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9319B1 - 베일러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유압식 드로우바 장치 - Google Patents

베일러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유압식 드로우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9319B1
KR101169319B1 KR1020100035519A KR20100035519A KR101169319B1 KR 101169319 B1 KR101169319 B1 KR 101169319B1 KR 1020100035519 A KR1020100035519 A KR 1020100035519A KR 20100035519 A KR20100035519 A KR 20100035519A KR 101169319 B1 KR101169319 B1 KR 101169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er
hydraulic
frame
hydraulic cylinder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5913A (ko
Inventor
이용구
Original Assignee
동조물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조물산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조물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5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9319B1/ko
Publication of KR20110115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9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9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14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drawn by animals or tractors
    • A01B63/24Tools or tool-holders adjustable relatively to the frame
    • A01B63/32Tools or tool-holders adjustable relatively to the frame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without automatic contr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논 및 초지에서 운행하는 농용트랙터의 후방에 연결하여 목초, 볏짚, 옥수수 등의 사료작물을 수거하는 원형 베일러(round baler)의 견인을 위해 설치되는 드로우바(drawbar)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드로우바와 베일러의 연결 부분에 베일러 선단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유압실린더를 설치함으로써, 베일러를 견인하며 논둑 또는 경사가 있는 작업지로 진출입하는 경우 상기 유압실린더를 작동하여 베일러의 픽업부를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들어올린 상태로 이동하도록 하여 베일러의 픽업부를 지면과의 충돌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베일러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유압식 드로우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베일러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유압식 드로우바 장치{Hydraulic drawbar apparatus which can adjust the height of bailer}
본 발명은 목초, 볏짚, 옥수수 등의 사료작물을 수거하는 원형 베일러(round baler)의 견인을 위하여 농용 트랙터의 후방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드로우바(drawbar)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논둑 또는 경사가 있는 작업지로 베일러가 진출입하는 과정에서 베일러 하단의 픽업부가 지면과 충돌하여 발생하는 기계적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베일러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유압식 드로우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볏짚 또는 목초 등은 최근 들어 소의 사료용으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수확이 끝난 볏짚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거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볏짚 또는 목초 등을 자동으로 수거하고, 수거된 볏짚과 목초를 압축, 결속하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축산기계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종래의 목초 및 볏짚 수거장치의 일 예로서, 주로 논 및 초지에서 이용하는 농용 트랙터의 후방에 원형 베일러(round baler)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농용 트랙터를 주행하면서 원형 베일러를 통해 목초나 볏짚 등의 사료작물을 수거하도록 하는데, 상기 원형 베일러는 목초나 볏짚 등의 사료작물을 수거하는 수거부분(또는 픽업부분)과, 상기 수거부분을 통해 수거된 볏짚을 곤포, 압축하여 결속시키도록 하는 곤포부분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원형 베일러는 농용 트랙터의 후방에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농용 트랙터를 논 및 초지에서 운행하도록 하여, 논바닥의 목초 및 볏짚을 원형 베일러의 수거부분을 통해 수거하여 원형 베일러 내부로 인입한 후, 상기 인입된 볏짚을 곤포부분에서 압축하고 일정 크기에 도달하게 되면 네트로 결속하여 곤포 사일리지로 사용 되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목초 및 볏짚 수거용 원형 베일러는 농용 트랙터를 이용하여 견인하면서 이동 및 작물의 수거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원형 베일러 전방측에는 트랙터의 후방 측에 연결하여 견인할 수 있도록 삼각형 프레임 형상을 갖는 드로우바(drawbar)가 구비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의 원형 베일러 전방측에 장착되는 견인용 드로우바에는 베일러 본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없었기 때문에, 트랙터를 이용하여 베일러를 견인한 상태에서 경사가 심한 작업지(특히, 논둑)로 진출입하는 경우 베일러의 하단부 픽업부분(수거부분)이 지면과 충돌되어 기계적 파손을 유발하게 되는 우려가 있었다. 특히, 지면이 진 작업지에서 원형 베일러를 이용하여 목초 및 볏짚을 수거하는 경우에는 베일러의 픽업부분(수거부분)이 지면에 빠져 파손을 유발하게 되고, 이로 인해 볏짚 및 목초의 수거작업이 중단될 수 밖에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일러 견인용 드로우바에 베일러의 픽업부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유압구동수단을 채용함으로써, 트랙터의 후방에 베일러를 연결한 상태에서 경사가 심한 작업지로 진출입하는 경우에도 상기 유압구동수단을 통해 베일러 선단부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정하여 베일러 선단부의 픽업부위가 지면과 충돌하여 발생하는 기계적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베일러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유압식 드로우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베일러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유압식 드로우바 장치는, 베일러(baler)를 견인할 수 있도록 트랙터의 후방에 연결되는 드로우바(drawbar) 장치에 있어서, 드로우바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베일러의 전방 측에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의 후방 측 단부가 힌지축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프레임의 전방 측에 구비되어 상기 트랙터의 후방 측에 연결되는 연결구와; 일측이 상기 고정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수축 또는 신장되며 상기 베일러의 선단부 높낮이를 조절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유압실린더의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브래킷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압실린더는 상기 프레임과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브래킷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판 형상의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면에 수직하게 고정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유압실린더의 단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편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축핀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랙터에는 상기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동부는 상기 트랙터의 운전석 내에 레버(lever)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유압식 드로우바 장치에 따르면, 베일러를 트랙터를 이용하여 견인시, 평지에서는 베일러의 선단부를 지면 가까이 내린 상태로 주행하고, 경사가 심한 논둑이나 경사지형에서는 유압실린더를 구동시켜 베일러의 선단부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들어올린 상태로 주행하도록 함으로써, 베일러 선단부의 픽업부(수거부분)가 지면과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상황 및 작업장의 진출입 조건에 따라 사용자가 유압실린더를 구동하여 베일러 선단부의 높낮이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편리하고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베일러에 의한 목초 및 볏짚 수거작업을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베일러 견인용 드로우바 장치의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드로우바 장치의 상세구조를 보여주는 상세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로우바 장치의 작동 전,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로우바를 장착한 베일러가 내리막길 및 오르막길에서 견인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압식 드로우바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드로우바 장치의 상세구조를 보여주는 상세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드로우바 장치의 작동 전,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드로우바(drawbar) 장치는 농용 트랙터를 이용한 원형 베일러(round baler)의 견인시 사용되는 견인용 프레임으로서, 원형 베일러와 드로우바 몸체 사이의 연결 부분에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실린더를 장착하여 필요시 유압실린더를 구동하여 원형 베일러 선단부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리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에 기술적 특징을 두고 있다.
즉,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드로우바 장치(100)는, 드로우바 몸체를 형성하는 삼각형 형상의 프레임(110)과, 원형 베일러(300)의 전방 측에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110)의 후방 측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브래킷(120)과, 상기 프레임(110)의 전방 측에 구비되며 상기 트랙터(200)의 후방 측에 연결되는 연결구(130)와, 일측이 상기 고정브래킷(1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수축 또는 신장되며 상기 베일러(300) 선단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유압실린더(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브래킷(120)은 프레임(110)의 후방측 양단부를 원형 베일러(300)에 각각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구조물로서, "ㄷ"자 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상기 원형 베일러(300)의 전방측 좌우 부분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110)의 후방측 양단부가 상기 각 고정브래킷(120)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110)과 상기 고정브래킷(120) 사이의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110)의 후방측 양단부와 상기 고정브래킷(120)의 하단부는 힌지축(162)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브래킷(120)은 유압실린더(150)의 구동시 상기 힌지축(162)을 중심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이 가능해진다.
이와 함께, 상기 프레임(110)의 후방측 양단부와 상기 고정브래킷(120)의 상단부는 유압실린더(150)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데, 상기 유압실린더(150)의 전방측 단부는 프레임(110)의 양쪽 측면에 상부에 결합된 한 쌍의 지지브래킷(140)에 축핀(143)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유압실린더(150)의 후방측 단부는 상기 고정브래킷(120)의 상단부에 힌지축(154)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유압실린더(150)는 상기 프레임(110)과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브래킷(140)은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면과 평행하도록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양측면에 고정되는 판 형상의 지지플레이트(141)와, 상기 유압실린더(150)의 단부가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141)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이루며 수직하게 고정되어 한 쌍의 지지편(1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유압실린더(150)의 전방측 단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편(142) 사이에 개재되어 맞닿은 상태에서 축핀(143)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유압실린더(150)의 구동시 스트로크(152)의 진퇴운동에 따라 고정브래킷(120)이 하부에 위치한 힌지축(162)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원형 베일러(300)의 선단부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유압실린더(150)의 작동을 위한 동력은 상기 원형 베일러(300) 전방에 있는 트랙터(200)로부터 제공받는다.
즉, 상기 트랙터(200)의 운전석 내에는 드로우바(100)에 장착된 유압실린더(15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작동부(미도시)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작동부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용이하도록 레버(lever) 형태의 작동구조로 채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작동레버(미도시)를 전후 또는 좌우방향으로 조작시, 유압이 상기 유압실린더(150)의 전,후에 위치한 각각의 입구(153)(155)로 선택적으로 제공됨으로써, 스트로크(152)가 실린더 몸체(151)로부터 진퇴운동되면서 원형 베일러(300) 선단부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도 4의 (a)는 평지를 운행할 경우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유압실린더(150)의 스트로크(152)가 실린더 몸체(151) 내부로 완전히 들어가 수축되어, 원형 베일러(300)의 선단부가 지면과 가깝게 내려진 상태가 된다. 반면, 도 4의 (b)는 경사지형을 운행할 경우의 모습으로, 스트로크(152)가 실린더 몸체(151)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와 고정브래킷(120)이 힌지축(162)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원형 베일러(300)의 선단부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들어올진 상태가 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유압식 드로우바 장치는, 트랙터로 원형 베일러를 견인시, 평지에서는 전술된 도 1에서와 같이 유압실린더(150)를 수축시켜 원형 베일러(300)의 선단부 픽업부위를 지면 가까이 내린 상태로 주행하고(이때, 원형 베일러의 보조바퀴 310은 지면 210에 가깝게 내려진 상태임), 경사가 심한 논둑이나 도 5 및 도 6과 같은 내리막 또는 오르막 경사지형에서는 유압실린더(150)를 신장시켜 원형 베일러(300)의 픽업부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들어올린 상태로 주행되도록 함으로써(이때, 원형 베일러의 보조바퀴 310은 지면 210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들어 올려진 상태임), 가장 마모되기 쉬운 부분인 원형 베일러(300)의 픽업부위(수거부분)가 지면의 요철 구조물과 닿아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픽업부위에 이물질이 끼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유압식 드로우바 장치는 작업상황 및 작업장의 진출입 조건에 따라 사용자가 유압실린더(150)를 적절히 구동하여 베일러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편리하고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베일러에 의한 목초 및 볏짚 수거작업을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드로우바(drawbar) 110 : 프레임
120 : 고정브래킷 130 : 연결구
140 : 지지브래킷 141 : 지지플레이트
142 : 지지편 143 : 축핀
150 : 유압실린더 152 : 스트로크
154,162 : 힌지축 200 : 트랙터
300 : 원형 베일러

Claims (6)

  1. 삭제
  2. 베일러(baler)를 견인할 수 있도록 트랙터의 후방에 연결되는 드로우바(drawbar) 장치에 있어서,
    드로우바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베일러의 전방 측에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의 후방 측 단부가 힌지축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프레임의 전방 측에 구비되어 상기 트랙터의 후방 측에 연결되는 연결구와;
    일측이 상기 고정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수축 또는 신장되며 상기 베일러의 선단부 높낮이를 조절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유압식 드로우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유압실린더의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브래킷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유압식 드로우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는 상기 프레임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유압식 드로우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래킷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판 형상의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면에 수직하게 고정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유압실린더의 단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편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축핀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유압식 드로우바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터에는 상기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유압식 드로우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트랙터의 운전석 내에 레버(lever)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일러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유압식 드로우바 장치.
KR1020100035519A 2010-04-16 2010-04-16 베일러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유압식 드로우바 장치 KR101169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519A KR101169319B1 (ko) 2010-04-16 2010-04-16 베일러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유압식 드로우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519A KR101169319B1 (ko) 2010-04-16 2010-04-16 베일러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유압식 드로우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913A KR20110115913A (ko) 2011-10-24
KR101169319B1 true KR101169319B1 (ko) 2012-07-30

Family

ID=45030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519A KR101169319B1 (ko) 2010-04-16 2010-04-16 베일러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유압식 드로우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93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709B1 (ko) 2019-09-16 2020-04-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높이 조절이 가능한 트랙터용 드로우바 유닛
EP4342272A1 (de) * 2022-09-23 2024-03-27 Deere & Company Deichsel und arbeitsgerä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468B1 (ko) 2017-05-02 2018-06-20 농업회사법인 금광(주) 높이조절기능이 구비된 농업용 베일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5943A (en) 1998-05-28 2000-03-14 Flexi-Coil Ltd Frame leveling system for tillage implemen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5943A (en) 1998-05-28 2000-03-14 Flexi-Coil Ltd Frame leveling system for tillage implemen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709B1 (ko) 2019-09-16 2020-04-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높이 조절이 가능한 트랙터용 드로우바 유닛
EP4342272A1 (de) * 2022-09-23 2024-03-27 Deere & Company Deichsel und arbeitsgerä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913A (ko) 2011-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1506B2 (en) Arrangement for the adjustment of the position of a take up drum and a hold-down of an agricultural harvesting machine
US8348001B2 (en) Agricultural harvesting machine
US8443580B2 (en) Baler pickup for collecting biomass from a combine harvester
US20090100814A1 (en) Non-Powered Roller for Assisting Crop Pick-Up With a Baler
US7654069B1 (en) Baler slider frame for mounting accessories to a crop pickup device
US9038357B2 (en) Windguard mechanism of a pick-up for an agricultural machine
US6810650B2 (en) Replaceable windguard tines for a round baler
WO2011119991A1 (en) Pull-type cotton harvester and baler
KR101169319B1 (ko) 베일러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유압식 드로우바 장치
US7043892B1 (en) Multiple baling system
CN101999271A (zh) 秸秆切碎收集打方捆机
CA2967318A1 (en) Straw buncher
US20020059790A1 (en) Combined baler and rake apparatus
EP2458956B1 (en) Baler tongue for collecting biomass
KR20080113535A (ko) 자주식 원형베일러
CN201860580U (zh) 秸秆切碎收集打方捆机
EP3454636B1 (en) Crop handling apparatus
NL2009265C2 (en) A crop pickup device having an overload protection device.
EP3809817B1 (en) Agricultural baler with an axle arrangement
KR101869468B1 (ko) 높이조절기능이 구비된 농업용 베일러
KR200374904Y1 (ko) 사각 베일러의 픽업부 승강장치
KR101084317B1 (ko) 자주식 원형 베일러
RU2625659C1 (ru) Комбайн гусеничный для заготовки грубых кормов
KR200442613Y1 (ko) 원형베일러용 주행장치
US20240138309A1 (en) Support Wheels for a Pickup Hea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