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432Y1 - 화장품용기의 분사노즐 출몰장치 - Google Patents

화장품용기의 분사노즐 출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432Y1
KR200442432Y1 KR2020070000375U KR20070000375U KR200442432Y1 KR 200442432 Y1 KR200442432 Y1 KR 200442432Y1 KR 2020070000375 U KR2020070000375 U KR 2020070000375U KR 20070000375 U KR20070000375 U KR 20070000375U KR 200442432 Y1 KR200442432 Y1 KR 2004424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groove
holder
outer contain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3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2585U (ko
Inventor
민병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코
Priority to KR20200700003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432Y1/ko
Publication of KR200800025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5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4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4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33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the piston being a follower-piston and the dispensing means comprising a hand-operated pressure-device at the opposite part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7Spray nozzles; Generating atomised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받침캡의 정/역회전에 따라 내부용기 및 분사노즐이 승강하면서, 상기 내부용기에 내재된 내용물의 연속 펌핑동작을 가능하게 하며, 용기 외부로 출몰동작하는 분사노즐의 연속 누름압력에도 내부용기가 하강되지 않는 화장품용기의 분사노즐 출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원통형상의 외측용기; 상기 외측용기의 내측에 구비되며, 내용물이 담겨지는 내측용기; 상기 외측용기의 하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소정의 원주각도만큼 내주면을 따라 가이드홈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는 회전받침수단; 상기 회전받침수단에 삽입되며, 양측면 대향부에 수직홈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받침수단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승강돌기를 외주면 하단부에 구비하여 상기 회전받침수단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돌기가 회전받침수단의 가이드홈을 따라 안내되면서 내측용기를 승강시키는 홀더; 및 상기 외측용기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내경면에 홀더의 수직홈과 대응하도록 가이드돌기가 구비되어 승강돌기가 가이드홈을 따라 승강동작할 때, 홀더가 수직이동하도록 안내하는 홀더고정링을 포함하는 화장품용기의 분사노즐 출몰장치를 제공한다.
화장품용기, 외측용기, 홀더, 홀더고정링, 분사노즐, 회전받침캡

Description

화장품용기의 분사노즐 출몰장치{Apparatus for going up and down an injection nozzle of a cosmetic container}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출몰식 노즐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의 일 예시도.
도2a 및 도2b는 도1에 도시된 출몰식 노즐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의 작용상태도.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화장품 용기의 분사노즐 출몰장치의 일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4a 및 도4b는 본 고안에 의한 화장품 용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3의 조립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요부구성인 외측용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6a 및 도6b는 본 고안의 요부구성인 회전받침대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로서, 도6a는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6b는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고안의 요부구성인 홀더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8은 본 고안의 요부구성인 홀더고정링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9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외측용기 4: 내측용기
6: 회전받침캡 8: 홀더
10: 승강돌기 12: 홀더 고정링
14: 가이드돌기 22: 언더컷
24: 언더라인 32: 분사노즐
34: 펌프어셈블리
본 고안은 누름방식에 의해 액상 또는 겔상의 내용물이 소량씩 토출되도록 하는 분사노즐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측용기의 받침대를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분사노즐이 승강하면서 출몰되도록 하는 화장품용기의 분사노즐 출몰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화장품용기들은 영양크림, 겔상의 파운데이션과 같이 점도가 높은 내용물을 용기 본체내에 수납하고, 펌핑에 의해 소량씩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펌프식 배출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펌핑방식 화장품용기는 용기 몸체의 상부에 노즐캡이 구비된 가압식 펌프를 결합하고, 용기 내부에는 별도 의 피스톤을 삽입하여, 펌프의 눌려진 압력에 의해 용기 내부의 압력차가 발생하면 그 내용물이 배출되며 그 배출된 공간만큼 피스톤이 상승하여 내부의 내용물을 상부로 밀어 올리는 작용을 한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화장품용기는 내용물이 토출되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노즐을 포함하는 펌프체를 뚜껑으로 덮어 씌우고, 사용시 뚜껑을 열어 노즐을 노출시킨 다음 사용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 펌프체에 설치된 배출구가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져 있어, 휴대중에 보호캡이 벗겨질 경우,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버튼이 눌려져 내용물이 토출되는 일이 발생하고, 또한 가정에서는 화장품용기를 화장대에 올려놓았을 때 어린아이들이 배출구를 눌러 내용물을 낭비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실용신안등록 제20-0345994호에서 사용자의 임의 조작에 의해 분사노즐이 출몰되는 방식의 화장품 용기를 제안하였다.
이 기술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인입요홈(111)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수직 가이드홈(112)이 형성된 외부용기(110)와; 내용물이 내재되며, 외주면에 수직가이드돌기(124)와 안내돌기(125)가 90°방향으로 대향되게 구비된 내부용기(120)와; 상기 인입요홈(111)에 끼워지는 배출구(123)가 구비되며, 펌핑작동으로 내부용기(120)의 내용물을 배출구(123)로 토출시키는 펌프(121)와, 상기 안내돌기(125)가 끼워지는 나선형 홈(113)이 내주면에 형성되어 회전동작에 의해 내부용기(120)를 승강시키는 회전캡(1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출몰식 화장품 용기는 도2a 및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시 뚜껑을 분리하지 않고 회전체(114)를 정방향(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안내돌기(125)가 나선형홈(113)을 따라 상승하여 내부용기를 밀어 올려줌과 동시에, 상기 수직 가이드 돌기(124)가 가이드홈(112)을 따라 상승함으로써 배출구(123)가 출몰되고, 상기 회전캡(114)을 반대로 회전(정방향 또는 역방향)시키면 배출구(123)가 하강되어 외부용기(110)의 인입요홈(111)으로 은폐되도록 작동한다. 따라서, 비사용중에는 본의 아니게 배출구(123)가 눌려져 화장품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펌프(121)의 배출구(123)가 출몰된 상태에서 펌핑동작을 위해 배출구(123)를 누르게 되면, 회전캡(114)에 형성된 나선형홈(113)의 최정점에 있던 안내돌기(125)가 배출구(123)를 누르는 압력에 의해 나선형홈(113)을 따라 역으로 하강하게 되어 연속 펌핑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오동작이 발생된다.
둘째, 내부용기를 외부용기(110)에 끼울 때, 수직가이드홈(112)에 수직 가이드 돌기(124)를 맞추어 끼우기가 어렵고, 또 회전캡(114)을 내부용기(120)에 씌우는 과정에서, 안내돌기(125)가 뭉그러져 나선형홈(113)의 영역 밖으로 이탈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셋째, 배출구(123)와 펌프(121)의 스템(122)이 끼워맞춤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펌프(121)의 스템(122)에 끼워진 배출구(123)가 헛돌게 된다. 이는 내용물의 토출 후 회전캡(114)을 돌려 출몰된 배출구(123)를 외부용기(110)의 인입요홈(111)내측으로 은폐시킬 경우, 배출구(123)의 헛돎에 의해 상기 배출구(123)를 인입요홈(111)의 삽입위치에 맞춰 끼우는 동작을 매번 내용물 토출동작의 완료후에 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상기 스템에 끼워 맞춰진 배출구(123)의 잦은 펌핑동작으로 인한 끼움부위가 헐거워져 상기 결합부가 스템으로부터 쉽게 이탈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출몰식 화장품용기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노출되어 시중에 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회전받침캡의 정/역회전에 따라 내부용기 및 분사노즐이 승강하면서, 상기 내부용기에 내재된 내용물의 연속 펌핑동작을 가능하게 하며, 용기 외부로 출몰동작하는 분사노즐의 연속 누름압력에도 내부용기가 하강되지 않는 화장품용기의 분사노즐 출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원통형상의 외측용기; 상기 외측용기의 내측에 구비되며, 내용물이 담겨지는 내측용기; 상기 외측용기의 하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소정의 원주각도만큼 내주면을 따라 가이드홈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는 회전받침수단; 상기 회전받침수단에 삽입되며, 양측면 대향부에 수직홈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받침수단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승강돌기를 외주면 하단부에 구 비하여 상기 회전받침수단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돌기가 회전받침수단의 가이드홈을 따라 안내되면서 내측용기를 승강시키는 홀더; 및 상기 외측용기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내경면에 홀더의 수직홈과 대응하도록 가이드돌기가 구비되어 승강돌기가 가이드홈을 따라 승강동작할 때, 홀더가 수직이동하도록 안내하는 홀더고정링을 포함하는 화장품용기의 분사노즐 출몰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3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화장품용기의 분사노즐 출몰장치는 외측용기를 받쳐주는 받침캡의 정/역회전에 따라 분사노즐이 승강동작하며, 외부용기로부터 출몰된 분사노즐의 연속누름동작시 누름압력에 의해 상승된 내부용기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도3, 도5 내지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부 내주면에 소정 원호각도로 키홈(2a)이 형성되며, 상단면은 소정 각도의 경사면(2b)을 갖는 원통형상의 외측용기(2)와; 상기 외측용기(2)의 내측에 구비되며, 내용물이 담겨지는 내측용기(4)와; 상기 외측용기(2)의 하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소정의 원주각도만큼 내주면을 따라 가이드홈(6a)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는 회전받침캡(6)과; 상기 회전받침캡(6)에 삽입되며, 양측면에 수직홈(8a)을 대향되게 형성하고, 상기 회전받침캡(6)의 가이드홈(6a)에 삽입되는 승강돌기(10)를 외주면 하단부에 구비하여 상기 회전받침캡(6)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돌기(10)가 가이드홈(6a)을 타고 안내되면서 내측용기(4)를 승강동작시키는 홀더(8)와; 상기 외측용기(2)의 키홈(2a)에 끼워지도록 상부에 키(12a)가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홀더(8)의 수직홈(8a)과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돌기(14)가 구비되어 승강돌기(10)가 가이드홈(6a)을 따라 승강동작할 때, 홀더(8)의 수직이동을 안내하는 홀더고정링(1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5에 도시된 상기 외측용기(2)의 키홈(2a)과 도8에 도시된 홀더고정링(12)의 키(12a)는 상호 끼워맞춰지도록 "T"자 단면을 가진다. 상기 키홈(2a)과 키(12a)의 형상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키홈(2a)은 외측용기(2)의 내면에 원주면을 따라 일정깊이의 원호홈이 형성되고, 상기 원호홈의 중앙부에 더 깊게 요홈이 형성된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키(12a)는 홀더 고정링(12)의 상면에 원호홈에 대응하는 판이 형성되고, 상기 판의 중앙부에 요홈에 끼워지기 위한 돌출편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더브테일 및 더브테일홈의 끼워맞춤과 과 같이 홀더고정링(12)이 외측용기의 내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외측용기(2)와 회전받침캡(6)은 끼워맞춤으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외측용기(2)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언더컷(22)이 형성되고, 회전받침캡(6)의 외주면에는 언더라인(24)이 형성되어 언더컷(22)과 언더라인(24)이 한번의 끼움동작으로 상호 끼워맞춰져 결합되는 것이다.
도6a 및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받침캡(6)의 가이드홈(6a)은 그의 양단이 수평으로 연장되어 승강돌기(10)를 안착시키기 위한 최저점 연장홈(6b)과 최고점 연장홈(6c)을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회전받침캡(6)의 대향하는 양측 가이드홈(6a)의 사이 내면에는 홀더(8)의 승강돌기(10)가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수납홈(16)이 형성된다.
상기 외측용기(2)는 그의 상단면이 소정각도만큼 경사진 경사면(2b)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2b)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가지고 외측용기(2)와 결합하는 분사노즐(32)이 구비된다.
미설명부호 34는 펌프어셈블리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도4a 및 도4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a는 분사노즐(32)이 외측용기(2) 내부에 은폐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4b는 분사노즐(32)이 펌핑동작을 위해 외측용기(2) 외부로 출몰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용기(4)가 외측용기(2)에 삽입되어 있어 분사노즐(32)이 은폐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홀더(8)의 승강돌기(10)가 회전받침캡(6)의 최저점 연장홈(6b)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홀더고정링(12)의 가이드 돌기(14)는 홀더의 수직홈(8a)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받침캡(6)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받침캡(6)의 최저점 연장홈(6b)에 위치하고 있던 홀더(8)의 승강돌기(10)가 가이드홈(6a)을 타고, 상승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홀더(8)의 수직홈(8a) 상부에 위치하고 있던 홀더 고정링(12)의 가이드 돌기(14)가 수직홈(8a)의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홀더(8)의 회전운동을 수직운동으로 변환시킨다.
상기 홀더(8)의 승강돌기(10)가 가이드홈(6a)을 타고 상승하여 최고점에 도달했을 때, 상기 승강돌기(10)는 최고점 연장홈(6c)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분사노즐(32)은 완전하게 출몰되어 펌핑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받침캡(6)을 강제적으로 더 회전시켜도, 외측용기(2)에 고정되어 있는 홀더 고정링(12)의 가이드 돌기(14)가 홀더(8)의 수직홈(8a) 바닥부에 걸려 있어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32)이 출몰된 상태에서 상기 분사노즐(32)을 연속적으로 누룰 경우에도 가이드 돌기(14)가 홀더(8)의 수직홈(8a) 바닥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승강돌기(10)가 최고점 연장홈(6c)으로부터 가이드홈(6a)을 타고 내려가지 않으며, 이에 따라 내부용기(4)가 하강되지 않게 된다.
상기 외부로 출몰된 분사노즐(32)을 다시 하강시키는 동작은 상기의 역순으로 진행한다. 즉, 상기 회전받침캡(6)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최정점연장홈(6c)에 위치하고 있던 승강돌기(10)가 가이드홈(6a)을 타고 하강하며, 이와 동시에 홀더(8)의 수직홈(8a) 바닥부에 위치하고 있던 가이드 돌기(14)가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거쳐 상기 내측용기(4)는 외측용기(2)의 하부로 다시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회전받침캡의 회전에 의해 분사노즐을 출몰시킬 수 있어 내용물을 분출을 위한 조작이 매우 편리하며, 또한, 회전받침캡의 승강돌기가 회전받침캡의 최정점에 도달한 상태에서 홀더고정링의 가이드 돌기가 홀더의 수직홈 바닥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분사노즐의 연속적인 펌핑동작시에도 내측용기가 누름압력에 의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원통형상의 외측용기;
    상기 외측용기의 내측에 구비되며, 내용물이 담겨지는 내측용기;
    상기 외측용기의 하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소정의 원주각도만큼 내주면을 따라 경사진 가이드홈이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경사진 가이드홈의 양단에는 수평으로 연장된 최저점 연장홈과 최고점 연장홈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받침수단;
    상기 회전받침수단에 삽입되며, 양측면 대향부에 수직홈이 형성되고 외주면 하단부에는 상기 회전받침수단의 가이드홈에 삽입되되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안내되면서 최저점 연장홈 및 최고점 연장홈에 안착되는 승강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받침수단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승강돌기가 회전받침수단의 가이드홈을 따라 안내되면서 내측용기를 승강시키는 홀더; 및
    상기 외측용기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내경면에 홀더의 수직홈과 대응하도록 가이드돌기가 구비되어 승강돌기가 가이드홈을 따라 승강동작할 때, 홀더가 수직이동하도록 안내하는 홀더고정링
    을 포함하는 화장품용기의 분사노즐 출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용기의 하단부 내주면에 소정 원호각도로 형성된 키홈; 및 상기 외측용기의 키홈에 대응하는 위치의 홀더고정링 상부에 돌출되게 구비된 키를 더 포함하여 상기 키홈에 키가 끼워져 홀더고정링을 외측용기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의 분사노즐 출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홈 및 키는 "T"자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의 분사노즐 출몰장치.
  4. 삭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용기의 하단부 외주면에 언더컷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언더컷에 결합하도록 회전받침캡의 상단 외주면에 언더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기의 분사노즐 출몰장치.
KR2020070000375U 2007-01-09 2007-01-09 화장품용기의 분사노즐 출몰장치 KR2004424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375U KR200442432Y1 (ko) 2007-01-09 2007-01-09 화장품용기의 분사노즐 출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375U KR200442432Y1 (ko) 2007-01-09 2007-01-09 화장품용기의 분사노즐 출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585U KR20080002585U (ko) 2008-07-14
KR200442432Y1 true KR200442432Y1 (ko) 2008-11-10

Family

ID=41490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375U KR200442432Y1 (ko) 2007-01-09 2007-01-09 화장품용기의 분사노즐 출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43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3897A3 (ko) * 2009-07-29 2011-03-31 (주)연우 화장품 용기
KR20180055323A (ko) 2016-11-17 2018-05-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펌프용기
KR20210000372U (ko) * 2019-08-09 2021-02-17 주식회사 두코 화장품용기
KR102308121B1 (ko) * 2020-06-22 2021-10-05 주식회사 세프패키징 액상 화장품 용기
KR102381811B1 (ko) * 2021-12-08 2022-04-01 주식회사 두코 화장품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334Y1 (ko) * 2014-07-04 2014-12-04 (주)민진 리필 가능한 화장품 용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3897A3 (ko) * 2009-07-29 2011-03-31 (주)연우 화장품 용기
KR101058055B1 (ko) 2009-07-29 2011-08-19 (주)연우 화장품 용기
KR20180055323A (ko) 2016-11-17 2018-05-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펌프용기
KR20210000372U (ko) * 2019-08-09 2021-02-17 주식회사 두코 화장품용기
KR200493568Y1 (ko) 2019-08-09 2021-04-23 주식회사 두코 화장품용기
KR102308121B1 (ko) * 2020-06-22 2021-10-05 주식회사 세프패키징 액상 화장품 용기
KR102381811B1 (ko) * 2021-12-08 2022-04-01 주식회사 두코 화장품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585U (ko) 2008-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2432Y1 (ko) 화장품용기의 분사노즐 출몰장치
KR100950160B1 (ko) 화장품 용기의 버튼 슬라이드식 개폐장치
KR101631827B1 (ko) 펌프 타입 컴팩트 용기
KR200455000Y1 (ko) 리필 가능한 출몰식 화장품 용기
JP4307492B2 (ja) 化粧品容器
KR200347811Y1 (ko) 출몰식 화장품 용기
KR200440599Y1 (ko) 도포수단이 구비된 샤프펜슬타입의 디스펜서 용기
JP2016537051A (ja) 回転吐出式化粧品容器
KR20120040814A (ko) 회전 토출식 화장품 용기
KR20090065146A (ko) 액상 화장품 용기
KR200449855Y1 (ko) 튜브형 화장품용기
KR200438097Y1 (ko) 화장품 용기
KR200442431Y1 (ko) 분사식 화장품용기
KR20140115097A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아이라이너 화장품용기
JP5483414B2 (ja) 押下ヘッド付き吐出器
KR100339479B1 (ko) 립스틱케이스
CN209769402U (zh) 化妆工具
KR102031115B1 (ko) 회전형 화장품 용기
KR200468344Y1 (ko) 방향 가변 회전 노즐을 구비하는 펌프 헤드 구조체
JP3153523U (ja) 液体容器
KR200380074Y1 (ko) 배출노즐이 구비된 프라스틱형 용기
KR200311494Y1 (ko) 디스펜서 용기
KR200304045Y1 (ko) 파우더 배출이 용이한 화장용 브러쉬
KR200201979Y1 (ko) 절수 샤워헤드
US5848739A (en) Pump dispenser for flowable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