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862Y1 - 자동차 핸들용 골프 그립력 운동구 - Google Patents

자동차 핸들용 골프 그립력 운동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862Y1
KR200442862Y1 KR20070001303U KR20070001303U KR200442862Y1 KR 200442862 Y1 KR200442862 Y1 KR 200442862Y1 KR 20070001303 U KR20070001303 U KR 20070001303U KR 20070001303 U KR20070001303 U KR 20070001303U KR 200442862 Y1 KR200442862 Y1 KR 2004428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grip force
strap
ball
go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013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2913U (ko
Inventor
오세영
Original Assignee
오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영 filed Critical 오세영
Priority to KR200700013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862Y1/ko
Publication of KR200800029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9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8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8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3Hand wheels with a device allowing single-hand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핸들용 골프 그립력 운동구에 관한 것으로, 골프 스윙과정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왼손의 그립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핸들에 장착되며 왼손의 손가락을 그립력을 증대시키는 골프 그립력 운동구를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자동차의 핸들에 장착하여서 신호대기 중일 때 왼손의 손가락 운동을 실시 함으로써 왼손의 그립력이 향상되고 이 운동을 통하여 혈류량이 증가되어 피로 회복 및 졸음방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골프

Description

자동차 핸들용 골프 그립력 운동구{Golf grip-power exercise tool for handl of car}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를 보인 측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측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측 사시도.
도 5 는 도 4 에 따른 측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그립력 운동구
100 : 운동구 몸체 101 : 수용부
110 : 그립력구
120 : 탄성구
220 : 결박벤드
221 : 결속구
230 : 결박클립
231 : 결속볼트
300 : 절첩구
400 : 핸들 손잡이
500 : 핸들 휠
본 고안은 자동차 핸들용 골프 그립력 운동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과정에 있어서 스윙의 중심이 되는 왼손의 그립력을 증강시킬 수 있게 핸들에 장착하는 골프 그립력 운동구를 구비하여서, 골프 스윙시 스윙의 축이되는 왼손의 그립력을 향상시켜 스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는 왼손과 오른손을 함께 사용하는 운동으로써 왼손은 그립의 뒤쪽을 잡고 오른손은 그립의 앞쪽을 잡고 스윙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때, 왼손은 골프 스윙과정에 있어 스윙의 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왼손의 그립력이 약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왼손에 힘이 많이 들어가게 되어 스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왼손은 골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나 이의 근력 증가에는 별다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골프 스윙과정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왼손의 그립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핸들에 장착되며 왼손의 손가락을 그립력을 증대시키는 골프 그립력 운동구를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자동차의 핸들에 장착하여서 신호대기 중일 때 왼손의 손가락 운동을 실시 함으로써 왼손의 그립력이 향상되고 이 운동을 통하여 혈류량이 증가되어 피로 회복 및 졸음방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자동차에 정차시 골프 스윙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왼손의 그립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자동차의 핸들 휠(500)의 좌측 부위에 장착되어 골프 스윙시 주요역할을 하는 왼손의 그립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골프 그립력 운동구(1)를 구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골프 그립력 운동구(1)는 핸들 휠(500)에 결박 결속수단을 매개로 장착된 운동구 몸체(100)와 상기 운동구 몸체(100)에 형성한 수용부(101)에 탄성구(120)을 매개로 탄성 돌출되게 결합되어 하부로 탄성 돌출되며 손가락이 접촉되게 형성한 그립력구(110)로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구(120)은 스프링과 에어튜브 및 고무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그립력구(110)는 각각의 손가락이 독립적으로 접촉되게 손가락에 대응하여 두 개 이상으로 구비할 수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운전 중 핸들 조작에 불편함을 주지 않도록 그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게 잘 사용하지 않은 중지와 약지 및 세지 만을 운동할 수 있게 3 개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삭제
한편, 상기 결박 결속수단은 일단이 운동구 몸체(100)의 일 측에 결속되어서 핸들 휠(500)을 감쌀 수 있게 탄성력을 갖는 결박밴드(220)와 상기 결박밴드(220)의 단부를 운동구 몸체(100)의 다른 일 측에 결속시키는 후크와 벨크로 중 어느 하나의 결속구(221)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결박 결속수단의 다른 실시 예로는 운동구 몸체(100)의 일 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핸들 휠(500)을 감싸는 결박클립(230)과, 상기 결박클립(230)의 개구부 측 단부를 운동구 몸체(100)에 결속시키는 결속볼트(231)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는 결박 결속수단인 결박클립(230)의 상부 측에 회전가능하게 축 결속되어서 상부로 돌출되어서 핸들 조작량이 많을 경우 핸들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핸들 손잡이(40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핸들 손잡이(400)는 그립력 운동과정에 있어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결박클립(230)의 상부 측으로 편향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핸들 휠(500)의 좌측 부위에 장착되어 골프 스윙시 주요역할을 하는 왼손의 그립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골프 그립력 운동구(1)를 구비하되, 상기 골프 그립력 운동구(1)는 핸들 휠(500)에 결박 결속수단을 매개로 장착된 운동구 몸체(100)와 상기 운동구 몸체(100)에 형성한 수용부(101)에 탄성구(120)을 매개로 탄성 돌출되게 결합되어 하부로 탄성 돌출되며 손가락이 접촉되게 형성한 그립력구(110)로 구성한 본 고안을 핸들 휠(500)에 장착한 상태에서 자동차가 신호 대기와 같은 정지상태에서 왼손 손가락으로 그립력구(110)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그립력구(110)가 탄성 가압 되게 되고, 가압력을 풀게되면 탄성 돌출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업의 반복 과정에 있어서 손가락의 힘이 증대되게 되고, 이는 골프 스윙과정에 있어서 자연히 왼손의 그립력이 향상되어 안정적인 스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운전과정에 있어서 손을 펴다 오므렸다 하는 운동을 함으로써 혈액 순환이 증대되어 피로와 졸음이 사라지게 되는 것이다.
삭제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결박 결속수단인 결박클립(230)의 상부에 핸들 조작량이 많을 경우 사용할 수 있게 한 핸들 손잡이(400)를 구비하여 실시함으로써 그 기능이 다양화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자동차의 핸들에 장착하여서 신호대기 중일 때 왼손의 손가락 운동을 실시함으로써 왼손의 그립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신호대기와 같은 정차 상태에서 손을 펴다 오므렸다 하는 운동을 함으로써 혈류량이 증가되어 피로 회복 및 졸음방지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삭제
또한, 본 고안은 결박 결속수단인 결박클립에 핸들 손잡이를 구비함으로써 그 기능성이 다양화되는 것이다.

Claims (6)

  1. 자동차의 핸들 휠(500)의 좌측 부위에 장착되어 골프 스윙시 주요역할을 하는 왼손의 그립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골프 그립력 운동구(1)를 구비하되,
    상기 골프 그립력 운동구(1)는 핸들 휠(500)에 결박 결속수단을 매개로 장착된 운동구 몸체(100)와 상기 운동구 몸체(100)에 형성한 수용부(101)에 탄성구(120)을 매개로 탄성 돌출되게 결합되어 하부로 탄성 돌출되며 손가락이 접촉되게 형성한 그립력구(11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핸들용 골프 그립력 운동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구(120)은 스프링과 에어튜브 및 고무 중 어느 하나의 구성하고,
    상기 그립력구(110)는 각각의 손가락이 독립적으로 접촉되게 손가락에 대응하여 두 개 이상으로 구비하되,
    운전 중 핸들 조작에 불편함을 주지 않도록 그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게 잘 사용하지 않은 중지와 약지 및 세지 만을 운동할 수 있게 3 개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핸들용 골프 그립력 운동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박 결속수단은 운동구 몸체(100)의 일 측에 결속되어서 핸들 휠(500)을 감쌀 수 있게 탄성력을 갖는 결박밴드(220)와 상기 결박밴드(220)의 단부를 운동구 몸체(100)의 다른 일 측에 결속시키는 후크와 벨크로 중 어느 하나의 결속구(221)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핸들용 골프 그립력 운동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박 결속수단은 운동구 몸체(100)의 일 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핸들 휠(500)을 감싸는 결박클립(230)과, 상기 결박클립(230)의 개구부 측 단부를 운동구 몸체(100)에 결속시키는 결속볼트(231)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핸들용 골프 그립력 운동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박 결속수단인 결박클립(230)의 상부 측에 회전가능하게 축 결속되어 상부로 돌출된 핸들 손잡이(4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핸들용 골프 그립력 운동구.
  6. 삭제
KR20070001303U 2007-01-24 2007-01-24 자동차 핸들용 골프 그립력 운동구 KR2004428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1303U KR200442862Y1 (ko) 2007-01-24 2007-01-24 자동차 핸들용 골프 그립력 운동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1303U KR200442862Y1 (ko) 2007-01-24 2007-01-24 자동차 핸들용 골프 그립력 운동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913U KR20080002913U (ko) 2008-07-29
KR200442862Y1 true KR200442862Y1 (ko) 2008-12-17

Family

ID=41490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01303U KR200442862Y1 (ko) 2007-01-24 2007-01-24 자동차 핸들용 골프 그립력 운동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86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687B1 (ko) * 2018-02-13 2019-10-21 주식회사 삼일비앤씨 자동차 스티어링휠용 지압그립
CN110667686B (zh) * 2019-09-25 2021-06-15 厦门大学 基于心电与握力信号的疲劳驾驶监测/预警的方向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913U (ko) 2008-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9307B1 (en) Skateboarding vehicle
US9162724B2 (en) Scooter with removable toy
US20080163718A1 (en) Ergonomic Road Bicycle Handlebar
TWI364377B (ko)
KR200442862Y1 (ko) 자동차 핸들용 골프 그립력 운동구
EP1588931A3 (en) Vehicle steering handle device
CN100459965C (zh) 按摩器
US6142493A (en) Side-sloping steering device for a skateboard
CN104436666B (zh) 一种可加速的陀螺玩具装置
JP3124297U (ja) 体を振ることによって方向転換をする構造を持つ動力車
TW200735924A (en) Passenger use type golf cart
KR20160032424A (ko) 자전거용 클릿페달유닛
JP6281510B2 (ja) 倒立二輪車
JP2011161202A5 (ko)
CN204798766U (zh) 一种抛接式手抓球健身球拍
CN201012256Y (zh) 一种健身鞭
CN202911899U (zh) 弹力自动滑板车
JP3131761U (ja) 片手でも操作出来る新タイプの車のハンドル
JP3136915U (ja) 握力トレーニング器具
CN211561707U (zh) 一种锻炼带的握把带
JPH0722281Y2 (ja) 多目的運動器
KR20110003949U (ko) 자전거 핸들바 장착용 완력기
CN207757504U (zh) 一种减震器的装夹配件
KR200256985Y1 (ko) 연습용 골프 그립
KR101142792B1 (ko) 팔운동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