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257Y1 - 보강토 옹벽용 l자형 지지 강재틀 - Google Patents

보강토 옹벽용 l자형 지지 강재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257Y1
KR200443257Y1 KR2020080013750U KR20080013750U KR200443257Y1 KR 200443257 Y1 KR200443257 Y1 KR 200443257Y1 KR 2020080013750 U KR2020080013750 U KR 2020080013750U KR 20080013750 U KR20080013750 U KR 20080013750U KR 200443257 Y1 KR200443257 Y1 KR 2004432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frame
horizontal
vertic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7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명수
Original Assignee
원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명수 filed Critical 원명수
Priority to KR20200800137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2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2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2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61L-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8Details of bo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강토 옹벽용 L자형 지지 강재틀에 관한 것으로, 보강토 옹벽이 안정성 있는 각도로 축조되고 콘크리트 벽체와 지지 강재틀이 일체화됨에 따라 축조된 옹벽이 변형되거나 붕괴되지 않고 견고성 및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보강토 옹벽용 L자형 지지 강재틀은, 지지 강재틀(50)의 바닥부(122)를 이루는 제 1 수평 강재봉(120)과, 상기 제 1 수평 강재봉(1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콘크리트 벽체(10)에 매설되는 U자 형상의 콘크리트 연결부(130)와, 상기 콘크리트 연결부(130)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제 1 수직 강재봉(170)의 각도를 조절하는 L자 형상의 각도조절용 강재(140)와, 상기 각도조절용 강재(140)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지지 강재틀(50)의 전면부(172)를 이루는 제 1 수직 강재봉(170)으로 이루어진 제 1 지지틀;과,
지지 강재틀(50)의 바닥부(122)를 이루는 제 2 수평 강재봉(190)과, 상기 제 2 수평 강재봉(19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L자 형상의 굴절용 강재(200)와, 상기 굴절용 강재(200)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지지 강재틀(50)의 바닥부(122)를 이루는 제 2 수직 강재봉(210)으로 이루어진 제 2 지지틀(180); 및,
상기 제 1,2 수평 강재봉(120,190) 및 제 1,2 수직 강재봉(170,210)에 결합되는 강봉(2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옹벽, 보강토, 토목섬유, 강재틀

Description

보강토 옹벽용 L자형 지지 강재틀{L type supporting steel frame for geosynthetic reinforced soil wall}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강토 옹벽이 안정성 있는 각도로 축조할 수 있고, 콘크리트 벽체와 지지 강재틀이 일체화됨에 따라 축조된 옹벽이 변형되거나 붕괴되지 않고 견고성 및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보강토 옹벽용 L자형 지지 강재틀에 관한 것이다.
옹벽(擁壁;Retaining Wall)이란 토압력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않게 세워지는 벽체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지표지반의 안정된 경사보다 가파른 경사로 흙을 쌓거나 또는 산을 깎을 때에 발생하는 지반붕괴를 막기 위해 만든 구조물이다.
일반적인 종래의 중력식옹벽 또는 보강콘크리트 벽체옹벽은 풍부한 시공경험과 안전성 및 내구성에 대한 검증 이력을 갖고 있으나, 이들 옹벽은 외력(토압)에 대해 중력으로 저항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옹벽의 높이가 커지게 되면 대규모 공사로 비경제적이게 된다.
그러나 보강토 옹벽은 보강토체에 포설된 각 층의 금속 또는 토목섬유(부직포, 복합포, 지오그리드, 직포 등) 보강재가 흙-보강재 경계면에서 발달한 마찰력에 의한 인장력으로 토압을 분담하게 되므로 옹벽의 단면이 작아도 토압에 대해 안정하게 된다.
보강재의 인장력 발달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흙-보강재 경계면에서 마찰력이 발생해야 되고, 이를 위해서는 변형이 발생해야만 한다. 즉, 보강재의 보강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시공중 보강재가 파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보강토체의 변형을 허용해야한다.
그러나 일반 보강토 옹벽은 벽면(콘크리트 벽체 블록)(또는 패널))과 뒤채움 흙이 동시에 시공되기 때문에 블록 부근에서 다짐이 어렵고, 시공중 변형이 발생하게 되면 각각의 블록이 벌어져 흙이 빠져나가거나 보강토체의 안정성에는 이상이 없다고 하더라도 외관상 위험스럽게 보이고, 변형이 커지게 되면 블록들을 연결하는 연결핀이 파괴되어 벽면이 파괴될 수 있다. 또, 보강토옹벽 시공 중 기초지반의 변형을 충분히 허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공하게 되면 부등침하에 의한 블록간 틈이나 집중하중에 의한 균열 또는 국부적인 함몰이나 보강재가 뽑히는 인발파괴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출원된 특허 제 10-2008-0041531호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은 일조건과 현장조건에 따라서 식생이 곤란하고, 강재틀을 수직에 가깝게 시공해야만 하는 상황이 많이 발생되는데 상기와 같은 경우 강재틀 만으로는 보강토 옹벽을 안정성 있게 축조하기 어려우므로 콘크리트 벽체 등을 이용하여 강재틀의 전면부를 보강하여 보강토 옹벽을 안정성 있게 축조하게 되며, 이를위해 보강되는 콘크리트 벽체와 강재틀을 포함한 보강토체를 일체화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의 강재틀을 이용할 경우 강재틀 전면에 추가로 강봉을 현장에서 용접하게 되는데 이 경우 시공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시공자의 안전을 위해 추가의 보호조치를 취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며, 강재틀의 각도 조절이 불가능하여 보강토 옹벽이 시공위치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아 시공된 보강토 옹벽이 일정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외부적인 영향(폭우, 충격, 지진등)에 의해 붕괴되는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강토 옹벽을 안정성 있는 각도로 축조할 수 있고, 콘크리트 벽체와 지지 강재틀이 일체화됨에 따라 축조된 옹벽이 변형되거나 붕괴되지 않고 견고성 및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보강토 옹벽용 L자형 지지 강재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단은 지지 강재틀의 바닥부 를 이루는 제 1 수평 강재봉과, 상기 제 1 수평 강재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콘크리트 벽체에 매설되는 U자 형상의 콘크리트 연결부와, 상기 콘크리트 연결부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제 1 수직 강재봉의 각도를 조절하는 L자 형상의 각도조절용 강재와, 상기 각도조절용 강재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지지 강재틀의 전면부를 이루는 제 1 수직 강재봉으로 이루어진 제 1 지지틀;과,
지지 강재틀의 바닥부를 이루는 제 2 수평 강재봉과, 상기 제 2 수평 강재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L자 형상의 굴절용 강재와, 상기 굴절용 강재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지지 강재틀의 바닥부를 이루는 제 2 수직 강재봉으로 이루어진 제 2 지지틀; 및,
상기 제 1,2 수평 강재봉 및 제 1,2 수직 강재봉에 결합되는 강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L자형 지지 강재틀에 의하면, 각도 조절용 강재에 의해 일정각도를 갖게되는 지지 강재틀에 보강토 옹벽이 축조됨에 따라 이 보강토 옹벽은 안정성 있는 각도를 갖게 되고, 콘크리트 연결부를 활용하여 철근 배근 및 거푸집을 구축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벽체와 지지 강재틀이 일체화됨에 따라 축조된 보강토 옹벽이 변형되거나 붕괴되지 않고 견고성 및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지지 강재틀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보강토 옹벽을 지형적 특성에 맞게 변경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분해/조립이 간편하여 별도의 장비 없이도 필요에 따라 시공위치에 용이하게 추가설치 할 수 있어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 질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L자형 지지 강재틀의 전체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L자형 지지 강재틀를 이용한 시공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상기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L자형 지지 강재틀은 제 1 수평 강재봉(120)과, 콘크리트 연결부(130)와, 각도조절용 강재(140)와, 제 1 수직 강재봉(170)으로 이루어진 제 1 지지틀(110)및, 제 2 수평 강재봉(190)과, 굴절용 강재(200)와, 제 2 수직봉으로 이루어진 제 2 지지틀(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수평 강재봉(120)은 콘크리트 연결부(1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다수개의 강봉(240)이 결속선이나 용접처리로 결합됨으로 인해 지지 강재틀의(50) 바닥부(122)를 이룬다.
상기 콘크리트 연결부(130)는 U자 형상을 지니고 있으며, 콘크리트 벽체(10) 에 매설된 철근(15)과 결합된다. 이들의 결합은 콘크리트 연결부(130)를 철근(15)에 매듭하여 결합하거나 별도의 와이어 등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조절용 강재(140)는 제 1 수직 강재봉(17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L자 형상을 지니고 있으며, 콘크리트 연결부(130)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철근을 구부리는 기계를 이용하여 지지 강재틀(50)의 내측으로 구부릴 수 있다.
상기 제 1 수직 강재봉(170)은 각도조절용 강재(140)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되고, 다수개의 강봉이 결속선이나 용접처리로 결합됨으로 인해 지지 강재틀(50)의 전면부(172)를 이룬다.
상기 제 2 지지틀(180)의 제 2 수평 강재봉(190)은 굴절용 강재(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다수개의 강봉(240)이 결속선(241)이나 용접처리로 결합됨으로 인해 제 1 수평 강재봉(120)과 함께 지지 강재틀(50) 지지 강재틀(50)의 바닥부(122)를 이룬다.
상기 굴절용 강재(200)는 L자 형상을 지니고 있으며, 상기 제 2 수평 강재봉(19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제 2 수직 강재봉(210)의 각도를 원활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제 2 수직강재봉(210)은 굴절용 강재(2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다수개의 강봉(240)이 결속선(241)이나 용접처리로 결합됨으로 인해 제 1 수직 강재봉(170)과 함께 지지 강재틀(50)의 전면부(172)를 이룬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지 강재틀(50)은 토목섬유(30) 및 보강토(40)와 함께 보강부(20)의 형태를 잡고, 보강부(20) 구축 후 콘크리트 연결부(130)을 이용하여 철근 배근 및 거푸집을 형성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보강부(20)와 콘크리트 벽체(10)를 연결하여 일체형으로 만들며 일정한 형상으로 정형화되어 토목섬유(30)를 그 형태로 유지하면서 보강부(20)를 다단으로 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L자형 지지 강재틀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보강토 옹벽(100)이 시공될 지반을 평평하게 다짐한 후 콘크리트 벽체(10)의 시공 위치에 맞춰 먹선을 표시한 후, 이 먹선에 맞춰 거푸집(미도시)과 철근(15)을 배근한다. 그리고 지지 강재틀(50)을 상기 거푸집에 맞춰 설치하되, 수직으로 축조된 보강토 옹벽(100)이 붕괴될 경우를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철근(15)을 구부리는 장치를 이용하여 지지 강재틀(50)의 전면부(172)를 지지 강재틀(50)의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구부려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각도조절이 용이한 지지 강재틀(50)은 보강토 옹벽(100)을 지형적 특성에 맞춰 변경 시공이 가능하다.
이후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1단 콘크리트 벽체(11)를 시공한다. 상기 1단의 콘크리트 벽체(11)는 보강토 옹벽(100)의 기초부를 담당한다.
이후에, 지지 강재틀(50) 위에 면상의 토목섬유(30)를 깔고, 이 토목섬유(30) 위에 보강토(40)를 지지 강재틀(50)의 높이까지 포설 다짐하여 보강부(20)를 포설함으로써 1단의 시공이 완료된다.
이상의 공정을 통해 시공된 보강부(20) 위에 설계고에 맞춰 보강부(20)를 다단으로 시공한다.
이후, 콘크리트 벽체(10) 부위에 철근(15)을 배근하되, 콘크리트 연결부(130)를 철근(15)에 연결하여 배근하고 거푸집을 설치한 후, 이 거푸집 안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타설된 콘크리트가 일정시간이 지남에 따라 양생되면 거푸집을 해제시키며, 이로써 보강토 옹벽(100)의 시공이 완료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L자형 지지 강재틀 실시예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L자형 지지 강재틀를 이용한 또 다른 시공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상기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L자형 지지 강재틀은 제 1 수평 강재봉(120)과, 제 1 수직 강재봉(170)과, 제 1 수평 체결부(150)와 제 1 수직 체결부(160)로 이루어지는 각도조절용 강재(140)와, 콘크리트 연결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 1 지지틀(110)및, 제 2 수평 강재봉(190)과, 제 2 수직 강재봉(210)과, 제 2 수평체결부와 제 2 수직 체결부(230)로 이루어진 각도조절용 강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 제 2 지지틀(18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수평 강재봉(120)은 일측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일면에 다수개의 제 1 삽입홈(121)이 등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 1 수평 강재봉(120)이 제 1 수평 체결부(150)에 결합되고 제 1 삽입홈(121)에 다수개의 강봉(240)이 수평으로 삽 입됨으로 인해 지지 강재틀(50)의 바닥부(122)를 이룬다.
또한 강봉(240)이 삽입된 부분에 결속선(241)으로 묶거나 용접처리를 하여 제 1 삽입홈(121)으로부터 강봉(24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수직 강재봉(170)은 일측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일면에 다수개의 제 2 삽입홈(171)이 등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 1 수직 강재봉(170)이 제 1 수직 체결부(160)에 결합되고 제 2 삽입홈(171)에 다수개의 강봉(240)이 수평으로 삽입됨으로 인해 지지 강재틀(50)의 전면부(172)를 이룬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강봉(240)이 삽입된 부분에 결속선(241)으로 묶거나 용접처리를하여 제 2 삽입홈(171)으로부터 강봉(24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각도조절용 강재(140)는 제 1 수평 강재봉(120)이 체결되는 제 1 수평 체결부(150)와 제 1 수직 강재봉(170)이 체결되는 제 1 수직 체결부(160)로 이루어져 힌지(60)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제 1 수평 체결부(15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 1 수평 강재봉(120)의 나사선과 맞물려 결합되기 위한 암 나선홈이 더 형성되며, 일면에는 다수개의 관통홀(70)이 구비된 제 1 라운딩 패널(151)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수직 체결부(160)의 내주면에는 제 1 수직 강재봉(170)에 형성된 나사선과 맞물려 결합되기 위한 암 나선홈이 더 형성되며, 일면에는 다수개의 관통홀(70)이 구비된 제 2 라운딩 패널(161)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1,2 라운딩 패널(151,161)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강재틀(50) 의 각도(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연결부(130)는 상기 힌지(60)에 결합되어 각도조절용 강재(14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연결홀이 구비되고 콘크리트 벽체(10)에 매설되어 철근(15)과 결합된다. 콘크리트 연결부(130)와 철근(15)의 연결은 콘크리트 연결부(130)를 철근(15)에 매듭하여 연결하거나 별도의 와이어 등으로 콘크리트 연결부(130)와 철근(15)을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지지틀(180)의 제 2 수평 강재봉(190)은 일측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일면에 다수개의 제 3 삽입홈(191)이 등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 2 수평 강재봉(190)이 제 2 수평 체결부(220)에 결합되고 상기 제 3 삽입홈(191)에 다수개의 강봉(240)이 수평으로 삽입됨으로 인해 제 1 수평 강재봉(120)과 함께 지지 강재틀(50)의 바닥부(122)를 이룬다.
상기 제 2 수직 강재봉(210)은 일측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일면에 다수개의 제 4 삽입홈(211)이 등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 2 수직 강재봉(210)이 제 2 수평 체결부(220)에 결합되고 상기 제 4 삽입홈(211)에 다수개의 강봉(240)이 수평으로 삽입됨으로 인해 제 2 수직 강재봉(210)과 함께 지지 강재틀(50)의 전면부(172)를 이룬다.
상기 제 2 지지틀(180)의 각도조절용 강재(140')는 제 2 수평 강재봉(190)이 체결되는 제 2 수평 체결부(220)와 제 2 수직 강재봉(210)이 체결되는 제 2 수직 체결부(230)로 이루어져 힌지(60)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제 2 수평 체결부(22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 2 수평 강재봉(190)의 나 사선과 맞물려 결합되기 위한 암 나사선홈이 더 형성되며, 일면에는 다수개의 관통홀(70)이 구비된 제 3 라운딩 패널(221)이 설치되고, 제 2 수직체결부의 내주면에는 제 2 수직 강재봉(210)에 형성된 나사선과 맞물려 결합되기 위한 암 나선홈이 더 형성되며, 일면에는 다수개의 관통홀(70)이 구비된 제 4 라운딩 패널(231)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3,4 라운딩 패널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강재틀(50)의 각도(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지 강재틀(50)은 토목섬유(30) 및 보강토(40)와 함께 보강부(20)의 형태를 잡고, 보강부(20) 구축 후 콘크리트 연결부(130)을 이용하여 철근 배근 및 거푸집을 형성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보강부(20)와 콘크리트 벽체(10)를 연결하여 일체형으로 만들며 일정한 형상으로 정형화되어 토목섬유(30)를 그 형태로 유지하면서 보강부(20)를 다단으로 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지지 강재틀(50)은 분해/조립이 간편하여 별도의 장비들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만들어 시공위치에 추가설치 할 수 있어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L자형 지지 강재틀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보강토 옹벽(100)이 시공될 지반을 평평하게 다짐한 후 콘크리트 벽체(10)의 시공 위치에 맞춰 먹선을 표시한 후, 이 먹선에 맞춰 거푸집(미도시)과 철근(15)을 배근한다. 그리고 지지 강재틀(50)을 상기 거푸집에 맞춰 설치하되, 수직으로 축조된 보강토 옹벽(100)이 붕괴될 경우를 고려하여 지지 강재틀(50)의 각도를 일정하게 기울어지게 조절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각도조절용 강재의 각도조절방법은 먼저, 제 1 수평 체결부(150)와 제 1 수직 체결부(160)를 고정시키고 있는 힌지(60)와, 제 2 수평 체결부(220)와 제 2 수직 체결부(230)를 고정시키고 있는 힌지(60)를 푼 다음, 제 2,4 라운딩 패널(161,231)이 설치된 제 1,2 수직 체결부(160,230)를 제 1,3 라운딩 패널(151,221)이 설치된 제 1,2 수평 체결부(150,220) 측으로 작업자가 원하는 만큼 기울인다.
이후, 전면부(172)의 기울기가 작업자가 원하는 만큼의 기울기가 됐을때, 제 1,2 라운딩 패널(151,161)의 관통홀(70)과, 제 3,4 라운딩 패널의 관통홀(70)을 일치시켜 나사와 볼트를 이용하여 라운딩 패널들을 고정시킨 다음, 다시 힌지(60)를 조여 제 1,2 수평 체결부(150,220)와 제 1,2 수직 체결부(160,230)를 견고히 고정시킨다.
이후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1단 콘크리트 벽체(11)를 시공한다. 상기 1단의 콘크리트 벽체(11)는 보강토 옹벽(100)의 기초부를 담당한다.
이후에, 지지 강재틀(50) 위에 면상의 토목섬유(30)를 깔고, 이 토목섬유(30) 위에 보강토(40)를 지지 강재틀(50)의 높이까지 포설 다짐하여 보강부(20)를 포설함으로써 1단의 시공이 완료된다.
이상의 공정을 통해 시공된 보강부(20) 위에 설계고에 맞춰 보강부(20)를 다 단으로 시공한다.
이후, 콘크리트 벽체(10) 부위에 철근(15)을 배근하되, 콘크리트 연결부(130)를 철근(15)에 연결하여 배근하고 거푸집을 설치한 후, 이 거푸집 안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타설된 콘크리트가 일정시간이 지남에 따라 양생되면 거푸집을 해제시키며, 이로써 보강토 옹벽(100)의 시공이 완료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L자형 지지 강재틀의 전체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L자형 지지 강재틀를 이용한 시공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L자형 지지 강재틀의 실시예.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토 옹벽용 L자형 지지 강재틀를 이용한 또 다른 시공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
10 : 콘크리트 벽체 11 : 1단 콘크리트 벽체
15 : 철근 20 : 보강부
30 : 토목섬유 40 : 보강토
50 : 지지 강재틀 60 : 힌지
70 : 관통홀 100 : 보강토 옹벽
110 : 제 1 지지틀 120 : 제 1 수평 강재봉
121 : 제 1 삽입홈 122 : 바닥부
130 : 콘크리트 연결부 140,140' : 각도 조절용 강재
150 : 제 1 수평 체결부 151 : 제 1 라운딩 패널
160 : 제 1 수직 체결부 161 : 제 2 라운딩 패널
170 : 제 1 수직 강재봉 171 : 제 2 삽입홈
172 : 전면부 180 : 제 2 지지틀
190 : 제 2 수평 강재봉 191 : 제 3 삽입홈
200 : 굴절용 강재 210 : 제 2 수직 강재봉
211 : 제 4 삽입홈 220 : 제 2 수평 체결부
221 : 제 3 라운딩 패널 230 : 제 2 수직 체결부
231 : 제 4 라운딩 패널 240 : 강봉
241 : 결속선

Claims (2)

  1. 지지 강재틀(50)의 바닥부(122)를 이루는 제 1 수평 강재봉(120)과, 상기 제 1 수평 강재봉(1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콘크리트 벽체(10)에 매설되는 U자 형상의 콘크리트 연결부(130)와, 상기 콘크리트 연결부(130)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제 1 수직 강재봉(170)의 각도를 조절하는 L자 형상의 각도조절용 강재(140)와, 상기 각도조절용 강재(140)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지지 강재틀(50)의 전면부(172)를 이루는 제 1 수직 강재봉(170)으로 이루어진 제 1 지지틀;과,
    지지 강재틀(50)의 바닥부(122)를 이루는 제 2 수평 강재봉(190)과, 상기 제 2 수평 강재봉(19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L자 형상의 굴절용 강재(200)와, 상기 굴절용 강재(200)의 상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지지 강재틀(50)의 바닥부(122)를 이루는 제 2 수직 강재봉(210)으로 이루어진 제 2 지지틀(180); 및,
    상기 제 1,2 수평 강재봉(120,190) 및 제 1,2 수직 강재봉(170,210)에 결합되는 강봉(2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용 L자형 지지 강재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틀은,
    일측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일면에 다수개의 제 1 삽입홈(121)이 구비되며, 지지 강재틀(50)의 바닥부(122)를 이루는 제 1 수평 강재봉(120)과, 일측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일면에 다수개의 제 2 삽입홈(171)이 구비되며, 지지 강재틀(50)의 전면부(172)를 이루는 제 1 수직 강재봉(170)과, 내주면에는 제 1 수평 강재봉(120)의 나사선과 맞물리는 암 나선홈이 구비되고, 일면에는 다수개의 관통홀(70)이 구비된 제 1 라운딩 패널(151)이 설치된 제 1 수평 체결부(150)와, 내주면에는 제 1 수직 강재봉(170)의 나사선과 맞물리는 암 나선홈이 구비되고 일면에는 다수개의 관통홀(70)이 구비된 제 2 라운딩 패널(161)이 설치된 제 1 수직 체결부(160)로 이루어져 힌지(60)에 의해 결합되는 각도조절용 강재(140)와, 상기 힌지(60)에 결합되어 각도조절용 강재(14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연결홀이 구비된 콘크리트 연결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지지틀은,
    일측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일면에 다수개의 제 3 삽입홈(191)이 구비되며, 지지 강재틀(50)의 바닥부(122)를 이루는 제 2 수평 강재봉(190)과, 일측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일면에 다수개의 제 4 삽입홈(211)이 구비되며, 지지 강재틀(50)의 전면부(172)를 이루는 제 2 수직 강재봉(210)과, 내주면에는 제 2 수평 강재봉(190)의 나사선과 맞물리는 암 나선홈이 구비되고, 일면에는 다수개의 관통홀(70)이 구비된 제 3라운딩 패널이 설치된 제 2 수평 체결부(220)와, 내주면에는 제 2 수직 강재봉(210)의 나사선과 맞물리는 암 나선홈이 구비되고 일면에는 다수개의 관통홀(70)이 구비된 제 4 라운딩 패널(231)이 설치된 제 2 수직 체결부(230)로 이루어져 힌지(60)에 의해 결합되는 각도조절용 강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2 수평 강재봉(120,190) 및 제 1,2 수직 강재봉(170,210)에 형성된 삽입홈(121,171,191,211)에 삽입결합되는 강봉(24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용 L자형 지지 강재틀.
KR2020080013750U 2008-10-15 2008-10-15 보강토 옹벽용 l자형 지지 강재틀 KR2004432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750U KR200443257Y1 (ko) 2008-10-15 2008-10-15 보강토 옹벽용 l자형 지지 강재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750U KR200443257Y1 (ko) 2008-10-15 2008-10-15 보강토 옹벽용 l자형 지지 강재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257Y1 true KR200443257Y1 (ko) 2009-02-04

Family

ID=41346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750U KR200443257Y1 (ko) 2008-10-15 2008-10-15 보강토 옹벽용 l자형 지지 강재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25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786B1 (ko) * 2021-02-09 2021-06-08 이대영 철선망이 내장된 콘크리트 구조물
CN116591213A (zh) * 2023-07-14 2023-08-15 中石化工建设有限公司 一种混凝土挡墙及其施工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786B1 (ko) * 2021-02-09 2021-06-08 이대영 철선망이 내장된 콘크리트 구조물
WO2022173170A1 (ko) * 2021-02-09 2022-08-18 이대영 철선망이 내장된 콘크리트 구조물
CN116591213A (zh) * 2023-07-14 2023-08-15 中石化工建设有限公司 一种混凝土挡墙及其施工方法
CN116591213B (zh) * 2023-07-14 2023-11-28 中石化工建设有限公司 一种混凝土挡墙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515173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擁壁
JP4850276B2 (ja) 補強土構造物および盛土補強材の定着構造
KR101071572B1 (ko) 철망을 이용한 녹화 보강토 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AU2004283242B2 (en) Reinforced soil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it
KR101176592B1 (ko) 긴장재를 이용한 엄지말뚝 흙막이 시공 방법
KR100890828B1 (ko) 보강토 rc옹벽
KR101682510B1 (ko) Pc패널과 영구앵커를 이용한 안전성을 확보하는 옹벽 시공방법
KR101171040B1 (ko) 긴장재를 이용한 조립식 간이 흙막이 시공 방법
KR20110077334A (ko) 옹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000552B1 (ko) 콘크리트가 보강된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395328B1 (ko) 패널을 이용한 성토부 옹벽 구조 및 성토부 옹벽 시공방법
KR102052591B1 (ko) 지오벨트 지지구, 지오벨트 고정장치 및 옹벽 시공방법
KR101136240B1 (ko) 거푸집 및 지하외벽 수직철근 겸용 철재수직토류판과 그 지지구조
KR200443257Y1 (ko) 보강토 옹벽용 l자형 지지 강재틀
JP2017122358A (ja) 山留架構
KR102123810B1 (ko) 세굴 방지용 보강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383624B1 (ko) 자연석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210368B1 (ko) 커플러와 볼트를 활용하여 가설 흙막이벽과 지하실 외벽을 일체화하는 공법
JP2015183366A (ja) 盛土構造体の構造および構築方法
KR101610263B1 (ko)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프레임 일체형 게비온 구조물
JP4566257B2 (ja) 補強土構造物
KR102174713B1 (ko) 지하구조물의 내진 보강장치
JP5516643B2 (ja) 土留め壁の補強構造及び方法
KR101677431B1 (ko) 대용량 콘크리트 옹벽
KR101226223B1 (ko) 토목섬유 튜브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