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211Y1 -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탈부착형 식기건조대 - Google Patents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탈부착형 식기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211Y1
KR200443211Y1 KR2020070016520U KR20070016520U KR200443211Y1 KR 200443211 Y1 KR200443211 Y1 KR 200443211Y1 KR 2020070016520 U KR2020070016520 U KR 2020070016520U KR 20070016520 U KR20070016520 U KR 20070016520U KR 200443211 Y1 KR200443211 Y1 KR 2004432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rail member
detachable
movable plat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5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3378U (ko
Inventor
이두진
Original Assignee
이두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진 filed Critical 이두진
Priority to KR20200700165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211Y1/ko
Publication of KR200800033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3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2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2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47L19/04Crockery baskets; Draining-rack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식기 수용부와,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전방으로 절곡 형성된 후 다시 상부로 돌출된 돌부를 형성하는 걸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레일부재와, 상기 걸이부의 돌부가 수용되어 레일부재와 체결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한 이동판부재와, 그리고 상기 레일부재 상판부 저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레일부재로부터 상기 이동판부재의 탈부착시 안정된 탈부착을 유도하고 제한된 탈부착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탈부착유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식기, 건조, 탈부착, 가이드홈, 탈착유도, 삽입공간, 레일

Description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탈부착형 식기건조대{THE RACK FOR TABLEWARE}
본 고안은 식기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싱크대 선반 위나 개수대에서 고정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벽면이나 싱크대 수납장 하면 등에 부착하는 방식을 취하여 설치가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한 탈부착형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탈부착형 식기건조대는 식기 수용부와,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전방으로 절곡 형성된 후 다시 상부로 돌출된 돌부를 형성하는 걸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레일부재와, 상기 걸이부의 돌부가 수용되어 레일부재와 체결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한 이동판부재와, 그리고 상기 레일부재 상판부 저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레일부재로부터 상기 이동판부재의 탈부착시 안정된 탈부착을 유도하고 제한된 탈부착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탈부착유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사용되는 식기건조대는 그릇이나 접시, 컵 등의 각종 식기를 올려놓고 건조하는 용도로 사용되는데, 다양한 종류와 구성의 식기건조대가 소개되고 있다.
그 통상적인 구성은 싱크대 벽장의 하부 양측에 나사체결로 각각 고정되는 한 조의 양측 프레임과, 상기 양측 프레임의 하부에 용접으로 연결되어 다수 개의 배수공을 구비하는 선반과, 상기 선반의 하부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물받이로 이루어진다.
또는 철사로 구성된 2단 또는 3단의 케이지(cage)를 지지틀 안에 조립하여 싱크대 개수대 부분의 상판에 간단하게 재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후자는 대부분이 수도밸브와 싱크볼이 설치된 부근의 개수대 상판에 얹어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이는 설치 사용시 협소한 싱크대의 상판 면적을 대부분 차지하는 형태로 얹혀지고 있어, 싱크대 상판의 작업 공간 확보에 많은 어려움이 뒤따르는 폐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한쪽으로 치워놓았다가 사용하고자 할 때마다 일일이 싱크볼 주변으로 옮기면서 사용하게 되는 등의 불편이 있어, 식기 건조대를 구비하고 있다 하더라도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그다지 만족스러운 활용도를 느끼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전자와 같이 싱크대 상부의 선반 한부면에 얹어 사용하는 식기 건조대가 소개되고 있으나, 사용에 따라서는 하중에 의해 식기건조대가 낙하하여 낭패를 보는 경우가 빈번하는 등 사용상 불편한 점이 많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20995호(2003.07.10)『주방용 식기건조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1084호(2006.03.03)『주방용 식기건조대』 등이 소개되고 있으나,
상기 종래 기술들은 고정되지 않고 싱크대 상부의 선반 한부면에 얹어 사용함으로 인하여 사용에 따라서는 하중에 의해 식기건조대가 낙하하여 낭패를 보는 경우 등의 사용상 불편한 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이나, 본 고안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식기건조대를 부착형으로 고안하고 나아가 식기를 보관하는 부분을 용이하고 안정된 탈부착방식으로 손쉽게 분리 및 체결할 수 있다는 구성을 제시한 기술들은 아니라 할 것이다.
나아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6166호(2004.10.20)『행거』에서는 본 고안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식기건조대 부분에 한정하여 구성을 제시한 것은 아니지만 식기 건조대를 부착할 수 있는 행거봉과, 행거 고정부재와, 고정판을 제시하여 행거를 설치하기 위하여 벽면이나 싱크대에 처음 고정판을 설치한 후 행거 고정부재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간단하게 조립이 이루어져 편리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6166호에서도 본 고안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용이하고 안정된 탈부착형 방식을 적용하면서 식기건조대에서만 요구되는 기술적인 사항은 개시하고 있지 못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선반 고정용이 아닌 설치가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한 탈부착형 식기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레일부재에 이동판부재의 체결시 안정되게 이동판부재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흔들림이 방지되어 사용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탈부착형 식기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각 부분의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여 제품 세척시 각 부분을 쉽게 분리하여 세척한 후 다시 끼워넣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상 위생적이며, 각 부재간의 체결방식에 있어서도 간편한 방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여 결국 제품의 신뢰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탈부착형 식기 건조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식기 수용부와,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전방으로 절곡 형성된 후 다시 상부로 돌출된 돌부를 형성하는 걸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레일부재와, 상기 걸이부의 돌부가 수용되어 레일부재와 체결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한 이동판부재와, 그리고 상기 레일부재 상판부 저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레일부재로부터 상기 이동판부재의 탈부착시 안정된 탈부착을 유도하고 제한된 탈부착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탈부착유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식기건조대에 있어서 레일부재의 돌부는 이동판부재의 가이드홈 상판과 유연한 체결을 위하여 그 상부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이동판부재의 가이드 홈의 하단에는 레일부재와의 체결시 접촉 면적을 제공하고 체결을 용이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경사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식기 건조대를 설치하기 위하여 우선 레일부재를 벽면 등에 설치한 후 식기 수용부가 구비된 이동판부재를 탈부착유도부를 이용하여 상기 레일부재에 용이하게 일률적을 삽입시켜 체결되는 구성으로 되어 설치가 간편해지고,
세척 등을 위하여 레일부재로부터 이동판부재를 분리시키는 경우에도 탈부착유도부에 의해 형성된 삽입공간 내에서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돌부의 상부면을 곡면으로 형성하여 레일부재에 대한 이동판부재의 체결시 보다 유연하게 체결시킬 수 있고 분리시에도 유연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 대한 안전과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되었으며,
벽면 등에 고정식이 아닌 탈부착 방식을 취하며, 레일부재에 이동판부재를 체결시킨 이후에는 레일부재를 따라 사용자가 사용이 편한 곳으로 이동판부재를 이동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어 그 편리성을 증대시켰다.
또한 레일부재로부터 이동판부재를 분리하여 세척한 후 손쉽게 끼워넣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상 위생적이며, 각 부재간의 체결방식에 있어서도 간편한 방식을 취하여 결국 제품의 신뢰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본 고안에 대한 설명 편의를 위하여 이동판부재(30)를 중심으로 식기를 수용할 수 있는 식기 수용부(10)가 구비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그 반대방향을 후방으로 정하고, 또한 윗쪽을 상부로 아랫쪽을 하부로 방향을 정하여 이에 맞추어 본 고안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식기 건조기는 레일부재(20)와, 이동판부재(30)와, 식기 수용부(10)와, 그리고 상기 식기 수용부와 상기 이동판부재를 결합시키는 연결부재(50)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레일부재(20)는 상판부(21)와, 상기 상판부의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연장부(22)와, 상기 연장부로부터 전방으로 절곡 형성된 걸이부(23)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상기 걸이부(23)에는 후술하는 이동판부재(30)의 가이드홈(31)에 삽입 되는 돌부(25)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돌부(25)는 걸이부가 연장부로부터 전방으로 절곡형성된 끝단에서 다시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이다.
본 고안과 같은 탈부착형 식기 건조대는 통상적으로 싱크대 윗 수납장의 하면에 고정설치되어 사용자의 사용 편의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기에
상기 레일부재의 상판부921)에는 다수 개의 홈(20a)이 형성되고 상기 홈을 통하여 체결수단인 볼트못(a)을 관통시켜 수납장의 하면에 상기 레일부재(20)를 고정시키게 된다.
본 고안의 도면에서는 레일부재 상판부에 다수 개의 홈을 형성하도록 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레일부재의 연장부에 다수 개의 홈을 형성하여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벽면에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수납장 하면에 고정된 레일부재(20)에는 상기 레일부재와 결합되는 후술할 이동판부재(30)와의 체결시 체결공간 내지 삽입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탈부착유도부(40)가 상기 상판부(21) 저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연장부(22)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탈부착유도부(40)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생산 효율을 높이고 이에 대한 제조 단가를 낮추기 위해서는 복잡한 형태보다는 간단한 형태가 바람직하기에 본 고안에서는 직육면체 형태를 취한다.
즉, 상기 탈부착유도부(40)는 이후 이동판부재가 레일부재에 체결되기 위하 여 삽입되는 삽입공간(S)을 형성하게 되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걸이부의 돌부(25)와 탈부착유도부(40)에 의해 형성된 삽입공간(S)으로 이동판부재(30)를 삽입한 후 후방으로 이동판부재를 연장부(22)까지 전진시킨 다음 이동판부재를 놓음으로서 이동판부재(30)의 가이드홈(31)에 돌부(25)를 안착시키게 되고, 이로써 이동판부재가 레일부재에 체결되게 된다.
결국, 상기 탈부착유도부(40)는 이동판부재의 레일부재로의 체결시, 손쉬운 체결작업을 위하여 제한된 공간을 마련해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탈부착유도부(40)는 이동판부재의 레일부재로의 체결만이 아니라 분리시에도 이동판부재의 분리를 위한 제한된 공간을 마련하게 되어 작업자는 안정된 상태로 용이하게 이동판부재(30)를 레일부재(2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가이드홈(31)에 돌부(25)가 삽입되어 있는 이동판부재(30)를 일정 부분 들어올린 후 전방으로 이동시켜 돌부(25)로부터 가이드홈(31)을 이탈시키게 되고, 이동판부재를 레일부재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기 탈부착유도부(40)에 의해 제한된 공간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상기 레일부재로부터 이동판부재의 분리시 사용자의 힘에 의해 이동판부재는 전방으로 심하게 이동될 수 있고, 때에 따라서 사용자가 다치는 안전사고가 일어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탈부착유도부(40)를 상기 돌부(25)로부터 전방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부분에 마렴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는 용이하게 레일부재로부터 이동판부재를 분리 또는 체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한된 탈부착 공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탈부착부재(40)가 돌부(25)로부터 이격된 이격거리(d) 또한 중요할 수 있는데,
도 3을 참조하여, 이동판부재(30)의 가이드 홈(31)으로의 삽입을 위한 이격거리(d)는 가이드홈(31)의 외곽 크기(d1)보다는 당연히 커야 할 것이고, 가이드 홈(31)의 후방부 꼭지점 부분(p)을 상부로 하여 이동판부재를 상기 삽입공간(S)에 삽입하였을 때 필요로 하는 공간크기(d2) 정도라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는 후술하는 이동판부재의 경사부(32)의 구성과 관련이 있다 할 것인데 후술한다.
다음으로 이동판부재(30)를 살펴보면, 이동판부재는 이후 식기들을 수용하기 위한 식기수용부(10)가 체결되는 이동판본체(33)와 레일부재(30)와 체결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는 가이드홈(31)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가이드 홈(31)과 이동판본체(33)는 경사부(32)로 연결되어 있다.
우선, 가이드홈(31)과 관련하여, 이동판부재(30)의 상단부에는 상기 레일부재의 걸이부(23)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돌부(25)가 삽입되기 위한 가이드홈(31)이 형성되어 있는데, 결국 상기 이동판부재의 가이드홈(31)에 벽면 등에 고정된 레일부 재의 돌부(25)가 삽입되면서 이동판부재와 레일부재가 체결된다.
이 때,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레일부재(20)의 돌부 상부면(25a)은 상기 이동판부재의 가이드홈 상판과 밀착을 유도하면서도 체결시 유연하게 체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곡면으로 즉, 만곡되어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레일부재로부터 이동판부재의 분리시에도 유연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함께 겸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이동판부재(30)에서는 그 하단에 후방으로 절곡 형성된 뒷면 돌부(34)를 더 구비하게 되는데, 이는 이동판부재 하부에 더 무게를 두어 무게 중심을 전방으로 쏠리게 하면서 종국적으로는 상부면이 곡면(25a)으로 형성된 돌부(25)에 대한 상기 가이드홈의 밀착이 더욱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은 레일부재(20)에 이동판부재(30)를 체결시키는 상태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체결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것인데, 작업자는 용이한 삽입 및 체결을 위하여 이동판부재 가이드홈(31)의 후방부 꼭지점(p)부분을 상부로 향하도록 하여 이동판부재를 삽입공간(S)으로 삽입시키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은 삽입방식을 위하여 상기 삽입공간(S)의 크기 즉, 돌부(25)로부터 탈부착유도부(40)의 이격거리(d)가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사용자는 이동판부재 가이드홈(31)의 후방부 꼭지점(p)부분이 상부로 향하도록 하면서 삽입하게되는 작업을 보다 안정되고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살기 경사부(32)를 이용하게 되는데,
경사부(32)가 가능한 한 걸이부(23) 저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이동판부재(30)를 삽입공간(S)으로 삽입하게 되면 이동판부재 가이드홈(31)의 후방부 꼭지점(p)부분 또한 자연스럽게 상부로 향하게 되어 레일부재와의 체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경사부(32)는 레일부재와의 체결시 접촉 면적을 제공하고 용이한 체결을 유도하는 기능을 하게된다.
물론, 상기에서 접촉 면적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이는 꼭 경사부(32)의 후면이 걸이부(23)에 저면에 접촉된다는 것에 한정되는 의미가 아니라, 접촉될 수 있을 정도로 가깝게 접근한다는 의미 또한 포함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식기 수용부(10)가 연결부재(50)로 인하여 상기 이동판부재(30)에 체결된다. 상기 연결부재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 형성된 형상으로 가능한 한 식기 수용부의 이동판부재(30)에 대한 안정된 체결을 위하여 식기 수용부(10)의 전방과 이동판부재(30)의 상부면을 이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식기 수용부에는 무게가 나가는 그릇 등 다수가 놓이는 곳이기에 그 무게가 무겁다 할 것인데 식기 수용부 후면 일부만을 브라켓 등으로 이동판부재와 결합시킨다면 상기 식기 수용부와 이동판부재 결합힘이 사용시 그릇 등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여 아래로 무너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30)는 "ㄱ"자 형상과 같이 식기 수용부의 전방 일부와 이동판부재 상부 일면을 연결시켜주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그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양 측면 각각 두 개씩 연결부재를 체결하였다.
물론, 상기 연결부재를 식기 수용부 또는 이동판부재에 결합시키는 방식은 볼트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체결성도 우수하고 체결 작업 시간도 줄일 수 있기에 바람직하다. 즉, 외주면에 나사돌기가 형성된 체결볼트(b)는 이동판부재(30)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재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홈에 체결됨으로서 손쉽게 이들 결합을 완성하게 된다. 즉, 상기 연결부재(50)는 그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식기 건조대는 이동판부재와 결합 고정되는 식기 수용부(10)만이 아니라 탈부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보조 수용부(60)가 더 구비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식기 건조대는 사용시 편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동판부재에 결합된 식기 수용부(10) 하부에 국자, 뒤지게 등을 걸어 둘 수 있는 걸이 고정부(70)와 상기 걸이고정부에 삽입되어 있는 걸이부(75)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걸이고정부가 상기 이동판부재에 체결되는 방식은 상기 이동판부재에 연결부재가 체결되는 방식과 동일하다.
또한 본 고안의 식기 건조대의 레일부재(20)에는 체결수단(a)을 시각적으로 가리기 위한 시각가림부(8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시각가림부(80)는 레일부재의 전방 저면으로 돌출형성시켜 체결수단(a)을 시각적으로 가려줌으로서, 본 고안의 식기건조대 설치 후 시각적으로 수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식기 건조대는 미관 및 위생을 위하여 상기 레일부재를 비롯한 이동판부재, 연결부재, 그리고 걸이고정부 등을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하였으며, 상기 식기 수용부 또는 보조 수용부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성하였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부착형 식기 건조대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레일부재에 이동판부재를 체결시키는 상태의 측면을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레일부재와 이동판부재의 체결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식기수용부 20: 레일부재
21: 상판부 22: 연장부 23: 걸이부 25: 돌부
30: 이동판부재
31: 가이드홈 32: 경사부 33: 이동판본체 34: 뒷면돌부
40: 탈부착유도부 50: 연결부재
60: 보조수용부 70: 걸이고정구 75: 걸이구 80: 시각가림부
S: 삽입공간

Claims (7)

  1. 식기 수용부;
    상판부와, 상기 상판부의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전방으로 절곡 형성된 후 다시 상부로 돌출된 돌부를 형성하는 걸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레일부재;
    상기 걸이부의 돌부가 삽입되어 레일부재가 체결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한 이동판부재; 및
    상기 레일부재 상판부 저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레일부재로부터 상기 이동판부재의 탈부착시 안정된 탈부착을 유도하고 제한된 탈부착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탈부착유도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탈부착형 식기건조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재의 돌부는 상기 이동판부재의 가이드홈 상판과 유연한 체결을 위하여 그 상부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탈부착형 식기건조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부재 하단에는 상기 돌부에 대한 상기 가이드홈의 밀착을 위하여 뒷면돌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탈부착형 식기건조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부재의 가이드 홈의 하단에는 레일부재와의 체결시 접촉 면적을 제공하고 체결을 용이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경사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탈부착형 식기건조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 수용부는 연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이동판부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탈부착형 식기건조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이동판부재와의 용이한 볼트결합을 위하여 그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탈부착형 식기건조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재 전방의 저면에는 체결수단을 시각적으로 가리기 위한 시각가림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탈부착형 식기건조대.
KR2020070016520U 2007-03-14 2007-10-11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탈부착형 식기건조대 KR2004432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520U KR200443211Y1 (ko) 2007-03-14 2007-10-11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탈부착형 식기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227 2007-03-14
KR2020070016520U KR200443211Y1 (ko) 2007-03-14 2007-10-11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탈부착형 식기건조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378U KR20080003378U (ko) 2008-08-19
KR200443211Y1 true KR200443211Y1 (ko) 2009-01-22

Family

ID=41345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6520U KR200443211Y1 (ko) 2007-03-14 2007-10-11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탈부착형 식기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21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378U (ko) 2008-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80258S1 (en) Hang rod mounting bracket
KR101475010B1 (ko) 세면대 설치 겸용 선반유닛
KR101900608B1 (ko) 조립식 주방용 식기 건조대
KR200443211Y1 (ko)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탈부착형 식기건조대
US6938283B1 (en) Sink and faucet support assembly
KR200417342Y1 (ko) 욕실용 코너선반
KR200490031Y1 (ko) 욕실용 다용도 거치대
KR101629629B1 (ko) 주방용 선반
KR200453863Y1 (ko) 남아용 소변기
KR102036017B1 (ko) 싱크대의 걸레받이 서랍
KR20190049150A (ko) 주방용 선반
KR101506879B1 (ko) 2단 옷걸이 봉 고정대
CN215605243U (zh) 一种带挂钩把手的新型水槽用沥水架组件
KR200443182Y1 (ko) 주방용 선반
CN211703996U (zh) 碗篮结构
KR20190103546A (ko) 선반형 주방용품 걸이대
USD578188S1 (en) Wall hung bathroom sink support
KR200377376Y1 (ko) 주방용 선반
KR20110011401U (ko) 자성체를 이용한 탈부착식 걸이구
KR20100000963U (ko) 수납 선반용 지지구
JP6252726B2 (ja) 握りバー
CN218528588U (zh) 一种置物日用品用快装固定结构
CN219397072U (zh) 一种厨具收纳系统
JP7066532B2 (ja) 浴室用カウンターの取付け構造
CN211066315U (zh) 一种厨房用的悬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