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990Y1 - 화재감지기 - Google Patents

화재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990Y1
KR200442990Y1 KR20070004226U KR20070004226U KR200442990Y1 KR 200442990 Y1 KR200442990 Y1 KR 200442990Y1 KR 20070004226 U KR20070004226 U KR 20070004226U KR 20070004226 U KR20070004226 U KR 20070004226U KR 200442990 Y1 KR200442990 Y1 KR 2004429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attery
upper case
smoke
da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042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3964U (ko
Inventor
이진호
Original Assignee
화성방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성방재(주) filed Critical 화성방재(주)
Priority to KR200700042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990Y1/ko
Publication of KR200800039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9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9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1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n ionisation chamber for detecting smoke or gas
    • G08B17/11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2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 G08B29/14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checking the detection circuits
    • G08B29/145Checking intermittently signalling or alarm systems checking the detection circuits of fire detection circui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re Alarm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요홈 형태의 내부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공간을 둘러싸도록 상기 하부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케이스를 갖는 케이스와, 연기유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케이스를 둘러싸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캡과, 감지회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피시비와, 요홈 형태의 암실바디부와 연기통과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실바디부와 협조하여 암실을 형성하도록 상기 암실바디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실커버를 가지고 상기 암실바디부가 상기 상부케이스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암실부와, 상기 감지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기유입공과 상기 연기통과공을 통해 상기 암실의 내부에 진입하는 연기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암실에 설치되는 연기감지센서를 갖는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암실바디부는 상기 상부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구조와 조립작업이 간단해진다.
화재, 감지기, 상부케이스, 암실바디부, 연기감지센서

Description

화재감지기{Fire Sensing Device}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기의 분해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상부케이스의 저면도,
도3 및 도4는 각각 도1에 도시된 상부케이스를 하부케이스에 결합하는 방법으로 도시한 도면,
도5는 도1에 도시된 캡의 저면도,
도6 및 도7은 각각 도1에 도시된 배터리베이스에 배터리를 삽입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8 및 도9는 각각 상부케이스를 하부케이스에 결합할 때 회전저지턱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10은 종래의 화재감지기의 분해사시도,
도11은 도10에 도시된 상부케이스의 저면도,
도12 및 도13은 각각 도10에 도시된 상부케이스를 하부케이스에 결합하는 방법으로 도시한 도면,
도14는 도10에 도시된 캡의 저면도,
도15 및 도16은 각각 도10에 도시된 배터리베이스에 배터리를 삽입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10 : 케이스 11, 111 : 하부케이스
20, 120 : 상부케이스 21, 121 : 상판부
22, 122 : 스커트부 23, 123 : 상부걸림리브
30, 130 : 캡 40, 140 : 배터리베이스
50, 150 : 암실부 51, 151 : 암실바디부
52, 152 : 암실커버 63, 163 : 연기감지센서
본 고안은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기를 검출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건물 천장, 벽체 등에는 화재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자체로 경보를 발생시키거나 상위의 화재경보장치에 화재발생사실을 알려주는 화재감지기가 설치되고, 이들 화재감지기의 하나로 연기입자를 검출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광전식 화재감지기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0은 종래의 화재감지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11은 도10에 도시된 상부케이스의 저면도이며, 도12 및 도13은 각각 도10에 도시된 상부케이스를 하부케이스에 결합하는 방법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14는 도10에 도시된 캡의 저면도이며, 도15 및 도16은 각각 도10에 도시된 배터리베이스에 배터리를 삽입하는 방법을 도 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화재감지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홈 형태의 내부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하부케이스(111)와 하부케이스(1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케이스(120)를 갖는 케이스(110)와, 상부케이스(120)에 결합되는 캡(130)과, 상호 대향하는 배터리가압면(141a)과 탄성가압편(141c)을 구비한 배터리수납실(141)이 형성되어 있고 탄성가압편(141c)이 하부케이스(111)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상부케이스(1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베이스(140)와, 상부케이스(12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암실바디부(151)를 갖는 암실부(150)와, 배터리베이스(140)에 장착된 피시비(161)와, 암실부(150)에 설치되는 연기감지센서(163)를 갖고 있다.
하부케이스(111)는 측벽 내표면 상측 영역에는 하나의 하부기준걸림리브(111b)와 한 쌍이 조를 이루는 3조의 하부보조걸림리브(111c)가 둘레방향을 따라 분산 형성되어 있다.
상부케이스(120)는 원형의 상판부(121)와, 상판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스커트부(122)와, 스커트부(122)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상부걸림리브(123)를 갖고 있다.
상판부(121)는 중앙에 암실장착개구(121c)가 형성되어 있고, 암실장착개구(121c)의 연부에는 유동방지홈(121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판부(121)는 연부에 케이스걸림돌기(121a)가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는 한 쌍의 케이스나사기둥부(121b)가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 되어 있다.
스커트부(122)는 외표면에 한 쌍의 회전제한턱(122a)이 후술하는 기준걸림리브삽입홈(123a)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부걸림리브(123)에는 하부기준걸림리브(111b)에 형상 맞춤되는 기준걸림리브삽입홈(123a)과 하부보조걸림리브(111c)에 형상 맞춤되는 보조걸림리브삽입홈(123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걸림리브(123)에는 케이스걸림돌기(121a)에 대항하는 영역에 안내홈(123c)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부케이스(120)를 하부케이스(111)에 결합하고 분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케이스(120)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하부케이스(111)에 결합된다.
먼저 회전제한턱(122a)에 기초하여 기준걸림리브삽입홈(123a)의 위치를 확인한 다음, 기준걸림리브삽입홈(123a)에 하부기준걸림리브(111b)가 삽입되고 보조걸림리브삽입홈(123b)에 하부보조걸림리브(111c)가 삽입되도록 한다.
다음에 하부기준걸림리브(111b)가 기준걸림리브삽입홈(123a)을 벗어나고 하부보조걸림리브(111c)가 보조걸림리브삽입홈(123b)을 벗어나도록 상부케이스(120)를 하부케이스(111)에 대하여 회전시킨다. 이 때 상부케이스(120)의 회전동작은 회전제한턱(122a)에 의해 회전이 제한될 때까지 실시된다.
이에 따라 하부기준걸림리브(111b)와 상부걸림리브(123)의 걸림작용 및 하부보조걸림리브(111c)와 상부걸림리브(123)의 걸림작용에 의해 상부케이스(120)는 하 부케이스(111)에 결합된다.
한편 상부케이스(120)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하부케이스(111)로부터 분리된다.
하부기준걸림리브(111b)가 기준걸림리브삽입홈(123a)에 일치되도록 배치되고 하부보조걸림리브(111c)가 보조걸림리브삽입홈(123b)에 일치되도록 상부케이스(120)를 하부케이스(111)에 대하여 결합시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상부케이스(120)의 회전동작은 회전제한턱(122a)에 의해 회전이 제한될 때까지 실시된다.
다음에 상부케이스(120)를 하부케이스(111)로부터 이탈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20)는 회전조작을 통해 하부케이스(1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캡(130)은 연기유입공(131)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내표면에는 4개의 캡고정기둥(132)이 케이스걸림돌기(121a)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캡고정기둥(132)은 종단에 내측을 향해 캡걸림턱(13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캡(130)은 연기유입공(131)의 하측영역에 캡고정기둥(132)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확인공(13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캡(130)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상부케이스(120)에 결합된다.
먼저 위치확인공(133)에 기초하여 각 캡고정기둥(132)을 각 케이스걸림돌기(121a)에 일치시킨다.
다음에 각 캡걸림턱(132a)이 각 케이스걸림돌기(121a)와 걸림작용을 하도록 캡(130)을 상부케이스(120)를 향해 가압한다.
배터리베이스(140)는 배터리수납실(141)에 더하여 배터리수납실(141)에 대하여 반대방향의 수납개구를 갖는 피시비수납실(142)이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수납실(141)은 배터리가압면(141a)과 탄성가압편(141c)에 더하여 배터리가압면(141a)의 일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배터리지지면(141b)으로 둘러싸여 형성된다.
탄성가압편(141c)은 배터리가압면(141a)과의 사이공간에 삽입되는 배터리(1202)를 배터리가압면(141a)을 향해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즉, 배터리수납실의 바닥면으로부터 배터리가압면을 향해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탄성가압편(141c)은 종단에 이탈방지턱(141d)이 배터리가압면(141a)을 향해 절곡 형성되어 있다.
피시비수납실(142)은 요홈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터리베이스(140)에는 한 쌍의 베이스나사기둥부(143)가 케이스나사기둥부(121b)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배터리베이스(140)는 탄성가압편(141c)이 하부케이스(111)의 바닥면을 향하는 자세로 베이스나사기둥부(143)와 케이스나사기둥부(121b)에 나사를 삽입하여 조임으로써 상부케이스(1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피시비수납실(142)의 삽입개구는 암실부(150)를 향해 개방되게 된다.
암실부(150)는 암실바디부(151)에 더하여 암실바디부(151)와 협조하여 암실(153)을 형성하는 암실커버(152)를 갖고 있다.
암실바디부(151)는 요홈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다수의 연기안내판과 연기감지센서(163)의 설치를 위한 센서구조물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실바디부(151)는 외표면에 유동방지돌부(151d)가 유동방지홈(121d)에 대응하도록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암실바디부(151)는 유동방지돌부(151d)가 유동방지홈(121d)에 끼워진 상태로 암실장착개구(121c)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암실바디부(151)가 암실장착개구(121c)에 장착됨으로써 암실바디부(151)는 상부케이스(120)에 지지되게 된다.
그리고 암실바디부(151)는 외표면에 한 쌍의 바디걸림돌기(151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암실커버(152)는 상면에 연기통과공(152a)이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커버걸림고리(152b)가 바디걸림돌기(151a)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커버걸림고리(152b)에는 커버걸림홈(152c)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암실커버(152)는 커버걸림홈(152c)과 바디걸림돌기(151a)가 걸림작용을 하도록 암실커버(152)를 암실바디부(151)에 대하여 가압함으로써 암실바디부(15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피시비(161)는 피시비수납실(142)에 수납된다.
그리고 피시비(161)에는 연기감지센서(163)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부저를 케이스(110)에 설치할 수 있으며 부저가 설치된 경우 피시비(161)에는 부저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도 형성된다.
연기감지센서(163)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연기감지센서(163)는 감지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부케이스(111)를 천장 등 설치영역에 부착한다.
다음에 배터리베이스(140)를 상부케이스(120)에 결합한다.
다음에 배터리베이스(140)가 결합된 상부케이스(120)를 하부케이스(111)에 결합한다.
다음에 암실바디부(151)를 암실장착개구(121c)를 통해 상부케이스(120)에 장착한다.
다음에 암실커버(152)를 암실바디부(151)에 결합한다.
마지막으로 캡(130)을 상부케이스(120)에 결합한다.
전술한 설치방법에서 연기감지센서(163), 감지회로, 배터리(202)에 대한 배선작업은 널리 알려진 그대로 실시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런데 종래의 화재감지기에 따르면, 암실바디부(151)를 별도로 상부케이스(120)에 장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구조(암실바디부와 상부케이스사이의 결합구조가 필요함)와 조립작업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배터리(202)의 미장착상태를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배터리의 미장착상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화재감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요홈 형태의 내부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공간을 둘러싸도록 상기 하부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케이스를 갖는 케이스와, 연기유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케이스를 둘러싸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캡과, 감지회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피시비와, 요홈 형태의 암실바디부와 연기통과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실바디부와 협조하여 암실을 형성하도록 상기 암실바디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실커버를 가지고 상기 암실바디부가 상기 상부케이스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암실부와, 상기 감지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기유입공과 상기 연기통과공을 통해 상기 암실의 내부에 진입하는 연기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암실에 설치되는 연기감지센서를 갖는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배터리가압면과 상기 배터리가압면에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가압면과의 사이공간에 삽입되는 배터리를 상기 배터리가압면을 향해 가압하는 탄성가압편을 구비한 배터리수납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가압편이 상기 하부케이스의 바닥면을 향하는 자세로 상기 상부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케이스는 회전조작을 통해 상기 하부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바닥면에는 상기 배터리수납실에 배터리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케이스를 회전 조작할 때 상기 탄성가압편이 이동하는 경로로부터 벗어난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수납실에 배터리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상부케이스를 회전 조작할 때 상기 탄성가압편이 이동하는 경로에 배치되도록 회전저지턱이 형성된 화재감지기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상부케이스의 저면도이며, 도3 및 도4는 각각 도1에 도시된 상부케이스를 하부케이스에 결합하는 방법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5는 도1에 도시된 캡의 저면도이며, 도6 및 도7은 각각 도1에 도시된 배터리베이스에 배터리를 삽입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8 및 도9는 각각 상부케이스를 하부케이스에 결합할 때 회전저지턱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홈 형태의 내부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하부케이스(11)와 하부케이스(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케이스(20)를 갖는 케이스(10)와, 상부케이스(20)에 결합되는 캡(30)과, 상호 대향하는 배터리가압면(41a)과 탄성가압편(41c)을 구비한 배터리수납실(41)이 형성되어 있고 탄성가압편(41c)이 하부케이스(11)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상부케이스(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베이스(40)와, 상부케이스(20)에 일체로 형성된 암실바디부(51)를 갖는 암실부(50)와, 배터리베이스(40)에 장착된 피시비(61)와, 암실부(50)에 설치되는 연기감지센서(63)를 갖고 있다.
하부케이스(11)는 측벽 내표면 상측 영역에는 하나의 하부기준걸림리브(11b)와 한 쌍이 조를 이루는 3조의 하부보조걸림리브(11c)가 둘레방향을 따라 분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케이스(11)는 바닥면에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도록 회전저지턱(11a)이 형성되어 있다.
즉, 회전저지턱(11a)은 배터리수납실(41)에 배터리(202)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부케이스(20)를 회전 조작할 때 후술하는 탄성가압편(41c)이 이동하는 경로로부터 벗어난 영역에 배치되고, 배터리수납실(41)에 배터리(202)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부케이스(20)를 회전 조작할 때 탄성가압편(41c)이 이동하는 경로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상부케이스(20)는 원형의 상판부(21)와, 상판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스커트부(22)와, 스커트부(22)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상부걸림리브(23)를 갖고 있다.
상판부(21)는 연부에 케이스걸림돌기(21a)가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는 한 쌍의 케이스나사기둥부(21b)가 판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다.
스커트부(22)는 외표면에 한 쌍의 회전제한턱(22a)이 후술하는 기준걸림리브삽입홈(23a)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부걸림리브(23)에는 하부기준걸림리브(11b)에 형상 맞춤되는 기준걸림리브 삽입홈(23a)과 하부보조걸림리브(11c)에 형상 맞춤되는 보조걸림리브삽입홈(23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걸림리브(23)에는 케이스걸림돌기(21a)에 대항하는 영역에 안내홈(23c)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부케이스(20)를 하부케이스(11)에 결합하고 분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케이스(20)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하부케이스(11)에 결합된다.
먼저 회전제한턱(22a)에 기초하여 기준걸림리브삽입홈(23a)의 위치를 확인한 다음, 기준걸림리브삽입홈(23a)에 하부기준걸림리브(11b)가 삽입되고 보조걸림리브삽입홈(23b)에 하부보조걸림리브(11c)가 삽입되도록 한다.
다음에 하부기준걸림리브(11b)가 기준걸림리브삽입홈(23a)을 벗어나고 하부보조걸림리브(11c)가 보조걸림리브삽입홈(23b)을 벗어나도록 상부케이스(20)를 하부케이스(11)에 대하여 회전시킨다. 이 때 상부케이스(20)의 회전동작은 회전제한턱(22a)에 의해 회전이 제한될 때까지 실시된다.
이에 따라 하부기준걸림리브(11b)와 상부걸림리브(23)의 걸림작용 및 하부보조걸림리브(11c)와 상부걸림리브(23)의 걸림작용에 의해 상부케이스(20)는 하부케이스(11)에 결합된다.
한편 상부케이스(20)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하부케이스(11)로부터 분리된다.
하부기준걸림리브(11b)가 기준걸림리브삽입홈(23a)에 일치되도록 배치되고 하부보조걸림리브(11c)가 보조걸림리브삽입홈(23b)에 일치되도록 상부케이스(20)를 하부케이스(11)에 대하여 결합시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상부케이스(20)의 회전동작은 회전제한턱(22a)에 의해 회전이 제한될 때까지 실시된다.
다음에 상부케이스(20)를 하부케이스(11)로부터 이탈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20)는 회전조작을 통해 하부케이스(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캡(30)은 연기유입공(31)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내표면에는 4개의 캡고정기둥(32)이 케이스걸림돌기(21a)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캡고정기둥(32)은 종단에 내측을 향해 캡걸림턱(3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캡(30)은 연기유입공(31)의 하측영역에 캡고정기둥(32)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확인공(3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캡(30)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상부케이스(20)에 결합된다.
먼저 위치확인공(33)에 기초하여 각 캡고정기둥(32)을 각 케이스걸림돌기(21a)에 일치시킨다.
다음에 각 캡걸림턱(32a)이 각 케이스걸림돌기(21a)와 걸림작용을 하도록 캡(30)을 상부케이스(20)를 향해 가압한다.
배터리베이스(40)는 배터리수납실(41)에 더하여 배터리수납실(41)에 대하여 반대방향의 수납개구를 갖는 피시비수납실(42)이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수납실(41)은 배터리가압면(41a)과 탄성가압편(41c)에 더하여 배터리 가압면(41a)의 일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된 배터리지지면(41b)으로 둘러싸여 형성된다.
탄성가압편(41c)은 배터리가압면(41a)과의 사이공간에 삽입되는 배터리(202)를 배터리가압면(41a)을 향해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즉, 배터리수납실의 바닥면으로부터 배터리가압면을 향해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탄성가압편(41c)은 종단에 이탈방지턱(41d)이 배터리가압면(41a)을 향해 절곡 형성되어 있다.
피시비수납실(42)은 요홈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터리베이스(40)에는 한 쌍의 베이스나사기둥부(43)가 케이스나사기둥부(21b)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배터리베이스(40)는 탄성가압편(41c)이 하부케이스(11)의 바닥면을 향하는 자세로 베이스나사기둥부(43)와 케이스나사기둥부(21b)에 나사를 삽입하여 조임으로써 상부케이스(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피시비수납실(42)의 삽입개구는 암실부(50)를 향해 개방되게 된다.
암실부(50)는 암실바디부(51)에 더하여 암실바디부(51)와 협조하여 암실(53)을 형성하는 암실커버(52)를 갖고 있다.
암실바디부(51)는 요홈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다수의 연기안내판과 연기감지센서(63)의 설치를 위한 센서구조물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실바디부(51)는 외표면에 한 쌍의 바디걸림돌기(51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암실바디부(51)는 사출성형공정을 통해 하부케이스(11)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암실바디부(51)가 하부케이스(11)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암실바디부(51)는 상부케이스(20)에 지지되게 된다.
암실커버(52)는 상면에 연기통과공(52a)이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커버걸림고리(52b)가 바디걸림돌기(51a)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커버걸림고리(52b)에는 커버걸림홈(52c)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암실커버(52)는 커버걸림홈(52c)과 바디걸림돌기(51a)가 걸림작용을 하도록 암실커버(52)를 암실바디부(51)에 대하여 가압함으로써 암실바디부(5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피시비(61)는 피시비수납실(42)에 수납된다.
그리고 피시비(61)에는 연기감지센서(63)로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부저를 케이스(10)에 설치할 수 있으며 부저가 설치된 경우 피시비(61)에는 부저를 동작시키기 위한 회로도 형성된다.
연기감지센서(63)는 종래와 같이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연기감지센서(63)는 감지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을 도3, 도4, 도6, 도7, 도8 및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부케이스(11)를 천장 등 설치영역에 부착한다.
다음에 배터리베이스(40)를 상부케이스(20)에 결합한다(도3 참조).
다음에 배터리베이스(40)가 결합된 상부케이스(20)를 하부케이스(11)에 결합한다(도3 및 도4 참조).
다음에 배터리수납실(41)에 배터리(202)를 장착한다(도6 및 도7 참조).
다음에 배터리베이스에 배터리를 장착한다. 여기서 배터리수납실(41)에 배터리(202)를 장착되지 않은 경우 탄성가압편(41c)이 회전저지턱(11a)에 걸려 상부케이스(20)가 회전하지 못하므로 배터리(202)의 장착여부를 설치자가 확인할 수 있다(도8 및 도9 참조).
다음에 암실커버(52)를 암실바디부(51)에 결합한다.
마지막으로 캡(30)을 상부케이스(20)에 결합한다.
전술한 설치방법에서 연기감지센서(63), 감지회로, 배터리(202)에 대한 배선작업은 널리 알려진 그대로 실시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암실바디부(51)를 상부케이스(20)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구조와 조립작업이 간단해진다.
그리고 하부케이스(11)의 바닥면에 회전저지턱(11a)을 형성함으로써, 배터리(202)의 미장착상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배터리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부케이스는 하부케이스에 결합되지 않음).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배터리의 미장착상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삭제
  2. 요홈 형태의 내부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공간을 둘러싸도록 상기 하부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케이스를 갖는 케이스와, 연기유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케이스를 둘러싸도록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캡과, 감지회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피시비와, 요홈 형태의 암실바디부와 연기통과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암실바디부와 협조하여 암실을 형성하도록 상기 암실바디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암실커버를 가지고 상기 암실바디부가 상기 상부케이스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암실부와, 상기 감지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기유입공과 상기 연기통과공을 통해 상기 암실의 내부에 진입하는 연기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암실에 설치되는 연기감지센서를 갖는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배터리가압면과 상기 배터리가압면에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가압면과의 사이공간에 삽입되는 배터리를 상기 배터리가압면을 향해 가압하는 탄성가압편을 구비한 배터리수납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가압편이 상기 하부케이스의 바닥면을 향하는 자세로 상기 상부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케이스는 회전조작을 통해 상기 하부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의 바닥면에는 상기 배터리수납실에 배터리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케이스를 회전 조작할 때 상기 탄성가압편이 이동하는 경로로부터 벗어난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수납실에 배터리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상부케이스를 회전 조작할 때 상기 탄성가압편이 이동하는 경로에 배치되도록 회전저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KR20070004226U 2007-03-14 2007-03-14 화재감지기 KR2004429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4226U KR200442990Y1 (ko) 2007-03-14 2007-03-14 화재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4226U KR200442990Y1 (ko) 2007-03-14 2007-03-14 화재감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964U KR20080003964U (ko) 2008-09-19
KR200442990Y1 true KR200442990Y1 (ko) 2008-12-29

Family

ID=41491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04226U KR200442990Y1 (ko) 2007-03-14 2007-03-14 화재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99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066B1 (ko) * 2019-12-10 2020-06-24 (주)리더스테크 무선 자동 화재 탐지 시스템
KR102548314B1 (ko) * 2021-05-04 2023-06-27 우용성 배터리 오장착 방지형 감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964U (ko) 200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0387B2 (en) Smoke detector
TWI442346B (zh) Photoelectric smoke detector
KR20070114198A (ko) 주변의 비정상 공기 상태를 감지하는 모듈을 수용하는 수평설치된 조립체
AU2003233745A1 (en) Fire detector
JP5660794B2 (ja) 光電式煙感知器
KR200442990Y1 (ko) 화재감지기
JP5810444B2 (ja) 煙感知器
KR20180001937U (ko) 방수 기능을 구비한 누전차단기 케이스
JP4766670B2 (ja) 防災防犯機器の防水構造
JP2003141654A (ja) 光電式煙感知器
AU2022224774A1 (en) Triaxial dome-type surveillance camera
JP2010086378A (ja) 光電式煙感知器
KR101873812B1 (ko) 화재감지기
KR100673989B1 (ko) 경고기능이 구비된 공동주택의 외벽설치용 방범커버
KR100746278B1 (ko) 돔형 감시카메라
JP2011186643A (ja) 煙感知器
JP5854585B2 (ja) 煙感知器
KR100620721B1 (ko) 리모콘
JP5885786B2 (ja) 煙感知器
JP3843936B2 (ja) 住宅用防災感知器
KR101018881B1 (ko)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JPH09293181A (ja) 検知器
CN111322499B (zh) 监测系统及其安装基座
JP5534511B2 (ja) 煙感知器
KR100362609B1 (ko) 돔카메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