 | |
CN207428543U (zh) | 一种新型鞋跟可变的高跟鞋底 | |
KR200326938Y1 (ko) | 인라인 스케이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