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260Y1 -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260Y1
KR200444260Y1 KR2020070013471U KR20070013471U KR200444260Y1 KR 200444260 Y1 KR200444260 Y1 KR 200444260Y1 KR 2020070013471 U KR2020070013471 U KR 2020070013471U KR 20070013471 U KR20070013471 U KR 20070013471U KR 200444260 Y1 KR200444260 Y1 KR 2004442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ole
movable member
pai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34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1558U (ko
Inventor
이규중
Original Assignee
이규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중 filed Critical 이규중
Priority to KR20200700134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260Y1/ko
Publication of KR200900015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5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2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2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1/00Tools
    • Y10S81/01Tool-support adjun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폴대 하부에 묻은 뻘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상기 상부 관통구멍 내에 합성수지제의 원통체를 삽입하였으므로 상기 폴대를 상부로 뽑아 올리거나 또는 하부로 밀어내릴 경우에 상부 관통구멍의 내주면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의 상부 관통구멍 내에 삽입된 원통체에 의해 상기 폴대를 상부로 뽑아 올리거나 또는 하부로 밀어내릴 경우에 상부 관통구멍의 내주면이 마모되는 것을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낚시 보트, 폴대, 지지장치

Description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POLE SUPPORTING APPARATUS FOR FIXING FISHING BOAT}
본 고안은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폴대 하부에 묻은 뻘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폴대의 외주면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로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1999년 7월 5일 공개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22530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실용신안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는 상부와 하부가 경사지도록 관통된 폴대삽입구와, 상기 폴대의 삽입구에 맞게 홈이 형성된 브레이크 패드와,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고정하는 케이스와, 분실방지끈을 구비하고 있는 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는 폴대삽입구에 폴대를 끼워 장착한 후 이동장소로 이동하여 보트의 고정시 자동고정장치의 본체부 끝단을 들어주면, 폴대의 중량에 의해 폴대가 하부로 내려가 바닥면에 박히 고, 이동시에는 폴대만 상부로 들어올려 놓으면 그 위치에서 고정된다.
또한, 상부와 하부의 삽입구가 경사지게 관통함으로써 폴대를 들어올리면 삽입구가 일체로 되어 쉽게 폴대가 올라가며 놓으면 폴대가 브레이크 패드에 의해 폴대가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이동시 고정 및 해체를 원터치로 가능하다는 효과는 있으나, 폴대 하부에 묻은 뻘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없고, 상부 관통구멍의 내주면이 마모마모된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 관통구멍의 내주면이 빈번하게 마모되어 장시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폴대 하부에 묻은 뻘(저수지 바닥에 퇴적된 퇴적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부 관통구멍 내에 합성수지제의 원통체를 삽입하여 폴대를 상부로 뽑아 올리거나 또는 하부로 밀어내릴 경우에 상부 관통구멍의 내주면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부에 폴대가 관통하는 하부 관통 구멍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 관통구멍의 상부에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관통하는 대체로 사각형 형상의 가로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상자체가 형성되며, 상기 상자체의 상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관통구멍의 직상부에 폴대를 지지하도록 상부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관통구멍의 하부에 고정부재의 원통관 상부 1/2외주면을 지지하도록 내주면이 반원형으로 형성된 돌출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자체에 형성된 가로 관통구멍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본체의 상자체의 좌ㆍ우측벽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는 결합핀을 중심으로 선단부가 상ㆍ하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결합핀 관통용 한쌍의 관통구멍이 날개부에 형성된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한쌍의 스프링 수용홈과 상기 본체의 상자체 내측 상부에 형성된 한쌍의 오목홈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가동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한쌍의 코일 스프링과, 상기 폴대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대체로 C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가동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단차부에 설치되는 합성수지제의 패킹과, 상기 가동부재의 단차부에 설치된 패킹을 착탈가능하게 위치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가동부재에 형성된 한쌍의 나사구멍에 나합되는 한쌍의 볼트가 각각 관통하는 한쌍의 관통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선단면이 C자 형상을 이루는 지지부재와, 상부에 플랜지가 사방을 향해 돌출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자체 상부면에 형성된 길다란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가동부재의 중심에 형성된 장공을 관통해서 상기 가동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핀과, 상기 가동부재의 배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된 한쌍의 날개부 사이에 하부가 각각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지지핀의 하부가 끼워지도록 하부가 2개의 날개로 각각 분기되며, 상기 지지핀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구멍과 연통되도록 상기 날개에 각각 형성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날개에 각각 형성된 관통구멍 및 상기 지지핀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힌지핀이 삽입되었을 경우 상기 가동부재를 시건 및 시건해제를 제어하도록 대체로 ㄴ자 형상을 이루는 시건레버와, 상기 폴대를 상부로 뽑아 올리거나 또는 하부로 밀어내릴 경우에 상기 상부 관통구멍의 내주면 마모를 방지하도록 상기 상부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합성수지제 원통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일체적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부의 양단부에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원통관 상부 외주면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반원형 커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에 의하면, 폴대 하부에 묻은 뻘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상부 관통구멍 내에 합성수지제의 원통체를 삽입하여 폴대를 상부로 뽑아 올리거나 또는 하부로 밀어내릴 경우에 상부 관통구멍의 내주면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 관통구멍의 내주면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에 관하여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를 개략 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에서 폴대를 상부로 드러올릴 수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에 의해서 폴대를 지지하여 낚시 보트를 고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를 사용해서 낚시용 보트를 저수지에 고정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는 하부에 폴대(102)가 관통하는 하부 관통구멍(11)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 관통구멍(11)의 상부에 일측으로부터 타측(예를 들면,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또는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관통하는 대체로 사각형 형상의 가로 관통구멍(12a)이 형성되는 상자체(12)가 형성되며, 상기 상자체(12)의 상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관통구멍(11)의 직상부(상기 상자체(12)를 개재하여 바로 위)에 폴대(102)를 지지하도록 상부 관통구멍(13)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관통구멍(11)의 하부에 고정부재(104)의 원통관(104a) 상부 1/2외주면을 지지하도록 내주면이 반원형으로 형성된 돌출부(16)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자체(12)에 형성된 가로 관통구멍(12a)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본체(10)의 상자체(12)의 좌ㆍ우측벽(14,15)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14a,15a)을 관통하는 결합핀(104)을 중심으로 선단부가 상ㆍ하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결합핀(104) 관통용 한쌍의 관통구멍(26a)이 날개부(26)에 형성된 가동부재(20)와, 상기 가동부 재(20)의 상부에 형성된 한쌍의 스프링 수용홈(23)과 상기 본체(10)의 상자체(12) 내측 상부에 형성된 한쌍의 오목홈(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가동부재(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한쌍의 코일 스프링(30)과, 상기 폴대(102)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대체로 C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가동부재(20)의 상부에 형성된 단차부(25)에 설치되는 합성수지제의 패킹(40)과, 상기 가동부재(20)의 단차부(25)에 설치된 패킹(40)을 착탈가능하게 위치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가동부재(20)에 형성된 한쌍의 나사구멍(24)에 나합되는 한쌍의 볼트(51)가 각각 관통하는 한쌍의 관통구멍(52)이 각각 형성되고 선단면이 C자 형상을 이루는 지지부재(50)와, 상부에 플랜지(61)가 사방을 향해 돌출형성되며, 상기 본체(10)의 상자체(12) 상부면에 형성된 길다란 관통공(12b)을 관통하여 상기 가동부재(20)의 중심에 형성된 장공(22)을 관통해서 상기 가동부재(20)를 지지하는 지지핀(60)과, 상기 가동부재(20)의 배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된 한쌍의 날개부(26) 사이에 하부가 각각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지지핀(60)의 하부가 끼워지도록 하부가 2개의 날개(71)로 각각 분기되며, 상기 지지핀(60)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구멍(60a)과 연통되도록 상기 날개(71)에 각각 형성된 관통구멍(71a)이 형성되어 상기 날개(71)에 각각 형성된 관통구멍(71a) 및 상기 지지핀(60)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구멍(60a)에 힌지핀(62)이 삽입되었을 경우 상기 가동부재(20)를 시건 및 시건해제를 제어하도록 대체로 ㄴ자 형상을 이루는 시건레버(70)와, 상기 폴대(102)를 상부로 뽑아 올리거나 또는 하부로 밀어내릴 경우에 상기 상부 관통구멍(13)의 내주면 마모를 방지하도록 상기 상부 관통구멍(13)에 삽입되는 합성수지제 원통체(80)와, 상기 본 체(10)의 하부에 일체적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부(16)의 양단부에 볼트(105a) 및 너트(105b)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104)의 원통관(104a) 상부 외주면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반원형 커버(9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의 상자체(12)에는 상기 패킹(40)의 마모시에 용이하게 교체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50)에 형성된 관통구멍(51)을 통해서 상기 가동부재(20)에 형성된 나사구멍(24)에 나합된 볼트(51)를 풀 수 있도록 한쌍의 드라이버 구멍(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104)의 원통관(104a)은 그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낚시용 보트(98)의 외주면에 각각 설치된 고리(96)에 끼워서 고정되도록 한쌍의 결합 브래킷(104b)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미설명부호 90a는 상기 반원형 커버(9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볼트 삽입공으로서, 상기 한쌍의 볼트(105a)를 상기 볼트 삽입공(90a)과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일체적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부(16)에 형성된 관통공(16a)를 관통하여 상기 볼트(105a)에 형성된 나사부(부호 표시하지 않음)에 너트(105b)를 나합하여 상기 본체(10)의 돌출부(16) 내주면에 형성된 반원형부와 상기 반원형 커버(90)의 내주면에 형성된 반원형부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104)의 원통관(104a) 상부 외주면, 다시 말하면 원통관(104a)의 축경부를 견고하게 클램프한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낚시용 보트(98)의 외주면에 각각 서로 대향해서 설치된 도시하지 않 은 상ㆍ하부 고리(96)에 고정부재(104)의 원통관(104a) 외주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결합 브래킷(104b)을 끼워서 상기 고정부재(104)를 낚시용 보트에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부재(104)를 낚시용 보트(98)에 고정시킨 다음, 상기 고정부재(104)의 원통관(104a) 상부에 직경이 축소된 축경부를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일체적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부(16)의 양단부에 반원형 커버(90)가 볼트(105a) 및 너트(105b)에 의해 결합되어 형성되는 원형구멍 내에 삽입한 후, 상기 볼트(105a)와 너트(105b)를 타이트하게 조여서 본 고안의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를 결합하여 상기 고정부재(104)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시건레버(70)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로 밀어 올려서 상기 가동부재(20)를 후진시켜 상기 가동부재(20)의 단차부(25)에 지지부재(50)에 의해 고정 설치된 팩킹(40)을 후진시킨 다음,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관통구멍(13) 내에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 원통체(80)를 삽입하여 원통체(80)를 관통하여 가로 관통구멍(12a), 하부 관통구멍(11) 및 고정부재(104)에 형성된 관통구멍(104c)을 통해서 상부로 뽑아내거나 또는 하부로 밀어 넣을 때, 경우에 상부 관통구멍(13)의 내주면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해서 원통체(80)를 관통하여 가로 관통구멍(12a), 하부 관통구멍(11) 및 고정부재(104)에 형성된 관통구멍(104c)을 통해서 하부로 밀어내리면, 상기 폴대(102)의 하단부가 저수지의 하부에 적층된 뻘층에 박혀서 낚시용 보트(98)를 위치고정시킨다.
다음에, 상기 시건레버(70)를 도 4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로 밀 어내리면 상기 시건레버(70)의 하부가 상기 가동부재(20)의 양측 날개부(26) 사이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시건레버(70)의 하부에 2개로 분기된 날개(71) 사이에 상기 지지핀(60)의 하부가 끼워져서 상기 가동부재(20)의 양측 날개부(26)에 형성된 한쌍의 관통구멍(26a), 상기 시건레버(70)의 날개(71)에 형성된 관통구멍(71a) 및 상기 지지핀(60)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구멍(71a)에 힌지핀(62)이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가동부재(20)가 상기 폴대(102)의 상부로 향히면서 상기 폴대(102) 쪽으로 전진하여 상기 가동부재(20)의 선단부에 설치된 패킹(40)이 상기 폴대(102)의 외주면을 견고하게 당접하여 낚시용 보트(98)가 상기 폴대(102)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어 위치고정된다.
한편, 상기 폴대(102)를 상부로 들어 올릴려면 상기 시건레버(70)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밀어올리면 상기 가동부재(20)가 도 3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가동부재(20)의 선단부에 설치된 패킹(40)이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폴대(102)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폴대(102)를 상부로 잡아올릴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폴대(102)를 상부로 들어올림에 따라 상기 폴대(102)의 하부 외주면에 묻은 뻘 또는 수중 식물 등의 이물질이 본 고안의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의 본체(10) 내에 잔존할 경우에는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사각형 형상의 가로 관통구멍(12a)을 통해서 제거할 수 있으므로, 상기 폴대(102)를 용이하게 하부로 밀어넣거나 또는 상부로 뽑아 올릴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를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상기 패킹(40)이 마모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본체(10)의 상자체(12) 상부에 형성된 한쌍의 드라이버 구멍(17)을 통해서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상기 지지부재(50)에 형성된 관통구멍(51)을 통해서 상기 가동부재(20)에 형성된 나사구멍(24)에 나합된 볼트(51)를 약간 풀러서 상기 지지부재(50)를 상부로 밀어 올려서 상기 이동부재(20)의 단차부(25)에 설치된 상기 패킹(40)을 제거한 다음, 새로운 패킹(40)을 상기 단차부(25)에 밀어넣고 나서 상기 본체(10)의 상자체(12) 상부에 형성된 한쌍의 드라이버 구멍(17)을 통해서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상기 가동부재(20)에 형성된 나사구멍(24)에 상기 볼트(51)를 나합시키면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는 폴대(102) 하부에 묻은 뻘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상기 상부 관통구멍(13) 내에 합성수지제의 원통체(80)를 삽입하였으므로 상기 폴대(102)를 상부로 뽑아 올리거나 또는 하부로 밀어내릴 경우에 상부 관통구멍(13)의 내주면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10)의 상부 관통구멍(13) 내에 삽입된 원통체(80)에 의해 상기 폴대(102)를 상부로 뽑아 올리거나 또는 하부로 밀어내릴 경우에 상부 관통구멍(13)의 내주면이 마모되는 것을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04)를 낚시용 보트(98)에 고정시킨 다음, 본 고안의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를 뒤집어서 상기 원통체(80)의 내주면에 상기 고정부재(104)의 원통관(104a)에 직경이 축소된 축경부의 끼우고, 상기 본체(10)의 돌출부(16)와 상기 반원형 커버(90) 사이에 원통체(80)를 설 치한 후에, 상기 원통체(80)를 통해서 폴대(102)를 삽입해서 사용해도 본 고안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고안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에서 폴대를 상부로 드러올릴 수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에 의해서 폴대를 지지하여 낚시 보트를 고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를 사용해서 낚시용 보트를 저수지에 고정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11:하부 관통구멍
12:상자체 12a:가로 관통구멍
12b:관통공 13:상부 관통구멍
14:좌측벽 14a:관통공
15:우측벽 15a:관통공
16:돌출부 16a:관통공
17:드라이버 구멍 20:가동부재
22:장공 23:스프링 수용홈
24:나사구멍 25:단차부
26:날개부 26a:관통구멍
23:스프링 수용홈 30:코일 스프링
40:패킹 50:지지부재
51:볼트 52:관통구멍
60:지지핀 60a:관통구멍
61:플랜지 62:힌지핀
70:시건레버 71:날개
71a:관통구멍 80:원통체
80a:원형 플랜지 90:반원형 커버
90a:볼트 삽입공 96:고리
98:낚시용 보트 102:폴대
103:결합핀 105a:볼트
105b:너트 104:고정부재
104a:원통관 104b:결합 브래킷

Claims (4)

  1. 하부에 폴대(102)가 관통하는 하부 관통구멍(11)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 관통구멍(11)의 상부에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관통하는 대체로 사각형 형상의 가로 관통구멍(12a)이 형성되는 상자체(12)가 형성되며, 상기 상자체(12)의 상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관통구멍(11)의 직상부에 폴대(102)를 지지하도록 상부 관통구멍(13)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관통구멍(11)의 하부에 고정부재(104)의 원통관(104a) 상부 1/2외주면을 지지하도록 내주면이 반원형으로 형성된 돌출부(16)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자체(12)에 형성된 가로 관통구멍(12a)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본체(10)의 상자체(12)의 좌ㆍ우측벽(14,15)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14a,15a)을 관통하는 결합핀(104)을 중심으로 선단부가 상ㆍ하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결합핀(104) 관통용 한쌍의 관통구멍(26a)이 날개부(26)에 형성된 가동부재(20)와,
    상기 가동부재(20)의 상부에 형성된 한쌍의 스프링 수용홈(23)과 상기 본체(10)의 상자체(12) 내측 상부에 형성된 한쌍의 오목홈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가동부재(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한쌍의 코일 스프링(30)과,
    상기 폴대(102)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대체로 C자 형상을 이루며, 상기 가동부재(20)의 상부에 형성된 단차부(25)에 설치되는 합성수지제의 패킹(40)과,
    상기 가동부재(20)의 단차부(25)에 설치된 패킹(40)을 착탈가능하게 위치고 정함과 동시에, 상기 가동부재(20)에 형성된 한쌍의 나사구멍(24)에 나합되는 한쌍의 볼트(51)가 각각 관통하는 한쌍의 관통구멍(52)이 각각 형성되고 선단면이 C자 형상을 이루는 지지부재(50)와,
    상부에 플랜지(61)가 사방을 향해 돌출형성되며, 상기 본체(10)의 상자체(12) 상부면에 형성된 길다란 관통공(12b)을 관통하여 상기 가동부재(20)의 중심에 형성된 장공(22)을 관통해서 상기 가동부재(20)를 지지하는 지지핀(60)과,
    상기 가동부재(20)의 배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된 한쌍의 날개부(26) 사이에 하부가 각각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지지핀(60)의 하부가 끼워지도록 하부가 2개의 날개(71)로 각각 분기되며, 상기 지지핀(60)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구멍(60a)과 연통되도록 상기 날개(71)에 각각 형성된 관통구멍(71a)이 형성되어 상기 날개(71)에 각각 형성된 관통구멍(71a) 및 상기 지지핀(60)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구멍(60a)에 힌지핀(62)이 삽입되었을 경우 상기 가동부재(20)를 시건 및 시건해제를 제어하도록 대체로 ㄴ자 형상을 이루는 시건레버(70)와,
    상기 폴대(102)를 상부로 뽑아 올리거나 또는 하부로 밀어내릴 경우에 상기 상부 관통구멍(13)의 내주면 마모를 방지하도록 상기 상부 관통구멍(13)에 삽입되는 합성수지제 원통체(80)와,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일체적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부(16)의 양단부에 볼트(105a) 및 너트(105b)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104)의 원통관(104a) 상부 외주면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반원형 커버(9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부 관통구멍(13)에는 상기 폴대(102)를 상부로 뽑아 올리거나 또는 하부로 밀어내릴 경우에 상부 관통구멍(13)의 내주면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합성수지제 원통체(80)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원통체(80)의 상부 외주면에는 외부로 돌출하는 원형 플랜지(80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04)의 원통관(104a)은 그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낚시용 보트(98)의 외주면에 각각 설치된 고리(96)에 끼워서 고정되도록 한쌍의 결합 브래킷(104b)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자체(12)에는 상기 패킹(40)의 마모시에 용이하게 교체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50)에 형성된 관통구멍(51)을 통해서 상기 가동부재(20)에 형성된 나사구멍(24)에 나합된 볼트(51)를 풀 수 있도록 한쌍의 드라이버 구멍(1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
KR2020070013471U 2007-08-13 2007-08-13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 KR2004442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471U KR200444260Y1 (ko) 2007-08-13 2007-08-13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471U KR200444260Y1 (ko) 2007-08-13 2007-08-13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558U KR20090001558U (ko) 2009-02-18
KR200444260Y1 true KR200444260Y1 (ko) 2009-04-24

Family

ID=41298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3471U KR200444260Y1 (ko) 2007-08-13 2007-08-13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26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824B1 (ko) * 2004-12-24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효율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682764B1 (ko) * 2004-12-27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래더층을 갖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682765B1 (ko) * 2004-12-27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래더층을 갖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682833B1 (ko) * 2004-12-24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효율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965Y1 (ko) * 2019-04-25 2020-03-02 김웅규 낚시보트용 고정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824B1 (ko) * 2004-12-24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효율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682833B1 (ko) * 2004-12-24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효율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682764B1 (ko) * 2004-12-27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래더층을 갖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682765B1 (ko) * 2004-12-27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래더층을 갖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558U (ko) 200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4260Y1 (ko) 낚시 보트 고정용 폴대 지지장치
KR100590910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맨홀
BR112016008910B1 (pt) Elemento de suporte para o corpo humano
US8074302B1 (en) Toilet seat quick release system
KR20070032982A (ko) 교체기능을 갖는 부동급수전
CA2309584A1 (en) Support post securing system
WO2017067069A1 (zh) 宠物牵引绳
KR200406175Y1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맨홀
US20070183121A1 (en) Post puller and method
KR102131434B1 (ko) 양식용 발 인양기
KR20070000106U (ko) 지렛대용 맨홀 뚜껑의 잠금장치
FR2559450A1 (fr) Etrier attache wishbone sur mat de planche a voile
KR0129403Y1 (ko) 휴대용 손잡이를 장착하게된 맨홀 뚜껑
JP2010070990A (ja) ロック機構付き支柱固定具
KR200348690Y1 (ko) 휴대용 낚싯대의 낚싯줄권취구
KR102026935B1 (ko) 낚시 받침대
KR200317094Y1 (ko) 맨홀 덮개 잠금장치
KR0137498Y1 (ko) 낚시대용 받침대
KR200388737Y1 (ko) 롤러 겸용 신발
KR200255684Y1 (ko) 맨홀뚜껑 개폐기구
KR200447579Y1 (ko) 차로 표시장치
KR0132808Y1 (ko) 차량의 견인고리 설치구조
KR200311643Y1 (ko) 낚시보트 고정 지주부재용 지지확대 어세이
GB2514835A (en) Carrier for mounting a device to a rope
FR2510205A2 (fr) Dispositif pour assembler des pieces de part et d&#39;autre d&#39;un support et notamment des plaquettes d&#39;identification de beta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