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077Y1 - 착탈 가능한 신발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착탈 가능한 신발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077Y1
KR200444077Y1 KR2020070004924U KR20070004924U KR200444077Y1 KR 200444077 Y1 KR200444077 Y1 KR 200444077Y1 KR 2020070004924 U KR2020070004924 U KR 2020070004924U KR 20070004924 U KR20070004924 U KR 20070004924U KR 200444077 Y1 KR200444077 Y1 KR 2004440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fastening
mounting means
weighting
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49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4229U (ko
Inventor
이쌍용
Original Assignee
이쌍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쌍용 filed Critical 이쌍용
Priority to KR20200700049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077Y1/ko
Publication of KR200800042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2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0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0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8Elevating, i.e. height increas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9Equipment associated with footwear for walking on inclines to compensate for angle of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3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 A43B21/37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by hook-shaped or bent attac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3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 A43B21/42Heels with replaceable or adjustable parts, e.g. top lif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3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 A43B21/4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by bol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등산화와 같은 신발의 뒷굽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등산을 보다 쉽게 가능하도록 하는 착탈 가능한 신발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착탈 가능한 신발 보조장치는, 신발 뒷부분의 높이를 높이는 가중부재(10)와; 상기 가중부재(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중부재(10)가 신발의 뒷굽에 안착되도록 가이드하는 장착수단(20)과; 상기 가중부재(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신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30)와; 상기 장착수단(20)에 연결되어, 상기 장착수단(20)과 완충부재(30) 및 가중부재(10)가 신발의 뒷굽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수단(4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신발에 부착 가능하여 등산이 보다 용이하며, 반 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신발, 보조, 등산, 착탈, 뒷굽

Description

착탈 가능한 신발 보조장치{SUPPORT EQUIPMENT FOR SHOE}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착탈 가능한 신발보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착탈 가능한 신발보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중부재의 저면 구성을 보인 하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중부재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가 신발에 착용된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가중부재 12. 가중홀
20. 장착수단 22. 지지판
24. 걸림판 26,26'. 걸림부
30. 완충부재 40. 체결수단
42. 체결줄 44. 고정고리
46,46'. 체결고리 50,52. 체결부재
본 고안은 신발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등산화와 같은 신발의 뒷굽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등산(登山)을 보다 쉽게 가능하도록 하는 착탈 가능한 신발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登山)을 위하여는, 등산화라는 등산용 신발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등산(登山) 보조장치로는 지팡이 등과 같은 다수의 수단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산을 오르는 경우에는 지면이 경사져 있으므로, 발의 앞부분이 위로 올려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다리 뒷부분의 근육이 당겨지게 되므로, 통상 등산객은 발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발의 뒷부분을 약간 들고 등산(登山)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보행을 하게 되면, 다리 근육의 팽창으로 인한 통증은 물론, 인체의 하중이 발의 앞부분에 집중되므로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며, 에너지 소모가 많게 된다.
그리고, 근래에는 뒷부분 높이를 조절 가능한 신발에 대한 기술이 공지되기도 하나, 이러한 기술은 신발의 뒷부분에 특정한 장치를 고정 설치하여 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복잡한 장치가 신발에 내장되므로, 전체적으로 신발의 무게가 무거워진다.
이와 같이, 신발 자체에 높이조절 장치가 내장되는 경우에는, 신발 자체의 무게가 증가하므로, 평지를 걸을 때나 산을 내려오는 경우에는 신발의 무게 때문에 도보가 어렵게 되고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된다.
또한, 이러한 신발의 높이조절장치는 해당 신발에 고정되는 장치이므로, 다른 신발에는 적용되지 못하며, 신발의 바닥면이 닳아 신발을 버리는 경우에는 이러한 장치도 함께 버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신발의 뒷부분에 필요에 따라 장착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착탈 가능한 신발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지면에 접촉하는 가중부재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반 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착탈 가능한 신발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착탈 가능한 신발 보조장치는, 신발 뒷부분의 높이를 높이는 가중부재와; 상기 가중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중부재가 신발의 뒷굽에 안착되도록 가이드하는 장착수단과; 상기 가중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신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와; 상기 장착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장착수단과 완충부재 및 가중부재가 신발의 뒷굽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중부재는, 상기 장착수단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장착수단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가중부재와 완충부재의 일면에 각각 결합되어, 가중부재와 완충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일단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절곡 연장 형성되어, 신발의 뒷굽 일단에 걸어지는 걸림판과; 상기 체결수단의 양단이 걸어지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수단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신발의 둘레를 감싸는 체결줄과; 상기 체결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걸림부에 걸어지는 고정고리와; 상기 체결줄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부에 걸어지는 체결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고리는, 상기 체결줄의 중앙으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치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체결줄은, 상기 고정고리의 일측에 형성되어 신발의 전반부 상측을 감싸는 전반체결부와, 상기 고정고리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신발의 뒷부분을 감싸는 후반체결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중부재는,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증가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수단과 가중부재 및 완충부재는, 체결부재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장착수단과 가중부재 및 완충부재에는 체결부재가 통과 가능한 홀(hole)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재는, 체결볼트와 체결너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완충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체결너트 또는 체결볼트의 머리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착탈 가능한 신발 보조장치에 의하 면, 필요에 따라 신발에 부착 가능하여 등산(登山)이 보다 용이하며, 반 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착탈 가능한 신발보조장치의 외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착탈 가능한 신발보조장치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가중부재의 하부 사시도 및 정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신발보조장치는, 신발 뒷부분의 높이를 높이는 가중부재(10)와, 상기 가중부재(10)가 신발의 뒷굽에 안착되도록 가이드하는 장착수단(20)과, 신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30)와, 상기 장착수단(20)과 완충부재(30) 및 가중부재(10)가 신발의 뒷굽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수단(4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중부재(10)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장착수단(20)의 하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가중부재(10)는 상기 장착수단(2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은 체결볼트(50)와 체결너트(52)로 이루어지는 체결부재(50,52)에 의해 상기 장착수단(20)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중부재(10)는 필요에 따라 수시로 교환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가중부재(10)는 일반적인 신발이나 구두의 뒷굽과 대응되는 단면을 가진다. 즉, 상기 가중부재(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이 평면을 이루고 있으며, 우측면은 라운드지진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중부재(10)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바닥면에는 신발의 일반적인 구성과 같이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요철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중부재(10)는 험한 산지 산행시에도 내구성과 접지력이 탈월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밑면의 형상 또한 미끄럼이 방지되는 요철(凹凸)형상을 가진다.
상기 가중부재(10)에는 다수의 가중홀(12)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가중홀(12)은 상기 체결부재(50,52)과 관통하는 부분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볼트(50)가 상기 가중부재(10)의 하방으로부터 체결되는데, 이러한 체결볼트(50)가 상기 가중홀(12)을 관통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중부재(10)에 형성되는 가중홀(12)의 위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중부재(10) 바닥면의 요철부 중 상방으로 함몰된 부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체결볼트(50)가 상기 가중부재(10)의 하방으로부터 체결되는 경우에 체결볼트(50)의 머리부가 상기 가중부재(10)의 하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가중부재(10)의 하측으로 상기 체결볼트(50) 일부가 돌출되면, 이러한 체결볼트(50)가 지면과 접촉하게 되어 걷기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가중부재(10)에 형성되는 가중홀(12)의 하단 주위에, 상기 체결볼트(50) 머리부가 수용되는 별도의 수용홈이 상방으로 함몰되게 형성하는 것도 보다 바람직한 방법이다. 즉, 아래에서 설명할 완충부재(30)의 수용홈(34)과 같은 수용홈을 상기 가중부재(10)의 저면에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중부재(10)는,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증가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에 도시되 바와 같이 상기 가중부재(10)의 선단부(도 4에서는 좌측단)에 해당하는 'a'의 크기는 후단부(도 4에서는 우측단)에 해당하는 'b'의 크기가 더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중부재(10)의 높이가 후방(도 4에서는 우측)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도록 형성하는 이유는, 등산(登山)시 상기 가중부재(10)의 바닥면과 지면의 접촉 면적이 가능한 한 넓게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등산(登山)시에는 지면이 경사져 전방이 높게 되는데, 상기 가중부재(10)의 바닥면이 상면과 평행하게 되면, 가중부재(10)의 선단부(도 4에서는 좌측단)만이 지면에 접하게 되므로, 가중부재(10)의 선단부 마모가 심하게 될 뿐 아니라 가중부재(10)에 비틀림이 발생하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장착수단(20)은, 상기 가중부재(10)와 완충부재(30)를 지지하는 지지판(22)과, 신발의 뒷굽 일단에 걸어지는 걸림판(24)과, 상기 체결수단(40)의 양단이 걸어지는 걸림부(26,2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중부재(10)와 완충부재(30)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22)은 상기 가중부재(10)의 상면과 상기 완충부재(30)의 저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판(22)은 적어도 상기 가중부재(10)와 완충부재(30)의 단면 크기보다는 크지 않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지지판(22)의 면적 이 상기 가중부재(10)와 완충부재(30)의 단면 크기보다 크게 되면, 상기 지지판(22)이 상기 가중부재(10)와 완충부재(30)의 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기 때문이다.
상기 지지판(22)은 소정의 얇은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강성이 큰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22)은 상기 가중부재(10)의 상면과 상기 완충부재(30)의 저면에 각각 밀착되어, 상기 가중부재(10)와 완충부재(30)를 지지하여 변형(휘어짐 등)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판(22)에는 다수의 장착홀(28)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장착홀(28)은 상기 체결볼트(50)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5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장착홀(28)의 위치 및 개수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상기 걸림판(24)은 상기 지지판(22)의 좌측단(도 2에서)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상방으로 절곡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판(24)은 상기 지지판(22)과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지지판(22)의 좌측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걸림판(24)의 높이는 상기 완충부재(30)의 높이보다는 적어도 더 큰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장착수단(20)의 상면에 상기 완충부재(30)가 결합된 경우에도, 상기 걸림판(24)의 상단부가 완충부재(3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신발의 뒷굽 전면에 접촉하여 걸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걸림부(26,26')는 상기 지지판(22)의 양단(도 2에서는 전후단)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26,26')는 상기 지지판(22)의 후단(도 2에서)에 형성되는 제1걸림부(26)와, 상기 지지판(22)의 선단(도 2에서)에 형성되는 제2걸림부(26')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제1걸림부(26)와 제2걸림부(26')는 동일한 형상 또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30)는 도보시 인체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가중부재(10)와 같이 신발 뒷부분의 높이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충격 흡수가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스펀지(SPONGE) 또는 가볍고 충격흡수력이 뛰어난 파이론(PHYLON)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다수의 겹으로 형성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완충부재(30)의 단면은, 상기 가중부재(10)의 단면과 같이 신발의 뒷굽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한편, 상기 완충부재(30)에는 다수의 완충홀(32)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완충홀(32)은 상기 체결볼트(50)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이러한 완충홀(32)의 형성 위치와 개수는, 상기 가중홀(12) 및 장착홀(28)의 형성위치 및 개수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완충부재(30)의 상면에는 다수의 수용홈(34)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34)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일정 부분 함몰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완충홀(32) 주변에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34)은 상기 체결너트(52)가 수용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체결볼트(50)와 체결되는 체결너트(52)가 수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체결너트(52)가 체결볼트(50)와 체결되는 경우에도, 체결너트(52)의 상단 부가 상기 완충부재(30)의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물론, 상기 수용홈(34)에는 상기 체결너트(52) 대신 체결볼트(50)의 머리부가 수용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체결볼트(50)와 체결너트(52)는 상기 장착수단(20)과 가중부재(10) 및 완충부재(3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상기 체결볼트(50)가 도 2와 같이 하방으로부터 상측으로 삽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용홈(34)에 체결너트(52)가 수용되나, 반대로 상기 체결볼트(50)가 상기 완충부재(30)의 상방으로부터 하측으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용홈(34)에는 체결볼트(50)의 머리부가 수용되고, 상기 체결너트(52)는 상기 가중부재(10)의 저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50,52) 즉, 체결볼트(50)와 체결너트(52)에 의해 상기 장착수단(20)과 가중부재(10) 및 완충부재(30)는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러한 체결볼트(50)와 체결너트(52) 사이에는 체결력 보강을 위한 와셔 등의 보조부재가 더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체결수단(40)은, 신발의 둘레를 감싸는 체결줄(42)과, 상기 걸림부(26,26')에 걸어지는 고정고리(44) 및 체결고리(46,4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줄(42)은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길이를 가진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보조장치가 신발에 착용되는 경우에, 상기 체결줄(42)이 신발의 상반부를 감싸게 되어 본 고안이 신발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강제하게 된다.
상기 고정고리(44)는 상기 체결줄(42)에 고정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체 결줄(42)의 중앙으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치는 위치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줄(4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고리(44)의 좌측에 형성되어 신발의 전반부 상측을 감싸는 전반체결부(42')와, 상기 고정고리(44)의 우측에 형성되어 신발의 뒷부분을 감싸는 후반체결부(42")로 나누어진다.
상기 고정고리(44)는 상기 체결줄(42)에 고정되는 외에,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위치를 이동하여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고리(44)의 단부는 후크(hook)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걸림부(26)에 걸어진다.
상기 체결고리(46,46')는 상기 체결줄(42)의 양단 부근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2걸림부(26')에 걸어진다. 즉, 상기 체결고리(46,46')는, 상기 체결줄(42)의 전반체결부(42') 끝단부에 구비되는 전반체결고리(46)와, 상기 체결줄(42)의 후반체결부(42") 끝단부에 구비되는 후반체결고리(46')로 구성되며, 이러한 각각의 전반체결고리(46) 및 후반체결고리(46')가 상기 제2걸림부(26')에 개별적으로 걸어진다
따라서, 상기 체결고리(46,46')의 단부는 갈고리 형태의 후크(hook)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체결고리(46,46')는 그 위치가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는 상기 고정고리(44)와 체결고리(46,46') 사이의 거리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착탈 가능한 신발 보조장치의 작용을 살펴본다.
먼저, 본 고안에 의한 신발 보조장치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상기 체결수단(40)을 상기 장착수단(20)에 연결한다. 즉, 상기 고정고리(44)가 상기 제1걸림부(26)에 유동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장착한다.
다음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수단(20)의 상하에 상기 완충부재(30)와 가중부재(10)를 각각 위치시킨 다음, 상기 체결부재(50,52)를 이용하여 상기 장착수단(20)과 완충부재(30) 및 가중부재(10)를 서로 결합한다. 즉, 상기 체결볼트(50)를 상기 가중부재(10)의 하방으로부터 상기 가중홀(12)과 장착홀(28) 및 완충홀(32)을 각각 통과하도록 한 다음, 상기 체결너트(52)를 체결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체결볼트(50)의 머리부는 상기 가중부재(10)의 저면에 형성된 요철 부분에 함몰되어 하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고, 상기 체결너트(52)는 상기 완충부재(30)의 수용홈(34)에 수용되어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장착수단(20)과 완충부재(30) 및 가중부재(10)이 서로 결합되고, 상기 체결수단(40)의 고정고리(44)가 상기 지지판(22)의 제1걸림부(26)에 걸어지면, 본 고안에 의한 신발 보조장치는 조립이 완료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신발(등산화) 뒷부분에 본 고안을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의 사용상태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신발 보조장치를 신발(S)에 착용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이때에는 먼저 상기 완충부재(30)의 상면이 신발(S)의 뒷굽 저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체결수단(40)을 이용하여 본 고안이 신발(S)에 고정되 도록 한다. 그리고, 이때 사용자는 신발(S)을 신은 상태에서 본 고안에 의한 보조장치를 착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살펴보면, 상기 완충부재(30)가 신발(S)의 뒷굽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전반체결고리(46) 부분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기 체결줄(42)의 전반체결부(42')를 소정 길이로 늘인 다음, 이러한 전반체결부(42')가 신발의 전반부를 감싸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전반체결고리(46)를 상기 제2걸림부(26')게 건다.
다음으로, 상기 후반체결고리(46') 부분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기 체결줄(42)의 후반체결부(42")를 소정 길이로 늘인 다음, 이러한 후반체결부(42")가 신발의 뒷부분을 감싸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후반체결고리(46')를 상기 제2걸림부(26')게 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체결줄(42)의 탄성력에 의해 본 고안에 의한 신발 보조장치는 신발(S) 뒷부분 하측에 견고하게 장착되며, 이때 상기 걸림판(2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S)의 뒷굽 전면(도 5에서는 좌측면)에 밀착되어, 본 고안의 신발 보조장치와 신발(S) 뒷굽의 미끄럼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착수단(20)과 완충부재(30) 및 가중부재(10)가 서로 체결볼트(50)와 체결너트(52)에 의해 결합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체결볼트(50)와 체결너트(52) 외에 다양한 체결부재가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장착수단(20)과 완충부재(30) 및 가중부재(10)가 서로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하거나, 상기 장착수단(20)과 완충부재(30)만이 서로 접착제에 의해 고정 부착되고, 이러한 장착수단(20) 및 완충부재(30)에 상기 가중부재(10)가 체결볼트(50) 및 체결너트(52)에 의해 결합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완충부재(30)를 제거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본 고안이 상기 장착수단(20)와 가중부재(10) 및 체결수단(40)으로 구성되어, 상기 장착수단(20)의 상면이 신발 저면에 직접 접촉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신발 보조장치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신발 뒷굽에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등산(登山)시에도 평지를 걷는 것과 같이 발이 거의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도보를 할 수 있으므로, 보다 쉽게 산을 오르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신발에 필요시에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산을 내려오는 경우나 평지를 걷는 경우에는, 본 고안을 제거하여 평상시와 같이 도보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즉, 종래의 신발높이 조절장치는 언제나 신발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하산하는 경우나 평지 이동시에는 신발의 무게 때문에 걷기가 어려워지나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된다.
또한, 본 고안은 신발 뒷부분에 필요시 장착하므로,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사용 가능하며, 신발이 바뀌는 경우에도 사용 가능한 장점도 있다. 즉, 종래와 같이 신발에 고정되는 조절장치는 다른 신발에 부착할 수 없으므로, 당해 신발이 마모되는 경우에는 함께 버려지며, 발 사이즈가 다른 사람은 사용할 수 없으나, 본 고안은 신발 사이즈(크기)에 관계없이 여러 사람이 번갈아 사용 가능하며, 신발 교환시에도 계속적으로 사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을 구성하는 가중부재는 볼트에 의해 장착수단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으므로, 장시간 사용으로 본 고안의 가중부재가 마모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가중부재만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반 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신발의 뒷굽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신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와;
    상기 완충부재의 하측에 구비되며, 신발의 뒷굽과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신발 뒷부분의 높이를 높이는 가중부재와;
    상기 완충부재와 가중부재 사이에 적층 결합되어, 상기 가중부재가 신발의 뒷굽에 안착되도록 가이드하는 장착수단과;
    상기 장착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장착수단과 완충부재 및 가중부재가 신발의 뒷굽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신발 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부재는,
    상기 장착수단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신발 보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가중부재와 완충부재의 일면에 각각 결합되어, 가중부재와 완충부재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일단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절곡 연장 형성되어, 신발의 뒷굽 일단에 걸어지는 걸림판과;
    상기 체결수단의 양단이 걸어지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신발 보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신발의 둘레를 감싸는 체결줄과;
    상기 체결줄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걸림부에 걸어지는 고정고리와;
    상기 체결줄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걸림부에 걸어지는 체결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신발 보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고리는,
    상기 체결줄의 중앙으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치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체결줄은,
    상기 고정고리의 일측에 형성되어 신발의 전반부 상측을 감싸는 전반체결부와, 상기 고정고리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신발의 뒷부분을 감싸는 후반체결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신발 보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부재는,
    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증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신발 보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과 가중부재 및 완충부재는, 체결부재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장착수단과 가중부재 및 완충부재에는 체결부재가 통과 가능한 홀(hole)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신발 보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체결볼트와 체결너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완충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체결너트 또는 체결볼트의 머리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가능한 신발 보조장치.
KR2020070004924U 2007-03-26 2007-03-26 착탈 가능한 신발 보조장치 KR2004440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924U KR200444077Y1 (ko) 2007-03-26 2007-03-26 착탈 가능한 신발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924U KR200444077Y1 (ko) 2007-03-26 2007-03-26 착탈 가능한 신발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229U KR20080004229U (ko) 2008-10-01
KR200444077Y1 true KR200444077Y1 (ko) 2009-04-10

Family

ID=41325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4924U KR200444077Y1 (ko) 2007-03-26 2007-03-26 착탈 가능한 신발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0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252B1 (ko) * 2009-10-22 2010-08-18 방현주 과일 포장대 제조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339B1 (ko) * 2009-06-04 2012-06-12 추명진 등산용 보조신발
KR101288017B1 (ko) * 2011-07-18 2013-07-19 정하길 비탈면에 사용되는 충격흡수용 탈부착 등산화뒷굽
KR200467471Y1 (ko) * 2011-12-08 2013-06-14 이쌍용 등산화 보조장치
KR101174248B1 (ko) * 2012-03-05 2012-08-14 김건우 스노우 보드 걸이 장치
EP2914140A4 (en) * 2012-10-30 2016-08-31 Todd Myles ACCESSORY FOR A SHO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252B1 (ko) * 2009-10-22 2010-08-18 방현주 과일 포장대 제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229U (ko) 200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4077Y1 (ko) 착탈 가능한 신발 보조장치
US20100139118A1 (en) Crampon for golf shoes and climbing irons
CA2812406C (en) Traction device for footwear
US20110225842A1 (en) Elastic Heel of The High-Heeled Shoes
EP0854744B1 (en) A climbing apparatus
KR100979307B1 (ko) 운동화의 하체 근육강화 보조기구
CN210904854U (zh) 弹跳鞋拖
KR101742148B1 (ko) 착용이 간편한 미끄럼 방지구
US7908773B2 (en) Snowshoe of the type in which the decking includes a peripheral frame
US8215038B1 (en) Spike saver
FI128238B (fi) Pylväskenkä
KR100996988B1 (ko) 착탈이 용이한 구동력 향상을 위한 자전거 페달
US9380829B2 (en) Shock-absorbing walk-aiding shoe
KR101129339B1 (ko) 등산용 보조신발
KR101288691B1 (ko) 신발 밑창
WO2013014433A1 (en) Functional footwear
US20120000096A1 (en) Shank Guard
CN108158118B (zh) 一种抗疲劳登山鞋
KR200467471Y1 (ko) 등산화 보조장치
KR20110004081U (ko) 빙상 및 암반겸용 등산화
KR20140003411U (ko)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
KR200298750Y1 (ko) 점핑보행기
KR200252026Y1 (ko) 아이젠
KR200484423Y1 (ko) 도시형 아이젠
KR100999898B1 (ko) 분리형 스프링 완충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