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613Y1 - 원형베일러용 주행장치 - Google Patents

원형베일러용 주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613Y1
KR200442613Y1 KR2020080005295U KR20080005295U KR200442613Y1 KR 200442613 Y1 KR200442613 Y1 KR 200442613Y1 KR 2020080005295 U KR2020080005295 U KR 2020080005295U KR 20080005295 U KR20080005295 U KR 20080005295U KR 200442613 Y1 KR200442613 Y1 KR 2004426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er
driving engine
track
circula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52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근
Original Assignee
고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근 filed Critical 고영근
Priority to KR20200800052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6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6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6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8Details
    • A01F15/0841Drives for bal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어진 볏짚이나 목초더미와 같은 사료작물을 픽업해 성형실에서 롤베일로 압축성형후 묶어 배출시키는 베일러를 견인시키는 주행장치로써, 베일러에 필요한 유공압력을 공급함과 동시에 자체추진동력을 갖춘 원형베일러용 주행장치에 관한 것이다.통상 베일러의 주행장치로 주로 사용되는 트랙터와 유니버설조인트로 피 견인되는 베일러는 축간거리가 길어질 수밖에 없는 실정이고, 베일러가 대형화되어가는 추세로 전장비의 중량화에 따른 사용자의 부담과 더불어 국내 농지의 여건상 부적합한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이를 감안해 일반 베일러를 용이하게 적용시켜, 자주식처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원형베일러용 주행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트랙 양간 내측에 장착된 유압모터(370)로 구동되는 궤도부(200)에 원형베일러(100)와 운전석부(400)를 전방에 탑재하고, 후방으로는 건초더미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궤도부(200)에 고정설치된 구동엔진부(300)로 이루어진 원형베일러용 주행장치를 제공하도록 해 기존의 피견인장치인 베일러를 자주식과 같이 간단히 적용해 사용함으로써, 조작의 간편과 선회반경의 단축과 더불어 작업능률을 대폭 개선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Figure 112008028563275-utm00001
Figure R2020080005295
원형베일러,주행장치

Description

원형베일러용 주행장치{the traveling system for round shape veiler}
본 고안은 베어진 볏짚이나 목초더미와 같은 사료작물을 픽업해 성형실에서 롤베일로 압축성형후 묶어 배출시키는 베일러를 견인시키는 주행장치로써, 베일러에 필요한 유공압력을 공급함과 동시에 자체추진동력을 갖춘 원형베일러용 주행장치에 관한 것이다.
베일러는 통상 원형으로 성형하는 원형베일러와 사각으로 결속시키는 사각베일러가 있으며, 보편적으로 베일러는 통상 자체추진동력이 없이 트랙터 등의 견인차 후방에 연결해 트랙터에 장비되어 있는 PTO축으로부터 회전력과 유압력을 전도 받아 베일러를 구동시키는 실정이다.
국내에서 사용하는 견인 또는 부착동력기로는 경운기부착형,트랙터견인형, 전용형등이 있지만, 최근에는 수입품으로 일본과 이태리 제품으로 원형중형베일러가 있으며, 래핑기를 포함한 대형베일러가 공급된 실태이다.
상기와 같은 베일러 주행장치에 대한 적용마력으로 미니베일러는 45마력급, 중형은 50∼80마력이 요구되며, 주행장치는 바퀴형과 무한궤도타입이 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원형베일러용 주행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최근 축산뉴스에 따른 베일러 수요전망에 따르면 사각베일러 보다는 원형베일러, 소형에서 중대형급으로 선호되는 추세이나, 중대형급의 원형베일러 주행장치로 요구되는 트랙터의 대형화 고출력을 요함에 따라 베일러의 주행장치로 사용되는 트랙터도 차츰 대형화되어가는 추세이다.
또한, 통상 피 견인되는 베일러는 베일러 전방에서 건초를 픽업해 조출기구로부터 꼰실과 네트를 공급받아 내부에 마련된 압축 성형실에서 꾸린 건초더미를 후방으로 배출하는 방식으로 베일러 후방에는 어떠한 피 견인장치를 장착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 일이다.
때문에, 트랙터와 베일러 간에 유니버설조인트로 피 견인되는 베일러는 축간거리가 길어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 베일러가 대형화되어가는 추세로 주행장치도 따라서, 대형화 되어가는 추세로 베일러와 주행장치의 전 중량도 점차 늘어가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국내 농지 여건상 습지와 연약지반에서는 베일러에 장착된 광폭타이어에도 불구하고 베일러가 좌우 수평을 유지하지 못해 베일러의 전방부에 구비된 건초픽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를 도출하거나, 경지정리가 되지 않은 농지에서는 주행장치간에 체결된 유니버셜조인트로 인하여 선회 반경으로 커서 베일러의 작업능률이 개선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장치에서는 일반 베일러를 용이하게 적용시켜, 자주식처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원형베일러용 주행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트랙 양간 내측에 장착된 유압모터(370)로 구동되는 궤도부(200)에 원형베일러(100)와 운전석부(400)를 전방에 탑재하고, 후방으로는 건초더미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궤도부(200)에 고정설치된 구동엔진부(300)로 이루어진 원형베일러용 주행장치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Figure 112008028563275-utm00002
본 고안에 따른 원형베일러용 주행장치는 베일러가 대형화로 가는 추세임에도 별도의 고가의 고마력 대형 트랙터를 구매하지 않아서 농가의 부담을 경감시킬수 있었다.
또한, 기존의 피견인장치인 베일러를 자주식과 같이 간단히 적용해 종래와는 달리 베일러는 궤도부의 트랙 전진부에 배치되고 구동엔진부는 트랙 후방에 배치되어 압축성형된 건초더미가 트랙후방으로 배출되는 신개념방식으로 전장비의 길이가 획기적으로 단축되어 지고 특히 운전석이 픽업할 건초더미상에 일치되어 작업시야가 확보되어 작업의 조작이 안전성이 크게 향상 되였다.
그리고, 접지력이 넓은 궤도부 후방부에 구동엔진부와 전방부에 베일러부와 운전석부를 배치해, 전방비의 무게중심을 고루 배치함과 동시에 전장비의 길이가 획기적으로 축소되어 종래 유니버셜조인트에 의하여 축간거리가 긴 베일러와 주행장치로 인한 선회 반경의 과다함을 해결하여 국내 농지의 실정에 적합하고, 특히 습지에서의 작업성도 매우 효과적인 고안이다.
이상과 같은 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에서 자주식이 아니지만, 일반 베일러를 용이하게 적용시켜 자주식처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원형베일러용 주행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본 고안에서는 축간거리가 없고, 베일러의 중량과 주행장치의 중량이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도록 하는 것과, 전방에서 픽업되어 후방으로 압축 성형되어 배출되는 건초더미의 배출에 없도록 하는 원형베일러용 주행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행장치를 장착한 조립상태 측면도,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행장치를 장착한 조립상태 평면도,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베일러를 분리한 주행장치만의 분해사시도로써,
삭제
트랙 양간 내측에 장착된 유압모터(370)로 구동되며,트랙양간 내측중간 및 후방프레임에 'H'형 궤도부하부새시를, 최후방에는 베일러장착새시(220)를 용접설치한 궤도부(200)와, 통상의 픽업부 상측편에 전조등(404),백미러(403),유압레버(401),조정석(402)이 마련된 원형베일러부(100)와, 원형베일러부 전방으로 운전석부(400)를 탑재하고, 후방으로는 건초더미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궤도부(200)에 상향 고정설치된 구동엔진부(300)로 이루어진 원형베일러용 주행장치에 있어서,
삭제
상기 궤도부의 유압모터(370) 후단 측프레임에는 일정높이의 구동엔진부설치빔(350)을 세워 용접설치 후, 그 양편의 구동엔진부설치빔 전측 하단에는 보강판(361a)으로 보강용접하며, 구동엔진부설치빔(350) 상편에는 평면도시 "曰"형 제1구동엔진부설치상부빔(360)을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후, 돌출된 코너를 보강힌지(360a)로 보강용접후, 재차 그 양 하단은 보강빔(361)으로 보강시키고, 상기 제1구동엔진부설치상부빔(360) 상부 일편에는 유압탱크(330)와 연료통(320);이편에는 유압발생을 목적으로 하는 제1구동엔진부(310)를 설치하고;
상기 제1구동엔진부설치상부빔(360) 이측으로는 평면도시 "
Figure 112008028563275-utm00004
" 형 제2구동엔진부설치상부빔(340a)를 돌출용접시킨 상편에 상기 연료통(320)을 공유로 하며, 베일러의 PTO구동을 위한 제2구동엔진부(340)를 설치하고;
상기,제2구동엔진부설치상부빔(340a)에는 구동엔진부설치빔(350)에서 유니버셜설치빔(362)을 돌출용접하고,제2구동엔진부에 구비된 플라이휘일출력축(342)을 양단이 각 유니버셜조인트로 축 연결된 제1유니버셜축(343); 제2유니버셜축(362)을 안치하고, 이어 궤도부(200)의 베일러장착새시(220)상에 안치한 원형베일러부(100)의 픽업부 위쪽에 설치된 텐션플리(347)와 체인(345),체인기어(345a)로 직각 전도시켜 원형베일러부(100)에 마련된 PTO축(346)으로 축 체결된 것이다.
이상과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 작용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삭제
삭제
본 고안에 장치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궤도부(200)의 전진부 인 베일러장착새시상에 장착된 베일러부는 그 전방에 장착된 운전석부(400)에 마련된 조정석에 탑승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하여, 베일러부에 마련된 조출기구로부터 꼰실과 네트를 공급받아 내부에 마련된 압축 성형실에서 꾸린 건초더미를 후방으로 배출되는 롤타입 건초더미는 궤도하부새시에 떨어져 궤도부 트랙 양간 프레임상에서 구동엔진부설치빔으로 일정높이로 세워 설치된 하부 공간으로 아무런 지장없이 구동엔진부하부를 통해 배출시킴으로서, 종전처럼 베일러부와 주행장치간에 유니버셜조인트와 같은 축간 연결수단이 없이 기존의 피 견인식 베일러를 자주식과 같은 방식으로 가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장치에서 주행장치의 전후 좌우 중량의 균형적인 배치를 위하여, 제1구동엔진부설치상부빔과 제2구동엔진부설치상부빔에 제1구동엔진부와 제2구동엔진부를 궤도부 후방에 설치해 제1구동엔진부에는 궤도부의 주행을 위한 유압과 베일러부의 유압개폐장치 등에 유압을 제공하며, 궤도부 전방에는 베일러부와 운전석부를 배치시켜 안정적인 배치를 제공하여, 선회 반경을 짧게 하면서도 접지면적이 넓어 습지나 국내농지에서도 안정적이고 작업능률이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제2구동엔진부에서는 베일러에 통상 구비된 롤타입 압축성형실내의 회전력이나,조출기구,픽업부,커터부에 인가되는 회전력을 전도하기 위하여, 별도 독립적인 구동엔진을 탑재한 것으로, 궤도부의 주행과는 별개로 독립적으로 베일러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행장치를 장착한 조립상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행장치를 장착한 조립상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베일러를 분리한 주행장치만의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원형베일러부 200:궤도부
300:구동엔진부 400:운전석부
210:궤도하부새시 220:베일러장착새시
310:제1구동엔진부 311:제1라디에이터
312:제1머플러 313:제1배터리
320:연료통
330:유압탱크 340:제2구동엔진부
340a:제2구동엔진부설치상부빔 341:제2배터리
341a:제2머플러
342:플라이휘일축 343:제1유니버셜축
344:제2유니버셜축 345:체인
345a:체인기어 346:PTO축
347:텐션플리 348:제2라디에이터
350:구동엔진부설치빔
360:제1구동엔진부설치상부빔 360a:보강힌지
361:보강빔 361a:보강판
362:유니버셜설치빔
401:유압레버 402:조정석
403:백미러 404:전조등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트랙 양간 내측에 장착된 유압모터(370)로 구동되며,트랙양간 내측중간 및 후방프레임에 'H'형 궤도부하부새시를, 최후방에는 베일러장착새시(220)를 용접설치한 궤도부(200)와, 통상의 픽업부 상측편에 전조등(404),백미러(403),유압레버(401),조정석(402)이 마련된 원형베일러부(100)와, 원형베일러부 전방으로 운전석부(400)를 탑재하고, 후방으로는 건초더미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궤도부(200)에 상향 고정설치된 구동엔진부(300)로 이루어진 원형베일러용 주행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압모터(370) 후단 측프레임에는 일정높이의 구동엔진부설치빔(350)을 세워 용접설치 후, 그 양편의 구동엔진부설치빔 전측 하단에는 보강판(361a)으로 보강 용접하며, 구동엔진부설치빔(350) 상편에는 평면도시 "曰"형 제1구동엔진부설치상부빔(360)을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후, 돌출된 코너를 보강힌지(360a)로 보강용접후, 재차 그 양 하단은 보강빔(361)으로 보강시키고, 상기 제1구동엔진부설치상부빔(360) 상부 일편에는 유압탱크(330)와 연료통(320);이편에는 유압발생을 목적으로 하는 제1구동엔진부(310)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베일러용 구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제1구동엔진부설치상부빔(360) 이측으로는 평면도시 "
    Figure 112008028563275-utm00006
    " 형 제2구동엔진부설치상부빔(340a)를 돌출용접시킨 상편에 연료통(320)을 공유로 하며, 베일러의 PTO구동을 위한 제2구동엔진부(340)를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베일러용 구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제2구동엔진부설치상부빔(340a)에는 구동엔진부설치빔(350)에서 유니버셜설치빔(362)을 돌출용접하고,제2구동엔진부에 구비된 플라이휘일출력축(342)을 양단이 각 유니버셜조인트로 축 연결된 제1유니버셜축(343); 제2유니버셜축(362)을 안치하고, 이어 궤도부(200)의 베일러장착새시(220)상에 안치한 원형베일러부(100)의 픽업부 위쪽에 설치된 텐션플리(347)와 체인(345),체인기어(345a)로 직각 전도시켜 원형베일러부(100)에 마련된 PTO축(346)으로 축 체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베일러용 구동장치.
  6. 삭제
KR2020080005295U 2008-04-22 2008-04-22 원형베일러용 주행장치 KR2004426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295U KR200442613Y1 (ko) 2008-04-22 2008-04-22 원형베일러용 주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295U KR200442613Y1 (ko) 2008-04-22 2008-04-22 원형베일러용 주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2613Y1 true KR200442613Y1 (ko) 2008-11-25

Family

ID=41647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5295U KR200442613Y1 (ko) 2008-04-22 2008-04-22 원형베일러용 주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6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317B1 (ko) 2009-05-27 2011-11-16 주식회사 라이브맥 자주식 원형 베일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317B1 (ko) 2009-05-27 2011-11-16 주식회사 라이브맥 자주식 원형 베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2875B1 (en) Agricultural vehicle and implement with wheels
US8348001B2 (en) Agricultural harvesting machine
US20100330337A1 (en) Crop Residue Baler Integrated With Harvester, Method for Baling Crop Residue, and Resulting Trapezoidal Crop Residue Bale
RU2441770C2 (ru) Сцепной узел с направляющим элементом
US8549828B2 (en) Tugger and accumulator for use with an agricultural biomass harvester
US20060150605A1 (en) Vehicle for supporting a crop picking head with an adjustable suspension
US20080022648A1 (en) Cotton harvester chassis configuration
US20160059912A1 (en) Work Vehicle
US20110246030A1 (en) Drive Arrangement And Method For A Work Machine With Two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20130291507A1 (en) Cotton Harvester Accessory and Harvesting Method
KR200442613Y1 (ko) 원형베일러용 주행장치
CN108260412B (zh) 一种自走式全液压多用途秸秆切碎方草捆打捆机
KR101169319B1 (ko) 베일러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유압식 드로우바 장치
US20210243957A1 (en) Agricultural baling machines
US20210243959A1 (en) Agricultural baling machines
WO1998014049A1 (en) In-line rectangular baler selectively operable in centered or off-set positions
US5713192A (en) Tow bar assembly for multiple hay balers
EP3809817B1 (en) Agricultural baler with an axle arrangement
KR101084317B1 (ko) 자주식 원형 베일러
US3672459A (en) Single wheel, self-propelling attachment
US20210243958A1 (en) Agricultural baling machines
CN203723073U (zh) 自带集料箱青贮饲料收获机
RU1792247C (ru) Сельскохоз йственный уборочный агрегат
JPS6328643Y2 (ko)
NZ762058B2 (en) Load transfer device for laterally offset collection and transfer of harvested material to a transport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