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073Y1 - 인삼재배용 해가림시설 지주삽입구 충격식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인삼재배용 해가림시설 지주삽입구 충격식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073Y1
KR200444073Y1 KR2020070018219U KR20070018219U KR200444073Y1 KR 200444073 Y1 KR200444073 Y1 KR 200444073Y1 KR 2020070018219 U KR2020070018219 U KR 2020070018219U KR 20070018219 U KR20070018219 U KR 20070018219U KR 200444073 Y1 KR200444073 Y1 KR 2004440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ocket
crank
engine
crank par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82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경
김승희
최덕규
이채식
이공인
곽태용
황성준
이성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20200700182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0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0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0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삼재배용 해가림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로서 주행수단과; 엔진으로 부터 전달된 회전동력을 상/하방향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부와 상기 크랭크부의 왕복 직선운동에 의해 지면에 지주목삽입구를 성형하는 삽입구성형날을 포함하는 굴착수단과; 상기 굴착수단을 승강시키도록 하는 승강수단을 구비하여 자체 주행이 가능하여 이동성이 있으므로 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 균일한 규격의 지주삽입구를 용이하게 성형하도록 하는 인삼재배용 해가림시설 지주삽입구 충격식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가림시설, 바퀴, 크랭크부, 동력전달부, 삽입구성형날, 유압실린더

Description

인삼재배용 해가림시설 지주삽입구 충격식 성형장치{Setting tool of Shading Support for Growing Ginseng}
본 고안은 인삼재배용 해가림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체 주행이 가능하여 이동성이 있으므로 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 균일한 규격의 지주삽입구를 용이하게 성형하도록 하는 인삼재배용 해가림시설 지주삽입구 충격식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특산물인 인삼은 음지식물로 반드시 해가림시설을 설치하고 재배해야 하는 특수작물이다.
즉, 인삼은 생태조건이 여타 다른 식물과는 달리 비교적 까다로운 반음지성 식물로써 음지에서 잘 자라는 식물이기 때문에 인삼밭에는 햇빛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시설이 필수적으로 시설되어야 한다.
이러한 차광시설은 이를 지탱해주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지주를 지면에 세우고, 각 지주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지주를 설치한 다음 이에 볏짚이나 나무, 천, 비 닐 등으로 된 차광재를 외측에 씌워 설치한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이러한 해가림시설은 높이가 150cm이내이고 지주목은 90 ~ 180cm 이내의 간격으로 1개씩 박아야 하기 때문에 해가림시설이 낮고 좁아 해가림시설 내에서 작업을 하기가 매우 불편하였다.
따라서, 현재에는 인삼밭 해가림시설 내에서 작업자의 작업편이성을 주기 위하여 높이를 180cm로 높이도록 표준 인삼경작방법에 명시하고 있으므로 240cm이상의 지주목을 지면에 세워야만 한다.
이와 같이 길이가 긴 지주목을 시설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타격방법과 같이 지주목을 땅속에 박아 세우는 작업이 불가능하므로 통상적인 휴대형 엔진 드릴 등을 사용하여 땅을 파내고 그 구멍에 지주를 세우는 방법으로 작업을 수행하였으나 작업이 매우 힘이 들었다.
특히 작업 중 구멍이 무너져 내리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통상적인 지주목의 규격인 30×36mm(가로×세로) 보다 큰 드릴직경 약 60mm의 규격으로 구멍을 형성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구멍의 규격이 지주목의 규격보다 지나치게 크게 형성함으로써 단단하게 설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핸드드릴에 의한 작업시 몸체 엔진부위가 회전하여 작업중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었으며, 매 작업시 마다 인력으로 휴대용 엔진드릴을 인력으로 들어 올려야 하므로 장시간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고, 구멍의 규격이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지주목의 견고한 설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에서는 작업시 장치를 견고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이동시 자체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며, 삽입구성형날을 고속으로 진동하여 균일하고 견고한 지주목삽입구를 형성하도록 하며, 지주목삽입구를 형성작업시 상기 삽입구성형날을 용이하게 승강시켜 인삼재배용 해가림시설을 용이하게 성형하도록 하는 인삼재배용 해가림시설 지주삽입구 충격식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주목삽입구 성형작업시 지지기능과 이동시 엔진의 동력에 의해 자체 주행기능을 하도록 본체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된 바퀴를 포함하는 주행수단과; 상기 본체프레임에 설치되며, 엔진으로 부터 전달된 회전동력을 상/하방향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부와 상기 크랭크부의 왕복 직선운동에 의해 지면에 지주목삽입구를 성형하는 삽입구성형날을 포함하는 굴착수단과; 상기 굴착수단을 승강시키도록 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와 유압절환밸브를 포함하는 승강수단 및; 상기 주행수단의 바퀴와 굴착수단의 구동스프로켓과 승강수단의 유압펌프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엔진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굴착수단은 상기 회전운동을 왕복직선운동으로 변환 하는 크랭크부와; 상기 크랭크부의 상/하 이동시 위치에 무관하게 항상 일정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크랭크부에 의해 왕복직선운동으로 변환된 상/하 진동에 의하여 지면에 지주목삽입구를 성형하는 삽입구성형날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측부에 고정 설치되어 엔진으로 부터 전달된 회전동력을 체인에 전달하는 구동스프로켓과; 상기 구동스프로켓에 대응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측부에 고정 설치된 한 쌍의 상부스프로켓과; 상기 구동스프로켓과 상부스프로켓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프레임에 고정된 가이드봉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일정구간 왕복직선운동을 하는 크랭크부에 설치된 크랭크축스프로켓과; 상기 크랭크부에 설치되며, 크랭크축스프로켓의 측면 하측에 위치하여 동력전달을 하도록 하는 보조스프로켓과; 상기 크랭크부에 설치되며, 체인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텐션스프로켓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자체 주행이 가능한 바퀴에 의하여 작업시 견고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작업중 이동이 용이하며, 삽입구성형날을 고속으로 진동시켜 균일하고 견고한 지주목삽입구를 형성하도록 하며, 보다 견고한 지주목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인삼재배용 해가림시설을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로서 크랭크부가 상승된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3은 도 2의 크랭크부가 하강하여 지주목삽입구를 성형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크랭부에 의해 삽입구성형날이 상하 작동함을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본체프레임과 작업시 자체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주행수단과 이동 후 지면에 지주목삽입구를 성형하는 굴착수단과 상기 굴착수단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및 동력을 발생시켜 전달하는 엔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행수단은 지주목삽입구 성형작업시 지지기능과 이동시 엔진(110)의 동력에 의해 자체 주행기능을 하도록 본체프레임(100)의 하부에 구비된 바퀴(120)를 포함한다.
상기 굴착수단은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설치되며, 엔진(110)으로 부터 전달된 회전동력을 상/하방향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부(150)와 상기 크랭크부(150)의 왕복 직선운동에 의해 지면에 지주목삽입구를 성형하는 삽입구성형날(160)을 포함한다.
즉, 상기 굴착수단은 상기 회전운동을 왕복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부(150)와; 상기 크랭크부(150)의 상/하 이동시 위치에 무관하게 항상 일정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하는 동력전달부(140)와; 상기 크랭크부(150)에 의해 왕복직선운동으로 변환된 상/하 진동에 의하여 지면에 지주목삽입구를 성형하는 삽입구성형 날(160)을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부(140)는 다수의 스프로켓이 배열된 것으로 본체프레임(100)에 고정설치되어 위치가 변하지 않는 스프로켓과 승강수단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회전하는 스프로켓으로 구성된다.
상기 정지된 스프로켓으로는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하측부에 고정 설치되어 엔진(110)으로 부터 전달된 회전동력을 체인(146)에 전달하는 구동스프로켓(141)과; 상기 구동스프로켓(141)에 대응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상측부에 고정 설치된 한 쌍의 상부스프로켓(142)이 있다.
또한 승강수단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크랭크부(150)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구동되는 크랭크축스프로켓(143), 보조스프로켓(144) 및 텐션스프로켓(145)은 상기 구동스프로켓(141)과 상부스프로켓(142)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크랭크부(150)는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고정된 가이드봉(17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일정구간 왕복직선운동을 하면서 작동된다.
상기 크랭크축스프로켓(143)은 상기 크랭크부(150)에 설치되어 크랭크축(151)을 회전시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크랭크축스프로켓(143)의 측면 하측에 위치하여 동력전달을 하도록 하는 보조스프로켓(144)은 상기 크랭크축스프로켓(143)에 명확하게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크랭크부(150)와 함께 상/하이동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텐션스프로켓(145) 역시 상기 크랭크부(150)와 함께 상/하이동하면서 체인(146)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굴착수단을 승강시키면서 지주목삽입구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으로 유압실린더(132)와 상기 유압실린더(132)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130)와 유압절환밸브(131)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설치된 엔진(110)은 상기 주행수단의 바퀴(120)와 굴착수단의 구동스프로켓(141)과 승강수단의 유압펌프(13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여 주행, 굴착, 승강작동 등을 수행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체프레임(100)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도 2와 같이 승강수단에 의하여 굴착수단인 삽입구성형날(160)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바퀴(120)를 이용하여 지주목삽입구를 형성할 위치로 자체 이동한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 지점에 정지하여 승강수단에 의해 서서히 삽입구성형날(160)을 하강시키면서 상하 진동시켜 지주목삽입구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굴착수단은 상기 엔진(110)으로 부터 전달된 회전동력을 상/하방향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부(150)에 의하여 삽입구성형날(160)이 상/하방향 직선운동을 하면서 지면에 지주목삽입구를 성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크랭크부(150)가 가이드봉(170)을 따라 서서히 하측방향으로 하강하지만 동력전달부(140)에 의해 항상 일정하게 동력이 전달되어 용이하게 지주목삽입구를 성형하도록 한다.
즉, 상기 구동스프로켓(141)과 상부스프로켓(142)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고정된 가이드봉(17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일정구간 왕복직선운동을 하는 크랭크부(150)에 설치된 크랭크축스프로켓(143)과 보조스프로켓(144)및 체인(146)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텐션스프로켓(145)에 의하여 원활히 동력이 전달되어 성형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적정 깊이로 지주목삽입구가 성형된 상태에서는 승강수단에 의해 상기 삽입구성형날(160)을 서서히 들어 올림으로써 성형작업이 완료되며, 다시 주행수단에 의해 다른 지점으로 위치를 이동하여 연속작업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인삼경작을 위해 필수적으로 시설하여야 하는 해가림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지주목삽입구를 매우 용이하게 성형하여 보다 견고한 해가림시설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손이 부족한 농촌의 실정을 감안하여 매우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술로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큰 기술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로서 크랭크부가 상승된 상태를 보인 것임.
도 3은 도 2의 크랭크부가 하강하여 지주목삽입구를 성형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크랭부에 의해 삽입구성형날이 상하 작동함을 도시한 것임.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체프레임 110: 엔진
120: 바퀴 130: 유압펌프
131: 유압절환밸브 132: 유압실린더
133: 피스톤로드 140: 동력전달부
141: 구동스프로켓 142: 상부스프로켓
143: 크랭크축스프로켓 144: 보조스프로켓
145: 텐션스프로켓 146: 체인
150: 크랭크부 151: 크랭크축
152: 균형추 153: 연결봉
160: 삽입구성형날 170: 가이드봉

Claims (3)

  1. 지주목삽입구 성형작업시 지지기능과 이동시 엔진(110)의 동력에 의해 자체 주행기능을 하도록 본체프레임(100)의 하부에 구비된 바퀴(120)를 포함하는 주행수단과;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설치되며, 엔진(110)으로 부터 전달된 회전동력을 상/하방향 왕복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크랭크부(150)와, 상기 크랭크부(150)의 상/하 이동시 위치에 무관하게 항상 일정한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하측부에 고정 설치되어 엔진(110)으로 부터 전달된 회전동력을 체인(146)에 전달하는 구동스프로켓(141)과, 상기 구동스프로켓(141)에 대응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100)의 상측부에 고정 설치된 한 쌍의 상부스프로켓(142)과, 상기 구동스프로켓(141)과 상부스프로켓(142)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고정된 가이드봉(17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일정구간 왕복직선운동을 하는 크랭크부(150)에 설치된 크랭크축스프로켓(143)과, 상기 크랭크부(150)에 설치되며 크랭크축스프로켓(143)의 측면 하측에 위치하여 동력전달을 하도록 하는 보조스프로켓(144)과, 상기 크랭크부(150)에 설치되며 체인(146)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텐션스프로켓(145)을 포함하는 동력전달부(140)와, 상기 크랭크부(150)에 의해 왕복직선운동으로 변환된 상/하 진동에 의하여 지면에 지주목삽입구를 성형하는 삽입구성형날(160)을 포함하는 굴착수단과;
    상기 굴착수단을 승강시키도록 하는 유압실린더(132)와 상기 유압실린더(132)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펌프(130)와 유압절환밸브(131)를 포함하는 승강수단 및;
    상기 주행수단의 바퀴(120)와 굴착수단의 구동스프로켓(141)과 승강수단의 유압펌프(13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엔진(110)을 포함하는 인삼재배용 해가림시설 지주삽입구 충격식 성형장치.
  2. 삭제
  3. 삭제
KR2020070018219U 2007-11-12 2007-11-12 인삼재배용 해가림시설 지주삽입구 충격식 성형장치 KR2004440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219U KR200444073Y1 (ko) 2007-11-12 2007-11-12 인삼재배용 해가림시설 지주삽입구 충격식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219U KR200444073Y1 (ko) 2007-11-12 2007-11-12 인삼재배용 해가림시설 지주삽입구 충격식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073Y1 true KR200444073Y1 (ko) 2009-04-10

Family

ID=41347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8219U KR200444073Y1 (ko) 2007-11-12 2007-11-12 인삼재배용 해가림시설 지주삽입구 충격식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0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400Y1 (ko) 2015-04-16 2015-10-13 이성근 농업용 지지대 삽입장치
CN112586145A (zh) * 2020-12-09 2021-04-02 周虹 一种人参培育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400Y1 (ko) 2015-04-16 2015-10-13 이성근 농업용 지지대 삽입장치
CN112586145A (zh) * 2020-12-09 2021-04-02 周虹 一种人参培育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914612Y (zh) 种植山药用松土机
CN106717315A (zh) 一种用于园林树木幼苗种植的自动挖坑埋土机
KR200441962Y1 (ko) 주행형 인삼 해가림시설 지주목 삽입구 드릴식 천공기
JP5888460B1 (ja) 根株除去工法及び根株除去装置
KR200444073Y1 (ko) 인삼재배용 해가림시설 지주삽입구 충격식 성형장치
CN107241940A (zh) 一种园林绿植种植设备
CA1066954A (en) Tree transplanting machine
CN211064100U (zh) 一种园林种植用挖掘装置
CN210840614U (zh) 一种园林制备种植用挖坑机
CN205143071U (zh) 一种植树造林机
CN202131986U (zh) 打桩机
CN201306118Y (zh) 液压竖井钻机
CN107905729B (zh) 一种四臂岩石打孔装置及设有该装置的四臂岩石打孔机
KR200342739Y1 (ko) 굴삭기를 이용한 암반천공장치
CN209244495U (zh) 一种建筑工地使用的固定式手提挖坑机
ATE396307T1 (de) Verfahren zum anheben eines gebäudes
CN2937440Y (zh) 挖坑机
CN202310476U (zh) 一种翻土机
CN210714049U (zh) 一种智能电杆栽培装置
JP6088093B1 (ja) 低空頭掘削機及び低空頭掘削機における水平フレームの高さ位置調整方法
CN206212850U (zh) 一种护岸用高存活种树装置
CN221011203U (zh) 沙漠挖坑植苗机
RU73151U1 (ru) Ямокопатель
CN116235663B (zh) 一种智能化园林绿化工程种植挖坑机
CN109826559A (zh) 一种简易钻机及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