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537Y1 - 티슈 케이스 - Google Patents

티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537Y1
KR200442537Y1 KR2020070013000U KR20070013000U KR200442537Y1 KR 200442537 Y1 KR200442537 Y1 KR 200442537Y1 KR 2020070013000 U KR2020070013000 U KR 2020070013000U KR 20070013000 U KR20070013000 U KR 20070013000U KR 200442537 Y1 KR200442537 Y1 KR 2004425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case
upper half
shape
tissu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30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연
Original Assignee
김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연 filed Critical 김지연
Priority to KR20200700130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5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5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5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스부와 티슈가 하나의 특정한 주제를 일체적으로 나타냄으로써 사무실의 책상이나 화장대 등에 배치한 경우 장식적 효과를 극대화하여 제품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티슈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고안은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티슈를 인출하여 사용하는 티슈케이스로서, 내부에 복수의 티슈가 적층되며 상면에는 티슈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가 형성된 케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티슈의 각각은 반으로 접혀짐으로써 상반부와 하반부를 형성하고, 하나의 티슈의 상반부 및 하반부 사이의 접힘부 내측으로 이 티슈의 상측에 위치하는 티슈의 하반부와 이 티슈의 하측에 위치하는 티슈의 상반부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접혀져서 삽입되며, 상기 케이스부가 수용체 형상을 가지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티슈의 각각의 상반부에는 상기 수용체에 수용되는 물품 형상이 표현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복수의 티슈 중 하나를 인출한 경우 티슈 케이스가 물품이 수용체에 수용된 형상 전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용체, 화분

Description

티슈 케이스{TISSUE CASE}
본 고안은 티슈 케이스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출된 티슈와 티슈 케이스부에 의해 수용체에 담겨진 물품 형상을 나타낼 수 있는 티슈 케이스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티슈 케이스는 박스 형상의 케이스부의 내부에 종이가 적층되도록 구성되며, 케이스부 상면에 형성된 인출구를 통해 티슈를 한 장씩 인출하여 사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티슈 케이스의 케이스부는 통상적으로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장식미를 주기 위해 평면형상 케이스부의 여러 가지 그림 등이 인쇄되어 있다.
또한, 티슈도 단지 흰색이나 연한 파랑색 등 파스텔 계열 색상으로 제작하거나 조그만 무양이 반복되는 형상으로 표현되어 있다.
그러나, 티슈에 인쇄된 단순 반복되는 형상이나 평평한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의 평면부에 인쇄된 그림 등은 티슈 케이스의 기능적 부분에 단순한 장식적 치장만을 가미한 것에 지나지 않는 바, 사무실의 책상이나 화장대 등에 배치한 경우 사용자의 시선을 끌만한 장식적 효과를 전혀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케이스부와 티슈가 하나의 특정한 주제를 일체적으로 나타냄으로써 사무실의 책상이나 화장대 등에 배치한 경우 장식적 효과를 극대화하여 제품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티슈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고안은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티슈를 인출하여 사용하는 티슈케이스로서, 티슈(20)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11)가 형성된 케이스부(10)와, 상기 케이스부(10)의 내부에서 적층 구성을 형성하면서 재치되는 복수의 티슈(20)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티슈(20)의 각각은 접힘선(21)을 중심으로 하여 접혀져서 상반부(22) 및 하반부(23)를 이루고, 상기 복수의 티슈(20)의 적층 구성은 하나의 티슈 (20a) 의 접혀진 상반부(22) 및 하반부(23) 사이의 내측으로 이 티슈 (20a) 의 상측에 위치하는 티슈 (20b)의 하반부(23)와 상기 하나의 티슈 (20a) 의 하측에 위치하는 티슈 (20c)의 상반부(22)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접혀져서 삽입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티슈(20)의 각각의 상반부(22)에는 특정 물품의 형태가 표현되고, 상기 케이스부(10)에는 상기 특정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체의 형태가 표현됨으로써, 상기 케이스부(10)의 인출구(11)를 통해 상측에 위치하는 티슈(20b)를 케이스부(10)로부터 분리인출하면 이 티슈(20b)의 아래에 위치하는 티슈(20a)의 상반부(22)가 케이스부(10)의 인출구(11)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케이스부(10)에 표현된 수용체에 티슈(20a)의 상반부(22)에 표현된 물품이 수용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티슈 케이스를 사무실의 책상이나 화장대 등에 놓은 경우 티슈 케이스부에 표현된 수용체 형상과 티슈에 표현된 수용체 형상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물품의 형상이 일체적으로 하나의 특정 주제를 형성하게 되는 바, 티슈 케이스의 장식적 효과를 최대화하여 티슈 케이스의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티슈 케이스에서, 상기 케이스부(10)에는 화분 형태가 표현되고, 상기 각 티슈의 상반부(22)에는 꽃이나 식물 형태가 표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티슈 케이스를 단순히 책상 등에 올려놓는 것만으로도 꽃이 심어진 화분을 올려놓은 듯한 느낌을 주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티슈(20)의 상반부(22) 앞면에는 꽃이나 식물의 정면형태가 표현되고, 상기 티슈(20)의 상반부(22) 뒷면에는 꽃이나 식물 모양의 배면형태가 표현되어 있음으로써 티슈(20)를 인출한 경우에 화분에 심어진 꽃이나 식물 형태가 입체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으로 인해 티슈 케이스를 어느 쪽에서 보더라도 화분에 꽃이 심어지는 입체적인 주제를 느끼게 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티슈(20)에는 표현된 꽃이나 식물의 향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분에 인쇄된 꽃 모양의 향을 포함시킴으로써 시각적으로는 물론 후각적으로 특정한 주제를 더욱 인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은 전술한 구성에 의해 티슈 케이스부에 표현된 수용체 형상과 티슈에 표현된 수용체 형상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물품의 형상이 합쳐져 일체적으로 하나의 특정한 주제를 나타내게 되는 바, 본 고안의 티슈 케이스를 사무실의 책상이 나 화장대 등에 놓은 경우 티슈 케이스의 장식적 효과가 훨씬 증대되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티슈 케이스로서의 기본적인 기능을 가짐을 물론 특정한 주제를 나타내는 장식적인 효과로 인해 인테리어 소품적 기능도 가지게 되어 티슈 케이스로서의 제품 경쟁력이 제고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더욱이, 티슈에 정면에 표현된 형상을 배면에도 동일하게 나타냄으로써 티슈 케이스를 어느 쪽에서 보더라도 동일한 주제를 나타낼 수 있으며, 또한 티슈의 배면에 물품의 배면형상을 표현함으로써 나타내고자 하는 주제를 입체감이 느껴지게 할 수도 있다.
한편, 티슈에 인쇄된 꽃이나 식물의 향을 티슈에 포함시킴으로써 시각적으로는 물론 후각적으로 특정한 주제를 더욱 인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티슈 케이스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도 1a 는 코스모스, 도 1b 는 크리스마스 트리, 도 1c 는 선인장이 각각 심어진 화분을 나타내는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티슈 케이스 (1) 는 케이스부 (10) 와, 상기 케이스부 (10) 의 내부에 적층된 복수의 티슈 (20) 로 이루어진다.
도 2 는 본 고안의 케이스부의 분해 전개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의 케이 스부의 사시도이다.
케이스부 (10) 의 소재로는 실제 화분의 느낌을 줄 수 있도록 갈색 톤의 색감을 지닌 종이나 유사재질이 이용되며,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종이 등을 접어서 제작할 수 있다.
케이스부 (10) 는 도 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형형상이거나, 도 1b 나 1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부 (10) 의 상면에는 티슈 (20) 를 인출구 (11) 가 형성되며, 인출구 (11) 는 티슈 (20) 의 낱장 인출이 용이하도록 구멍이 작게 형성된다.
케이스부 (10) 의 하면에는 실제 화분 느낌을 더욱 살릴 수 있도록 배수구 (12) 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은 본 고안의 티슈의 전개도이다.
티슈 (20) 는 접힘선 (21) 을 중심으로 접혀짐으로써 상반부 (22) 와 하반부 (23) 로 이루어지게 된다.
티슈 (20) 의 상반부 (22) 에는 꽃이나 식물의 그림이나 사진이 표현되어 있으며, 상반부 (22) 의 정면뿐 아니라 배면에도 정면과 동일한 물품의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티슈 (20) 의 상반부 (22) 의 정면에는 표현하는 물품의 정면을 나타내고 상반부 (22) 의 배면에는 표현하고자 하는 물품의 배면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표현하고자 하는 물품 형상을 티슈 (20) 에 나타내는 방법으로는 인쇄나 기 타 공지된 표현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인쇄 등에 사용하는 염료 등은 피부에 자극이나 트러블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천연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티슈 (20) 에는 표현하는 물품과 관련된 향을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티슈 (20) 에 장미꽃을 나타낸 경우에는 장미향이 풍겨나오도록 제작할 수 있다.
도 5 는 본 고안의 티슈가 케이스부의 내부에 적층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서 티슈 (20) 의 적층 구성은 각각의 티슈 (20) 가 반으로 접혀져서 상반부 (22) 와 하반부 (23) 를 형성한 상태에서, 하나의 티슈 (20a) 의 상반부 및 하반부 사이의 접힘부 내측으로 이 티슈 (20a) 의 상측에 위치하는 티슈 (20b) 의 하반부와 상기 하나의 티슈 (20a) 의 하측에 위치하는 티슈 (20c) 의 상반부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접혀져서 삽입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공지된 구성이다.
티슈 (20) 의 하반부 (23) 는 다른 티슈 (20) 의 상반부 (22) 는 고정부 (24) 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며, 고정부 (24) 는 양 티슈 (20) 가 폭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고정부 (24) 의 구성은 양 티슈 (20) 를 작은 힘으로 분리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접착수단 등 다른 수단도 가능하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케이스부 (10) 의 인출구 (11) 를 통해 상측 티슈 (20b) 의 상반부 를 파지하여 인출하게 되면, 상측 티슈 (20b) 의 하반부가 티슈 (20a) 의 상반부와 함께 좁은 구멍으로 형성된 인출구 (11) 를 통과하면서 저항력을 받으면서 상대적으로 약한 부분인 티슈 (20b) 의 하반부 단부에 형성된 고정부 (24) 가 분리되면서 상측 티슈 (20a) 가 완전히 인출된다.
한편, 하측 티슈 (20a) 는 상반부만이 인출구 (11) 의 외부로 인출되어 케이스부 (10) 의 상면에서 다음 사용을 위해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케이스부 (10) 는 갈색 톤의 화분형상이며 케이스부 (10) 의 상측으로 인출된 티슈 (20a) 의 상반부에는 꽃이나 식물 형상을 표현하고 있는 바, 티슈 케이스는 전체적으로 꽃이 심어져 있는 화분이라는 주제를 표시하게 된다.
즉, 본 고안에서는 케이스부 (10) 의 형상과 티슈 (20) 의 상반부에 표현된 물품 형상이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의 각 부분을 담당함으로써 티슈 (20) 가 인출된 형상이 전체적으로 하나의 일체화된 주제를 나타내게 된다.
더욱이, 티슈 (20) 의 배면에도 꽃이나 식물의 형상을 표현한 경우에는 티슈 케이스를 어느 쪽에도 보더라도 꽃이나 식물이 심겨진 화분의 느낌을 주게 되며, 티슈 (20) 의 배면에는 꽃이나 식물의 배면 형상을 표현한 경우에는 더욱 입체적인 꽃이나 식물의 느낌을 줄 수 있게 된다.
한편, 티슈 (20) 에 표현된 꽃의 향을 포함한 경우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시각적으로는 물론 후각적으로도 동일한 주제에 대한 느낌을 더욱 인상적으로 심어 주는 작용을 한다.
또한, 화분형상의 동일한 케이스부 (10) 를 사용하면서 티슈 (20) 의 상반부 (22) 에 인쇄되는 꽃이나 식물의 종류만을 달리하여 케이스부 (10) 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꽃이나 선인장 등의 식물의 형상이 표현된 티슈 (20) 를 식물과 관련된 화분형상의 케이스부 (10) 에 적층된 티슈 케이스 (1) 에 대한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케이스부 (10) 를 자동차나 집의 형상으로 하거나 케이스부(10)에 자동차나 집을 인쇄하여 자동차나 집을 표현하고, 티슈 (20) 에는 자동차 밖으로 얼굴을 내민 형상 또는 가족의 그림이나 사진을 표현하는 등 여러 가지 변형예도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이나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티슈 케이스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의 케이스부의 분해 전개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의 케이스부의 사시도이다.
도 4 은 본 고안의 티슈의 전개도이다.
도 5 는 본 고안의 티슈가 케이스부의 내부에 적층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의 대한 부호의 설명*
10:케이스부 11:인출구
12:배수구 20:티슈
21:접힘선 22:상반부
23:하반부 24:고정부
삭제

Claims (4)

  1. 티슈를 인출하여 사용하는 티슈 케이스로서,
    티슈(20)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구(11)가 형성된 케이스부(10)와,
    상기 케이스부(10)의 내부에서 적층 구성을 형성하면서 재치되는 복수의 티슈(20)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티슈(20)의 각각은 접힘선(21)을 중심으로 하여 접혀져서 상반부(22) 및 하반부(23)를 이루고,
    상기 복수의 티슈(20)의 적층 구성은 하나의 티슈 (20a) 의 접혀진 상반부(22) 및 하반부(23) 사이의 내측으로 이 티슈 (20a) 의 상측에 위치하는 티슈 (20b)의 하반부(23)와 상기 하나의 티슈 (20a) 의 하측에 위치하는 티슈 (20c)의 상반부(22)가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접혀져서 삽입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티슈(20)의 각각의 상반부(22)에는 특정 물품의 형태가 표현되고,
    상기 케이스부(10)에는 상기 특정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체의 형태가 표현됨으로써,
    상기 케이스부(10)의 인출구(11)를 통해 상측에 위치하는 티슈(20b)를 케이스부(10)로부터 분리인출하면 이 티슈(20b)의 아래에 위치하는 티슈(20a)의 상반부(22)가 케이스부(10)의 인출구(11)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케이스부(10)에 표현된 수용체에 티슈(20a)의 상반부(22)에 표현된 물품이 수용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10)에는 화분 형태가 표현되고, 상기 각 티슈의 상반부(22)에는 꽃이나 식물 형태가 표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티슈(20)의 상반부(22) 앞면에는 꽃이나 식물의 정면형태가 표현되고,
    상기 티슈(20)의 상반부(22) 뒷면에는 꽃이나 식물 모양의 배면형태가 표현되어 있음으로써 티슈(20)를 인출한 경우에 화분에 심어진 꽃이나 식물 형태가 입체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케이스.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티슈(20)에는 표현된 꽃이나 식물의 향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케이스.
KR2020070013000U 2007-08-02 2007-08-02 티슈 케이스 KR2004425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000U KR200442537Y1 (ko) 2007-08-02 2007-08-02 티슈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3000U KR200442537Y1 (ko) 2007-08-02 2007-08-02 티슈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2537Y1 true KR200442537Y1 (ko) 2008-11-19

Family

ID=41647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3000U KR200442537Y1 (ko) 2007-08-02 2007-08-02 티슈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53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499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greeting bag
US9842516B2 (en) Article with removable three-dimensional object
US20170178544A1 (en) Article with removable three-dimensional object
KR200442537Y1 (ko) 티슈 케이스
CN205922509U (zh) 一种鱼缸
KR200426679Y1 (ko) 야광 비누 꽃
KR200339582Y1 (ko) 해충퇴치기능을 가지는 장식용품
JP3109812U (ja) カップ付きケーキ型タオル製装飾品
KR200244485Y1 (ko) 다용도 포장 박스
USD943023S1 (en) Greeting card with stand
JP7373141B2 (ja) 被飾体保持具
KR200413022Y1 (ko) 숨은그림찾기 화장지
JP2002345613A (ja) 植木鉢収納体
JPH0235274Y2 (ko)
JPWO2009128396A1 (ja) 植物栽培容器
US5695160A (en) Decorative tissue box holder
KR200248843Y1 (ko) 향내음 자연비누
CN201734638U (zh) 多用型纸巾盒
JP3033949U (ja) 洋式便器の蓋カバー
JP2589881Y2 (ja) 植物販売又は観賞用の装飾カバー
KR200221225Y1 (ko) 조화
JP3184105U (ja) メッセージ記入機能付き棺及びこれに使用するメッセージ記入片
KR200359812Y1 (ko) 종이박스에 꽃장식이 부착된 장의용 관의 덮개
JP3135397U (ja) プリザードフラワーアレンジメント用補助容器および装飾レース付プリザードフラワーアレンジメント用容器
JP3133371U (ja) 身装品組み合わせ造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