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017Y1 - 금고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금고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017Y1
KR200442017Y1 KR2020070018332U KR20070018332U KR200442017Y1 KR 200442017 Y1 KR200442017 Y1 KR 200442017Y1 KR 2020070018332 U KR2020070018332 U KR 2020070018332U KR 20070018332 U KR20070018332 U KR 20070018332U KR 200442017 Y1 KR200442017 Y1 KR 2004420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afe
frame
do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83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2234U (ko
Inventor
이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진금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진금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진금고
Priority to KR20200700183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017Y1/ko
Publication of KR200800022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2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0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0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24Wall or panel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8/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ceramics, e.g. refractory produ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고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문형 금고의 도어 프레임 구조와, 외함과 내함의 후면판 보강 구조를 그 제작 공수를 절감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구조로 개선시킨 금고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도어프레임의 좌측 또는 우측 도어전면판의 안쪽끝단부에 절곡연장단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도어전면판의 안쪽끝단면 사이의 미세한 틈새를 가려줄 수 있도록 한 점, 그리고 금고의 골격을 이루는 내판 및 외판의 일표면에 그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 다수개의 절곡돌출판을 등간격으로 절곡 형성한 점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용 프레임을 제공한다.
금고용 프레임, 도어전면판, 절곡연장단, 내판, 외판, 절곡돌출판

Description

금고용 프레임{Frame for safe}
본 고안은 금고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문형 금고의 도어 프레임 구조와, 양문 또는 단문현 금고의 외함 및 내함의 후면판 보강 구조를 그 제작 공수를 절감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구조로 개선시킨 금고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을 포함한 금융회사, 귀중품 판매 점포, 일반 기업체, 개인 등은 현금을 비롯하여 각종 귀중품을 보관할 수 있는 금고를 사용하고 있다.
대개, 금고는 절단 및 파괴가 불가능할 정도로 정밀한 기계구조와 특수 설계를 바탕으로 강판을 사용하여 제작되며, 내부는 특수내화 단열재를 적용하여 화재시에도 금고를 보호할 수 있게 제작되고 있다.
또한, 상기 금고는 내판과 외판으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양문형 또는 단문형 도어 등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집약적으로 제작되며, 특수 다이알, 다이알 보호용 안전커버, 빗장 장치 등 여러가지 기능을 부가하여 제작되고 있다.
또한, 금고벽의 인위적인 파괴 및 화재로부터의 보관물품을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금고의 내판과 외판 사이에는 내화성분의 발포콘크리트층이 충진된다.
즉, 상기 금고는 절단 및 파괴가 불가능할 정도로 정밀한 기계구조와 특수 설계를 바탕으로 강판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사용하여 제작되며, 내부는 특수내화 단열재를 적용하여 화재시에도 금고함을 보호할 수 있게 제작되고 있다.
여기서, 종래의 금고 제작을 위한 프레임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양문형 도어의 전면을 이루는 종래의 도어프레임 구조
첨부한 도 7은 도어프레임에 대한 종래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문형 도어의 전면 도어프레임은 좌측 및 우측 도어전면판(24,26)으로 나누어지며, 도어의 닫힘상태에서 좌측 및 우측 도어전면판(24,26)의 각 안쪽끝단면은 서로 마주보며 밀착되는 상태가 되지만, 미세한 틈새(28)가 존재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도난공구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도어전면판(24,26)의 안쪽끝단면 사이의 미세한 틈새(28)를 가려주어야 한다.
이에, 종래에는 상기 틈새(28)를 가려주기 위하여 좌측 또는 우측 도어전면판(24,26)중 하나에 커버판(30)이 리벳 또는 용접 등의 작업으로 장착된다.
예를들어, 상기 우측 도어전면판(26)의 전면에서, 그 안쪽 테두리에 상기 커버판(30)의 일측단이 리벳 작업으로 고정되는 동시에 이 커버판(30)의 타측단은 상기 좌측 도어전면판(24)의 안쪽 테두리 부분에 겹쳐지며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판(30)이 상기 좌측 및 우측 도어전면판(24,26)의 안쪽 끝단면 사이의 미세한 틈새(28)을 가려주게 되어, 결국 도난공구를 틈새에 끼우는 등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커버판을 장착하는 작업은 좌측 또는 우측 도어전면판에 리벳팅을 위한 홀 가공 공정과, 리벳팅되는 면 및 그 주변 표면에 대한 그라인딩 공정과, 커버판을 조립하는 리벳팅 공정 등 여러 공수가 들기 때문에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커버판, 리벳, 그라인딩 공구 등의 사용으로 자재비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2) 금고의 골격 역할을 하도록 내판과 외판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프레임
금고함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은 내판(18)과 외판(16)으로 구성되며, 그 사이공간에 금고벽의 인위적인 파괴 및 화재로부터의 보관물품을 보호할 수 있도록 내화성분의 발포콘크리트층(미도시됨)이 충진된다.
종래에는 상기 내판 및 외판의 강성 보강을 위하여 첨부한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판(18)의 외표면과 외판(16)의 내표면에 모자 형상의 보강판(38)을 각각 스폿 용접으로 장착하여, 내판(18)과 외판(16)의 강성 보강과 함께 휘어짐이나 비틀림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별도의 모자 형상을 갖는 보강판을 제작 구비함에 따른 자재비 상승을 초래하고, 또한 스폿 용접 등의 제작 공수가 소요되어, 금고 제작 기간이 오래걸리고 작업성을 크게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양문형 도어의 전면을 이루는 좌측 또는 우측 도어전면판의 안쪽끝단부를 좌측 및 우측 도어전면판의 안쪽끝단면 사이의 미세한 틈새를 가려줄 수 있는 절곡 구조로 적용하여, 종래의 커버판 장착없이도 도난 공구의 침투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금고용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금고의 골격을 이루도록 내판과 외판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구조를 개선하는 것으로서, 내판 및 외판의 일표면에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 절곡돌출판을 형성하여 종래의 보강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 공수 및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구현예는 양문형 도어의 외부도어 및 내부도어의 전면을 이루는 좌측 또는 우측 도어전면판을 포함하는 금고용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좌측 또는 우측 도어전면판의 안쪽끝단부에 절곡연장단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도어전면판의 안쪽끝단면 사이의 미세한 틈새를 가려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용 프레임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연장단의 절곡구간 절곡깊이는 상기 좌측 및 우측 도어전면판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구현예는 금고의 골격을 이루는 내판 및 외판을 포함하는 금고용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내판 및 외판의 일표면에 그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 다수개의 절곡돌출판을 등간격으로 절곡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용 프레임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판의 절곡돌출판의 상단면은 상판이 올려질때 받쳐줄 수 있는 받침단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금고용 프레임에 의하면,
1) 금고 도어의 전면을 이루는 좌측 또는 우측 도어전면판의 안쪽끝단부에 절곡연장단을 간단한 절곡 작업으로 형성함으로써, 닫힘상태에서 좌측 및 우측 도어전면판의 안쪽끝단면 사이의 미세한 틈새를 손쉽게 가려줄 수 있고, 따라서 종래의 커버판 장착없이도 도난 공구의 침투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2) 금고함의 골격을 이루는 내판 및 외판의 일표면에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 절곡돌출판을 간단한 절곡 작업으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보강판과 같이 강성 보강 및 휘어짐 방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3) 종래의 도어전면판에 부착되는 커버판과, 종래의 내판 및 외판에 별도로 장착되전 보강판을 배제하여, 제작 공수 및 자재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고, 작업성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금고용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고의 앞쪽에는 양문형 도어가 배치되는 바, 이 양문형 도어는 계폐용 레버 및 잠금장치가 장착된 외부도어(14)와, 이 외부도어(14)의 안쪽에 배치되어 금고함(10)을 다시 한 번 개폐하는 내부도어(12)로 구성된다.
또한, 귀중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내체적을 갖는 금고함(10)의 골격프레임은 외판(16)과 내판(18), 상기 외판(16) 및 내판(18)의 사이공간에 충진되는 내화성분의 발포콘크리트층(미도시됨)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도어프레임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금고용 프레임의 도어프레임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금고용 프레임의 도어프레임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상기 양문형 도어는 외부도어(14)와 내부도어(12)로 나누어지는 바, 이 외부 및 내부도어(14,12)의 가장 앞쪽에는 좌측 및 우측 도어전면판(24,26)이 장착되고, 외부도어(14)의 좌측 및 우측 도어전면판(24,26)의 외표면에는 개폐용 레버(20) 및 잠금장치의 일구성인 다이얼(22) 등이 노출되며 장착된다.
이때, 상기 외부 및 내부도어(14,12)의 닫힘 상태에서는 상기 좌측 및 우측 도어전면판(24,26)의 각 안쪽끝단면이 서로 미세한 틈새(28)를 이루며 밀착되는 상태가 되는 바, 이 미세한 틈새(28)는 도난공구 등의 침투 방지를 위하여 가려진 상태가 되어야 한다.
이에, 상기 좌측 및 우측 도어전면판(24,26)의 각 안쪽끝단면간의 미세한 틈새(28)를 가리기 위하여 종래에는 별도의 커버판(30)을 리벳팅 또는 용접 등으로 부착하였지만, 본 고안은 좌측 또는 우측 도어전면판(24,26)의 안쪽끝단부를 절곡 및 연장시키는 간단한 작업으로 상기 미세한 틈새(28)를 용이하게 가려줄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르면 금고의 외부 및 내부도어(14,12)의 전면을 이루는 좌측 또는 우측 도어전면판(24,26)의 안쪽끝단부에 절곡연장단(32)을 일체로 형성하여, 이 절곡연장단(32)이 미세한 틈새(28)를 가려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절곡연장단(32)은 좌측 또는 우측 도어전면판(24,26)의 안쪽끝단부에 형성될 수 있지만, 이하 본 고안의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우측 도어전면판(26)의 안쪽끝단부에 절곡연장단(32)이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우측 도어전면판(26)의 안쪽끝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절곡연장단(32)은 상기 좌측 및 우측 도어전면판(24,26)의 각 안쪽끝단면간의 미세한 틈새(28)를 가려주는 동시에 상기 좌측 도어전면판(24)의 안쪽끝단부 외표면까지 연장되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우측 도어전면판(26)의 안쪽끝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절곡연장단(32)은 절곡구간(34)과 연장구간(36)으로 나누어볼 수 있는데, 상기 절곡구간(34)은 상기 좌측 및 우측 도어전면판(24,26)의 각 안쪽끝단면간의 미세한 틈새(28)를 가려주게 되고, 상기 연장구간(36)은 좌측 도어전면판(24)의 안쪽끝단부 외표면까지 연장되어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절곡연장단(32)의 절곡구간 깊이(L)은 상기 좌측 및 우측 도어전면판(24,26)의 두께(t)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절곡연장단(32)의 절곡구간 깊이(L)을 상기 좌측 및 우측 도어전면판(24,26)의 두께(t)보다 크게 형성한다면, 절곡연장단(32)의 연장구간(36)이 상기 좌측 도어전면판(24)의 안쪽끝단부 외표면에 밀착되지 않고 들뜨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좌측 또는 우측 도어전면판(24,26)에 간단한 절곡 작업으로 절곡연장단(32)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좌측 및 우측 도어전면판(24,26)의 각 안쪽끝단면간의 미세한 틈새(28)를 손쉽게 가려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금고용 프레임의 내판 및 외판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금고용 프레임의 내판 및 외판에 절곡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설명하는 정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금고용 프레임의 내판 및 외판에 절곡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설명하는 배면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제 귀중품 등이 보관되는 공간인 금고함(10)의 골격은 내판(18) 및 외판(16), 그리고 내판(18)과 외판(16) 사이공간에 충진되는 내화성분의 발포콘크리트층(미도시됨)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기존의 별도로 부착되던 보강판(38)의 역할을 할 수 있도 록 상기 내판(18) 및 외판(16)의 일표면에 그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절곡돌출판(40)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절곡돌출판(40)은 납작한 사다리꼴 단면을 이루며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절곡 형성되는 바, 상기 내판(18)에 형성된 절곡돌출판(40)은 내부방향(금고함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외판(16)에 형성된 절곡돌출판(40)은 외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판(16)에 형성된 절곡돌출판(40)은 그 상하길이방향의 전구간에 걸쳐 형성되는 반면, 상기 내판(18)에 형성된 절곡돌출판(40)은 그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단끝 및 하단끝 부분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내판(18) 및 외판(16)에 절곡돌출판(40)을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보강판(38)과 같이 내판(18) 및 외판(16)의 강성 보강 및 휘어짐 방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판(18)의 절곡돌출판(40)의 상단면은 상판(42)이 올려질때 받쳐줄 수 있는 받침단(44)으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 내판(18)의 절곡돌출판(40)의 상단면, 즉 받침단(44)상에 금고함(10)의 골격 구성중 상판(42)의 테두리단이 올려지게 한 다음, 상판(42)을 장착 고정하기 위한 작업자의 용접 조립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내판(18)에 형성된 절곡돌출판(40)은 내부방향(금고함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외판(16)에 형성된 절곡돌출판(40)은 외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내판(18)과 외판(16) 사이공간에 내화성분의 발 포콘크리트층이 보다 많이 충진될 수 있고, 화재로부터 금고의 내화성이 보다 우수하게 개선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금고용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금고용 프레임의 도어프레임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금고용 프레임의 도어프레임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금고용 프레임의 내판 및 외판에 절곡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설명하는 정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금고용 프레임의 내판 및 외판에 절곡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설명하는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금고용 프레임의 내판에 절곡돌출부가 받침단 역할을 하는 것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금고용 프레임의 도어프레임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8은 종래의 금고용 프레임의 내판 및 외판에 별도의 보강판이 부착된 것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금고함 12 : 내부도어
14 : 외부도어 16 : 외판
18 : 내판 20 : 개폐용 레버
22 : 다이얼 24 : 좌측 도어전면판
26 : 우측 도어전면판 28 : 틈새
30 : 커버판 32 : 절곡연장단
34 : 절곡구간 36 : 연장구간
38 : 보강판 40 : 절곡돌출판
42 : 상판 44 : 받침단

Claims (2)

  1. 삭제
  2. 금고의 골격을 이루는 내판 및 외판을 포함하되, 상기 내판 및 외판의 일표면에 그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 다수개의 절곡돌출판을 등간격으로 절곡 형성하여서 된 금고용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내판의 절곡돌출판의 상단면은 상판이 올려질때 받쳐줄 수 있는 받침단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용 프레임.
KR2020070018332U 2007-11-14 2007-11-14 금고용 프레임 KR2004420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332U KR200442017Y1 (ko) 2007-11-14 2007-11-14 금고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332U KR200442017Y1 (ko) 2007-11-14 2007-11-14 금고용 프레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2306U Division KR200439734Y1 (ko) 2006-12-22 2006-12-22 금고용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234U KR20080002234U (ko) 2008-06-26
KR200442017Y1 true KR200442017Y1 (ko) 2008-09-30

Family

ID=41324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8332U KR200442017Y1 (ko) 2007-11-14 2007-11-14 금고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01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234U (ko) 200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8272B1 (en) Detention facility cell door lock and housing assembly
US5934024A (en) Jamb construction for entry doors
JP2017101377A (ja) 複層パネル
US11414920B2 (en) Doors and methods for reducing telegraphing therefor
KR200442017Y1 (ko) 금고용 프레임
KR200439734Y1 (ko) 금고용 프레임
US20020046500A1 (en) Security door
KR20130037882A (ko) 금고용 도어
KR101324014B1 (ko) 금고
US20080289547A1 (en) Crime Prevention Structure of Steel Door
KR102393244B1 (ko) 방화문용 보강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방화문 프레임 보강구조
GB2486199A (en) Enclosure including cement-based armoured panels for ATM protection
US4550667A (en) Safe having concealed hinges
EP2990580A1 (en) Break-in protection
EP2778320B1 (en) Reinforcement part for lock case
JP2008078545A (ja) キャビネット
RU42056U1 (ru) Дверная коробка для металлического дверного блока и элемент дверной коробки
KR100634736B1 (ko) 금고비의 커팅날 방어 장치
JP7394578B2 (ja) 框組みドアの防火構造
GB2478534A (en) Armoured panel for a secure enclosure such as a safe
KR200390899Y1 (ko) 금고실용 조립식 벽체구조
CN205172286U (zh) 一种防火防盗保险柜结构
JPH0530212Y2 (ko)
RU41062U1 (ru) Сейф
KR100666144B1 (ko) 방음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