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249Y1 - 볼하우징의 승강에 의해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배출펌프유니트 - Google Patents

볼하우징의 승강에 의해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배출펌프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249Y1
KR200442249Y1 KR2020070000247U KR20070000247U KR200442249Y1 KR 200442249 Y1 KR200442249 Y1 KR 200442249Y1 KR 2020070000247 U KR2020070000247 U KR 2020070000247U KR 20070000247 U KR20070000247 U KR 20070000247U KR 200442249 Y1 KR200442249 Y1 KR 2004422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contents
ball housing
discharge pump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02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2532U (ko
Inventor
김주섭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0700002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249Y1/ko
Publication of KR200800025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5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2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2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28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05B11/042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 B05B11/043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designed for spraying a liquid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와 결합 사용되는 배출 펌프의 토출량을 임의로 가변 조정할 수 있게 한 화장품 용기의 배출펌프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밸브몸체의 하부에 체결되는 실린더의 단부를 개방 형성하고, 개방된 실린더의 하단에는 개폐볼을 갖는 볼하우징을 나사 결합하되, 상기한 볼하우징은 상기한 실린더의 하단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회전 승강되게 함으로써,
단일의 배출 펌프만으로도 내용물 저장실의 체적을 가변하여 이를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의 배출량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화장품의 특성이나 크기에 따라 최적의 배출량을 편리하게 조절하여 배출 펌프의 공용 사용을 가능케 하는 것이며, 공용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배출 펌프의 제작에 필요한 막대한 금형비의 절감이 가능함은 물론 다양한 토출량을 갖는 동일 제품을 다종으로 구분 양산할 수 있어 소비자의 구매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 볼하우징의 승강에 의해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배출펌프 유니트에 대한 것이다.
화장품, 배출펌프, 실린더 튜브, 볼하우징, 나사부, 토출량 조절

Description

볼하우징의 승강에 의해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배출펌프 유니트{Outlet pump unit able to control the exhausting volume by means of up-down of ball housing}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내용물 배출펌프의 단면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내용물 배출펌프의 누름버튼을 누른 상태의 예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내용물 배출펌프의 누름버튼에 가해졌던 힘을 제거한 상태의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배출펌프 유니트의 전체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배출펌프 유니트의 볼하우징 상승에 따른 최소 토출량 조절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배출펌프 유니트의 볼하우징 하강에 따른 최대 토출량 조절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밸브몸체 11 : 실린더 튜브
12 : 암나사부 20 : 볼하우징
21 : 유입공 22 : 개폐볼
23 : 수나사부 30 : 누름버튼
31 : 토출구 32 : 배출관
33 : 승강피스톤 34 : 밀폐피스톤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와 결합 사용되는 배출 펌프의 토출량을 임의로 가변 조정할 수 있게 한 화장품 용기의 배출펌프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이 충전되는 실린더의 하부를 별도의 개폐볼이 내장되는 볼하우징으로 분할 형성하고, 상기 실린더와 볼하우징은 서로 나사 결합되게 함으로써, 볼하우징의 회전에 따른 상하 승강에 의해 상기 실린더의 내부와 볼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내용물 충전 체적을 가변시켜 선단의 누름버튼을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의 토출량이 가변되므로 제품의 특성이나 사용량에 따른 토출량의 가변을 통해 배출펌프의 공용화를 실현하고, 구매자의 사용량에 대응하는 동일 제품 내 토출량의 가변 제조가 가능한 볼하우징의 승강에 의해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배출펌프 유니트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에 담겨져 있는 화장품, 샴푸, 세제류 등의 내용물을 적당량씩 배출 사용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 용기에 배출펌프를 장착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용기에 장착되어 내용물을 소량씩 배출 사용하는 기존의 배출펌프는 다양하게 착안되어 있으며, 그 중 이 출원 사건과 대비되는 배출펌프는 실용신안등록 제382941호를 예를 들어 보면 다음과 같다.
선등록 고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유입로(125)를 개폐하는 개폐볼(122)이 스프링(121)의 탄성력을 받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121)의 탄성력을 받도록 설치되어 내용물저장실(126) 내에 압력을 가해 상기 내용물저장실 (126) 내의 내용물을 누름버튼(14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작동피스톤(123)을 포함한 실린더(120)가 펌프본체(110)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작동피스톤(123)에는 밀폐피스톤(124)이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120)의 작동피스톤(123)에 체결된 작동관(130)에는 누름버튼 (14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내용물 배출펌프는 누름버튼(140)을 누르면 실린더(120)의 밀폐피스톤(124)과 작동피스톤(123)의 사이에 공극이 먼저 발생한 후, 상기 밀폐피스톤(124)과 작동피스톤(123)이 함께 아래로 내려가면서 내용물저장실 (126)에 압력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압력에 의해 작동피스톤(123)의 내용물이송로 (123a)를 통해 도 2에서와 같이 내용물이 배출되어지게 된다.
이때 개폐볼(122)은 압축되는 스프링(121)의 반발력에 의해 내용물유입로 (125)에 밀착되어져 상기 내용물유입로(125)를 차단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누름버튼(140)을 눌러 내용물을 배출한 다음 누름버튼(140)에 가해졌던 외력을 해제하면, 스프링(121)에 축적된 반발 탄성력에 의해 작동피스톤(123)과 밀폐피스톤(124)이 함께 도 3에서와 같이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승하는 작동피스톤(123)과 밀폐피스톤(124)은 상승 초기에 작동피스톤(123)이 먼저 상승하여 누름버튼(140)을 눌렀을 때 상기 작동피스톤(123) 과 밀폐피스톤(124) 사이에 발생하였던 공극이 사라지면서 내용물이송로(123a)가 차단되어지게 되고, 상기 스프링(121)에 축적된 탄성력이 약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내용물이송로(123a)가 차단되어진 상태에서 상기 작동피스톤 (123)과 밀폐피스톤(124)이 지속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내용물저장실(126)에 진공압이 발생하게 되고, 내용물저장실(126)에 발생한 진공압에 의해 개폐볼(122)이 상기 내용물유입로(125)로부터 이격되어 용기내의 내용물이 내용물저장실(126)에 재차 유입되어지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종래 내용물 배출펌프는 상기의 동작을 연속 반복하면서 내용물을 배출하게 된다.
이를 화장품 용기에 적용하여 보면, 일반적으로 내용물을 손가락이나 주걱으로 덜어 사용하는 크림 제품을 제외한 대부분의 화장품은 사용상의 편리성을 위해 용기 선단에 배출 펌프를 결합하여, 그 배출 펌프 상단의 누름버튼을 누르는 동작만으로도 그 용기 내의 내용물이 배출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배출 펌프를 갖는 화장품의 용기는 내부 내용물이 상기 배출 펌프에 의한 가압 펌핑에 의해 정량씩 외부로 배출되게 하므로 불필요한 화장품의 낭비를 방지하면서도, 내부 내용물과 사용자의 손이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게 되어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내부의 내용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제품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배출 펌프는 누름버튼을 누르게 되면 그 내용물저장실 내에 저장되어 있던 한정된 량의 내용물이 배출되므로 매번 일정한 량의 내용물만 배출되는 단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는, 화장품을 제조하는 측면에서 볼 때 내용물의 토출량이 많아야 하는 대형 제품의 경우에는 상기한 내용물저장실을 비교적 크게 만들고 누름버튼의 스트로크 역시 길게 제작하여야 하는 것이며, 내용물의 토출량이 적어야 하는 소형 제품의 경우에는 상기한 내용물저장실을 상대적으로 작게 만들고 그 누름버튼의 스트로크 역시 짧게 형성하여야 하므로, 제품의 특성이나 사용량에 따라 각기 상이한 토출량을 갖는 배출 펌프를 모두 별개로 제작하여야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배출 펌프는 극히 작은 부품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그에 따른 막대한 금형비의 지출은 물론 각기 다른 크기의 부품을 관리하고 수급하는 측면에서도 상당한 노력과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것이다.
또한, 실제 제품을 사용하는 소비자의 측면에도 볼 때에도, 동일한 제품 내에서도 사용자 자신의 사용 취향에 따라 상기한 배출 펌프를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의 량이 불만족스러울 수 있는 것으로서, 비교적 많은 량의 내용물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두세 번의 펌핑을 통해 내용물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반복 펌핑에 따른 불편함이 있는 것이며, 극히 소량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단일의 펌핑으로도 과다한 량이 배출되므로 불필요한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밸브몸체의 하부에 체결되는 실린더의 단부를 개방 형성하고, 개방된 실린더의 하단에는 개폐볼을 갖는 볼하우징을 나사 결합하되, 상기한 볼하우징은 상기한 실린더의 하단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회전 승강되게 함으로써,
단일의 배출 펌프만으로도 내용물 저장실의 체적을 가변하여 이를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의 배출량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화장품의 특성이나 크기에 따라 최적의 배출량을 편리하게 조절하여 배출 펌프의 공용 사용을 가능케 하는 것이며, 공용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배출 펌프의 제작에 필요한 막대한 금형비의 절감이 가능함은 물론 다양한 토출량을 갖는 동일 제품을 다종으로 구분 양산할 수 있어 소비자의 구매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 볼하우징의 승강에 의해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배출펌프 유니트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배출펌프 유니트의 전체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누름버튼을 펌핑 작동시키면 내용물유입로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개방시켜 실린더내의 내용물저장실에 유입되어 있던 내용물의 배출이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내용물이 배출된 내용물저장실에 내용물이 재차 유입 가능하도록 내용물유입로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개폐볼을 포함하는 배출펌프에 있어서,
밸브몸체(10)의 하부 내측에 결합되는 실린더 튜브(11)의 하단을 개방 형성하고, 실린더 튜브(11)의 하단에는 상향 확장형 유입공(21)이 천공되고 그 유입공(21)의 내부에는 개폐볼(22)이 안치된 볼하우징(20)을 결합 형성하되,
상기 실린더 튜브(11)의 하단 내부에는 암나사부(12)를 형성하고, 상기 볼하 우징(20)의 선단 외부에는 수나사부(23)를 각각 대응 형성하여, 상기 볼하우징(20)의 수나사부(23)가 실린더 튜브(11)의 암나사부(12)와 체결되어 그 암나사부(12) 형성범위 내에서 회전에 의해 상하 승강되게 구성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0은 누름버튼, 31은 토출구, 32는 배출관, 33은 승강피스톤, 34는 밀폐피스톤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 볼하우징의 승강에 의해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배출펌프 유니트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배출펌프는 내용물이 저장된 용기의 선단 개구부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선단으로 노출된 누름버튼(30)을 하향 가압하게 되면 그 누름버튼(30)과 연동하는 승강피스톤(33)이 하강하게 되고, 승강피스톤(33)이 하강하여 상기 승강피스톤(33)이 삽입되어 있는 배출관(32)이 개방됨에 따라 밀폐피스톤(34)에 의해 한정된 체적을 갖는 실린더 튜브(11) 내의 내용물이 그 배출관(32)으로 유입되므로, 결국 누름버튼(30) 일측의 토출구(3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배출펌프는 상기한 실린더 튜브(11) 내의 일정한 체적에 충전된 내용물 만이 토출되는 것으로서, 종래의 배출펌프는 토출량의 조절이 불가능하였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실린더 튜브(11)의 하단에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별도의 볼하우징(20)을 나사 결합한 것으로서, 결합 위치에 따라 실린더 튜브(11) 내의 체적을 임의로 가변시킬 수 있어 가변되는 내부 체적에 따라 유입되는 내용물의 저장량이 가변되게 함으로서, 누름버튼(30)의 하향 가압시 배출되는 내용물의 토출량이 연동하게 조절되게 한 것이다.
즉, 상기한 실린더 튜브(11)의 하단에는 내부면에 암나사부(12)를 형성하고 상기 볼하우징(20)의 선단에는 상기 암나사부(12)와 나사 결합되는 대응의 수나사부(23)를 각각 형성하여, 이들 나사부의 상호 결합에 의해 상기 볼하우징(20)이 실린더 튜브(11) 하단의 암나사부(12) 형성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승강되게 한 것으로서,
상기한 볼하우징(20)에는 상향 확장형의 유입공(21)이 형성되어 있어 그 유입공(21)을 통해 제품 용기 내의 내용물이 실린더 튜브(11)의 내측으로 유입되게 하는 것이며, 그 볼하우징(20) 내의 개폐볼(22)은 누름버튼(30)의 하강이나 상승에 따른 압력방향에 의해 상기 유입공(21)을 개폐하게 되므로 그 개폐볼(22)의 승강에 따라 실린더 튜브(11) 내부로 내용물이 유입되게 하거나 유입된 내용물이 배출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볼하우징(20)를 회전시켜 그 볼하우징(20)의 위치가 가장 높은 위치에 이르도록 회전시키게 되면 그에 따라 상기한 실린더 튜브(11)의 내부체적이 가장 최소인 상태가 되는 것으로서, 내부 체적이 줄어들게 됨에 따라 누름버튼(30)의 가압을 통해 배출되는 실린더 튜브(11) 내의 내용물이 최소량으로 배출되는 것이며, 상기한 볼하우징(20)을 역회전시켜 하강시키는 경우에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실린더 튜브(11) 내의 체적이 최대가 되므로 배출될 수 있는 내용물의 량 역시 최대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화장품의 특성이나 표준 사용량을 감안하여 상기와 같이 볼하우징(20)을 승강을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의 량을 임의로 가변할 수 있으므로 단일의 배출펌프만으로도 많은 종류의 제품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금형 제작비의 절감은 물론 제품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며, 단조로운 부품 관리 및 수급을 통해 합리적인 생산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동일 제품 내에서도 각기 배출량이 상이한 제품을 출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입장에서 과다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여러 번 펌핑하여 사용하는 폐단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볼하우징의 승강에 의해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배출펌프 유니트는, 단일의 배출 펌프만으로도 내용물 저장실의 체적을 가변하여 이를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의 배출량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화장품의 특성이나 크기에 따라 최적의 배출량을 편리하게 조절하여 배출 펌프의 공용 사용을 가능케 하는 것이며, 공용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배출 펌프의 제작에 필요한 막대한 금형비의 절감이 가능함은 물론 다양한 토출량을 갖는 동일 제품을 다종으로 구분 양산할 수 있어 소비자의 구매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누름버튼을 펌핑 작동시키면 내용물유입로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개방시켜 실린더내의 내용물저장실에 유입되어 있던 내용물의 배출이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내용물이 배출된 내용물저장실에 내용물이 재차 유입 가능하도록 내용물유입로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개폐볼을 포함하는 배출펌프에 있어서,
    밸브몸체(10)의 하부 내측에 결합되는 실린더 튜브(11)의 하단을 개방 형성하고, 실린더 튜브(11)의 하단에는 유입공(21)이 천공되고 그 유입공(21)의 내부에는 개폐볼(22)이 안치된 볼하우징(20)을 결합 형성하여,
    상기 볼하우징(20)을 상기 실린더튜브(11)에 대하여 승강 또는 하강시켜 상기 실린더튜브(11)의 체적을 가변하여 이를 통해 배출되는 내용물의 배출량을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볼하우징의 승강에 의해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배출펌프 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튜브(11)의 하단 내부에는 암나사부(12)를 형성하고, 상기 볼하우징(20)의 선단 외부에는 수나사부(23)를 각각 대응 형성하여, 상기 볼하우징(20)의 수나사부(23)가 실린더 튜브(11)의 암나사부(12)와 체결되어 그 암나사부(12)의 형성범위 내에서 회전에 의해 승하강 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볼하우징 승강에 의해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배출펌프 유니트.
KR2020070000247U 2007-01-05 2007-01-05 볼하우징의 승강에 의해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배출펌프유니트 KR2004422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247U KR200442249Y1 (ko) 2007-01-05 2007-01-05 볼하우징의 승강에 의해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배출펌프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0247U KR200442249Y1 (ko) 2007-01-05 2007-01-05 볼하우징의 승강에 의해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배출펌프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532U KR20080002532U (ko) 2008-07-09
KR200442249Y1 true KR200442249Y1 (ko) 2008-10-23

Family

ID=41324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0247U KR200442249Y1 (ko) 2007-01-05 2007-01-05 볼하우징의 승강에 의해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배출펌프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24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532U (ko) 200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5191B1 (ko) 화장품용기의 노즐개폐장치
KR101028988B1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크림화장품용기
KR100789290B1 (ko) 튜브형 액상 화장품용기
KR100903973B1 (ko) 펜슬형 화장품 용기의 사이드 진공펌프
KR101508499B1 (ko) 탄성버튼을 이용한 압출식 화장품 용기
KR101631827B1 (ko) 펌프 타입 컴팩트 용기
WO2019119527A1 (zh) 一种新型喷头
KR101146999B1 (ko) 단일 실리콘재 펌프로 작동되는 버튼식 화장품 용기
KR200353114Y1 (ko) 밀폐기능이 향상된 토출수단을 갖는 디스펜서
US7101105B2 (en) Container-applicator for fluid products, particularly for cosmetic and pharmaceutical use
MX2007003256A (es) Bomba despachadora.
KR100996439B1 (ko) 화장품용기의 노즐개폐장치
KR200459352Y1 (ko) 승강출몰 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102017318B1 (ko) 디스펜서 펌프
KR20190034076A (ko) 가변배출펌프를 가진 화장품 용기
CN209321501U (zh) 一种新型储液瓶
KR200441174Y1 (ko) 스트로크 조절용 승강 홀더에 의해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배출펌프 유니트
KR200442249Y1 (ko) 볼하우징의 승강에 의해 토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배출펌프유니트
WO2014198124A1 (zh) 微力开关阀
KR200412918Y1 (ko) 버튼의 탄성리브를 이용한 디스펜서
KR200450736Y1 (ko) 토출량이 조절되는 디스펜서 용기
KR101084353B1 (ko) 용기 캡
KR200458220Y1 (ko) 디스펜서
KR101140380B1 (ko) 에어리스 펌프식 화장품용기의 펌프구조
CN204849982U (zh) 一种座便器的清洗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