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965Y1 - 파우치 보호용 패드 - Google Patents

파우치 보호용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965Y1
KR200440965Y1 KR2020070007390U KR20070007390U KR200440965Y1 KR 200440965 Y1 KR200440965 Y1 KR 200440965Y1 KR 2020070007390 U KR2020070007390 U KR 2020070007390U KR 20070007390 U KR20070007390 U KR 20070007390U KR 200440965 Y1 KR200440965 Y1 KR 2004409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plate
sides
upper plate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73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근하
정태홍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20200700073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9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9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9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 B65D71/12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 B65D71/14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 B65D71/16Packaging elements holding or encircling completely or almost completely the bundle of articles, e.g. wrappers the packaging elements, e.g. wrappers being formed by folding a single blank having a tubular shape, e.g. tubular wrappers without end walls with article-locating elements
    • B65D71/22Openings or windows formed in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129Wrapper locking means
    • B65D2571/00216Wrapper locking means non integral with the wrapper
    • B65D2571/0024Strings, cords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555Wrapper ope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2571/00123Bundling wrappers or trays
    • B65D2571/00648Elements used to form the wrapper
    • B65D2571/00654Blanks
    • B65D2571/0066Blanks formed from one single sh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파우치 보호용 패드는 파우치의 저면을 지지하는 하판, 상기 하판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연장되며 내측으로 접철되어 상기 파우치의 측면을 덮는 측판, 양측의 측판으로부터 하판의 타측으로 각각 연장되고 내측으로 접철되어 상기 파우치의 상부를 덮는 상판 및 양측의 상판에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며 양측의 상판이 서로 체결되도록 양측의 상판에 형성된 절개홈과 체결고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은 파우치 보호용 패드는 유동성 식품이 포장된 파우치를 희망하는 모양으로 진열시킬 수 있도록 파우치의 진연성을 향상시킨 것은 물론, 소비자의 심미감을 자극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구매욕구가 유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파우치, 하판, 측판, 상판, 연장판, 체결홈, 체결고리, 밴드

Description

파우치 보호용 패드{A PAD FOR PROTECTING POUCH}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파우치 보호용 패드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파우치 보호용 패드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파우치 보호용 패드와 파우치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파우치에 파우치 보호용 패드의 좌측의 측판 및 좌측의 상판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파우치에 파우치 보호용 패드의 우측의 측판 및 우측의 상판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파우치에 파우치 보호용 패드의 양측 상판이 모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파우치에 결합된 파우치 보호용 패드가 분리되지 않도록 체결홈에 체결고리가 도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a 및 8b는 도 2의 파우치 보호용 패드의 하판에서 분리된 밴드의 형상 및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파우치 보호용 패드와 파우치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파우치 보호용 패드 110: 하판
121,122: 측판 131,132: 상판
140: 연장판 151,153: 관통공
161: 체결홈 162: 체결고리
163: 절단선 170: 밴드
171: 삽입공 172: 걸림돌기
173: 삽입부 174: 단턱
200: 파우치 210: 개구부
본 고안은 포장되어 판매되는 각종 김치나 레토르트식품 중 형상이 일정하기 않고, 유동성이 있는 식품이 포장되는 파우치를 진열 및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가공식품 산업이 발전하면서 종래에 집에서 직접 만들던 각종 김치류와 찌게류 등의 음식들이 식품회사에서 완전조리 또는 반조리 상태로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조리되어 판매되는 식품은 간편하게 이용한 수 있으므로, 판매량의 증가 및 시판되는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식품들 중 특히 김치의 경우에는 다른 레토르트식품들과 다르게 구입 후 간단한 조리과정조차 거치지 않고 바로 섭취할 수 있는 식품으로서 포장되는 파우치 또한 다른 레토르트식품에 비해 간소한 편이다. 김치가 포장되는 파우치의 경우에는 편의점이나 야외에서 일 회에 섭취할 수 있는 소용량 포장과 개봉 후 장시간 보관하면서 섭취할 수 있는 대용량 포장이 있다. 소용량 포장의 경우 한 사람이 컵라면이나 김밥 등의 식품과 함께 섭취할 수 있도록 수십 그램의 단위로 포장이 된다. 소용량의 김치가 포장되는 파우치의 경우 파우치를 형성하는 필름의 하부 접합부의 형상을 조정하면 파우치 자체의 형상만으로도 직립 되는데 어려움이 없었으며, 파우치의 측면에는 상품을 설명하는 상표 및 각종 상품의 정보를 표시하였을 때에도 다른 제조사의 제품과 차별성이 생겨 소비자들이 식별하는데 어려움이 없었다.
그러나 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대용량의 김치가 담기는 파우치의 경우에는 내부에 담기는 김치의 무게가 1킬로그램 이상이며, 부피 또한 1리터가 넘게 되므로 유연성 있는 필름으로 제작된 파우치는 의도하는 형상과는 다르게 내부에 담기는 김치의 모양에 따라 변형이 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상이 변형된 파우치는 통상 원형에 가깝게 모양이 변형되므로 파우치 측면의 외부에 김치의 종류나 제조회사 등을 나타내는 표시가 변형이 되어 타사의 제품과 구분되는 식별성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소비자로 하여금 미관상 심미감을 느낄 수 없도록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판매장의 진열대에 다량의 물건을 진열하는 경우, 충격에 약한 얇은 비닐시트를 접합하여 제작되는 파우치는 진열 및 판매되는 과정에서 외부의 날카로운 물건에 찔리거나 충격을 받게되면 파손될 수 있으며, 파우치가 파손되면 파우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음식물이 외부로 유출되어 파손된 파우치뿐만이 아닌 이웃한 파우치들의 외부도 함께 오염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파우치의 외부가 오염이 되면 상품성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판매장의 위생에도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유동성 식품이 포장된 파우치를 소비자로 하여금 구매 의욕을 느낄 수 있도록 진열시키는 것은 물론, 진열시 타제품과의 차별화된 식별성이 있는 파우치 보호용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파우치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판매장의 환경이 쾌적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파우치 보호용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파우치 보호용 패드는 파우치의 저면을 지지하는 하판, 상기 하판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연장되며 내측으로 접철되어 상기 파우치의 측면을 덮는 측판, 상기 양측의 측판으로부터 각각 연장되고 내측으로 접철되어 상기 파우치의 상부를 덮는 상판 및 상기 양측의 상판이 분리되지 않고 결합 되도록 결합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측의 상판에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파우치의 상부가 상기 접철된 상판의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일측의 상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판에 형성된 체결고리와, 상기 연장판이 접철되었을 때 상기 연장판에 대면되는 측판에 형성된 체결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판, 측판, 상판 붕 어느 하나에는, 상기 파우치의 상부를 묶을 수 있는 밴드가 분리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측의 상판 중 내측으로 접철되는 상판의 관통공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절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파우치 보호용 패드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파우치 보호용 패드는 표면에 형성되 접철선을 따라 접철되는 판으로서, 하판(110)과 하판(110)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측판(121,122) 및 측판(121,122)으로부터 연장되는 상판(131,132)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판들(110,121,122,131,132)은 이웃하는 판들과 접철선을 따라 접철되도록 연장되어 있다.
먼저, 하판(110)은 직사각형의 판으로서 내부에 수용되는 파우치(200: 도 3 참조)의 저면을 지지하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우치(200)가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게 평탄한 판으로 되어 있으며, 양측의 접철선을 경계로 측판(121,122)과 연결된다. 그러나 하판(110)의 형성이 직사각형인 것은 일 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원형 또는 기타의 다각형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하판(110)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측판(121,122)은 파우치(200)의 측면을 덮는 판으로서 내부에 수용되는 파우치(200)의 측면을 보호하는 기능 및 파우치 내부의 식품에 관한 정보 및 제조회사를 나타내는 스티커가 부착되거나 상기의 내용이 직접 인쇄될 수 있는 부분이다.
양측의 측판(121,122)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양측의 상판(131,132)은 접철선이 접히면서 파우치(200)의 상부를 접철된 후 서로 겹쳐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파우치 보호용 패드(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좌측의 상판(131)에는 관통공(15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판(131)에는 외부와 관통공(151)을 연통시키는 절개홈(1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측의 상판(131)과 대응되는 우측의 상판(132)에는 좌측의 상판(131)에 형성된 관통공(151)과 대응되는 관통공(153)이 형성된다.
한편, 좌측의 측판(121)에는 상하로 절개된 체결홈(161)이 형성되어 있고, 우측의 상판(132)은 우측으로 연장판(140)이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판(140)에는 상판(132) 측으로 돌출되도록 절단선(163)에 의해 형성된 체결고리(162)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고리(162)는 좌측의 측판(121)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161)에 대향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좌측 및 우측의 개념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붙여진 것이며,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하판(110)의 중앙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밴드(170)가 분리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170)는 사용되기 전에는 하판(100)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고 사용시에만 하판(110)으로부터 분리되어 사용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밴드(170)는 하판(110)의 중앙에 분리가능하게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밴드(170)는 하판뿐만이 아닌 측판(121,122)과 상판(131,132)에도 분리가능하게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파우치 보호용 패드(100)의 사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파우치 보호용 패드(100)의 하판(110) 상부에는 음식물이 포장된 파우치(200)가 중앙에 놓이도록 올려지고 하판(110)의 양측에 형성된 접철선을 접어 하판(110) 양측으로 측판(121,122)들이 직립 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의 도 4에서 하판(110)의 중심에 파우치(200)가 놓인 후 좌측의 측판(121)에 연장된 상판(131)을 접철선을 따라 접어 파우치(200)의 상부를 좌측의 상판(131)이 덮도록 한다. 이때, 상판(131)에 형성된 관통공(151)에 파우치(200)의 상부 개구부(210)를 삽입시키게 되며, 파우치(200)의 상부를 삽입시키는 방법은 관통공(151)의 일측으로 형성된 절개홈(152)을 따라 파우치(200)의 상부가 관통공(151)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우측으로 연장된 상판(132)을 좌측의 상판(131)의 상부에 포개어 지도록 덮고, 우측의 상판(132)에 형성된 관통공(153)으로 파우치(200)의 상부 개구부(210)를 삽입시킨다. 상기에서 좌측의 상판(131)에 파우치(200)의 상부 개구부(210)가 삽입되면서 좌측 상판(131)의 관통공(151: 도 5 참 조)에 파우치(200)의 상부가 말려 있으므로 용이하게 우측의 상판(132)의 관통공(153)으로 삽입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에서와 같이 파우치(200)의 저면과 측면 및 상부를 덮은 파우치 보호용 패드(100)가 파우치(20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체결홈(161)이 형성되어 있는 측판(121)에 체결고리(162)가 형성되어 있는 연장판(140)을 접철시켜 접하게 한 후 상기 체결홈(161)에 상기 체결고리(162)를 삽입시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본 고안에 의한 파우치 보호용 패드(100)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파우치 보호용 패드(100)는 하판(110)의 중앙에 하판(11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밴드(1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밴드(170)는 파우치(200)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 파우치(200)의 상부를 밀폐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즉, 상기 밴드(170)는 판매되는 현장에서 판매자가 소비자가 요구하는 양만큼의 음식물을 포장하여 판매하는 경우에 유용한 것으로서, 파우치(200)의 내부에 소비자가 요구하는 일정량의 음식물을 담은 다음 하판(110)으로부터 상기 밴드(170)를 분리하여 파우치(200)의 상부 개구부(210)을 밀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밴드(170)의 사용을 살펴보면 파우치(200)의 상부 개구부(210)의 하부에 밴드(170)를 위치시킨 후 밴드(17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공(171)에 타측의 삽입부(173)를 삽입시킨 후 삽입부(173)의 단턱(174)이 삽입공(171)의 걸림돌기(172)에 걸리도록 한다. 이때, 밴드(170)는 자체 탄성에 의해서 단턱(174)이 걸림돌기(172)에 걸리게 되므로 인위적으로 단턱(174) 이 걸림돌기(172)에서 벗어나도록 누르지 않는다면 밴드(170)가 풀리지 않으므로 파우치(200)는 판매, 이동 및 보관시 상기 밴드(170)에 내부가 밀봉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김치의 경우에는 용기에 옮겨 담으면 용기의 내부에 냄새가 배이거나 용기를 세척하여도 김치의 양념 색이 용기에 착색되어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밴드(170)를 사용하여 파우치(200)를 밀봉하게 되면 별도의 보관용 용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사용되는 본 고안에 의한 파우치 보호용 패드(100)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체결홈(161)이 형성되지 않은 측판(122)의 외부에 파우치(200) 내부에 담긴 식품의 내용물과 상표를 알리는 광고내용을 별도의 시트지 등에 인쇄하여 부착할 수도 있으며, 초기에 측판(122)의 표면에 인쇄가 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파우치 보호용 패드는 유동성 식품이 포장된 파우치를 희망하는 모양으로 진열시킬 수 있도록 파우치의 진열성을 향상시킨 것은 물론, 소비자의 심미감을 자극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구매욕구가 유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파우치 보호용 패드는 파우치의 외부를 보호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서, 외부의 충격에 약한 얇은 시트로 제작된 파우치가 파손되는 것 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유동성 식품이 포장된 파우치를 보호 및 고르게 진열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파우치의 저면을 지지하는 하판;
    상기 하판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연장되며 내측으로 접철되어 상기 파우치의 측면을 덮는 측판;
    상기 양측의 측판으로부터 각각 연장되고 내측으로 접철되어 상기 파우치의 상부를 덮는 상판; 및
    상기 양측의 상판을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양측의 상판에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파우치의 상부가 상기 접철된 상판의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보호용 패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일측의 상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판에 형성된 체결고리와, 상기 연장판이 접철되었을 때 상기 연장판에 대면되는 측판에 형성된 체결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보호용 패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 측판, 상판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파우치의 상부를 묶을 수 있는 밴드가 분리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보호용 패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상판 중 내측으로 접철되는 상판의 관통공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절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보호용 패드.
KR2020070007390U 2007-05-04 2007-05-04 파우치 보호용 패드 KR2004409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390U KR200440965Y1 (ko) 2007-05-04 2007-05-04 파우치 보호용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7390U KR200440965Y1 (ko) 2007-05-04 2007-05-04 파우치 보호용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965Y1 true KR200440965Y1 (ko) 2008-07-11

Family

ID=41645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7390U KR200440965Y1 (ko) 2007-05-04 2007-05-04 파우치 보호용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9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4395A1 (de) * 2016-04-07 2017-10-12 Optima Nonwovens Gmbh Verpackungseinhe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4395A1 (de) * 2016-04-07 2017-10-12 Optima Nonwovens Gmbh Verpackungseinheit
US11794954B2 (en) 2016-04-07 2023-10-24 Optima Nonwovens Gmbh Packaging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3527A (en) Food package having a sleeve enclosure and a rigid base tray
US7007444B2 (en) Method of fabricating a stackable package for displaying products
CA2326474C (en) Meal kit with improved graphics display
NZ570883A (en) Drawer type packing box comprising inner and outer containers suitable for use as a shopping bag, where the inner displays and packages the goods
US8011502B2 (en) Reusable underwear storage container box
US4353461A (en) Merchandise packaging system
KR200440965Y1 (ko) 파우치 보호용 패드
JP2004256170A (ja) スリーブ型カートンとこれを用いた包装体
US6126068A (en) Garment display package
EP1194335B1 (en) Article display and dispenser
CN216070888U (zh) 一种可悬挂展示的一体包装盒
KR20080006046U (ko) 포장용 파우치의 자립구조
KR20120121385A (ko) 물 계량 및 재활용 가능한 라면봉지
GB2497720A (en) Display carton
JP3212417U (ja) ブリスター包装体
JP6258546B1 (ja) ブリスター包装体
JP3212410U (ja) ブリスター包装体
CN112520164A (zh) 一种可悬挂展示的一体包装盒
JP4176748B2 (ja) 鏡餅包装体
RU129088U1 (ru) Упаковка для изделия (варианты)
JP3206546U (ja) 小売り袋
EP3972914A1 (en) Package for foodstuff products
GB2147566A (en) Display packages
KR200439603Y1 (ko) 손지갑형 포장박스
IL169063A (en) Multiple compartment pack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