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112Y1 - 거치대를 구비하는 의자 - Google Patents

거치대를 구비하는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112Y1
KR200442112Y1 KR2020070006458U KR20070006458U KR200442112Y1 KR 200442112 Y1 KR200442112 Y1 KR 200442112Y1 KR 2020070006458 U KR2020070006458 U KR 2020070006458U KR 20070006458 U KR20070006458 U KR 20070006458U KR 200442112 Y1 KR200442112 Y1 KR 2004421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hair
mounting
mounting bar
se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4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현
Original Assignee
김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현 filed Critical 김상현
Priority to KR20200700064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1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1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1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의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좌판; 및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거치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거치바를 구비하는 의자를 사용하면, 책이나 메모장 등을 거치할 수 있으므로 독서나 메모가 보다 용이해지고, 거치바를 손으로 잡음으로써 착석 자세를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거치바가 인입 및 인출되므로 의자에 앉거나 일어서는 동작이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의자, 거치, 책, 메모, 슬라이딩, 인출, 관통

Description

거치대를 구비하는 의자{Chair with supporting device}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절단한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거치바가 인출된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B-B선을 따라 절단한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거치바가 인입된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C-C선을 따라 절단한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거치바가 거치홈에 장착된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D-D선을 따라 절단한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제2 실시예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제3 실시예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좌판 110 : 관통공
120 : 거치홈 130 : 인입홈
200 : 등받이 300 : 팔걸이
400 : 거치바 410 : 거치블록
본 고안은 사용자가 메모나 독서 등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거치대를 구비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거치대가 좌판의 상부로 인출되거나 좌판의 하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좌판과 사용자의 등을 받치는 등받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용도에 따라 학습용, 사무용, 회의실용, 휴게실용 등으로 구분된다.
이때 학습용 의자나 사무용 의자는 책상과 한 세트를 이루므로 독서나 필기, 메모 등을 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회의실용 의자나 휴게실용 의자와 같이 책상과 세트를 이루지 아니하는 의자들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독서나 필기, 메모 등을 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다.
즉, 회의실용 의자나 휴게실용 의자는 책상 없이 의자만 단독으로 비치되어 있으므로, 가방 등과 같이 책이나 메모장을 받칠만한 물건을 자신의 무릎 위에 얹은 후 그 위에 책이나 메모장을 놓고 독서나 메모를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독서나 메모를 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목과 등이 굽어지므로 목이나 허리가 결리는 등 많은 불편함이 있다. 더욱이, 책이나 메모장을 받칠만한 물건이 없는 경우에는 책이나 메모장을 손으로 들거나 자신의 무릎에 놓고 독서나 메모를 해야 하므로 독서나 메모를 하는데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강의실용 의자와 같이 일측에 받침판이 구비된 의자가 제안된 바 있으나, 상기 받침판이 고정식으로 장착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거나 일어설 때 받침판이 사용자의 신체에 간섭되므로 사용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고, 상기 받침판이 절첩식으로 장착되는 경우에는 구조가 복잡해져 의자가 차지하는 공간이 크게 확보되어야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받침판이 구비되는 의자는 사이즈 및 무게가 크게 증가되므로 거치대가 필요 없는 일반 의자로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책이나 메모장 등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구비하고, 의자에 앉거나 일어서는 동작이 용이해질 수 있으며, 거치대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거치대가 필요 없는 일반 의자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의자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의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좌판; 및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거치바;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판의 일측에는 상기 거치바의 하단이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거치홈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과 상기 거치홈은 상측 입구의 전체 또는 일부가 겹치도록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과 상기 거치바가 상호 접촉되는 두개의 면에는 한 쌍의 벨크로(velcro)가 마련된다.
상기 관통공은 중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거치바는,
횡단면이 상기 관통공보다 큰 거치블록이 상단에 구비된다.
상기 거치바가 하향으로 슬라이딩되었을 때 상기 거치블록이 상기 좌판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관통공의 상측입구 부위에는 상기 거치블록이 묻힐 수 있는 형상의 인입홈이 형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절단한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의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관통공(110)이 형성되는 좌판(100)과, 사용자의 등을 받치는 등받이(200)와, 사용자가 팔을 걸칠 수 있는 팔걸이(300)와, 상기 관통공(110)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거치바(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팔걸이(300)가 좌우 양측에 모두 구비되면 사용자가 의자에 앉거나 일어설 때 상기 팔걸이(300)에 사용자의 신체나 옷이 걸림으로써 사용이 불편해질 우려가 있는바, 본 고안에 의한 의자는 상기 팔걸이(300)가 어느 일측에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바(400)는 사용자가 손을 올려놓거나 책이나 메모장 등을 받칠 수 있도록 추가된 구성요소로서,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향으로 인출되거나 하향으로 인입되도록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상기 좌판(100)에 장착되며, 상기 관통공(110)을 통해 좌판(100)의 하측으로 완전히 빠지지 아니하도록 횡단면이 상기 관통공(110)보다 큰 거치블록(410)이 상단에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거치바(400) 의 상단에 거치블록(410)이 구비되면, 상기 거치바(400)가 자중에 의해 상기 좌판(100)과 완전히 분리되지 아니하게 될 뿐만 아니라, 책이나 메모장 등을 거치시킬 수 있는 면적이 더욱 넓어지므로 책이나 메모장 등을 보다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거치바(400)는 사용자가 두 손을 모두 사용하여 책이나 메모장을 거치시킬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측 즉, 사용자가 좌판(100)에 착석하였을 때 사용자의 허벅지 사이로 인출될 수도 있으며, 치마를 입는 등의 이유로 다리를 벌리기 어려운 사용자를 위해 좌판(100)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거치바(400)의 상단에 거치블록(410)이 구비되면, 사용자가 거치블록(410)을 손으로 잡음으로써 착석 자세를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거치블록(410)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거치블록(410)의 형상을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각형 봉 또는 평판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거치블록(410)을 손으로 잡을 때 지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상기 거치블록(410)의 외측면에 다수의 지압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판(100)의 일측 즉, 상기 관통공(110)이 형성된 지점과 인접한 지점에는 상기 거치바(400)의 하단이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거치홈(1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110)과 거치홈(120)이 형성되는 그 주변의 강도가 저하되 어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관통공(110)과 거치홈(120)이 형성되는 주변에는 제1 보강블록(102)과 제2 보강블록(104)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평판 형상의 좌판(100)을 구비하는 통상의 의자를 활용하는바, 좌판(100)의 일측에 제1 보강블록(102)과 제2 보강블록(104)이 추가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제1 보강블록(102)과 제2 보강블록(104)은 상기 좌판(100)과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관통공(110) 및 거치홈(120)의 용도에 대해서는 이하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거치바(400)가 인출된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B-B선을 따라 절단한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부분 단면도이다.
상기 좌판(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관통공(110)은 중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거치바(400)를 인출시키면 상기 거치바(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110)의 길이방향으로 즉, 중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인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거치바(400)가 중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인출되면 거치바(400)가 자중에 의해 관통공(1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거치바(400)의 외측면과 관통공(110)의 내측면 간에 마찰력이 발생되므로, 상기 거치바(400)는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미끄러지지 아니하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거치블록(410)에 책이나 메모장을 거치시키면 상기 거치바(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힘 을 인가받는바, 거치바(400)의 외측면은 더욱 관통공(110)의 내측면에 압착되고, 이에 따라 상기 거치바(400)는 더욱 안정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의자는 거치바(400) 고정을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이 구비되지 아니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책이나 메모장 등을 거치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거치바(400)가 인입된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C-C선을 따라 절단한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의자는 책이나 메모장을 거치할 필요가 없는 경우,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바(400)를 하향으로 내림으로써 통상적인 의자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블록(410)이 관통공(110)보다 작게 형성되면 사용자가 거치바(400)를 하향으로 내릴 때 거치바(400) 전체가 좌판(100)의 밑으로 빠짐으로써 상기 거치바(400)가 상기 좌판(100)과 완전히 분리되고, 이에 따라 상기 좌판(100)이 분실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거치바(400)는 하향으로 내려질 때 상기 좌판(100)과 완전히 분리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거치블록(410)의 횡단면이 상기 관통공(110)의 횡단면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블록(410)이 관통공(110)보다 크게 형성되면 사용자가 거치바(400)를 하향으로 완전히 내리더라도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블록(410)이 관통공(110)의 상측 입구에서 걸리게 되므로, 상기 거치바(400)는 좌판(100)과 완전히 분리되지 아니하게 된다.
도 7은 거치바(400)가 거치홈(120)에 장착된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D-D선을 따라 절단한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의자에 포함되는 거치바(400)가 상향으로 인출된 상태로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바(400)의 하측단을 좌판(100)의 일측에 형성된 거치홈(120)에 인입시킬 수 있다. 상기 거치홈(120)은 관통공(110)처럼 좌판(100)을 완전히 관통하는 형상이 아니라 하단이 막힌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본 실시예와 같이 중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즉,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더라도 상기 거치바(4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거치바(400)가 거치홈(120)에 인입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흔들리지 아니하도록, 상기 거치바(400)는 상기 거치홈(120)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거치홈(120)의 깊이는 거치바(400)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홈(120)이 상기 관통공(110)과 완전히 별개로 형성되면, 상기 관통공(110)에 인입된 거치바(400)를 거치홈(120)에 장착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거치바(400)를 관통공(110)으로부터 완전히 뺀 후 다시 상기 거치홈(120)에 끼워야하므로, 조작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거치홈(120)은 상기 관통공(110)과 상측 입구의 전체 또는 일부가 겹치도록 즉, 상측 입구부터 중단까지 상기 관통공(110)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거치홈(120)과 관통공(110)의 상단부가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되면, 상기 거치바(400)의 하측 끝단을 관통공(110) 상측으로 완전히 빼지 아니하고서도 상기 거치홈(120)으로 옮겨 장착할 수 있으므로, 거치바(400) 장착이 매우 간편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제2 실시예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거치바(400)를 최대한 하향으로 내리더라도 상기 거치블록(410)이 상기 좌판(100)의 상면으로 돌출되는바, 사용자가 좌판(100)에 앉았을 때 상기 거치블록(410)이 사용자의 신체에 닿음으로써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우려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관통공(110)의 상측입구 부위에는 상기 거치블록(410)이 묻힐 수 있는 형상의 인입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관통공(110)의 상측입구 부위에 인입홈(130)이 형성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바(400)가 하향으로 끝까지 슬라이딩되었을 때 상기 거치블록(410)이 상기 좌판(100)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아니하므로, 좌판(100)에 사용자가 앉더라도 상기 거치블록(410)이 신체에 접촉되지 아니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거치블록(410)이 인입홈(130)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인입되면 사용자가 상기 거치블록(410)을 꺼내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상기 인입홈(130)은 상기 거치블록(410)보다 수평방향 단면이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의자의 제3 실시예 부분 단면도이다.
거치바(400)가 관통공(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향으로 미끄러지지 아니하기 위해서는 거치바(400)와 관통공(110)이 접촉되는 면에 마찰력이 크게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와 같은 마찰력은 좌판(100)과 거치바(400)의 재질에 의해 결정되므로 일정 수준 이상으로 증대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의자는 거치바(400)와 관통공(110)이 접촉되는 면에 보다 큰 마찰력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공(110)과 상기 거치바(400)가 상호 접촉되는 두개의 면에는 한 쌍의 벨크로(velcro)(50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공(110)의 내측면에 숫벨크로(510)가 마련되고, 거치바(400)의 외측면에 암벨크로(520)가 마련된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숫벨크로(510)와 암벨크로(520)가 마련되는 위치는 상호 바뀔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거치바를 구비하는 의자를 사용하면, 책이나 메모장 등을 거치할 수 있으므로 독서나 메모가 보다 용이해지고, 거치바를 손으로 잡음으로써 착석 자세를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거치바가 인입 및 인출되므로 의자에 앉거나 일어서는 동작이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거치바를 구비하는 의자는 거치바가 인입 및 인출되므로 거치바가 필요 없는 일반 의자로도 활용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관통공(110)이 형성되는 좌판(100); 및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상기 관통공(110)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거치바(400);
    를 포함하고,
    상기 좌판(100)의 일측에는 상기 거치바(400)의 하단이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거치홈(120)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10)과 상기 거치홈(120)은 상측 입구의 전체 또는 일부가 겹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110)은 중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바(400)는,
    횡단면이 상기 관통공(110)보다 큰 거치블록(410)이 상단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바(400)가 하향으로 슬라이딩되었을 때 상기 거치블록(410)이 상기 좌판(100)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관통공(110)의 상측입구 부위에는 상기 거치블록(410)이 묻힐 수 있는 형상의 인입홈(1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7.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관통공(110)이 형성되는 좌판(100); 및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상기 관통공(110)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거치바(400);
    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110)과 상기 거치바(400)가 상호 접촉되는 두개의 면에는 한 쌍의 벨크로(velcro)(50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2020070006458U 2007-04-19 2007-04-19 거치대를 구비하는 의자 KR2004421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458U KR200442112Y1 (ko) 2007-04-19 2007-04-19 거치대를 구비하는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458U KR200442112Y1 (ko) 2007-04-19 2007-04-19 거치대를 구비하는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2112Y1 true KR200442112Y1 (ko) 2008-10-10

Family

ID=41649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458U KR200442112Y1 (ko) 2007-04-19 2007-04-19 거치대를 구비하는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11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6235A (en) Chair back with adjustable lumbar cushion and clothes hanger hook included within a handle
KR200442112Y1 (ko) 거치대를 구비하는 의자
CN205493270U (zh) 一种带可调节桌板的床
CN104433277B (zh) 多功能教室用课桌椅
GB2433435A (en) Portable rest
CN210540083U (zh) 一种实现趴睡的旋转座椅
TWI589252B (zh) 躺椅裝置
KR20070029226A (ko) 개량형 수강 의자
JP3150054U (ja) 汎用書見台
JP2009101030A (ja) 浴槽
KR200494643Y1 (ko) 휴대가 가능한 가변형 낚시좌대
JP2011045572A (ja) 椅子
KR200409164Y1 (ko) 걸이수단이 구비된 학생용 의자
CN211021744U (zh) 一种公共私人座椅
CN213820640U (zh) 一种带有储物箱的办公椅
CN208875764U (zh) 靠背可调的伸缩式灯椅
CN102366251A (zh) 一种可供趴伏睡眠的椅子
CN210095194U (zh) 便于运输的模块化沙发
CN214803583U (zh) 一种学生用椅
KR101326564B1 (ko) 탈부착형 의자용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자
CN210018548U (zh) 一种带有枕靠和腿托的便携式吊躺坐摇椅
KR200260621Y1 (ko) 사무의자용 팔걸이
CN206499196U (zh) 一种座椅高度和椅背可调式学生宿舍座椅
KR200411157Y1 (ko) 수납함이 구비된 독서실용 의자
KR200334531Y1 (ko) 이동이 용이한 책걸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