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788Y1 - 매트 - Google Patents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788Y1
KR200442788Y1 KR2020070010637U KR20070010637U KR200442788Y1 KR 200442788 Y1 KR200442788 Y1 KR 200442788Y1 KR 2020070010637 U KR2020070010637 U KR 2020070010637U KR 20070010637 U KR20070010637 U KR 20070010637U KR 200442788 Y1 KR200442788 Y1 KR 2004427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air
diverging
contents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6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종진 도
Original Assignee
종진 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종진 도 filed Critical 종진 도
Priority to KR20200700106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7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7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78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4Means for protecting against undesired influence, e.g. magnetic radiation or static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5Use of aromatic materials, e.g. herbs

Landscapes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매트에 사람이 앉거나 누워 움직이는 동작에 의해 매트의 가장자리에서 질병치료나 건강유지, 기분전환, 해충퇴치 등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진 향이나 냄새가 발산되도록 하는 매트에 관한 것이다.
구성의 예로는 격막(19)으로 중앙의 쿳션부(10)와 가장자리의 발산부(20)로 구분되도록 구성하고, 발산부(20)의 외피(21)및 쿳션부(10)와 발산부(20)의 경계를 이루는 격막(19)은 통기가 원활한 재질을 선택하여 구성하며, 쿳션부(10)의 내부에 내장되는 쿳션재(12)는 스펀지 등과 같이 공기층이 많이 구성되어 있어 눌러질 경우에 공기층의 공기가 외부로 밀려나가도록 하고 발산부(20)의 내부에는 망체(22)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의 내용물(23)을 삽입하되, 내용물은 향기가 많은 방향성 식물이나, 냄새가 질환의 치료 등에 사용되거나 해충의 퇴치, 공기청정, 탈취, 전자파 차단 기능을 갖는 식물 또는 약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매트, 깔개, 해충 퇴치, 초피, 재피, 향기발산

Description

매트{Mat}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매트의 평면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작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매트 10: 쿳션부
11: 외피 12: 쿳션재
19: 격막 20: 발산부
21: 외피 22: 망체
23: 내용물 24: 개폐수단
본 고안은 질병치료나 건강유지, 기분전환, 해충퇴치 등의 기능을 갖는 향기나 냄새 등의 효과를 효율적으로 누릴 수 있도록 한 매트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 체적으로는 매트에 사람이 앉거나 누워 움직이는 동작에 의해 매트의 가장자리에서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진 향이나 냄새가 발산되도록 하는 매트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매트는 사람이 앉거나 누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중요한 생활 도구의 하나로서 일반적인 매트는 사용자가 앉거나 누웠을 때 편안함을 느끼게 하는 쿳션 기능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제조되고 있다.
따라서 매트를 선택할 때는 재질이나 쿳션기능, 디자인 등을 감안하여 선택할 수밖에 없어서 선택의 폭이 매우 한정되어 있다 할 것이다.
그리고 근래에는 건강에 관한 관심이 갈수록 증대되는 현실로서, 일반적인 쿳션기능 외에 사용자가 앉거나 누워 휴식을 취하는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되었던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과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본 고안은, 매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매트의 가장자리를 수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한 후 그 내부에 인체의 건강에 도움이 되면서 유용한 향기 및 방충기능을 등을 하는 식물이나 약재 등의 내용물을 삽입토록 구성하며, 매트에 사람이 앉거나 누워 사용하는 과정에서 그러한 향과 기능이 효과적으로 발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강에 큰 도움이 되는 매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매트를 구성시 중앙부의 쿳션부와 가장자리의 발산부를 별도의 공간으로 구분되도록 구성하면서 그 경계선을 이루는 격벽과 발산부는 통기가 원활한 재질로 구성하고, 중앙의 쿳션부 내부에는 매트의 형체와 두께를 유지하는 내장재를 삽입하되 그 자체가 중간에 공간을 많이 가지는 것이면서 압박을 가하거나 복귀하는 과정에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재질로 구성하며, 가장자리의 발산부의 내부에는 인체에 유익한 향기나 냄새를 가진 내용물을 담아 삽입함으로써 쿳션부가 눌러지면 공기가 발산부를 통하여 내용물의 향이나 냄새를 발산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바,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실시 예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매트의 평면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작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시도이다.
본 고안의 매트(1)는 중앙의 쿳션부(10)와 가장자리의 발산부(20)로 구분되도록 구성된다.
쿳션부(10)의 외피(11)는 통기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거나 미세하게 이루어지는 재질을 선택하고 발산부(20)의 외피(21)는 통기가 원활한 재질을 선택하여 구성되며, 쿳션부(10)와 발산부(20)는 격막(19)으로 구분되도록 한 다음 이러한 격막(19) 역시 통기가 원활한 재질로 구성된다.
쿳션부(10)의 내부에 내장되는 쿳션재(12)는 스펀지 등과 같이 공기층이 많 이 구성되어 있어서, 눌러질 경우에 공기층의 공기가 외부로 밀려나가고 압박을 해제하면 공기가 다시 유입되는 재질을 선택하여 구성하였으며, 발산부(20)의 내부에는 망체(22)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의 내용물(23)을 삽입한 것이다.
발산부(20)의 외피(21)에는 지퍼나 단추 등의 개폐수단(24)을 구성하여 망체(22)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내용물(23)로는 허브 등과 같이 향기가 많은 방향성 식물이나, 냄새가 질환의 치료 등에 사용되거나 해충의 퇴치, 공기청정, 탈취, 전자파 차단 등의 기능을 갖는 식물이나 약재 등이 유용할 것이다.
그 중에서도 본 고안이 내장물로 주목한 재질은 초피나무이다.
초피는 향이 좋고 여러 가지 인체에 유용한 효과가 있지만, 특히 해충이 싫어하는 향기를 발산하여 해충이 근접하지 못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초피나무의 잔줄기나 껍질 또는 그늘에서 말린 잎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상기 망체(22)에 투입한 후 망체(22)를 발산부(20)에 넣어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을 방석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매트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각종 침구 등의 물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매트(1)에 앉거나 눕고 또 움직이는 과정에서 쿳션부(10)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그 압축력에 의해 쿳션재(12) 사이 사이의 공기가 격막(19)을 통하여 발산부(20)로 유입이 되고 이러한 공기는 다시 초피 등과 같은 내용물(23)의 향을 외부로 발산시키게 되는 것이다.
압축되었던 쿳션은 압력을 해제하면 원래의 형태로 복귀하면서 다시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으로 발산부(20)에 수납된 내용물(23)의 성분이 향이나 냄새를 통하여 매트(1) 가장자리의 발산부(20)로 발산이 되는 것으로서, 그 향기나 효능을 매트 사용자 및 그 주변 사람들이 누릴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내용물이 이 초피나무인 경우에는 해충의 근접을 막아주게 되므로 야외에서 본 고안의 매트를 사용시 해충의 근접을 걱정할 필요없이 매트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장시간 내용물(23)을 사용하여 그 효능이 저하될 때 또는 매트(1)를 세탁할 때에는 개폐수단(24)을 열고 내장물을 망체(22)에 수납된 상태로 제거한 후 세탁이나 청소를 하거나 또는 새로운 내용물(23)을 수납한 망체(22)를 다시 수납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향기나 냄새가 인체에 유용한 재질의 효능을 매트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누릴 수 있는 것이어서, 사용자들이 건강유지나 질병의 치료, 기분전환 해충의 퇴치 등 많은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고, 소비자가 매트를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넓어지게 되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이라 할 수 있다.

Claims (2)

  1. 중앙의 쿳션부(10)와 가장자리의 발산부(20)로 구분되는 매트(1)를 구성함에 있어서,
    쿳션부(10)의 외피(11)는 통기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거나 미세하게 이루어지는 재질로 구성하고,
    쿳션부(10)와 발산부(20)는 격막(19)으로 구분되도록 한 다음, 이러한 격막(19)과 발산부(20)의 외피(21)는 통기가 원활한 재질을 선택하여 구성하며,
    쿳션부(10)의 내부에 내장되는 쿳션재(12)는 스펀지 등과 같이 공기층이 많이 구성되어 있어 눌러질 경우에 공기층의 공기가 외부로 밀려나가고 압박을 해제하면 공기가 다시 유입되는 재질로 구성하며,
    발산부(20)의 내부에는 망체(22)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의 내용물(23)을 삽입하되, 내용물은 향기가 많은 방향성 식물이나, 냄새가 질환의 치료 등에 사용되거나 해충의 퇴치, 공기청정, 탈취, 전자파 차단 기능을 갖는 식물 또는 약재이며,
    발산부(20)의 외피(21)에는 개폐수단(24)을 구성하여 망체(22)를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발산부(20)에 수용되는 내용물(23)이 분쇄된 초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KR2020070010637U 2007-06-28 2007-06-28 매트 KR2004427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637U KR200442788Y1 (ko) 2007-06-28 2007-06-28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637U KR200442788Y1 (ko) 2007-06-28 2007-06-28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2788Y1 true KR200442788Y1 (ko) 2008-12-10

Family

ID=41648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637U KR200442788Y1 (ko) 2007-06-28 2007-06-28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7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064B1 (ko) * 2017-05-24 2017-10-26 황인준 헬퍼 가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064B1 (ko) * 2017-05-24 2017-10-26 황인준 헬퍼 가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8826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ffusing essential oils
KR101414452B1 (ko) 항균 및 탈취 기능을 가진 침대용 매트리스
JP2008263875A (ja) 害虫用捕獲具、及びこの害虫用捕獲具を備えた吸引装置
KR200442788Y1 (ko) 매트
KR101259024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테이블
KR101327364B1 (ko) 편백나무칩 가습기
KR20100049136A (ko) 내부함이 구비된 보료
JP2001079076A (ja) 放香装置
JP2005328901A (ja) ユーカリの葉を用いた健康寝具、芳香袋、入浴剤
KR20220145071A (ko) 잣나무를 이용한 침구류
KR200256993Y1 (ko) 향기 나는 의자
KR20160118614A (ko) 편백나무를 이용한 천연 공기 정화기
KR200382216Y1 (ko) 방향수단을 구비한 침대용 매트리스
KR200192057Y1 (ko) 라벤다 향 발산체를 내장한 소파
KR101417510B1 (ko) 피톤치드 인형
JP2002088551A (ja) かつら
RU6252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езодорации и ароматизации воздуха
KR200356168Y1 (ko) 향기침대
KR200216484Y1 (ko) 도어용 장식틀
KR20100020548A (ko) 탈취/해충퇴치제의 제조방법
KR102535743B1 (ko) 해충 퇴치용 밴드 제조방법 및 그 밴드
Tyler The essence of aroma
KR200438557Y1 (ko) 해충퇴치기능을 가진 침대용 매트리스
KR20170055285A (ko) 세정비누로 재활용되는 복합탈취기용 탈취재
KR200348370Y1 (ko) 향기를 발산하는 항균 위생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