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496Y1 - 젓가락 - Google Patents

젓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496Y1
KR200441496Y1 KR2020070004989U KR20070004989U KR200441496Y1 KR 200441496 Y1 KR200441496 Y1 KR 200441496Y1 KR 2020070004989 U KR2020070004989 U KR 2020070004989U KR 20070004989 U KR20070004989 U KR 20070004989U KR 200441496 Y1 KR200441496 Y1 KR 2004414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chopstick
handle
inner cor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49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도준
Original Assignee
임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도준 filed Critical 임도준
Priority to KR2020070004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4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4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4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체적으로 가벼워 미숙련자가 사용하기 편리하고, 또한 젓가락봉과 손잡이의 형상에 따른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조립에 있어서 견고한 부착성을 갖도록 개선된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젓가락은, 일단이 밀폐되고 타단이 개방되도록 중공의 금속 파이프로 형성된 젓가락봉과, 일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젓가락봉의 타단에 삽입 고정된 내심과,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구멍에 상기 내심의 타단이 삽입되어 고정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젓가락에 있어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심에 삽입되어 상기 젓가락봉과 상기 손잡이 사이에 고정 설치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손잡이, 젓가락봉, 금속 파이프, 내심, 연결부재

Description

젓가락{Chopstick}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젓가락의 조립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봉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젓가락 10 손잡이
11 손잡이홈 20 젓가락봉
21 확장부 22 내주홈
23 내심 30 연결부재
31 제1단턱 32 제2단턱
33 관통구멍 40 접착제
50 젓가락봉 51 확장부
52 내주홈 53 내심
본 고안은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체적으로 가벼워 미숙 련자가 사용하기 편리하고, 또한 젓가락봉과 손잡이의 형상에 따른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조립에 있어서 견고한 부착성을 갖도록 개선된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을 집을 때 젓가락을 사용하며, 재질에 따라서 나무젓가락, 플라스틱젓가락, 금속젓가락 등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기호 및 목적에 따라 일회용으로 이용시 나무젓가락을 사용하며, 가정 및 음식점 등에서는 주로 재사용이 가능한 플라스틱젓가락 또는 금속젓가락을 사용한다.
상기의 젓가락 중 금속젓가락은, 금속재로 제작된 젓가락봉과, 사용시 미끄러짐 없이 손으로 파지가 용이하도록 젓가락봉의 일단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금속젓가락의 젓가락봉은 길이재이고 단면이 사각형상을 갖도록 프레스에 의해 가공된 것을 보통 사용한다.
또한 상기의 금속판 형태의 젓가락을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0561호의 고안의 명칭이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젓가락은 공간부가 형성된 하단 및 상단젓가락봉과, 상기 하단 및 상단젓가락봉의 공간부에 대응되게 삽입 결합되고 중앙에 걸림턱과 일단에 홈부가 형성된 결합구를 구비한 기술적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프레스에 의해 제작된 젓가락봉은 무거워 미숙련자가 사용하기에 불편하며, 상기 젓가락봉을 제작하기 위해 다량의 금속을 사용함으로 재료비용이 상승된다. 또한 세척시 헐거운 접합부에 물기가 매번 스며들기 때문에 손잡이보다 젓가락봉이 더 무거워 접합부의 결속력이 약해져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간부가 형성된 종래의 젓가락에 사용되는 결합구는, 길이재의 봉으로서 중앙에는 상기 봉의 직경보다 확장된 직경을 갖는 소정 두께의 걸림턱이 형성되고, 하단젓가락봉과 삽입되는 즉 봉의 일단에 다수개의 홈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걸림턱과 홈부를 일체로 가공하기 어렵다.
또한 하단 및 상단젓가락봉과 결합구의 조립에 있어서, 각각의 접합부가 깔끔하게 맞물려 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결합구를 가공할 때 봉과 걸림턱의 중심 센터를 정확하게 맞춰서 가공해야함으로 작업시 상당한 집중을 요구함으로 이에 따른 작업성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단젓가락봉의 공간부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되는 결합구의 다수의 홈부가 형성된 일단은 짧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시 결속력이 약해져 쉽게 분리되어 떨어지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얇은 금속파이프를 사용하여 중공형상의 젓가락봉을 제작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가볍고 사용되는 금속이 적어 재료비를 혁신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젓가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젓가락봉의 내주면 홈의 길이방향으로 내심을 길게 삽입 설치함으로서, 손잡이와 부착할 경우 결속력이 뛰어나 세척시 물기가 닿거나 스며들어도 쉽게 분리되지 않으므로 오랜 시간 사용이 가능한 젓가락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젓가락봉과 손잡이 사이에 설치되어 깔끔하게 맞물려 고급스런 미감을 형성하기 위해 별도로 가공하여 조립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함으로서, 이에 따른 생산성과 조립성이 향상되는 젓가락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은, 일단이 밀폐되고 타단이 개방되도록 중공의 금속 파이프로 형성된 젓가락봉과, 일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젓가락봉의 타단에 삽입 고정된 내심과,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구멍에 상기 내심의 타단이 삽입되어 고정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젓가락에 있어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심에 삽입되어 상기 젓가락봉과 상기 손잡이 사이에 고정 설치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젓가락봉과 상기 내심과 상기 손잡이는 접착제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젓가락봉은 타단의 단부가 확장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에는 각각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젓가락봉과 상기 손잡이의 구멍에 각각 삽입 고정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젓가락봉은, 상기 손잡이를 향한 길이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도록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내심이 삽입된 타단은 상기 내심과 밀착되도록 압축 성형되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재의 젓가락봉을 향한 단부는 상기 젓가락봉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함몰부를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젓가락의 조립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인 젓가락(100)은, 손잡이(10)와 중심에 내심(23)이 삽입 고정된 젓가락봉(20)을 포함한다.
손잡이(10)는, 다양한 형상과 모양 및 색채의 조합이 가능하도록 여러 종류의 재질로 제작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제작이 용이한 도자기를 사용하며, 손잡이(10)의 일단에는 내측 방향으로 소정 깊이를 갖는 손잡이홈(11)을 형성한다.
젓가락봉(20)은 얇은 금속파이프를 가공하는 것으로, 일단은 밀폐되고 타단은 개방되며, 개방된 타단은 확장된 단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길이재인 내심(23)을 젓가락봉(20)의 내주홈(22)에 삽입 설치하며, 이와 같이 조립된 젓가락봉(20)과 손잡이(10) 재차 조리하여 사용한다. 이때 젓가락봉(20)의 타단에 연장된 내심(23)이 손잡이(10)의 일단에 형성된 손잡이홈(11)에 삽입 설치되며, 견고히 부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접착제(40)를 사용한다.
또한 젓가락봉(20)은, 얇은 금속파이프를 사용하여 일단보다 타단이 확장된 단면을 갖도록 가공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금속파이프를 사용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다각형상의 단면을 갖는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공된 얇은 금속파이프는 타단이 확장된 확장부(21)와 내주면에 중공인 내주홈(22)을 형성한다. 또한 밀폐된 일단은 연마 등에 의해 반원형으로 마무리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금속재인 내심(23)을 젓가락봉(20)의 개방된 타단에서 일단방향으로 삽입한다. 이때 내심(23)을 충분히 삽입하여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삽입된 내심(23)과 확장부(21)의 내주면 사이에 접착제(40)를 충진 후 삽입한다.
이와 같이 제작된 내심(23)과 접작제(40)에 의해 고정된 젓가락봉(20)은, 종래의 젓가락보다 견고할 뿐만 아니라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성 및 작업성이 좋다.
또한 손잡이(10)와 젓가락봉(20) 사이의 접합부에 미감을 돋보이고,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연결부재(30)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연결부재(30)는, 일단은 젓가락봉(20)의 확장부(21) 내주면에 삽입 설치되도록 제1단턱(31)이 형성되고, 타단은 대응되는 손잡이(10)의 일단 손잡이홈(11)에 삽입되도록 제2단턱(32)이 형성되며, 일단에서 타단으로 관통된 관통홈(33)을 형성한다.
따라서 연결부재(30)의 제1 및 제2단턱(31,32)에 의해 대응되게 삽입 설치되는 젓가락봉(20)과 손잡이(10)의 중심을 손쉽게 맞춰주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깔끔하게 접합부가 처리됨으로 고급스러운 미감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봉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젓가락봉(50)은 손잡이(10)를 향한 길이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도록 성형되고, 내심(53)이 삽입된 타단은 내심(53)과 감싸도록 압축 성형된 것이 다른다.
이와 같이 젓가락봉(50)의 개방된 타단이 연장된 확장부(51)는 내심(53)의 외주면을 긴밀하게 감싸게 되어, 기밀성 및 손잡이(10)와 젓가락봉(50)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젓가락봉(50)에서도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내심(53)을 감싸고 있는 확장부(51)가 손잡이홈(11)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며, 젓가락봉(50)과 손잡이(50) 사이에 연결부재를 더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는 젓가락봉(50)의 확장부(51)와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함몰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부재는 젓가락봉(50)과 밀착되는 일단의 제1걸림턱은 형성되지 않으며, 타단 즉 손잡이홈(11)에 삽입되는 제2걸림턱은 경우에 따라서 형성되거나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얇은 금속파이프를 사용하여 중공형상의 젓가락봉을 형성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가볍고 사용되는 금속이 적어 재료비를 혁신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젓가락봉의 내주면 홈의 길이방향으로 내심을 길게 삽입 설치함으로서, 손잡이와 부착할 경우 결속력이 뛰어나 세척시 물기가 닿거나 스며들어도 쉽게 분리되지 않으므로 오랜 시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별도로 가공하여 조립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함으로서, 젓가락봉과 손잡이 사이에 설치되어 깔끔하게 맞물려 고급스런 미감을 형성함은 물론 이에 따른 생산성과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3)

  1. 일단이 밀폐되고 타단이 개방되도록 중공의 금속 파이프로 형성된 젓가락봉과, 일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젓가락봉의 타단에 삽입 고정된 내심과,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구멍에 상기 내심의 타단이 삽입되어 고정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젓가락에 있어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심에 삽입되어 상기 젓가락봉과 상기 손잡이 사이에 고정 설치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젓가락봉과 상기 내심과 상기 손잡이는 접착제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젓가락봉은 타단의 단부가 확장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에는 각각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젓가락봉과 상기 손잡이의 구멍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젓가락봉은, 상기 손잡이를 향한 길이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도록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내심이 삽입된 타단은 상기 내심과 밀착되도록 압축 성형되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재의 젓가락봉을 향한 단부는 상기 젓가락봉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함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젓가락.
KR2020070004989U 2007-03-27 2007-03-27 젓가락 KR2004414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989U KR200441496Y1 (ko) 2007-03-27 2007-03-27 젓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989U KR200441496Y1 (ko) 2007-03-27 2007-03-27 젓가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496Y1 true KR200441496Y1 (ko) 2008-08-22

Family

ID=41645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4989U KR200441496Y1 (ko) 2007-03-27 2007-03-27 젓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49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995U (ko) * 2018-01-29 2019-08-07 황인국 젓가락
KR200492422Y1 (ko) * 2020-04-08 2020-10-13 이지인 식사도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995U (ko) * 2018-01-29 2019-08-07 황인국 젓가락
KR200490691Y1 (ko) * 2018-01-29 2019-12-17 황인국 젓가락
KR200492422Y1 (ko) * 2020-04-08 2020-10-13 이지인 식사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58419S1 (en) Combined pail, lid and handle assembly
USD535857S1 (en) Combination spoon and fork utensil
KR200441496Y1 (ko) 젓가락
KR200415048Y1 (ko) 음식용구의 손잡이
KR20160001861U (ko) 헤어 브러시의 결합구조
KR101051332B1 (ko) 가구용 체결구
KR200405044Y1 (ko) 음식용구 손잡이
US20080176025A1 (en) Composite wood and bamboo stick
KR200343540Y1 (ko) 음식용구의 손잡이 결합구조
KR200403812Y1 (ko) 음식용구의 손잡이 결합구조
JP3660968B2 (ja) 木製桶の構造
KR200410172Y1 (ko) 음식용구 손잡이
KR200343877Y1 (ko) 음식용구의 손잡이 결합구조
KR200343538Y1 (ko) 음식용구 손잡이 결합구
KR200492422Y1 (ko) 식사도구
KR200337870Y1 (ko) 음식용구 손잡이
KR200413451Y1 (ko) 음식용구의 손잡이
KR200414343Y1 (ko) 조리용구용 손잡이
KR20100003401U (ko) 조립식 주방도구
KR200398481Y1 (ko) 음식용구의 손잡이 결합구조
KR200492794Y1 (ko) 식사도구
KR200405054Y1 (ko) 음식용구 손잡이
KR200210051Y1 (ko) 음식용구의 손잡이 결합구조
KR200239006Y1 (ko) 조리용 뜰채
KR200410051Y1 (ko) 음식용구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