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380Y1 - 라비린스 효과를 이용한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라비린스 효과를 이용한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380Y1
KR200441380Y1 KR2020080006081U KR20080006081U KR200441380Y1 KR 200441380 Y1 KR200441380 Y1 KR 200441380Y1 KR 2020080006081 U KR2020080006081 U KR 2020080006081U KR 20080006081 U KR20080006081 U KR 20080006081U KR 200441380 Y1 KR200441380 Y1 KR 2004413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yrinth effect
compressed gas
housing
compressor body
centrifug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0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장식
Original Assignee
윤장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장식 filed Critical 윤장식
Priority to KR20200800060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3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3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각종 공압 기기에 이용되는 압축기체의 유수분 및 먼지를 포함한 오염물질을 기체와의 비중차를 이용한 원심분리에 의하여 필터 없이 정화하는 것으로서, 효율적인 압축기체와 오염수를 분리하도록 스파이럴홈에 기초한 라비린스 효과를 이용한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선형 압축기체 흐름을 형성하여 라비린스효과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흐르지 않고 원심 분리된 오염수가 중력방향으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우징(209)의 내부에서 배기통(213)의 원주면에 형성한 복열의 스파이럴홈(2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라비린스 효과를 이용한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라비린스효과를 갖는 스파이럴홈을 이용한 간단한 부품을 구성하여 원심분리력을 갖는 나선형 기체 흐름 및 원심 분리된 액체, 슬러지성분을 효율적으로 정화하고, 4개의 간단한 구조의 금형부품으로 구성하여 부품 생산비용을 낮추어 제품의 생산성을 높이고, 용이한 조립분해 구조, 및 산업현장의 배관에 장착이 용이하도록 압축기체의 출입구가 동일 높이의 수평을 이루도록 하였다.
필터, 압축공기, 무동력, 제습, 원심분리, 볼텍스, 스파이럴, 라비린스 효과

Description

라비린스 효과를 이용한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 {A centrifugal compressed gas cleaner utilizing a labyrinth effect}
본 고안은 각종 공압 기기에 이용되는 압축기체의 유수분 및 먼지를 포함한 오염물질을 기체와의 비중차이를 이용하여 원심 분리에 의하여 필터없이 정화하는 것으로서, 스파이럴홈에 기초한 라비린스 효과를 이용한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공압기기는 압축기나 송풍기 등에 의해 기계적 에너지를 기체의 에너지로 변환해, 이 압축기체를 제어 밸브 등으로 적당히 제어하여 액추에이터에 공급함으로써 그 출력을 부하의 요구에 적합한 기계적 에너지로 출력하는 기기로 정의 할 수 있다.
여기서 압축 공기는 대기의 공기를 압축하여 만드는데, 대기에는 수분, 먼지 등을 포함한 오염물질이 많이 혼합되어 있으며, 압축기로 압축하는 과정에서 오염 물질도 함께 압축되어 오염도가 높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흡입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것 이외 대기의 공기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윤활유 오일 및 탄화물의 혼입과 실(SEAL)재, 필터 엘리먼트의 찌꺼기, 마찰부위에서 발생되는 금속 분말, 부식으로 인한 녹이 있어서 압축기체를 청정시키 는 기기가 필요한 것이다.
종래의 공압 기기의 압축기체의 유수분 분리 기술에 있어서는, 냉각방식의 에프터 쿨러(after cooler), 이슬점온도로 낮추는 응축방식의 냉동식 에어 드라이어, 실리카겔, 활성 알루미나 등의 고체 흡착제를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흡착식 에어 드라이어, 건조제를 이용한 흡수식 드라이어, 필터를 이용한 드레인 분리기등이 있으며 이외 수분, 먼지를 포함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공기 여과기, 오일 미립자 분리기, 드레인 분리기등이 있으나 수분, 오일 및 먼지등을 포함한 오염물질의 정화 효율이 낮으며 필터 막힘으로 인한 유체저항을 초래하여 압력에너지 손실이 발생하여 산업용 공압기기의 기계적 수명 단축, 오작동으로 인한 유지 보수비용 증가 및 불량 제품 생산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원심 임펠러를 이용한 자동차 배출가스 습식 정화 시스템의 부속 장치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 제 20-2002-0033201호 (동일 출원인 및 발명자)에 출원한 바 있으며, 더욱 산업용 압축기체의 액체를 효율적으로 분리하는 구조 및 작동 원리에 기초하여 분할 출원한 “원심 형식의 공기정화장치” 실용등록 제 20-0328651호(동일 출원인 및 발명자), 및 "원심임펠러를 이용한 압축기체정화장치" 특허출원 10-2004-0079691(동일 출원인 및 발명자)에 기초한 발명으로서 다음과 같은 기술적인 문제점을 개량한 것이다.
1. 수직 배관: 현재의 압축기체 입구 및 출구는 수직으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일반적인 산업 배관에 장착이 어려운 구조형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 서 산업현장에서의 압축기체의 출입구 배관은 수평을 이루도록 개선하여야 한다.
2. 회전체 문제: 원심임펠러가 있으므로 효율이 높은 편이지만 베어링을 추가로 구성하여 복잡한 구조형상을 갖게 되어 양산비용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래비린스효과에 기초한 스파이럴홈을 이용한 간단한 부품구조에 기초하여 나선형 기체흐름 및 분리된 액체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다.
3. 복잡한 구조형상: 망사형태의 필터가 들어 있어서 복잡한 구조형상으로 제조원가가 높아서 제품의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래비린스효과를 갖는 스파이럴홈을 이용한 간단한 부품구조에 기초하여 나선형 기체흐름 및 분리된 액체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구조를 갖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다.
4. 높은 제작비용: 부품 갯수가 많이 있으므로 부품 가공 및 제작비용이 높으며 분해조립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5. 복잡한 유지관리: 조립분해가 복잡하여 산업현장에서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4개의 간단한 금형부품으로 구성하여 대량 제작 및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산업현장에서 조립분해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여야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압기기의 수분, 오일 및 먼지를 포함한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원심 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에 함유된 수분, 유분, 미세입자 및 기타 오염물질을 압축기체의 분사 운동에너지에 의하여 고속으로 회전하는 원심식 임펠러를 이용하여 원심 분리력을 발생하는 유체 흐름의 원리에 기초하여 압축공기를 청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의 구성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체중의 액체를 원심분리하여 제습하는 압축 기체 정화장치에 있어서, 하우징(209)의 상부에서 동일 높이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한 흡기관(231)과 배기관(232)과;, 및 압축기체가 통기구(235)를 통하여 흐르도록 하우징(209)의 내부에 삽입하여 설치한 배기통(213)과;, 및 나선형 압축기체 흐름을 형성하여 라비린스효과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흐르지 않고 원심 분리된 오염수가 중력방향으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우징(209)의 내부에서 배기통(213)의 원주면에 형성한 복열의 스파이럴홈(216)과; 배기통(213)의 원주면에 형성한 복열의 스파이럴홈(216)의 하부에 형성한 다수의 통기구(250)와; 배기통(213)의 상부에 형성한 통기구(235)와;, 및 배기통(213)의 하부에 위치한 배수판(224)과; 배수판(224)의 중앙에 형성한 배수구(223)와 원주 면에 형성한 다수의 배수구(222)와;, 및 배수판(224)의 하부에 위치한 배수통(219)과; 배수통(219)의 하부에서 트랩(241)과 연결하도록 설치한 배수구(2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라비린스 효과를 이용한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라비린스 효과를 갖는 스파이럴홈을 이용한 간단한 부품을 구성하여 나선형 기체흐름 및 분리된 액체성분을 효율적으로 정화하고, 4개의 간단한 구조 형상의 금형부품으로 구성하여 부품 생산비용을 낮추어 제품의 생산성을 높이고, 용이한 조립분해 구조, 및 산업현장에 맞추어서 배관에 장착이 용이하도록 압축기체의 출입구가 동일 높이의 수평을 이루도록 개선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실시 예로서 도시한 첨부 도면과 함께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의 구성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체중의 오염물질을 원심 분리하여 제습 하는 압축 기체 정화장치에 있어서, 하우징(209)의 내부에 설치한 배기통(213)과, 배기통(213)의 원주면에 형성한 스파이럴홈(216)과, 및 오염물질은 하우징(209)의 내벽에 모이고 청정압축기체는 하우징(209)의 중앙부로 흐르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비린스 효과를 이용한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와;, 및
나선형 압축기체가 소정의 거리를 흐르는 동안 선회류를 유지하도록 하우 징(209)의 내부에 형성한 2차 와류실(30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라비린스 효과를 이용한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와;, 및
배기통(213)의 외벽과 하우징(209)의 내벽사이에 배수로를 형성한 2차 와류실(30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라비린스 효과를 이용한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와;, 및
하우징(209)의 상부에서 동일 높이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한 흡기관(231)과 배기관(232)과;, 및 압축기체가 통기구(235)를 통하여 흐르도록 하우징(209)의 내부에 삽입하여 설치한 배기통(213)과;, 및 나선형 압축기체 흐름을 형성하여 라비린스효과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흐르지 않고 원심 분리된 오염수가 중력방향으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우징(209)의 내부에서 배기통(213)의 원주면에 형성한 복열의 스파이럴홈(216)과; 배기통(213)의 원주면에 형성한 복열의 스파이럴홈(216)의 하부에 형성한 다수의 통기구(250)와; 배기통(213)의 상부에 형성한 통기구(235)와;, 및 배기통(213)의 하부에 위치한 배수판(224)과; 배수판(224)의 중앙에 형성한 배수구(223)와 원주 면에 형성한 다수의 배수구(222)와;, 및 배수판(224)의 하부에 위치한 배수통(219)과; 배수통(219)의 하부에서 트랩(241)과 연결하도록 설치한 배수구(2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라비린스 효과를 이용한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와;, 및
하우징(209)의 내부에서 배기통(213)의 원주 면에 형성한 단열의 스파이럴홈(2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라비린스 효과를 이용한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와;, 및
흡기관(231)의 압축기체 통로를 경사지게 하여 복열의 스파이럴홈(216)의 회전방향으로 나선형 기체 흐름을 유인하도록 하우징(209)의 상부에 형성한 1차 와류실(30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라비린스 효과를 이용한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 및
래비린스효과에 의하여 나선형 압축기체 흐름이 원주방향으로 유지하고 축방향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게하고 원심 분리된 오염수는 중력으로 축방향으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배기통(213)의 원주면에 형성한 복열의 스파이럴홈(216)과 하우징(209)의 내부 원주면사이에 배수로를 형성한 2차 와류실(30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라비린스 효과를 이용한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 및
배기통(213)의 내부에 형성한 3차 와류실(30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라비린스 효과를 이용한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더욱 제 4 도는 제 3 도의 상면도, 압축기체의 와류 유입구 설명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통(213)의 상부에 형성한 선회류 유로 안내깃(208A)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라비린스 효과를 이용한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 및 배기통(213)의 상면에 형성한 유로 안내깃(208A)을 압축기체의 분사력으로 회전하는 회전체로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라비린스 효과를 이용한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구성에 기초한 작용에 따른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하우징 부품의 단면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09)의 상부에서 동일 높이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한 흡기관(231)과 배기관(232)을 구성하여 입구니플(292, NIPPLE)과 출구니플(294, NIPPLE)를 각각 설치하여 산업현장의 압축공기 배관에 장착하도록 하였다. 한편 하우징(209)의 상부에는 배기통(213)을 체결한 상태에서 압축기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오링(260, O-RING)을 삽입하여 통기구(235)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또한 하우징(209)의 하부에는 배수통(219)을 체결하도록 체결구(209A)가 형성되어 있으며, 압축기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고무재질의 오링(261, O-RING)을 삽입하도록 구성하였다.
여기서 체결구(209A)를 통하여 볼트, 너트를 포함한 체결체를 이용하여 하우징(209)의 내부에 배수판(224)을 결합한 배기통(213)을 압압하여 삽입시키는 한편 하우징(209)의 하부에 배수통(219)을 동시에 고정하도록 하였다.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파이럴홈이 형성된 배기통 부품의 단면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나선형 압축기체 흐름을 형성하여 라비린스효과에 의하여 축방향으로 흐르지 않고 원심 분리된 오염수가 중력방향으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우징(209)의 내부에서 배기통(213)의 원주면에 형성한 복열의 스파이럴홈(216)과; 배기통(213)의 원주면에 형성한 복열의 스파이럴홈(216)의 하부에 형성한 다수의 통기구(250)와; 배기통(213)의 상부에 형성한 통기구(235)를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하우징(209)의 내부에 배수판(224)를 결합한 배기통(213)을 압압하여 삽입한 상태에서 하우징(209)의 내면과 배기통(213)의 스파이럴홈(216)의 외주면에는 배수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배기통(213)의 원주면에 형성한 복열의 스파이럴홈(216)은 사용환경에 따라 한개의 단열 스파이럴홈을 이용가능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3개, 4개 또는 그 이상의 복열의 스파이럴홈을 이용할 수 있다.
제 4 도는 제 3 도의 상면도, 압축기체의 와류 유입구 설명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통(213)의 상면은 압축기체의 유로 안내면(208)이 형성되어 있으며, 유로 안내면(208)의 원주상에는 복열의 스파이럴홈(216)이 구성되어 2개의 와류입구(216A, 216B)를 균등하게 위치하도록 구성하였다.
제 5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판 부품의 설명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통(213)의 하부에 위치한 배수판(224)과; 배수판(224)의 중앙에 형성한 배수구(223)와 원주상에 형성한 다수의 배수구(222)를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배수판(224)에는 배기통(213)을 삽입하여 결합하도록 원환 형태의 결합홈(224A)이 형성된다.
제 6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통 부품의 설명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판(224)의 하부에 위치한 배수통(219)과; 배수통(219)의 하부에서 트랩(241)과 연결하도록 설치한 배수구(211)를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체결구(209A)를 통하여 볼트, 너트를 포함한 체결체를 이용하여 배수통(219)의 상면으로 압압하여서, 하우징(209)의 내부에 배수판(224)을 결합한 배기통(213)을 체결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제 7 도는 제 1 도의 AA 단면도, 압축기체의 와류생성 설명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기체배관과 연결가능한 입구니플(292, NIPPLE) 및 흡기관(231)으로부터 유입하여 방해판(231A)에 막히게 되어,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한다. 이후 압축기체정화장치의 하우징(209)의 내부를 통과하여 정화한 압축기체는 통기구(235), 배기관(232) 및 출구니플(294, NIPPLE)을 통하여 외부 기체배관으로 이송된다. 한편 흡기관(231) 및 배기관(232)은 동일 높이의 수평상태로서 동축 방 향으로 하우징(209)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산업현장 배관에서 용이하게 장착가능하다.
제 8 도는 제 1 도의 BB 단면도, 1차와류실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흡기관(231)으로부터 유입하여 방해판(231A)에 막히게되어 회전상태로 변환된 압축기체 흐름은 하우징(209)의 내부에 형성한 1차 와류실(302)에서 통기구(235)의 주위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1 차 기액의 비중차이에 의한 원심분리를 수행한다.
제 9 도는 제 1 도의 CC 단면도, 2차와류실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와류실(302)을 통과한 압축기체는 하우징(209)의 내면과 배기통(213)의 사이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한 2차와류실(304)에서 배기통(213)의 원주면에 형성한 복열의 스파이럴홈(216)을 따라 나선형 흐름을 유지하면서 원심분리력으로 비중차이에 따른 기액분리작용을 한다. 한편 압축기체로 부터 원심분리된 액체는 하우징(209)의 내벽과 복열의 스파이럴홈(216)의 외주면사이에 형성한 원주공간사이를 통하여 하우징(209)의 내벽에 응착하여 분리수거한다. 또한 나선형 흐름형태의 압축기체는 라비린스효과에 따른 압력 차이에 의하여 축방향 흐름이 차단되어 기액분리가 가능한 것이다.
제 10 도는 제 1 도의 DD 단면도, 3차와류실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09)의 내면과 배기통(213)의 사이에 형성한 2차와류실(304)에서 나선형 흐름을 유지하면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강력한 원심분리력의 작용에 의하여 작은 비중의 기체로부터 큰 비중의 액체가 비중차이에 원심력으로 기액 분리된다. 따라 서 정화된 기체는 배기통(213)에 형성한 다수의 통기구(250)를 통과하면서 3차와류실(306)에서 나선형 흐름을 유지하면서 여분의 액체성분을 다시 한번 원심 분리하여 중공의 회전축을 지나 배기관으로 송부하고 여분의 응축수는 배기통(213)의 하부로 배수하여 제습효율을 높이도록 하였다.
제 11 도는 제 1 도의 EE 단면도, 배수로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2차와류실(304)에서 분리된 액체 또는 응축수는 하우징(209)의 하부에서 위치한 배수판(224)에 원주방향으로 형성한 다수의 배수구(222)를 통하여 중력에 의하여 아래방향으로 배수되고 3차와류실(306)에서 분리된 여분의 액체 또는 응축수는 배수구(423)를 통하여 중력에 의하여 아래방향으로 배수된다.
제 1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의 작동설명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흡기관(231)으로부터 유입하여 방해판(231A)에 충돌하고 회전상태의 압축기체 흐름은 하우징(209)의 내부에 형성한 1차 와류실(302)에서 통기구(235)의 주위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기액의 비중차이에 의한 원심분리를 1차적으로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2차 와류실(304)에서 배기통(213)의 원주면에 형성한 스파이럴홈(216)을 나선형으로 통과하면서 원심분리력에 기초하여 기액분리를 할 수 있다. 한편 배출되는 정화된 기체는 원심분리에 의하여 정화된 기체는 통기구(235)를 지나고 배기관(232) 및 외부 기체배관과 연결한 출구니플(294)을 통하여 공압기기로 송부된다.
상기와 같이, 2차 와류실(304) 및 3차 와류실(306)에서 분리된 액체 또는 응 축수는 하우징(209)의 하부에 위치한 배수통(219)의 내부에서 배수조(308)에 모이게 되고 최종 배수구(211)를 통하여 트랩(24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여기서 트랩(241)은 응축수는 배출하고 압축기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공압부품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트랩(241)으로 배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배수통(219)의 하부 중앙에 위치한 배수구(211)를 구성한다.
여기서 3차와류실(306)의 내부에서 빠른 압축기체 흐름으로 다시 분리된 액체가 희석되는 캐리오버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통(219)의 내부에 형성한 배수조(308)에 캐리오버 방지용 스크린(미도시)을 설치할 수 있다.
제 1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압축기체의 와류 유입구 설명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체의 와류 유입구 설명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통(213)의 상면은 압축기체의 유로 안내면(208)이 형성되어 있으며, 유로 안내면(208)의 원주상에는 단열의 스파이럴홈(216)이 구성되어 1개의 와류입구(216)를 위치하도록 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기체 또는 공기는 대기, 수증기, 암모니아, 오존, 질소, 산소, 아르곤 가스를 포함한 상대적으로 작은 비중의 기체 상태의 연속 유동체로 정의하며, 액체는 물, 윤활유, 수분, 유분, 녹, 먼지를 포함한 상대적으로 큰 비중의 액체상태의 오염물질로 정의한다.
압축기체의 분사 운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압축 기체로부터 액체를 기체와 액체의 비중차이(1:1000)에 기초하여 원심분리하여서, 필터없이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정화하여 청정공기가 필수적인 반도체 전자제품, 식품, 의약품, 의료용 기기, 화공약품, 자동차부품제조설비, 냉동기의 냉매 압축기, 카센터, 무인화 추세의 자동 정밀 제어 공압 설비, 암모니아, 오존, 질소, 산소, 아르곤 가스제조에 이용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 라비린스 효과를 갖는 스파이럴홈을 이용한 간단한 부품을 구성하여 나선형 기체흐름 및 분리된 액체성분을 효율적으로 정화하고, 4개의 간단한 구조 형상의 금형부품으로 구성하여 부품 생산비용을 낮추어 제품의 생산성을 높이고, 용이한 조립분해 구조, 및 산업현장에 맞추어서 배관에 장착이 용이하도록 압축기체의 출입구가 동일 높이의 수평을 이루도록 개선하였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의 구성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하우징 부품의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파이럴홈이 형성된 배기통 부품의 단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상면도, 압축기체의 와류 유입구 설명도
제 5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판 부품의 설명도
제 6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통 부품의 설명도
제 7 도는 제 1 도의 AA 단면도, 압축기체의 와류생성 설명도
제 8 도는 제 1 도의 BB 단면도, 1차와류실
제 9 도는 제 1 도의 CC 단면도, 2차와류실
제 10 도는 제 1 도의 DD 단면도, 3차와류실
제 11 도는 제 1 도의 EE 단면도, 배수로
제 1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의 작동설명도
제 1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압축기체의 와류 유입구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9 : 하우징 213 : 배기통
216 : 복열의 스파이럴홈 219 : 배수통
224 : 배수판 241 : 트랩
222 : 다수의 배수구 250 : 다수의 통기구

Claims (4)

  1. 압축기체중의 오염물질을 원심 분리하여 제습 하는 압축 기체 정화장치에 있어서, 하우징(209)의 내부에 설치한 배기통(213)과, 배기통(213)의 원주면에 형성한 스파이럴홈(216)과, 및 오염물질은 하우징(209)의 내벽에 모이고 청정압축기체는 하우징(209)의 중앙부로 흐르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비린스 효과를 이용한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나선형 압축기체가 소정의 거리를 흐르는 동안 선회류를 유지하도록 하우징(209)의 내부에 형성한 2차 와류실(30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라비린스 효과를 이용한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배기통(213)의 상부에 형성한 선회류 유로 안내깃(208A)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라비린스 효과를 이용한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배기통(213)의 상면에 형성한 유로 안내깃(208A)을 압축기체의 분사력으로 회전하는 회전체로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라비린스 효과를 이용한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
KR2020080006081U 2008-05-08 2008-05-08 라비린스 효과를 이용한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 KR2004413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081U KR200441380Y1 (ko) 2008-05-08 2008-05-08 라비린스 효과를 이용한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081U KR200441380Y1 (ko) 2008-05-08 2008-05-08 라비린스 효과를 이용한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5892A Division KR20050116359A (ko) 2005-11-30 2005-11-30 라비린스 효과를 이용한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380Y1 true KR200441380Y1 (ko) 2008-08-12

Family

ID=41640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081U KR200441380Y1 (ko) 2008-05-08 2008-05-08 라비린스 효과를 이용한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38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667B1 (ko) 원심 임펠러를 이용한 압축 기체 정화 장치
JP6246950B2 (ja) 圧縮空気用浄化装置
KR20040043138A (ko) 원심 형식의 공기 정화 장치
MXPA06008922A (es) Aparato para purificacion de aire tipo humedo que utiliza un compresor centrifugo.
KR20080078791A (ko)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
KR200328651Y1 (ko) 원심 형식의 공기 정화 장치
KR20060102535A (ko) 원심형식의 습식 공기 정화기
KR20050116359A (ko) 라비린스 효과를 이용한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
KR20070045169A (ko) 라비린스 효과를 이용한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
KR200441380Y1 (ko) 라비린스 효과를 이용한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
KR20070020020A (ko) 오일 분리기를 구비한 공기 정화 유닛 및 압축 공기 공급유닛
KR100716903B1 (ko) 원심임펠러를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KR20060118391A (ko) 원심형식의 습식 공기 정화기
CN214715562U (zh) 微型的高温臭气处理装置
CN201101929Y (zh) 分离过滤器
KR20040043140A (ko) 원심 임펠러를 이용한 압축 기체 정화 장치
KR100598995B1 (ko) 다공성 형태의 가이드 베인을 장착한 고효율 오일 제거용필터
CN201030267Y (zh) 压缩空气脱水器
CA2388108A1 (en) Air dryer
CN206103606U (zh) 复式气液分离器
CN200995102Y (zh) 一种免滤芯式压缩空气脱水器
CN215027336U (zh) 一种压缩空气净化设备
KR20050087436A (ko) 원심 임펠러를 이용한 압축 기체 정화 장치
RU275674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газа
KR20040096483A (ko) 원심 임펠러를 이용한 압축 기체 정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