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738Y1 - 벤딩 기능이 강화된 안테나 플러그 - Google Patents

벤딩 기능이 강화된 안테나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738Y1
KR200443738Y1 KR2020070006610U KR20070006610U KR200443738Y1 KR 200443738 Y1 KR200443738 Y1 KR 200443738Y1 KR 2020070006610 U KR2020070006610 U KR 2020070006610U KR 20070006610 U KR20070006610 U KR 20070006610U KR 200443738 Y1 KR200443738 Y1 KR 2004437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fixing
pin
coaxial cable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6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4914U (ko
Inventor
강경일
이용구
송화윤
Original Assignee
(주)기가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기가레인 filed Critical (주)기가레인
Priority to KR20200700066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738Y1/ko
Publication of KR200800049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9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7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7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Aerial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벤딩 기능이 강화된 안테나 플러그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플러그는 연결 핀, 케이블 연결 부재, 케이블 고정 부재, 및 핀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연결 핀은 동축 케이블의 중심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케이블 연결 부재는 중심부에 형성되는 연결 홀을 통해 상기 동축 케이블의 쉴드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케이블 고정 부재는 상기 케이블 연결 부재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블 연결부재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 홀을 통해 상기 동축 케이블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방식으로 상기 동축 케이블을 고정한다. 핀 지지 부재는 상기 연결 핀과 상기 케이블 연결 부재가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상기 연결 핀과 상기 케이블 연결 부재 사이에 위치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플러그는 디핑 된 동축 케이블을 이용하므로 신호의 전송 효율을 높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테나 플러그 내에 고정되는 동축 케이블의 벤딩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벤딩 기능이 강화된 안테나 플러그{Antenna plug having strengthened bending function}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안테나 플러그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각각 도 1의 동축 케이블, 연결 핀, 핀 고정 유전체, 바디, 및 콜릿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플러그의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각각 도 7의 핀 고정 유전체, 연결 핀, 핀 지지 유전체, 케이블 연결 부재, 및 동축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케이블 연결 부재와 도 12의 동축 케이블이 연결된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도 7의 케이블 고정 부재, 콜릿, 바디, 및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플러그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안테나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벤딩 기능이 강화된 안테나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및 멀티미디어 분야의 기술 발달에 따라, 무선 통신 기기들은 더 다양한 종류의 무선 신호들을 송수신해야 한다. 특히 멀티미디어에 대한 요구의 증가에 따라 무선 통신 기기들은 무선 통신을 위한 신호들뿐만 아니라 위성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또는 지상파 DMB 등의 방송 신호들도 송수신해야 한다.
이러한 무선 신호들은, 안테나를 통해 공중으로 송신되거나, 또는 공중으로부터 수신되므로, 무선 신호들의 효율적인 송수신에 있어서 안테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무선기기들에서 통신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모두 효율적으로 제공되기 위해서는 각각의 서비스를 위한 안테나 구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무선기기들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안테나를 이용한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안테나들은 무선기기들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제공된다. 착탈 가능한 형태로 안테나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기기에 커넥터가 설치되고, 안테나의 끝단에 설치되는 플러그가 커넥터와 연결되는 방식이 이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안테나 플러그의 단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6은 각각 도 1의 동축 케이블, 연결 핀, 핀 고정 유전체, 바디, 및 콜릿의 단면도이다. 도 1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안테나 플러그(100)와 연결되는 커넥터(195)가 함께 도시되어 있다. 안테나 플러그(100)는 연결 핀(110), 핀 고정 유전체(120), 바디(130), 콜릿(140), 및 하우징(150)을 포함한다.
연결 핀(110)은 동축 케이블(190)의 중심 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라인을 형성하여 안테나(미도시)로 수신된 신호를 전달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 기기(미도시)로부터의 신호를 안테나(미도시)로 전달한다. 핀 고정 유전체(120)는 연결 핀(110)을 지지하는 동시에 연결 핀(110)이 바디(130)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한다.
바디(130)는 동축 케이블(190) 및 핀 고정 유전체(120)를 감싸며, 클램핑부(135)를 포함한다. 도 1의 안테나 플러그에서는 클램핑부(135)를 클램핑(clamping) 함으로써, 동축 케이블(190)이 바디(130)에 고정되는 것과 동시에 동축 케이블(190)의 접지 도체와 클램핌부(135)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 라인을 형성한다. 콜릿(140)은 바디(130)의 외주면에 연결되며, 하우징(150)은 콜릿(140)과 바디를 하우징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안테나 플러그(100)에서는, 바디(130)와 동축 케이블(190)을 클램핑 하는 방식으로 동축 케이블이 안테나 플러그(100)에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기기에서 착탈식 안테나를 사용하는 무선 신호의 원활한 송수신을 위해 안테나를 자주 움직이게 되는데, 클램핑 방식을 이용하는 종래의 안테 나 플러그는 안테나의 움직임에 따라 안테나 플러그의 고정된 동축 케이블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좁은 공간에서 클램핑 공정을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동축 케이블에서 통상적으로 접지라인으로 사용되는 쉴드(shield) 부분은, 신호전송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디핑(dipping) 된 형태로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쉴드 부분이 디핑된 동축 케이블(이하 디핑된 동축 케이블이라 함)은 디핑된 표면이 견고하여 클램핑 방식으로 가공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디핑 된 동축 케이블의 이점을 이용하면서도, 벤딩 기능이 강화되어 안테나의 움직임에 관계없이 동축 케이블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안테나 플러그가 요구된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벤딩 기능이 강화된 안테나 플러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플러그는 연결 핀, 케이블 연결 부재, 케이블 고정 부재, 및 핀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연결 핀은 동축 케이블의 중심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케이블 연결 부재는 중심부에 형성되는 연결 홀을 통해 상기 동축 케이블의 쉴드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케이블 고정 부재는 상기 케이블 연결 부재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 록 상기 케이블 연결부재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 홀을 통해 상기 동축 케이블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방식으로 상기 동축 케이블을 고정한다. 핀 지지 부재는 상기 연결 핀과 상기 케이블 연결 부재가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상기 연결 핀과 상기 케이블 연결 부재 사이에 위치한다.
이 때 상기 쉴드 부분은 상기 연결 홀의 외주면과 솔더링(soldering)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쉴드 부분은 솔더링 금속으로 디핑(dipping)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 홀이 형성되는 연결부분의 단면은 상기 연결 핀의 다른 부분의 단면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플러그.
또한 상기 연결부분의 단면은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플러그.
한편 상기 케이블 연결 부재는 상부에 상기 핀 지지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동축 케이블이 원활하게 움직이도록 상기 고정 홀의 끝단은 상기 고정 홀의 바깥 방향으로 경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핀 지지 부재는 유전상수가 1.5 ~ 6 의 범위의 값을 갖는 유전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플러그는 연결 핀, 케이블 고정연결 부재, 및 핀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연결 핀은 동축 케이블의 중심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케이블 고정연결 부재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쉴드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쉴드 부분의 연결된 부분의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상기 동축 케이블을 고정한다. 핀 지지 부재는 상기 연결 핀과 상기 케이블 고정연결 부재가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상기 연결 핀과 상기 케이블 고정연결 부재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플러그는 연결 핀, 케이블 연결 부재, 및 케이블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연결 핀은 동축 케이블의 중심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케이블 연결 부재는 중심부에 형성되는 연결 홀을 통해 상기 동축 케이블의 쉴드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케이블 고정 부재는 상기 케이블 연결 부재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블 연결부재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 홀을 통해 상기 동축 케이블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방식으로 상기 동축 케이블을 고정한다. 상기 연결 핀과 상기 케이블 연결 부재는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이 때 상기 연결 핀과 상기 케이블 연결 부재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유전체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플러그는 연결 핀, 및 케이블 고정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연결 핀은 동축 케이블의 중심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케이블 고정연결 부재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쉴드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쉴드 부분의 연결된 부분의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상기 동축 케이블을 고정한다. 상기 연결 핀과 상기 케이블 고정연결 부재는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한편 일반적으로 안테나 플러그의 구성요소들은 단면이 원형인 원통형이고, 안테나 플러그의 구성요소들은 동축 정렬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제조공정의 편의를 위해 안테나 플러그의 구성요소들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된다. 그러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이러한 단면의 형태, 정렬 여부 또는 구성요소들의 연결방식에 의해 한정되지 않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플러그의 구성요소들은 원통형으로 동축 정렬되며, 각 구성요소들은 억지끼움 방식으로 서로 결합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플러그의 단면도이고, 도 8 내지 도 12, 그리고 도 14 내지 도 17은 각각 도 7의 핀 고정 유전체, 연결 핀, 핀 지지 유 전체, 케이블 연결 부재, 동축 케이블, 케이블 고정 부재, 콜릿, 바디, 및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795)에 연결되는 안테나 플러그(700)는 핀 고정 유전체(710), 연결 핀(720), 핀 지지 부재(730), 케이블 연결 부재(740), 케이블 고정 부재(750), 콜릿(760), 바디(770), 및 하우징(780)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연결 핀(720), 핀 지지 부재(730), 케이블 연결 부재(740), 및 케이블 고정 부재(750)의 연결을 통해 동축 케이블이 굴곡되는 부분에서의 솔더링(soldering)을 피함으로써 동축 케이블의 벤딩 기능이 강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연결 핀(720), 핀 지지 부재(730), 케이블 연결 부재(740), 및 케이블 고정 부재(750)의 연결을 중심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플러그에 대해 설명한다.
연결 핀(720)은 중심부에 형성되는 연결 홀(721)을 통해 동축 케이블의 중심도체(79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도 9 참조). 핀 고정 유전체(710)에는 바디(770)의 결합을 위한 제 1 연결 턱(711)과 연결 핀(720)과의 연결을 위한 제 2 연결 턱(713)이 형성된다(도 8 참조).
연결 핀(720)은 제 2 연결 턱(713)까지 삽입되어 핀 고정 유전체(710)에 결합되며, 핀 고정 유전체(710)는 연결 핀(720)이 삽입된 채로 제 1 연결 턱(711)까지 삽입되어 바디(770)에 결합된다.
후술하겠지만 연결 핀(720)이 안정되게 지지되기 위해서, 본 고안의 실시예 에서 연결 홀(721)이 형성되는 연결 핀의 연결부분(723)의 단면의 면적은 연결 핀(720)의 다른 부분의 단면의 면적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부분(723)의 단면의 면적은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분(723)이 하부로 갈수록 펼쳐지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연결핀을 지지하기 위한 일부 부분의 단면이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케이블 연결 부재(740)는 중심부에 형성되는 연결 공(741)을 통해 동축 케이블의 쉴드 부분(797)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도 11 내지 도 13 참조). 케이블 연결 부재(740)에는 동축 케이블(795)과의 원활한 연결을 위한 경사 턱(743)과 제 1 연결 턱(745)이 형성되며, 동축 케이블(795)은 경사 턱(743)을 통해 연결 공(741)로 용이하게 진입되어 제 1 연결 턱(745)까지 삽입된다(도 11 참조).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케이블 연결 부재(740)와 동축 케이블이 연결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도 11의 케이블 연결 부재와 도 12의 동축 케이블이 연결된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연결 공(741)에는 동축 케이블의 쉴드 부분(797)이 결합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쉴드 부분(797)과 케이블 연결 부재(740)는 솔더링(soldering)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연결 공(741)의 외주면과 쉴드 부분(797)을 솔더링 함으로써 쉴드 부분(797)과 케이블 연결 부재(7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쉴드 부분(797)은 솔더링 금 속(예를 들어, 납)으로 디핑(dipping)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블 연결 부재(740)의 상부에는 핀 지지 부재(73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턱(747)이 형성된다. 고정 턱(747)에 핀 지지 부재가 고정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케이블 고정 부재(750)는 케이블 연결 부재(7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케이블 연결 부재(740)와 접촉되어 케이블 연결 부재(740)를 감싼다. 또한 케이블 고정 부재(750)는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 공(751)을 통해 동축 케이블(795)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방식으로 동축 케이블(795)을 고정한다.
케이블 고정 부재(750)는 케이블 연결 부재(7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케이블 연결 부재(740)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고정 부재(750)의 끝단이 케이블 연결 부재(740)의 제 2 연결 턱(749)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촉되고, 케이블 연결 부재(740)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케이블이 삽입되는 고정 홀(751)의 다른 끝단에는 바깥 방향으로 경사를 갖는 경사 턱이 형성될 수도 있다. 경사 턱이 형성됨으로써 동축 케이블이 케이블 고정 부재(750)로 쉽게 삽입될 수 있으며, 안테나 플러그(700)가 커넥터(미도시)에 연결되어 동작할 때 동축 케이블이 안테나의 움직임에 따라 원활하게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핀 지지 부재(730)는 연결 핀(720)과 케이블 연결 부재(740)가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연결 핀(720)과 케이블 연결 부재(740) 사이에 위치하여 연결 핀(720)과 케이블 연결 부재(740)가 단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연 결 부재의 상부에는 고정 턱(747)이 형성되는데 핀 지지 부재(730)는 고정 턱(747)에 결합되어 고정되어 연결 핀(7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동축 케이블의 중심도체(796)와 연결 핀(720)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라인을 형성하고, 케이블의 쉴드 부분(797), 케이블 연결 부재(740), 콜릿(760), 바디(770), 및 하우징(780)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라인을 형성한다. 안테나(미도시)에 수신되거나 안테나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신호의 전송을 위해서는 신호라인과 접지라인이 서로 절연되어야 하는데, 본 고안에서는 핀 지지 부재(730)에 의해 신호라인과 접지라인이 서로 절연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플러그를 제조하는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플러그의 구성요소들은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며, 억지끼움 방식으로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서 구성요소들의 삽입되는 부분에는 용이한 삽입을 위한 경사 턱이 형성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억지끼움 방식에서의 경서 턱의 구성에 대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용이한 삽입을 위한 경사 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커넥터의 제조 공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연결 핀(720)이 삽입된 상태로 핀 고정 유전체(710)가 바디(77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핀 고정 유전체(710)는 신호라인을 형성하는 연결 핀(720)과 접지라인을 형성하는 바디(770)가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핀 고정 유전체(710)는 전기절연 기능을 갖는 임의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핀 고정 유전체(710)를 형성하는 재료는, 유전율을 결정하는 유전상수가 1.5 < 유전상수 < 6 의 범위의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범위의 재료들 중 특히 PTFE(polytetrafluoroethylene) 또는 테프론(Teflon)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고정 턱(747)에 핀 지지 부재(730)가 고정된 채로 케이블 연결 부재(740)가 바디에 결합된다. 이 때 동축 케이블(795)은 케이블 연결 부재(740)가 바디 내로 결합되기 전에 케이블 연결 부재(740)와 연결될 수도 있고, 케이블 연결 부재(740)가 바디 내로 결합된 후에 케이블 연결 부재(74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케이블 고정 부재(750)가 바디에 결합되며, 이에 따라 동축 케이블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한편 콜릿(760)은 바디(770)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바디(770)와 콜릿(760)의 외주면을 따라 하우징(780)이 결합된다. 하우징이 결합될 때 콜릿(760)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콜릿(761)의 지지 홈(761)에 지지 부재(미도시)가 결합된다.
도 1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플러그의 단면도이다.도 7의 안테나 플러그(770)와 비교할 때, 케이블 결합 부재(740)와 케이블 고정 부재(750)가 일체로 형성된 것(케이블 고정연결 부재(도 18의 1810))을 제외하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플러그(1800)는 도 7의 안테나 플러그(70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도 18의 안테나 플러그(1800)에서 케이블 고정연결 부재는 동축 케이블의 쉴드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쉴드 부분의 연결된 부분의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상기 동축 케이블을 고정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의 동작은 도 7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상에서는 동축 케이블의 중심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핀과, 동축 케이블의 쉴드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 부재(또는 케이블 고정연결 부재)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해서, 연결 핀과 케이블 연결 부재 사이에 핀 지지 부재를 위치시키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핀 지지 부재 없이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플러그가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의 유전체를 이용하여, 연결 핀과 케이블 연결 부재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동축 케이블의 유전체가 연결 핀과의 연결을 위해 노출되는 중심도체로부터, 케이블 연결 부재와의 연결을 위해 노출되는 쉴드 부분까지 충분한 간격을 갖도록 함으로써 연결 핀과 케이블 연결 부재는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플러그는 디핑된 동축 케이블을 이용하므로 신호의 전송 효율을 높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테나 플러그 내에 고정되는 동축 케이블의 벤딩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3)

  1. 동축 케이블의 중심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핀;
    중심부에 형성되는 연결 홀을 통해 상기 동축 케이블의 쉴드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 부재;
    상기 케이블 연결 부재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블 연결부재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 홀을 통해 상기 동축 케이블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방식으로 상기 동축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 부재;
    상기 케이블 고정 부재의 외측에 배치되는 바디;및
    상기 연결 핀과 상기 케이블 연결 부재가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상기 연결 핀과 상기 케이블 연결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핀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쉴드 부분은, 상기 바디, 상기 케이블 고정 부재와 상기 케이블 연결 부재의 내부로 밀어 넣어진 상태에서, 상기 연결 홀의 외주면과 솔더링(soldering)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 연결 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핀 지지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턱이 형성되고, 상기 핀 지지 부재는 상기 고정 턱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 핀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플러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부분은 솔더링 금속으로 디핑(dipping)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플러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홀이 형성되는 연결부분의 단면은 상기 연결 핀의 다른 부분의 단면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플러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분의 단면은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플러그.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 케이블이 원활하게 움직이도록 상기 고정 홀의 끝단은 상기 고정 홀의 바깥 방향으로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플러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 지지 부재는 유전상수가 1.5 ~ 6 의 범위의 값을 갖는 유전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플러그.
  9. 동축 케이블의 중심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핀;
    상기 동축 케이블의 쉴드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쉴드 부분의 연결된 부분의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상기 동축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연결 부재; 및
    상기 연결 핀과 상기 케이블 고정연결 부재가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상기 연결 핀과 상기 케이블 고정연결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핀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쉴드 부분은, 상기 케이블 고정연결 부재의 내부로 밀어 넣어진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 고정연결 부재와 솔더링(soldering)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 고정연결 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핀 지지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턱이 형성되고, 상기 핀 지지 부재는 상기 고정 턱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 핀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플러그.
  10. 동축 케이블의 중심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핀;
    중심부에 형성되는 연결 홀을 통해 상기 동축 케이블의 쉴드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 부재; 및
    상기 케이블 연결 부재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블 연결부재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 홀을 통해 상기 동축 케이블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방식으로 상기 동축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핀과 상기 케이블 연결 부재는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상기 쉴드 부분은, 상기 케이블 고정 부재와 상기 케이블 연결 부재의 내부로 밀어 넣어진 상태에서, 상기 연결 홀의 외주면과 솔더링(soldering)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플러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핀과 상기 케이블 연결 부재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유전체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플러그.
  12. 동축 케이블의 중심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핀; 및
    상기 동축 케이블의 쉴드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쉴드 부분의 연결된 부분의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상기 동축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핀과 상기 케이블 고정연결 부재는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상기 쉴드 부분은, 상기 케이블 고정연결 부재의 내부로 밀어 넣어진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 고정연결 부재와 솔더링(soldering)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플러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핀과 상기 케이블 연결 부재는 상기 동축 케이블의 유전체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플러그.
KR2020070006610U 2007-04-20 2007-04-20 벤딩 기능이 강화된 안테나 플러그 KR2004437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610U KR200443738Y1 (ko) 2007-04-20 2007-04-20 벤딩 기능이 강화된 안테나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610U KR200443738Y1 (ko) 2007-04-20 2007-04-20 벤딩 기능이 강화된 안테나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914U KR20080004914U (ko) 2008-10-23
KR200443738Y1 true KR200443738Y1 (ko) 2009-03-11

Family

ID=41347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610U KR200443738Y1 (ko) 2007-04-20 2007-04-20 벤딩 기능이 강화된 안테나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73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8629B1 (ko) 2019-02-27 2022-11-21 두손산업 (주) 브이타입으로 분사가능한 식각액 분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914U (ko) 200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1133B2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with a spring arrangement
US8083544B2 (en) Coaxial connector with resilient pin for providing continued reliable contact
US9214771B2 (en) Connector for a cable
KR100801357B1 (ko) 향상된 절연부재를 구비한 동축케이블 커넥터 및 동축케이블 제조 방법
US7934952B2 (en) Coaxial cable connector system and method
CN102282727B (zh) Rf用插头式连接器、rf用插座式连接器以及rf用连接器
US20180076579A1 (en) Coaxial connector with electromagnetic shield
US8299977B2 (en) Shock- and moisture-resistant connector assembly
US20060094297A1 (en) Terminal structure of a coaxial connector
KR100832935B1 (ko) 다른 크기의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및 그에 관한 방법
JP5727003B2 (ja) 無線受信機のためのアンテナインタフェース
KR200468838Y1 (ko) 스프링과 나선 체결 압입방식에 의해 동축케이블과 연결되는 동축케이블용 컨넥터
US6648684B2 (en) Radio frequency cable connector
KR200443738Y1 (ko) 벤딩 기능이 강화된 안테나 플러그
CN214254973U (zh) 用于无线通信设备的内部印刷电路板对印刷电路板连接器
US20050077981A1 (en) Radio frequency connector port with isolation function
CN204067717U (zh) 一种具有卡环的带开关连接器
US11784444B2 (en) Fully-shielded high-frequency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2824822B2 (ja) 回転中継器
CN211126073U (zh) 通信系统及其天线与合路器的连接结构
WO2022009619A1 (ja) 電気コネクタ
KR101234659B1 (ko) 알에프 커넥터
JP2012142220A (ja) アンテナ用コネクタ
CN109546493B (zh) 一种高性能微型同轴射频连接器
KR200333032Y1 (ko) 안테나용 로테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