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157Y1 - 레이저빔을 이용한 노래방조명기기 - Google Patents

레이저빔을 이용한 노래방조명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157Y1
KR200440157Y1 KR2020080000391U KR20080000391U KR200440157Y1 KR 200440157 Y1 KR200440157 Y1 KR 200440157Y1 KR 2020080000391 U KR2020080000391 U KR 2020080000391U KR 20080000391 U KR20080000391 U KR 20080000391U KR 200440157 Y1 KR200440157 Y1 KR 2004401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beam
diffuser
sound
mirror
oscilla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03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의광
Original Assignee
황의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의광 filed Critical 황의광
Priority to KR20200800003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1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1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1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21Indicator, i.e. non-screen output user interfacing, e.g. visual or tactile instrument status or guidance information using lights, LEDs, seven segments displays
    • G10H2220/081Beat indicator, e.g. marks or flashing LEDs to indicate tempo or beat 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향 및 노래소리에 반응하여 다양한 패턴의 무늬를 실시간으로 자동적으로 연출할 수 있는 레이저빔을 이용한 노래방조명기기로서, 조명효과를 위한 음향의 음량, 음의 높낮이 및 템포값을 감지 및 판단하여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입력수단; 상기 전송된 음량, 음의 높낮이 및 템포값에 따라 다수개의 모터(M1,M2,M3,M4)와 다수개의 레이저빔 발진기(L1,L2)를 자동제어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된 상기 다수개의 모터(M1,M2,M3,M4)와 다수개의 레이저빔 발진기(L1,L2)에 따라 다양한 패턴의 무늬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출력수단; 및 상기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출력수단은 적어도 2개의 레이저빔 발진기(L1,L2); 빔결합미러(50); 제1 반사미러(62); 제2 반사미러(72); 제1 빔디퓨저(94); 및 제2 빔디퓨저(82);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Figure R2020080000391
제어수단, 출력수단, 레이저빔 발진기, 빔결합미러, 반사미러, 빔디퓨저

Description

레이저빔을 이용한 노래방조명기기{APPARATUS FOR ILLUMINATION USING LASER BEAM}
본 고안은 노래방 조명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두개의 레이저빔이 음향 및 노래소리에 반응하여 다양한 패턴의 무늬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성된 레이저빔을 이용한 노래방 조명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대나 유흥업소 및 노래방 등에는 선곡된 노래의 연주음과 화음을 발생시키고 가사 자막을 디스플레이하는 반주기 이외에도, 적절한 조명과 주변효과를 제공함으로써 현장감을 조성하고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한 다양한 분위기 연출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분위기 연출을 위하여 종래에는 무대나 노래방 천정에 다양한 조명등을 설치하였는 바, 반주기에 동전을 투입하여 노래를 선곡하면 동시에 설치된 조명등이 작동되어 조명등이 점멸되거나 색깔이 변화됨으로써 분위기 연출을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명등만으로는 조명에 의한 분위기 연출이 미약한 바, 최근에는 테크노램프, 레이저빔, 무빙아트, 샤이키, 빔라이트 등의 다양한 조명수 단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 다양한 조명수단 중 특히 '레이저빔'은 직선형, 원형 및 사각형 등의 형태로 레이저빔이 분사되는 장치로서, 다른 조명기기와 융합하여 무대공간을 세련되고 럭셔리하게 조성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공지의 레이저빔 장치는 직선형, 원형 등 폐곡선으로 된 단일의 일정한 모양을 무대공간에 형성하는 것이어서, 현장감 있는 분위기를 연출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대공간에 일정크기의 많은 점무늬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일정범위내에서 점무늬들이 회전하는 레이저빔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상기 기술 역시 점 무늬라는 일정 모양의 패턴 하나만을 제공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여러 문제점을 개선하여 적절한 분위기가 연출됨과 동시에, 단일의 기계로 다양한 패턴의 무늬가 음향 및 박자에 맞추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기술적 개선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 및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적어도 두개의 레이저빔이 음향 및 노래소리에 반응하여 적절한 분위기를 연출함과 동시에, 단일의 기계로 다양한 패턴의 무늬가 음향 및 박자에 맞추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특징인 레이저빔을 이용한 노래방조명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외부에서 발생된 음향에 맞추어 자동 조명하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조명효과를 위한 음향의 음량, 음의 높낮이 및 템포값을 감지 및 판단하여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입력수단;
상기 전송된 음량, 음의 높낮이 및 템포값에 따라 다수개의 모터(M1,M2,M3,M4)와 다수개의 레이저빔 발진기(L1,L2)를 자동제어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된 상기 다수개의 모터(M1,M2,M3,M4)와 다수개의 레이저빔 발진기(L1,L2)에 따라 다양한 패턴의 무늬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출력수단; 및
상기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레이저빔을 이용한 노래방조명기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입력수단은
노래나 연주음에 따른 조명효과를 위하여 음량, 음의 높낮이 및 템포를 감지 및 판단하는 음향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전송된 음량, 음의 높낮이 및 템포값에 따른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모터(M1,M2,M3)의 구동과 인가된 전원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
상기 제1 제어부(21)의 연산에 따라 상기 제4 모터(M4)를 구동시키는 제2 제어부; 및
상기 제1 제어부(21)의 연산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레이저빔 발진기(L1,L2)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3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출력수단은
제1 파장빔과 제2 파장빔을 각각 생성시키는 적어도 2개의 레이저빔 발진기(L1,L2);
상기 어느 하나의 파장빔은 투과시키고 다른 하나의 파장빔은 반사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빔결합미러;
상기 빔결합미러에 의해 결합된 결합빔의 진행방향을 변환시키는 상기 제1 모터(M1)에 의해 회동하는 제1 회동체에 일체로 형성된 제1 반사미러;
상기 제1 반사미러에 의해 반사된 결합빔의 진행방향을 변환시키는 상기 제2 모터(M2)에 의해 회동하는 제2 회동체에 일체로 형성된 제2 반사미러;
상기 제3모터(M3)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2 반사미러로부터 반사된 결합빔을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제1 빔디퓨저; 및
상기 제4 모터(M4)에 의해 회동하는 제4 회동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반사미러와 상기 제1 빔디퓨저 사이에서 회동하는 제2 빔디퓨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빔결합미러는 45°경사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파장빔은 투과시키고, 상기 제2 파장빔은 전반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1 빔디퓨저 및 제2 빔디퓨저는 일측 표면에 빔을 분산시킬 수 있는 요철구조층을 형성하여, 각각의 빔디퓨저에 전송된 레이저빔이 분산과 간섭에 의해 다양한 패턴의 무늬로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의 구성을 가진 본 고안에 따른 노래방조명기기는 적어도 두개의 레이저빔이 음향 및 노래소리에 반응하여 다양한 패턴의 무늬를 실시간으로 자동적으로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조명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다양한 패턴의 무늬를 단일의 기계로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레이저빔을 이용한 노래방조명기기 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레이저빔을 이용한 노래방조명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구성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제2 빔디퓨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레이저빔을 이용한 노래방조명기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레이저빔을 이용한 노래방조명기기가 작동시 전송된 레이저빔의 주 초점이 이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제1 빔디퓨저와 제2 빔디퓨저의 단면도 및 입사빔이 분산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노래방조명기기(10)는 전원수단(30), 입력수단인 음향센서(미도시), 제어수단인 제어부(21,22,23), 및 출력수단인 레이저빔발진기(L1, L2)와 미러시스템(A)으로 구성된다. 또한, 노래방 조명기기(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제거하기 위한 팬(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수단(30)은 노래방 조명기기에 전원을 인가하는 일반적인 전원으로 조명기기의 구동을 위한 전원으로 활용된다.
상기 입력수단인 음향센서(미도시)는 노래나 연주음에 따른 조명효과를 위하여, 외부에서 발생된 음향의 음량, 음의 높낮이 및 템포를 감지 및 판단하여 해당 값을 제어수단으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수단은 음향센서로부터 전송받은 음향의 음량, 음의 높낮이 및 템포값에 따라 다수개의 모터(M1,M2,M3,M4)와 다수개의 레이저빔 발진기(L1,L2)를 자동 제어하도록 연계된 제어부(21,22,23)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제1 제어부(21), 제2 제어부(22) 및 제3 제어부(23)로 구분할 수 있다.
제1 제어부(21)는 음향센서로부터 전송된 음향의 음량, 음의 높낮이 및 템포값에 따른 연산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다양한 패턴의 무늬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음향센서와 제1 내지 제3 모터(M1,M2,M3) 및 제3 제어부, 전원수단(30)과 연계되어 있으며, 제1 내지 제3 모터(M1,M2,M3)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제3 모터(M3)는 제4 모터(M4) 하부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면상에는 미도시 되었다.
제2 제어부(22)는 전원수단(30), 제1 제어부(21) 및 제4 모터(M4)에 연계되어 있으며, 제1 제어부(21)의 연산에 따라 제4 모터(M4)를 구동시킨다.
제3 제어부(23)는 제1 제어부(21), 전원수단(30), 및 레이저빔 발진기(L1,L2)에 연계되어 있으며, 레이저빔 발진기(L1,L2)로부터 각각의 레이저빔을 생성하고 제1 제어부의 연산에 따라 레이저빔 발진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본 노래방조명기기에 인가된 전원은 상기 제1 제어부(21)의 연산에 따라 제어되는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각 제어부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상기 출력수단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된 다수개의 모터와 다수개의 레이저빔에 따라 다양한 패턴의 무늬를 외부로 디스 플레이하는 것으로서, 레이저빔발진기(L1, L2)와 미러시스템(A)으로 구분된다.
레이저빔 발진기(L1, L2)는 레이저빔이 생성되는 장치로서, 다양한 색깔의 무늬를 연출하기 위해서 다른 주파수의 파장빔을 생성하는 적어도 2대 이상의 레이저빔 발진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는, 레이저빔 발진기(L1)와 레이저빔 발진기(L2)를 90°각도로 배치하였으며, 레이저빔 발진기(L1)로부터는 제1 파장빔(G), 레이저빔 발진기(L2)로부터는 제2 파장빔(R)을 각각 생성하도록 구성하였다.
빔결합미러(50)는 레이저빔 발진기(L1, L2)로부터 각각 방출된 레이저빔을 하나의 빔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 파장빔(G)은 투과시키고 제2 파장빔(R)은 전반사시킬 수 있도록 빔 진행방향에 45°각도로 경사 배치한다.
미러시스템(A)은 레이저빔 진행방향으로 홀(h)이 형성된 하우징(H), 제1 반사미러(62), 제2 반사미러(72), 제1 빔디퓨저(94), 및 제2 빔디퓨저(82)로 구성된다.
제1 반사미러(62)는 입사된 빔이 전반사 되도록 일면을 코팅처리한 것으로, 하우징(H) 외부 일측에 설치된 제1 모터(M1)에 연결되어 회동하는 제1 회동체(60)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1 제어부(21)의 제어에 따라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회동한다.
제1 반사미러(62)는 빔결합미러(50)에 의해 결합된 빔의 진행방향을 변환시키는 것으로, 전송된 입사빔을 제2 반사미러(72)로 전반사시킨다.
제2 반사미러(72)는 입사된 빔이 전반사 되도록 일면을 코팅처리한 것으로, 하우징(H) 외부 타측에 설치된 제2 모터(M2)에 연결되어 회동하는 제2 회동체(70)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1 제어부(21)의 제어에 따라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회동한다.
제1 반사미러(62)와 제2 반사미러(72)는 빔결합미러(50)에 의해 결합된 빔의 진행방향을 변환시킬 수 있도록 90°각도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2 반사미러(72)는 제1 반사미러(62)로부터 반사된 빔을 전송받아 제1 빔디퓨저(94)로 반사 전송시킨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빔디퓨저(94)는 입사된 빔이 외부로 분산되도록 일측 표면에 매우 미세한 요철구조층이 형성된 원형의 투명플레이트로서, 외측 둘레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환형테두리부(93)에 일체로 결합된다.
환형테두리부(93)는 레이저빔이 외부로 방사되도록 노래방 조명기기(10)의 일측면에 형성된 홀의 테두리(98)에 지지되어 회전된다.
또한, 하우징(H) 외부에 설치된 제3 모터(M3)(미도시)에 연결되어 회동하는 제3 회동체(90)의 일단부(91)에는 외측 둘레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환형테두리부(93)와는 밴드(95)로 연결되어 제3 모터(M3)의 회동력을 환형테두리부(93)에 전달한다.
따라서, 제1 제어부(21)의 제어에 따라 제3 회동체(90)가 회전하면, 제1 빔디퓨저(94)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제2 빔디퓨저(82)는 제1 빔디퓨저(94)와 마찬가지로 입사된 빔이 외부로 분 산되도록 일측 표면에 매우 미세한 요철구조층이 형성된 투명플레이트로서, 하우징(H) 외부에 설치된 제4 모터(M4)에 연결되어 회동하는 제4 회동체(80)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2 빔디퓨저(82)는 제2 제어부(22)의 제어에 따라 제2 반사미러(72)와 제1 빔디퓨저 사이 공간에서 상하로 일정 각도 회동한다.
제1 빔디퓨저(94)와 제2 빔디퓨저(82)는 표면의 요철구조층으로 인해 전송되어 입사된 빔이 분산되어 간섭현상에 의해 다양한 무늬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제1 빔디퓨저(94)와 제2 빔디퓨저(82)를 투명플레이트로 기술하였으나, 빛을 투과시킬 수 있을 정도의 투명도만 있으면 되므로 이에 국한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또한, 표면의 요철구조층은 규칙적인 긁힘이나 불규칙적인 긁힘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요철구조의 형상에 따라 무늬패턴을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1 ~ 도 8을 참조하여 출력수단을 중심으로 본 고안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향센서를 통해 외부로부터 음향이 감지 및 판단되면, 제어부(21,22,23)는 모터(M1,M2,M3,M4)와 레이저빔 발진기(L1,L2)를 제어하여 구동시킨다.
레이저빔 발진기(L1)로부터 방출된 녹색의 제1 파장빔(G)은 빔결합미러(50)를 투과하고, 레이저빔 발진기(L2)로부터 방출된 붉은색의 제2 파장빔(R)은 빔결합미러(50)에서 전반사되어 하나의 빔으로 결합된다. 물론, 제3 제어부(23)에 의해 하나의 빔만이 선택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하나의 빔으로 결합된 빔은 미러시스템(A)의 제1 반사미러(62)에서 상방향으로 전반사되고, 반사된 빔은 제2 반사미러(72)에 의해 다시 전반사되어 제1 빔디퓨저(94)로 전송된다.
제1 빔디퓨저(94)로 전송된 빔은 외부로 분산되어 간섭현상에 의해 다양한 패턴의 무늬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제2 빔디퓨저(82)가 제2 반사미러(72)와 제1 빔디퓨저(94) 사이에 개제되면, 제2 반사미러(72)로부터 전송된 빔이 제2 빔디퓨저(82)에 의해 분산되고 이 분산된 빔이 제1 빔디퓨저(94)에 전송되고 다시 제1 빔디퓨저(94)에 의해 분산되므로, 제1 빔디퓨저(94)만 배치했을 때와는 다른 다양한 패턴의 무늬가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도 4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어부에 의해 제1 반사미러(62)가 C3 방향과 C4 방향으로 각각 일정각도 회동할 때, 제1 빔디퓨저(94)로 전송되는 빔의 입사점은 기준점(0)을 중심으로 각각 R점과 S점 방향으로 바뀐다.
또한, 도 5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어부에 의해 제2 반사미러(72)가 C1 방향과 C2 방향으로 각각 일정각도 회동할 때, 제1 빔디퓨저(94)로 전송되는 빔의 입사점은 기준점(0)을 중심으로 각각 U점과 T점 방향으로 바뀐다.
여기서, 도 6과 도 7에 도시된 제1 빔디퓨저(94)에 전송된 레이저빔의 입사점 위치는 노래방 조명기기(10)의 외부에서 관측한 것이다.
음향센서로부터 전송된 음향의 음량, 음의 높낮이 및 템포값에 따라, 제1 제어부(21)에 의해 자동제어된 제1 반사미러(62)와 제2 반사미러(72)는 각각 C1 방향, C2 방향, C3 방향 및 C4 방향으로 불규칙적으로 회동하고, 마찬가지로 자동제어된 제1 빔디퓨저(94)도 회전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어부(21)에 연계된 제2 제어부(22)에 의해 제2 빔디퓨저(82)도 제1 빔디퓨저(94) 위치까지 상하로 일정각도 불규칙적으로 회동한다.
본 고안의 노래방조명기기(10)의 조명효과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되는 무늬패턴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디스플레이되는 다양한 무늬패턴은, 입력되는 음향의 음량, 음의 높낮이 및 템포에 따라 제1 반사미러(62)와 제2 반사미러(72)가 불규칙적으로 회동하며 또한 제1 빔디퓨저(94)가 회전하고, 동시에 제2 빔디퓨저(82)도 상하로 회동함으로써 발생되는 것으로,
(1) 제1 빔디퓨저(94)만 구성되었을때는 주로 생성되는 무늬패턴은 일정크기를 가진 두가지 색깔의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많은 점무늬가 주 초점을 중심으로 방사대칭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반사미러(62)와 제2 반사미러(72)의 불규칙적인 회동 및 제1 빔디퓨저(94)의 회전에 따라 제1 빔디퓨저(94)에 입사되는 주 초점의 위치가 변화되고 그 주 초점을 중심으로 점무늬들이 회전하는 효과가 디스플레이된다. 물론, 이때 제1 반사미러(62)와 제2 반사미러(72)의 회동속도와 회동의 불규칙 한 정도 및 제1 빔디퓨저(94)의 회전속도에 따라 점무늬와 함께 점무늬가 이어진 선무늬가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기도 한다.
(2) 제2 빔디퓨저(82)가 제1 빔디퓨저(94)와 제2 반사미러(72) 사이에 게재되었을때는 매우 미세한 크기지만 다양한 크기의 두가지 색깔의 무수한 점무늬가 불규칙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반사미러(62)와 제2 반사미러(72)의 불규칙적인 회동 및 제1 빔디퓨저(94)의 회전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무수한 점무늬들은 회전하면서 일정간격의 점을 중심으로 모였다 흩어졌다 하는 효과가 디스플레이된다. 물론, 이때 제1 반사미러(62)와 제2 반사미러(72)의 회동속도와 회동의 불규칙한 정도 및 제1 빔디퓨저(94)의 회전속도에 따라 불규칙적인 무수한 점무늬와 선무늬 및 일정간격의 점을 중심으로 모였다 흩어졌다 하는 효과가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디스플레이 되기도 한다.
(3) 본 고안의 노래방조명기기(10)는 입력되는 음향의 음량, 음의 높낮이 및 템포에 따라 상기 (1) 및 (2)의 효과가 동시에 또는 실시간 간격으로 개별적으로 외부에 디스플레이된다.
본 고안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레이저빔을 이용한 노래방조명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구성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제2 빔디퓨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레이저빔을 이용한 노래방조명기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레이저빔을 이용한 노래방조명기기가 작동시 전송된 레이저빔의 주 초점이 이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제1 빔디퓨저와 제2 빔디퓨저의 단면도 및 입사빔이 분산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노래방 조명기기 21: 제1 제어부
22: 제2 제어부 23: 제3 제어부
30: 전원수단 40: 팬
50: 빔결합미러 60,70,80,90: 회동체
62,72: 반사미러 82, 94: 빔디퓨저
93: 환형테두리부 95: 밴드
L1,L2: 레이저빔 발진기 M1,M2,M3,M4: 모터
H: 하우징 h: 홀

Claims (6)

  1. 외부에서 발생된 음향에 맞추어 자동 조명하는 조명장치에 있어서,
    조명효과를 위한 음향의 음량, 음의 높낮이 및 템포값을 감지 및 판단하여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는 입력수단;
    상기 전송된 음량, 음의 높낮이 및 템포값에 따라 다수개의 모터(M1,M2,M3,M4)와 다수개의 레이저빔 발진기(L1,L2)를 자동제어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된 상기 다수개의 모터(M1,M2,M3,M4)와 다수개의 레이저빔 발진기(L1,L2)에 따라 다양한 패턴의 무늬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출력수단; 및
    상기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수단은,
    노래나 연주음에 따른 조명효과를 위하여 음량, 음의 높낮이 및 템포를 감지 및 판단하는 음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전송된 음량, 음의 높낮이 및 템포값에 따른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모터(M1,M2,M3)의 구동과 인가된 전원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21);
    상기 제1 제어부(21)의 연산에 따라 상기 제4 모터(M4)를 구동시키는 제2 제어부(22); 및
    상기 제1 제어부(21)의 연산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레이저빔 발진기(L1,L2)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3 제어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빔을 이용한 노래방조명기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제1 파장빔과 제2 파장빔을 각각 생성시키는 적어도 2개의 레이저빔 발진기(L1,L2);
    상기 어느 하나의 파장빔은 투과시키고 다른 하나의 파장빔은 반사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빔결합미러(50);
    상기 빔결합미러(50)에 의해 결합된 결합빔의 진행방향을 변환시키는 상기 제1 모터(M1)에 의해 회동하는 제1 회동체(60)에 일체로 형성된 제1 반사미러(62);
    상기 제1 반사미러(62)에 의해 반사된 결합빔의 진행방향을 변환시키는 상기 제2모터(M2)에 의해 회동하는 제2 회동체(70)에 일체로 형성된 제2 반사미러(72);
    상기 제3모터(M3)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상기 제2 반사미러(72)로부터 반사된 결합빔을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제1 빔디퓨저(94); 및
    상기 제4 모터(M4)에 의해 회동하는 제4 회동체(80)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반사미러(72)와 상기 제1 빔디퓨저(94) 사이에서 회동하는 제2 빔디퓨저(8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빔을 이용한 노래방조명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빔결합미러(50)는 45°경사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파장빔은 투과시키고, 상기 제2 파장빔은 전반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빔을 이용한 노래방조명기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디퓨저(94) 및 제2 빔디퓨저(82)는 일측 표면에 빔을 분산시킬 수 있는 요철구조층을 형성하여, 각각의 빔디퓨저(94,82)에 전송된 레이저빔이 분산과 간섭에 의해 다양한 패턴의 무늬로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빔을 이용한 노래방 조명기기.
KR2020080000391U 2008-01-10 2008-01-10 레이저빔을 이용한 노래방조명기기 KR2004401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391U KR200440157Y1 (ko) 2008-01-10 2008-01-10 레이저빔을 이용한 노래방조명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391U KR200440157Y1 (ko) 2008-01-10 2008-01-10 레이저빔을 이용한 노래방조명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157Y1 true KR200440157Y1 (ko) 2008-05-27

Family

ID=41644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0391U KR200440157Y1 (ko) 2008-01-10 2008-01-10 레이저빔을 이용한 노래방조명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15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088Y1 (ko) 2011-05-26 2013-03-27 임철수 노래방용 레이저빔 조명 연출 장치
KR200480716Y1 (ko) * 2015-01-07 2016-06-28 황의광 Led와 레이져빔을 장착한 회전조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088Y1 (ko) 2011-05-26 2013-03-27 임철수 노래방용 레이저빔 조명 연출 장치
KR200480716Y1 (ko) * 2015-01-07 2016-06-28 황의광 Led와 레이져빔을 장착한 회전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9610B2 (en) Energy efficient illu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lluminating surfaces
CA2637778A1 (en) Flame simulation apparatus for an electrical fireplace
JP2004517452A (ja) 照明方法および照明装置
US2684244A (en) Fireplace flame simulating device
KR101128409B1 (ko) 경관조명을 위한 빔스폿을 이용한 조명 방법 및 장치
KR101022690B1 (ko) 레이저조명과 led조명의 조합연출이 가능한 무대조명장치
CN106402719A (zh) 蜡烛灯
KR200440157Y1 (ko) 레이저빔을 이용한 노래방조명기기
US9970632B2 (en) Energy efficient illu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lluminating surfaces
KR200480716Y1 (ko) Led와 레이져빔을 장착한 회전조명장치
KR200445335Y1 (ko) 반사장치를 구비한 레이저빔 조명장치
JP3127008U (ja) オルゴール玩具
KR200472963Y1 (ko) Led를 장착한 회전조명장치
CN205979590U (zh) 可移动的舞台声光系统
KR101612733B1 (ko) 유흥업소용 led 및 레이져 조명 동시회전구동형 무대조명장치
EP1236194B1 (en) Adjustable 3d multicolor wave generator system
CN211424287U (zh) 一种壁炉模拟装置
RU2379581C1 (ru) Светильник
CN217154036U (zh) 一种可同时实现多种效果的投影灯
CN211424288U (zh) 一种火焰模拟装置
KR200466088Y1 (ko) 노래방용 레이저빔 조명 연출 장치
KR102039257B1 (ko) 무대 조명장치
JP2638920B2 (ja) レジャー用造波プール
CN203731297U (zh) 能形成多光束旋转开合效果的舞台灯
CN217899731U (zh) 一种炫彩摇头光束舞台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