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109Y1 -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109Y1
KR200443109Y1 KR2020070010409U KR20070010409U KR200443109Y1 KR 200443109 Y1 KR200443109 Y1 KR 200443109Y1 KR 2020070010409 U KR2020070010409 U KR 2020070010409U KR 20070010409 U KR20070010409 U KR 20070010409U KR 200443109 Y1 KR200443109 Y1 KR 2004431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electric pressure
pressure cooker
cup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4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6626U (ko
Inventor
이창룡
방호상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04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109Y1/ko
Publication of KR200800066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6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1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1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opening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증기이송관, 차단판 및 감압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고온고압의 증기배출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고, 증기의 배출로 인한 화상의 위험성을 예방함은 물론이거니와, 구성부품의 개별 분리가 가능함으로써 세척 및 보관이 용이한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는 양단이 개구되고, 일단이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에 연결되는 증기이송관; 내부공간에 물을 수용하여 상기 증기이송관를 통하여 배출되는 증기를 응축시키며, 상부 소정의 위치에 단턱이 형성된 수용컵; 상기 수용컵의 상부에 결합되되, 하단부가 상기 수용컵의 단턱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증기이송관이 통과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안내홀이 형성된 컵뚜껑; 상기 수용컵의 단턱에 안착되며, 상기 증기이송관과 연통되어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형성되어 상단에 상기 증기이송관이 연결되는 연통부를 가지는 차단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압력밥솥, 증기응축, 화상, 세척용이

Description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Steam condensing apparatus for electric pressure rice cooker}
도 1은 일반적인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가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증기이송관 20 : 수용컵
22 : 단턱 30 : 컵뚜껑
31 : 안내홀 40 : 차단판
42 : 연통부 50 : 감압부재
52 : 확관부 53 : 감압홀
본 고안은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증기이송관, 차단판 및 감압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고온고압의 증기배출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고, 증기의 배출로 인한 화상의 위험성을 예방함은 물론이거니와, 구성부품의 개별 분리가 가능함으로써 세척 및 보관이 용이한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증기를 실내공기 중으로 방출시키지않고, 감압 및 액화시킴으로써 증기의 방출로 인한 벽지, 주방가구 등의 변색, 손상 및 곰팡이의 서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압력밥솥은 쌀 등의 음식물을 내솥에 수용하고, 상기 내솥 내부를 가열하여 고온 고압의 상태로 만들어 음식물을 조리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전기압력밥솥은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면, 상기 내솥 내부에서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된 고온 고압의 증기를 뚜껑의 일측에 구비된 증기배출구를 통하여 배출한다.
이때, 상기 증기배출구의 일단에는 전자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전자밸브에 의해 상기 증기배출구가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음식물의 조리시 발생된 고온 고압의 증기를 배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 뚜껑의 일측에 구비된 증기배출구에는 증기배출캡이 결합되어 상기 내솥 내부의 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때, 광범위하게 확산되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증기는 고온 고압의 증기로 외부로 방출될 때,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으며, 더욱이 고온고압의 증기가 대기 중으로 직접방출되므로 이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며, 방출되는 증기가 벽지 및 주방가구와 접촉되어 벽지의 변색, 주방가구의 손상을 초래하며, 벽지 및 주방가구에 곰팡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증기로 인한 소음발생 및 화상의 우려를 방지하고, 벽지 및 주방가구의 변색 및 손상을 방지하며, 아울러 벽지 및 주방가구 등에 곰팡이가 서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고온고압의 증기를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한 증기응축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기압력밥솥(100)은 본체(120) 및 상기 본체(120)의 상단에 연결되어 회동됨에 따라서 상기 본체(120) 내부를 개폐하는 뚜껑(1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20)의 내측에는 음식물이 수용되도록 그 상면이 개방된 용기의 형상으로 형성된 내솥(16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뚜껑(110)의 상부 소정의 위치에는 상기 본체(120)의 내솥(160)에 수용된 음식물에 대한 취사가 완료되기까지 발생한 증기를 배출시키는 증기배출구(130)이 구비되며, 상기 증기배출구(130) 일단에는 배출되는 증기가 광범위하게 확산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홀(141)이 형성된 증기배출캡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뚜껑(110)의 증기배출구(130) 타단에는 상기 전기압력밥솥(100) 의 취사가 완료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증기배출구(130)를 개폐시키는 전자밸브(150)가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압력밥솥(100)은 상기 내솥(160)에 수용된 음식물이 제어부(미도시)에 기설정된 취사프로그램에 따라 취사가 완료되면, 취사시에 발생한 고온고압의 증기가 상기 전자밸브(15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증기배출구(130)를 경유하여 상기 증기조절캡(140)의 배출홀(14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취사완료시 배출되는 고온고압의 증기가 대기 중으로 직접 방출됨으로써 소음이 발생하며, 고온고압의 증기방출로 인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는 위험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취사완료시 배출되는 고온고압의 증기가 대기 중으로 직접 방출됨으로써 방출되는 증기가 주방의 벽지나 주방가구 등에 접촉되어 벽지 및 주방가구의 변색, 손상 및 곰팡이 발생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증기이송관, 차단판 및 감압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고온고압의 증기배출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고, 증기의 배출로 인한 화상의 위험성을 예방함은 물론이거니와, 구성부품의 개별 분리가 가능함으로써 세척 및 보관이 용이한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증기를 실내공기 중으로 방출시키지않고, 감압 및 액화시킴으로써 증기의 방출로 인한 벽지, 주방가구 등의 변색, 손상 및 곰팡이의 서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는 양단이 개구되고, 일단이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에 연결되는 증기이송관; 내부공간에 물을 수용하여 상기 증기이송관를 통하여 배출되는 증기를 응축시키며, 상부 소정의 위치에 단턱이 형성된 수용컵; 상기 수용컵의 상부에 결합되되, 하단부가 상기 수용컵의 단턱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증기이송관이 통과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안내홀이 형성된 컵뚜껑; 상기 수용컵의 단턱에 안착되며, 상기 증기이송관과 연통되어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형성되어 상단에 상기 증기이송관이 연결되는 연통부를 가지는 차단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차단판의 연통부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연통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증기의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확관부를 가지는 감압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감압부재는 상기 연통부를 통하여 배출된 증기가 진공상태로 변화된 상기 증기이송관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확관부 소정의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압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압부재는 상기 연통부를 통하여 배출된 증기가 진공상태로 변화된 상기 증기이송관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확관부의 상부에 구비된 연결부의 일단에 체크밸브가 구비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감압부재는 상기 차단판의 연통부 하단에 연결되되, 사출성형에 의하여 상기 차단판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증기이송관의 타단부에 상기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증기가 역류하지않도록 체크밸브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를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는 증기이송관(10), 수용컵(20), 컵뚜껑(30), 그리고 차단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증기이송관(10)은 내측에 증기가 이송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양단이 개구되고, 일단이 전기압력밥솥의 뚜껑(110)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증기배출구(130)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도 4 참조)
또한, 상기 수용컵(20)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내부공간이 좁아지는 통상의 컵 타입으로 구비되어, 상기 증기이송관(10)을 통하여 배출되는 증기를 응축 시킬 수 있도록 내부공간에 소정의 높이만큼 물을 수용하며, 상부 소정의 위치에 단턱(2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상기 단턱(22)이 없이 하부로 갈수록 내부공간이 좁아지는 컵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수용컵(20)은 상부 및 하부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컵(미도시)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상부 소정의 위치에 상기 차단판(4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컵의 중앙 측으로 돌출된 단턱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원통형의 컵(미도시) 내경을 상기 차단판(4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기 차단판(40)이 원통형의 컵(미도시) 상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소정의 깊이까지 끼워 넣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컵뚜껑(30)은 상기 수용컵(20)의 상부에 결합되며, 하단부가 상기 수용컵(20)의 단턱(22)으로부터 소정의 거리(d)만큼 이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더욱이 중앙부에 상기 증기이송관(10)이 통과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홀(3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단판(40)은 상기 수용컵(20)의 단턱(22)에 안착되며, 상기 증기이송관(10)과 연통되어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형성되어 상단에 상기 증기이송관(10)이 연결되는 연통부(4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차단판(40)은 전체적인 형상이 상기 수용컵(20)의 내부공간에 대응되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턱(22)에 안착되는 외주 부분이 하측으로 절곡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나 절곡되지 않은 원판형상으로만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차단판(40)이 상기 수용컵(20)의 내부공간에 대응되어 소정의 지 름을 갖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수용컵(20)의 단턱(22)에 안착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수용컵(20)이 단턱(22)이 없이 하부로 갈수로 내부공간이 좁아지는 컵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상기 수용컵(20)의 경사면에 안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단판(40)의 연통부(42) 하단에는 상기 연통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증기의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확관부(52)를 가지는 감압부재(50)가 연결됨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감압부재(50)의 확관부(52) 상단에는 상기 연통부(42)와 연결되는 연결부(5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감압부재(50)와 상기 차단판(40)의 연통부(42)가 긴밀하게 내통될 수 있도록 상기 감압부재(50)의 연결부(51)가 상기 연통부(42) 하단에 연결되되, 상기 연통부(42)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상기 연통부(42) 내측으로 단턱지게 형성되어, 이와 같은 단턱지게 형성된 부분이 상기 연결부(51)의 중앙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연결된다.
한편, 상기 차단판(40)의 연통부(42)와 상기 감압부재(50)의 연결부(5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호 억지끼움 방식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나, 억지끼움 후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결합부에 고무링을 부가하여 2차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차단판(40)의 연통부(42)나 상기 감압부재(50)의 연결부(51)에 나사산(미도시) 및 나사홈(미도시)을 각각 대응되도록 가공하여 체결할 수 있으며, 상기 차단판(40)의 연통부(42)나 상기 감압부재(50)의 연결부(51) 중 어느 일측에 나사산(미도시) 가공하고, 별도의 너트(미도시)를 사용하여 체결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감압부재(50)는 상기 차단판(40)의 연통부(42) 하단에 연결되되, 사출성형에 의하여 상기 차단판(4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감압부재(50)는 상기 증기이송관(10) 및 상기 차단판(40)의 연통부(42)를 통하여 배출된 증기가 상기 수용컵(20) 내부공간에 수용된 물과 접촉하여 액화가 완료된 증기의 수분이 진공상태로 변화된 상기 증기이송관(10)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확관부(52) 소정의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압홀(5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압부재(50)는 상기 감압홀(53) 대신에 상기 증기이송관(10) 및 상기 차단판(40)의 연통부(42)를 통하여 배출된 증기가 상기 수용컵(20) 내부공간에 수용된 물과 접촉하여 액화가 완료된 증기의 수분이 진공상태로 변화된 상기 증기이송관(10)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확관부(52)의 상부에 구비된 연결부(51)의 일단에 체크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감압홀(53) 및 상기 감압부재(50)의 연결부(51) 일단에 구비되는 체크밸브(미도시) 대신에 상기 증기이송관(10)의 타단부에 체크밸브(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증기이송관(10) 및 상기 차단판(40)의 연통부(42)를 통하여 배출된 증기가 상기 수용컵(20) 내부공간에 수용된 물과 접촉하여 액화가 완료된 증기의 수분이 진공상태로 변화된 상기 증기이송관(10)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증기이송관(10)에 구비되는 체크밸브(미도시)는 상기 차단판(40)의 연통부(42)와 연결되는 상기 증기이송관(10)의 타단에 구비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증기이송관(10)의 중간 부분에 구비될 수 있으며, 더욱이 상기 증기배출구(130)와 연결되는 상기 증기이송관(10)의 일단에 구비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증기이송관(10) 및 감압부재(50)를 구비함으로써 고온고압의 증기배출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더욱이 종래의 직접 실내공기 중으로 배출되는 증기로 인한 화상의 위험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증기응축장치가 증기이송관(10), 차단판(40) 및 감압부재(50) 등이 상호 결합되어 구비됨으로써 구성부품의 개별 분리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증기응축장치의 세척 및 보관이 용이하다.
더욱이,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130)로부터 배출되는 증기를 실내공기 중으로 방출시키지않고 감압 및 액화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증기의 방출로 인한 벽지, 주방가구 등의 변색, 손상 및 곰팡이의 서식을 방지할 수 있다.(도 4 참조)
한편, 상기 수용컵(20)의 단턱(22)으로부터 상기 컵뚜껑(30)의 하단에 이르기까지 소정의 거리(d)만큼 이격됨으로써 상기 증기이송관(10)을 통하여 과도한 증기가 유입될 경우, 상기 감압부재(50)가 연결된 차단판(40)이 부상하면서 내부의 압력을 적당한 압력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차단판(40)은 상기 감압부재(50) 내부의 압력을 적당한 압력으로 유지시켜주는 압력조절장치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가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용컵(20)의 내부공간에 물을 수용시키되, 차단판(40)의 하부에 연결되는 감압부재(50)의 하단이 잠길 수 있을 정도의 양으로 물을 수용시킨다.
이후, 상기 수용컵(20)의 상부에 형성된 단턱(22)에 상기 감압부재(50)가 연결된 차단판(40)을 안착시키며, 중앙부에 상기 증기이송관(10)이 통과될 수 있도록 안내홀(31)이 형성된 컵뚜껑(30)을 상기 수용컵(20)의 상단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전기압력밥솥의 뚜껑(110) 소정의 위치에 구비되어 전자밸브(150)에 의해 선택적으로 취사시 발생한 고온고압의 증기를 배출하는 증기배출구(130)에 증기이송관(10)의 일단을 연결한다.
이후, 상기 증기이송관(10)의 타단을 상기 차단판(40)의 연통부(42) 상단에 연결하며, 이때 상기 증기이송관(10)의 타단은 상기 차단판(40)의 연통부(42) 상단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며, 억지끼움 후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결합부에 고무링을 부가하여 2차적으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증기이송관(10)의 타단에 통상의 호스나 관 등을 스프레이 건 등과 연결할 때 사용되는 커플링(coupling, 미도시)을 더 구비하여 상기 연통부(42) 상단에 연결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커플링(coupling, 미도시)은 내측에 탄성스프링(미도시)이 내재되고, 상기 탄성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축방향으로 탄발지지되는 고정볼(미도시)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고정볼에 의해 상기 증기이송관(10)이 상기 연통부(42)에 견고히 결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이때 상기 커플링에 의해 상기 증기이송관(10)이 상기 연통부(42)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연통부(42) 외주면에는 상기 커플링의 내측에 내재된 탄성스프링에 의해 탄발지지되는 고정볼에 대응되는 고정홈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를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130)와 연결하여 설치하여 사용되며, 이와 같이 설치된 증기응축장치의 작용상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전기압력밥솥에서 취사가 완료된 후, 내부에 발생한 고온고압의 증기를 상기 증기배출구(130)를 통하여 배출하게 되면, 상기 증기배출구(130)로부터 배출되는 증기가 상기 증기배출구(130)와 연결된 상기 증기이송관(10)을 지나면서 외부와의 온도차로 인해 일부가 액화된다.
이후, 액화되지 않은 증기가 상기 차단판(40)의 연통부(42)를 거쳐 상기 감압부재(50)의 확관부(52)로 진입하면서 증기의 일부가 액화되고, 유입되는 증기의 감압이 가속화되며, 그리고 상기 수용컵(20)에 수용된 물과 접촉하면서 급속히 액화된다.
이때, 상기 증기배출구(130)를 통하여 배출되는 증기는 고온고압의 증기로 배출 초기에는 과도한 압력의 증기가 배출될 경우, 상기 감압부재(50)가 연결된 상기 차단판(40)이 상기 수용컵(20)의 단턱(22)로부터 상기 컵뚜껑(30)의 하단부에 이르기까지 소정의 거리(d)만큼 이격되어 구비됨으로써 감압부재(50)가 연결된 상기 차단판(40)이 상기 소정의 거리(d)만큼 부상하면서 내부의 압력을 적당한 압력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확관부(52) 소정의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압홀(53)이 형성됨으로써 배출된 증기가 상기 감압부재(50)의 확관부(52)로 유입되면서 액화가 완료된 증기의 수분이 진공상태로 변화된 상기 증기이송관(10)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는 증기배출구(130)로부터 배출되는 증기가 외부로 직접 방출되지 않고, 증기이송관(10)를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증기배출시 발생하던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는 우려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증기응축장치가 증기이송관(10), 차단판(40) 및 감압부재(50) 등이 상호 결합되어 구비됨으로써 구성부품의 개별 분리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증기응축장치의 세척 및 보관이 용이하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증기이송관, 차단판 및 감압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고온고압의 증기배출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고, 증기의 배출로 인한 화상의 위험성을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둘째, 증기응축장치가 증기이송관, 차단판 및 감압부재 등이 상호 결합되어 구비됨으로써 구성부품의 개별 분리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증기응축장치의 세척 및 보관이 용이하다.
셋째, 증기이송관, 차단판 및 감압부재 등을 구비함으로써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증기를 실내공기 중으로 방출시키지않고, 감압 및 액화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증기의 방출로 인한 벽지, 주방가구 등의 변색, 손상 및 곰팡이의 서식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양단이 개구되고, 일단이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에 연결되는 증기이송관;
    내부공간에 물을 수용하여 상기 증기이송관를 통하여 배출되는 증기를 응축시키며, 상부 소정의 위치에 단턱이 형성된 수용컵;
    상기 수용컵의 상부에 결합되되, 하단부가 상기 수용컵의 단턱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증기이송관이 통과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안내홀이 형성된 컵뚜껑;
    상기 수용컵의 단턱에 안착되며, 상기 증기이송관과 연통되어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형성되어 상단에 상기 증기이송관이 연결되는 연통부를 가지는 차단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의 연통부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연통부를 통하여 유입되는 증기의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된 확관부를 가지는 감압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부재는 상기 연통부를 통하여 배출된 증기가 진공상태로 변화된 상기 증기이송관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확관부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압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부재는 상기 연통부를 통하여 배출된 증기가 진공상태로 변화된 상기 증기이송관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확관부 상부에 구비된 연결부 일단에 체크밸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부재는 상기 차단판의 연통부 하단에 연결되되, 사출성형에 의하여 상기 차단판과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이송관의 타단부에 상기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증기가 역류하지않도록 체크밸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
KR2020070010409U 2007-06-25 2007-06-25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 KR2004431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409U KR200443109Y1 (ko) 2007-06-25 2007-06-25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409U KR200443109Y1 (ko) 2007-06-25 2007-06-25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626U KR20080006626U (ko) 2008-12-31
KR200443109Y1 true KR200443109Y1 (ko) 2009-01-13

Family

ID=44480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409U KR200443109Y1 (ko) 2007-06-25 2007-06-25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1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67641A1 (de) * 2011-09-12 2013-03-13 MKN Maschinenfabrik Kurt Neubauer GmbH & Co. Druckgargerät mit Rohrleitung für entweichenden Dampf und Wassereinspritzu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5497B1 (ko) * 2014-11-06 2016-01-25 쿠쿠전자주식회사 증기응축장치의 증기배출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67641A1 (de) * 2011-09-12 2013-03-13 MKN Maschinenfabrik Kurt Neubauer GmbH & Co. Druckgargerät mit Rohrleitung für entweichenden Dampf und Wassereinspritz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626U (ko)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24157A (en) Conjointly operated coupling and vent valve
KR20030044585A (ko) 이중냄비의 에어포켓 내부 압력조절장치
KR200443109Y1 (ko) 전기압력밥솥용 증기응축장치
KR100542335B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증기배출장치
EP3123088A1 (en) Check valve assembly with improved safety for use in a water dispenser and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the same
US6755213B1 (en) Timing switch for gas stove
JP5187332B2 (ja) 電動加圧注出式液体容器
JP4001603B2 (ja) 開くときの安全システムを具備する圧力下で調理するための家庭用器具
US20030033687A1 (en) Steam output control structure for steam cleaner
KR101948730B1 (ko) 정수기
CN108700232B (zh) 具有推入配合式流体耦合器的家用电器系统
CN218304520U (zh) 盖体组件和液体加热容器
KR100933680B1 (ko) 압력밥솥용 증기응축기
KR100473769B1 (ko) 압력솥 일체형 레버밸브
KR100756363B1 (ko) 온수통
CN211408661U (zh) 一种内泄压防倾倒电水壶壶盖
CN211066219U (zh) 一种多蒸室烹饪器皿、蒸制器具、及蒸箱
CN110432781B (zh) 一种多蒸室烹饪器皿及带有该器皿的蒸箱
KR102003378B1 (ko) 압력밥솥의 증기 배출 장치
KR101738479B1 (ko) 서모스탯을 구비한 조리용기의 뚜껑
KR20170116294A (ko) 스팀캡
US20060157664A1 (en) Safety valve having swivel connector
KR101108079B1 (ko) 진공 유지 및 해지 장치를 구비한 마개
KR101857886B1 (ko) 스팀 조리용기
KR200373883Y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증기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