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559Y1 - 이동 가능한 외벽을 구비한 식품 용기 - Google Patents

이동 가능한 외벽을 구비한 식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559Y1
KR200443559Y1 KR2020060028115U KR20060028115U KR200443559Y1 KR 200443559 Y1 KR200443559 Y1 KR 200443559Y1 KR 2020060028115 U KR2020060028115 U KR 2020060028115U KR 20060028115 U KR20060028115 U KR 20060028115U KR 200443559 Y1 KR200443559 Y1 KR 2004435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all
container portion
foo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81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0625U (ko
Inventor
김영규
Original Assignee
김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규 filed Critical 김영규
Priority to KR20200600281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559Y1/ko
Publication of KR200800006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6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5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5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8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14Linings or interna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25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 B65D2581/3401Cooking or heating method specially adapted to the contents of the package
    • B65D2581/3402Cooking or heating method specially adapted to the contents of the packag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to be heated or cooked
    • B65D2581/3404Cooking pasta dishes, e.g. noo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16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into which liquid is added and the resulting preparation is retained, e.g. cups preloaded with powder or dehydrated fo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 가능한 외벽을 구비한 식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식품 용기는 제1 용기부, 제2 용기부를 포함한다. 제1 용기부는 밑면, 밑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쪽으로 세워진 제1 외벽, 제1 외벽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한다. 제2 용기부는 제2 외벽과 결합홈을 구비한다. 제2 외벽은 제1 외벽의 상단부와 동일한 형상의 하단부를 구비한다. 결합홈은 제2 외벽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제2 용기부는 제1 용기부의 제1 외벽을 따라 이동한다. 제1 용기부와 제2 용기부는 돌출부가 결합홈에 끼워져 서로 결합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식품 용기에 식품을 보관하는 경우 식품 용기의 크기를 작게 하여 보관하므로 보관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제1 용기부와 제2 용기부를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손이 작은 아이들이나 여성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식품 용기, 컵라면 용기, 외벽, 받침부, 이동

Description

이동 가능한 외벽을 구비한 식품 용기 {Food container having movable circumference surface}
도 1은 종래의 컵라면 용기에 라면이 들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 따른 식품 용기의 제1 용기부와 제2 용기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 따른 컵라면 용기에 라면을 보관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용기의 사용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용기의 사용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용기의 사용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고안은 식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이동 가능한 외벽을 구비한 식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 용기는 그 형상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식품 용기에 음식물을 넣어 보관할 때에 용기의 내부에 빈 공간이 있어도 이를 활용하지 못한다.
도 1은 종래의 컵라면 용기에 라면이 들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컵라면은 컵 형상의 용기에 미리 가공된 라면을 넣어놓고, 라면을 먹을 때 뜨거운 물을 붓고 몇 분만 기다리면 조리가 되어 손쉽게 먹을 수 있는 대표적인 인스턴드 식품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컵라면 용기(100)는 밑면(110), 외벽(120), 뚜껑(130)을 구비한다. 외벽(120)은 밑면(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쪽으로 세워져 있다. 뚜껑(130)은 컵라면 보관시에 이물질이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벽(120)의 상단을 덮는다.
종래의 컵라면 용기(100)에는 미리 가공된 라면(140)이 들어 있는데, 라면(140)은 물을 붓기 전에는 컵라면 용기(100) 높이의 절반 이하의 크기이다. 그러므로 보관시에는 컵라면 용기(100)의 높이가 미리 가공된 라면(140)의 높이보다 조금 더 높은 정도이면 충분하다. 그러나 조리시에는 컵라면 용기(100)에 물을 부어야 하므로 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컵라면 용기(100)의 외벽(120)은 컵라면 용기(100)에 물을 부었을 때의 물이 넘치지 않는 높이로 고정된다. 이로 인해, 컵라면 용기에 라면을 넣어 보관하는 경우에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그로 인해 물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식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보관시에는 그 크기를 작게 하여 보관하고, 사용시에는 필요한 크기로 크게 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식품 용기를 보관할 때 크기를 작게 하여 보관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손이 작은 아이들이나 여성들도 쉽게 크기를 변환할 수 있는 식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식품 용기는 제1 용기부, 제2 용기부를 포함한다. 제1 용기부는 밑면, 제1 외벽, 돌출부를 구비한다. 제1 외벽은 밑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쪽으로 세워진다. 돌출부는 제1 외벽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제2 용기부는 제2 외벽, 결합홈을 구비한다. 제2 외벽은 제1 외벽의 상단부와 동일한 형상의 하단부를 구비한다. 결합홈은 제2 외벽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제2 용기부는 제1 용기부의 제1 외벽을 따라 이동한다. 제1 용기부와 제2 용기부는 돌출부가 결합홈에 끼워져 결합된다.
본 고안에 따른 식품 용기는 제1 외벽과 제2 외벽이 각각 내주면과 외주면을 포함하며, 돌출부는 제1 외벽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결합홈은 제2 외벽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용기부는 제1 용기부의 외부에서 제1 용기부와 결합된다.
본 고안에 따른 식품 용기는 제2 용기부가 제1 용기부의 외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딩하여 이동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식품 용기는 제1 외벽과 제2 외벽이 각각 내주면과 외주면을 포함하며, 돌출부는 제1 외벽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결합홈은 제2 외벽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용기부는 제1 용기부의 내부에서 제1 용기부와 결합된다.
본 고안에 따른 식품 용기는 제2 용기부가 결합홈의 아래쪽에 형성된 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식품 용기는 제1 용기부가 제1 외벽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서 돌출부보다 위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차단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식품 용기는 밑면이 원형이며, 제1 용기부와 제2 용기부가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식품 용기는 제1 용기부와 제2 용기부가 상부에서 하부쪽으로 테이퍼되며, 제1 용기부의 상단부의 단면적의 크기는 제2 용기부의 하단부 단면적 크기와 제2 용기부의 상단부 단면적 크기의 사이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식품 용기는 제1 용기부와 제2 용기부가 폴리에틸렌이 코팅된 종이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익히 알려져 있 고 본 고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 따른 식품 용기의 제1 용기부와 제2 용기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 용기는 제1 용기부(200), 제2 용기부(300), 뚜껑(3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식품 용기는 원기둥 형상의 컵라면 용기이다.
제1 용기부(200)는 밑면(210), 제1 외벽(220), 돌출부(221)를 구비한다. 제1 외벽(220)은 벽과 같은 형상으로, 밑면(2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쪽으로 세워진다. 제1 외벽(220)은 외주면(224)과 내주면(225)을 포함한다. 돌출부(221)는 제1 외벽(220)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외주면(225)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221)는 하나의 층으로 형성된다. 제1 용기부(200)는 상부에서 하부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작아지는 테이퍼(taper) 형태이다.
제2 용기부(300)는 제2 외벽(320)과 결합홈(321)을 구비한다. 제2 외벽(320)은 벽과 같은 형상으로, 제1 외벽(220)과 같이 위쪽으로 세워진다. 제2 외벽(320) 은 외주면(324)과 내주면(325)을 포함한다. 결합홈(321)은 제2 외벽(320)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내주면(325)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홈(321)의 아래쪽을 따라 단면이 V자 형상인 받침부(322)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받침부(322)가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제2 용기부(300)도 상부에서 하부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점 작아지는 테이퍼(taper) 형태이다.
제2 용기부(300)는 제1 용기부(200)의 외부에서 제1 외벽(220)을 따라 상하로 움직인다. 제1 용기부(200)의 상단부 단면적의 크기는 제2 용기부(300)의 하단부 단면적의 크기보다는 크고, 제2 용기부(300)의 상단부 단면적 크기보다는 작다.
뚜껑(330)은 제2 용기부(300)의 상단에 결합된다. 뚜껑(330)은 용기 내부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주로 얇은 막 형태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용기부(300)와 뚜껑(330)을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해 제2 용기부(300)의 상단부에 약간의 돌출부(331)를 형성하였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 따른 컵라면 용기에 라면을 보관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용기(400)는 제2 용기부(300)가 제1 용기부(200)의 외부에서 제1 외벽(220)을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제1 용기부(200)의 높이는 라면(240)의 높이보다 조금 높은 정도면 충분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컵라면 용기(400)에 라면(240)을 넣어서 보관하는 경우에 제2 용기부(300)를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제1 용기부(200)와 겹쳐진 상태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컵라면 용기(400)의 크기가 작아지고, 보관시 적은 공간을 필요로 한 다.
제1 용기부(200)와 제2 용기부(300)가 겹쳐진 상태에서는 제1 용기부(200)와 제2 용기부(300)의 크기가 서로 달라 양 용기 사이에 틈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보관중인 컵라면 용기(400)를 이동하는 경우에 흔들려서 컵라면 용기(400)가 파손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제2 용기부(300)의 결합홈(321) 아래쪽에 받침부(322)가 형성되면, 받침부(322)가 제1 용기부(200)와 맞닿게 된다. 따라서 받침부(322)가 제1 용기부(200)를 지지하므로 흔들림이 방지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용기의 사용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컵라면은 조리시 컵라면 용기(400)의 내부에 뜨거운 물을 붓는다. 따라서 보관시와는 달리 컵라면 용기(400)가 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라면 용기(400)는 사용시에 제2 용기부(300)를 위쪽으로 이동시켜 제1 용기부(200)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제1 용기부(200)의 돌출부(221)가 제2 용기부(300)의 결합홈(321)에 끼워져, 제1 용기부(200)와 제2 용기부(300)가 서로 결합된다.
결합홈(321)의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는 받침부(322)는 제1 용기부(200)와 제2 용기부(300)의 결합시에 돌출부(221)의 아래쪽에 끼워진다. 돌출부(221)가 결합홈(321)에 끼워지는 경우에 틈이 생기지 않아 액체가 새어 나오지 않게 된다. 그러나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로 인하여 미세한 양의 액체가 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받침부(322)는 미세한 양의 액체가 새는 경우 액체가 컵라면 용 기(400) 밖으로 흘러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용기의 사용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용기(500)는 제1 용기부(200)의 제1 외벽(220)의 내부에서 돌출부(221)보다 위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차단벽(523)을 포함한다. 차단벽(523)은 제1 용기부(200)와 제2 용기부(300)의 결합시 컵라면 용기(500) 내부에 있는 액체가 밖으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용기의 사용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라면 용기(600)는 제2 용기부(800)가 제1 용기부(700)의 내부에서 제1 용기부(700)와 결합된다. 제1 용기부(700)의 돌출부(721)는 제1 용기부(700)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내주면(725)에 형성된다. 제2 용기부(800)의 결합홈(821)은 제2 용기부(800)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외주면(824)에 형성된다.
컵라면 용기(600)에 라면(740)을 보관할 때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용기부(800)가 제1 용기부(700)의 외부에서 제1 용기부(700)와 겹쳐진 상태로 컵라면 용기(600)를 보관한다. 컵라면 용기(6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뚜껑을 열고 제2 용기부(800)를 제1 용기부(700)의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제1 용기부(700)와 분리한 후, 제1 용기부(700)의 상단부에 제2 용기부(800)의 하단부를 삽입한다. 제2 용기부(800)를 삽입하면 제2 용기부(800)의 결합홈(821)에 제1 용기부(700)의 돌출부(721)가 끼워져 제1 용기부(700)와 제2 용기부(800)가 결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용기부(700)의 내부에서 제2 용기부(800)가 상하로 이동하여 결합홈(821)에 돌출부(721)가 끼워질 수도 있다.
제2 용기부(800)가 제1 용기부(70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컵라면 용기(600) 내부에 있는 액체가 새어 나가는 것이 보다 완벽하게 차단된다.
본 실시예에서 식품 용기는 원기둥 형상의 컵라면 용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컵라면 용기 뿐만 아니라, 팝콘 용기 등과 같은 다른 식품 용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원기둥이 아닌 사각기둥 형상과 같은 다른 형상의 식품 용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고안의 식품 용기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이 코팅된 종이 등과 같은 통상의 식품 용기를 만드는 재질로 만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고안은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식품 용기를 제공한다. 즉, 식품 용기에 식품을 보관하는 경우 식품 용기 크기를 작게 하고, 사용시에는 적당한 크기로 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식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이러한 식품 용기를 사용하여 적은 공간에 효율적으로 보관하여 보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 다른 효과는 제1 용기부의 돌출부가 하나의 층으로 되어 있어, 제1 용기부와 제2 용기부를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손이 작은 아이들이나 여성들도 쉽게 식품 용기의 크기를 바꿀 수 있다.

Claims (9)

  1. 밑면, 상기 밑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쪽으로 세워진 제1 외벽, 상기 제1 외벽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제1 용기부; 및
    상기 제1 외벽의 상단부와 동일한 형상의 하단부를 구비하는 제2 외벽과, 상기 제2 외벽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의 아래쪽에 형성된 받침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용기부의 제1 외벽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용기부;를 포함하는 식품 용기로서,
    상기 제1 용기부와 상기 제2 용기부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결합홈에 끼워져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벽과 상기 제2 외벽은 각각 내주면과 외주면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제1 외벽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제2 외벽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용기부는 상기 제1 용기부의 외부에서 상기 제1 용기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기부는 상기 제1 용기부의 외부에서 상하로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부는 상기 제1 외벽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돌출부보다 위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차단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면은 원형 형상이며,
    상기 제1 용기부와 상기 제2 용기부는 원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 품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부와 상기 제2 용기부는 상부에서 하부쪽으로 테이퍼(taper) 되며,
    상기 제1 용기부의 상단부의 단면적의 크기는 상기 제2 용기부의 하단부 단면적 크기와 상기 제2 용기부의 상단부 단면적 크기의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부와 상기 제2 용기부는 폴리에틸렌이 코팅된 종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용기.
KR2020060028115U 2006-10-19 2006-10-19 이동 가능한 외벽을 구비한 식품 용기 KR2004435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115U KR200443559Y1 (ko) 2006-10-19 2006-10-19 이동 가능한 외벽을 구비한 식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115U KR200443559Y1 (ko) 2006-10-19 2006-10-19 이동 가능한 외벽을 구비한 식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625U KR20080000625U (ko) 2008-04-23
KR200443559Y1 true KR200443559Y1 (ko) 2009-02-24

Family

ID=41320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8115U KR200443559Y1 (ko) 2006-10-19 2006-10-19 이동 가능한 외벽을 구비한 식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55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19590B2 (en) 2010-12-29 2014-12-30 Whirlpool Corporation Mixing bowl liner and lid
US9675946B2 (en) 2010-12-29 2017-06-13 Whirlpool Corporation Mixing bowl liner and li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268B1 (ko) * 2010-01-07 2012-03-26 주식회사 비원씨앤알 가변형 포장용상자
KR101132651B1 (ko) * 2010-01-07 2012-04-03 주식회사 비원씨앤알 가변형 포장용상자
US8925759B1 (en) 2010-05-21 2015-01-06 Dennis L. Miller Container protector
US9010566B2 (en) 2010-05-21 2015-04-21 Dennis L. Miller Container protector
KR101430076B1 (ko) * 2013-08-05 2014-08-14 전명수 높이조절 가능한 용기
KR101522168B1 (ko) * 2013-10-25 2015-05-22 신호철 어뎁터 구성을 포함하는 일회용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19590B2 (en) 2010-12-29 2014-12-30 Whirlpool Corporation Mixing bowl liner and lid
US9675946B2 (en) 2010-12-29 2017-06-13 Whirlpool Corporation Mixing bowl liner and l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625U (ko) 200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3559Y1 (ko) 이동 가능한 외벽을 구비한 식품 용기
US4699342A (en) Stand for displaying beverages
US20070256569A1 (en) Tea vessel structure for straining out tealeaves
US5647415A (en) Funnel for a drum
JPH03289447A (ja) 包装容器
JP2008018971A (ja) 液体用紙容器の口栓及び該口栓を取り付けた液体用紙容器
JP2007145352A (ja) キャップ
JP5413961B2 (ja) ピッチャー
JP2008007181A (ja) 飲料ディスペンサ用カートリッジ容器
KR20110028157A (ko) 컵라면 용기
KR20160058507A (ko) 액상의 물질을 정량으로 인출가능한 용기
MXPA02011239A (es) Dispositivo de transporte y almacenamiento.
KR200250072Y1 (ko) 김치 보관용 통
JP6362881B2 (ja) 電子レンジ調理用蓋、電子レンジ調理器及び電子レンジ調理器一体型食品
KR100354713B1 (ko) 일회용 접는컵
JPH08217118A (ja) 液体計量キャップ
JPH0213314Y2 (ko)
IL289630B2 (en) A drinking vessel with a container for pouring
JP4801898B2 (ja) 排水容器
US2886229A (en) Container with collapsible tray
KR200380764Y1 (ko) 병에 컵지지대를 결합시킬 수 있는 장치
JP2020083465A (ja) 計量注出容器
US20180118424A1 (en) Plastic container with integrated spout for directional pour
JP5152496B2 (ja) 定量吐出キャップ
KR100807849B1 (ko) 이중 내부구조를 갖는 보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