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847Y1 - 냉온수기의 가이드관 - Google Patents

냉온수기의 가이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847Y1
KR200439847Y1 KR2020070010367U KR20070010367U KR200439847Y1 KR 200439847 Y1 KR200439847 Y1 KR 200439847Y1 KR 2020070010367 U KR2020070010367 U KR 2020070010367U KR 20070010367 U KR20070010367 U KR 20070010367U KR 200439847 Y1 KR200439847 Y1 KR 2004398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water
guide tube
bottled water
bott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3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근
Original Assignee
이성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근 filed Critical 이성근
Priority to KR20200700103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8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8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8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1/0809Opening means, e.g.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38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the liquid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prior to dispen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8Supports
    • B67D3/0083Supports for the liqui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 B67D2210/00049Pipes
    • B67D2210/00052Pipes with flow tranquili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수통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금씩 지속적으로 공급토록 한 냉온수기의 가이드관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생수통의 토출구에 삽입되며 둘레면에는 구멍들이 관통 형성된 상부가이드관과, 상기 상부가이드관의 아래에 형성되며 저면에는 개방구들이 형성된 상태로 냉온수기의 냉수탱크에 위치하게 되는 하부가이드관을 포함하며, 상기 상, 하부가이드관의 내부에는 칸막이를 사이에 두고 공기통과유로 및 생수통과유로가 각각 구획 형성되며, 상기 공기통과유로는 일단은 상기 상부가이드관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구멍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가이드관의 둘레면에 절개 형성된 절개부에 연결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생수통과유로는 일단은 상기 상부가이드관의 나머지 구멍들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가이드관의 개방구에 연결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냉온수기, 생수탱크, 가이드관

Description

냉온수기의 가이드관{water guide pipe for cooling and heating water}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냉온수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냉온수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가이드관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가이드관의 단면을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6a와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의 가이드관을 통해 생수통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 7은 본 고안의 냉온수기 가이드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생수통 20: 본체
30: 가이드관 33: 오-링(O-RING)
34: 상부가이드관 35: 너트
36a, 36b, 36c, 36d: 구멍 38: 하부가이드관
42a: 절개부 42b, 42c, 42d: 개방구
44: 칸막이 46a: 공기통과유로
46b, 46c, 46d: 생수통과유로
본 고안은 냉온수기의 가이드관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수통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금씩 지속적으로 공급토록 한 냉온수기의 가이드관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냉온수기는 냉각 및 온수 시스템을 구비하여 생수통에 저장된 생수를 일정한 온도로 냉각 및 가열시킴으로써 소비자에게 냉수와 온수를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통상 사무실이나 음식점, 가정 등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냉온수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냉온수기는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가 내장된 본체(2)와, 상기 본체에(2) 얹혀지는 생수통(10)으로 외형을 구성한다.
한편, 냉온수기의 본체(2) 상면에는 생수통(10)을 받쳐주는 워터가이드(6)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워터가이드(6)의 중앙에는 생수통(10)의 토출구(12)를 관통한 상태로 지지하는 워터가이드관(8)이 더 포함되어 설치된다.
상기 워터가이드관(8)은 중앙으로 관통 형성된 유로(9)를 통해 냉수탱크(4) 에 존재하는 공기를 생수통(10)으로 공급시키게 되고, 또한 생수통(10)으로 공급된 공기의 압력으로 밀려나는 생수를 상기 유로(9)를 통해 냉수탱크(4)로 배출시키는 역활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워터가이드관(8)은 냉수탱크(4)의 냉수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워터가이드관(8)의 하단부가 냉수에서 노출됨과 동시에 냉수탱크(4)에 존재하는 공기가 한꺼번에 유로(9)를 통해 생수통(10)으로 공급되어 짐으로서 많은 양의 공기유입을 통해 생수의 울렁거림현상이 크게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생수통(10)이 흔들리거나 심한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가져왔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생수통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금씩 지속적으로 공급토록 하여 생수의 울렁거림 현상을 최소화하도록 한 냉온수기의 가이드관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냉온수기의 가이드관에 있어서, 생수통의 토출구에 삽입되며 둘레면에는 구멍들이 관통 형성된 상부가이드관과, 상기 상부가이드관의 아래에 형성되며 저면에는 개방구들이 형성된 상태로 냉온수기의 냉수탱크에 위치하게 되는 하부가이드관을 포함하며, 상기 상, 하부가이드관의 내부에는 칸막이를 사이에 두고 공기통과유로 및 생수통과유로가 각각 구획 형성되 며, 상기 공기통과유로는 일단은 상기 상부가이드관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구멍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가이드관의 둘레면에 절개 형성된 절개부에 연결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생수통과유로는 일단은 상기 상부가이드관의 나머지 구멍들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가이드관의 개방구에 연결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냉온수기(100)는 생수통(10)과, 상기 생수통(10)을 받쳐주는 본체(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0)의 내부에는 냉수탱크(22)와, 상기 냉수탱크(22) 아래로 온수탱크가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20)의 상단에는 안내공(24)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공(24)에는 워터가이드(26)가 안치된다. 상기 워터가이드(26)의 중앙에는 생수통(10)의 토출구(12)가 끼워지는 삽입홈(28)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28)에는 가이드관(30)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관(30)은 생수통(10)에 저장되어 있는 생수를 냉수탱크(22)로 공급하게 되고, 또한 냉수탱크(22)에 존재하는 공기를 생수통(10)으로 배출시키는 역활을 수행한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는 상기한 가이드관(30)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관(30)은 플랜지부(32)를 사이에 두고 위쪽과 아래쪽으로 상부가이드관(34) 및 하부가이드관(38)으로 나뉘어져 구성한다. 이때 상기 플랜지부(32) 및 상, 하부가이드관(34, 38)은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일체로 사출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랜지부(32)는 전술한 워터가이드(26)의 삽입홈(28)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28a)에 걸려지며 가이드관(30)을 워터가이드(26)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상부가이드관(34)은 플랜지부(32) 위쪽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부가이드관(34)은 생수통(10)의 토출구(12)가 워터가이드(26)의 삽입홈(28)에 끼워지면 상기 토출구(12)를 관통한 상태에서 생수통(10)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상부가이드관(34)의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구멍들, 본 고안에서는 4개의 구멍(36a, 36b, 36c, 36d)들이 90°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구멍(36a, 36b, 36c, 36d)들중 어느 하나의 구멍(36a)은 후술하는 공기통과유로(46a)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통과유로(46a)를 통해 냉수탱크(22)에 존재하는 공기를 생수통(10)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구멍(36a)을 제외한 나머지 구멍(36b, 36c, 36d)들은 후술하는 생수통과유로(46b, 46c, 46d)들에 연결되어, 상기 생수통과유로(46b, 46c, 46d)를 통해 생수통(10)에 저장되어 있는 생수를 냉수탱크(22)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하부가이드관(38)은 플랜지부(32) 아래쪽에 형성되며, 냉수탱크(22)내에 노출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하부가이드관(38)은 저면은 밀폐 구성하지 않고, 후술하는 공기통과유로(46a) 및 생수통과유로(46b, 46c, 46d)가 냉수탱크(22)와 연통할 수 있도록 절개부(42a) 및 개방구(42b, 42c, 42d)가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구성의 상, 하부가이드관(34, 38) 내부에는 "+"형상의 칸막이(44)가 설치되며, 상기 칸막이(44)를 통해 상, 하부가이드관(34, 38)의 내부에는 하나의 공기통과유로(46a)와 세개의 생수통과유로(46b, 46c, 46d)들이 구획 형성된다.
상기 공기통과유로(46a)는 일단은 상부가이드관(34)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36a, 36b, 36c, 36d)들중 하나의 구멍(36a)과 연결되고, 그 타단은 하부가이드관(38)의 저면에 절개 형성된 절개부(42a)와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사용과정에서 냉수탱크(22)에 존재하는 공기를 생수통(10)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생수통과유로(46b, 46c, 46d)들은 일단은 상부가이드관(34)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36a, 36b, 36c, 36d)들중 공기통과유로(46a)에 연결되는 구멍(36a)을 제외한 나머지 구멍(36b, 36c, 36d)들과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그 타단은 하부가이드관(38)의 저면에 형성된 개방구(42b, 42c, 42d)들과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사용과정에서 생수통(10)에 저장되어 있는 생수를 냉수탱크(22)로 배출시키게 된다.
한편, 상술한 하부가이드관(38)의 둘레면중 일부는 절개(42a)시켜 구성하고, 상기 절개부(42a)는 전술한 공기통과유로(46a)와 연통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절개부(42a)는 냉수탱크(22)에 저장되어 있는 생수의 수위가 일정폭 이하로 낮아지면 하부가이드관(38)의 저면에 형성된 개방구(42b, 42c, 42d)들 보다 먼저 생수의 수면위로 노출되어 냉수탱크(22)에 존재하는 공기를 생수통(10)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즉, 냉수탱크(22)에 존재하는 공기는 하부가이드관(38)의 개방구(42b, 42c, 42d)로 한꺼번에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생수의 사용으로 인해 절개부(42a)가 생수 수면위로 노출되면 상기 절개부(42a)를 통해서만 공기통과유로(46a)로 유입되어 짐으로서 생수통(10)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천천히 지속적으로 공급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공기가 생수통(10)으로 한꺼번에 배출됨으로서 발생할 수 있는 생수의 울렁거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바, 이에 대한 설명은 하기의 작용란에서 보다 더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냉온수기 가이드관의 작용을 첨부된 도 6a와 도 6b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도 6a에서와 같이 생수통(10)의 토출구(12)를 워터가이드(26)의 삽입홈(28)에 끼워넣게 되면 상부가이드관(34)은 생수통(10)의 토출구(12)에 삽입되어 지며, 이에 따라 생수통(10)에 저장되어 있는 생수는 상부가이드관(34)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36a, 36b, 36c, 36d)들을 통해 공기통과유로(46a) 및 생수통과유로(46b, 46c, 46d)를 거쳐 하부가이드관(38)의 절개부(42a) 및 개방구(42b, 42c, 42c)를 통해 냉수탱크(22)로 배출되어 진다.
이후, 상기 냉수탱크(22)로 배출되는 생수가 일정수위 이상으로 저장되고 나면 하부가이드관(38)의 절개부(42a) 및 개방구(42b, 42c, 42d)는 생수의 수면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절개부(42a) 및 개방구(42b, 42c, 42d)가 수면 아래에 위치하면 생수통(10)으로는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되어 생수통(10)내의 생수는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받지 않게 되어 더 이상 가이드관(30)을 통해 냉수탱크(22)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6b에서와 같이 냉수코크를 통해 생수를 사용하게 되면, 냉수탱 크(22)에 저장되어 있는 생수의 수위는 점차적으로 낮아지게 되는 데(S1→S2), 이 과정에서 하부가이드관(36)의 절개부(42a)는 개방구(42b, 42c, 42d)와 달리 생수의 수면위로 먼저 노출되어 지고, 상기 절개부(42a)의 노출과 함께 냉수탱크(22)에 존재하는 공기는 노출된 절개부(42a)를 통해 공기통과유로(46a)로 유입되고, 이어서 상부가이드관(34)의 둘레면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구멍(36a)을 통해 생수통(10)으로 배출되어 진다.
즉, 본 발명은 생수의 수위가 낮아지는 과정에서 종래와 같이 하부가이드관(38)의 저면부에 형성된 개방구(42b, 42c, 42d) 전체가 생수의 수면위로 노출되는 것이 아니라, 하부가이드관(38)에 형성된 절개부(42a)가 먼저 노출되도록 함으로서 냉수탱크(22)에 존재하는 공기는 수면위로 노출된 절개부(42a)를 통해서만 생수통(10)으로 배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생수통(10)내에는 한번에 많은양의 공기가 공급되지 않게 됨으로서 공급되는 공기량을 천천히 지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게 되어 생수통(10)내에는 공기의 지나친 공급으로 인한 생수의 울렁거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절개부(42a)로 유입된 공기가 공기통과유로(46a) 및 상부가이드관(34)에 형성된 하나의 구멍(36a)을 통해 생수통(10)으로 공급되고 나면, 생수통(10)내에는 공급된 공기의 양을 통해 체적이 증가하게 되고, 증가된 체적만큼의 압력이 생수로 전해지게 됨으로서 생수통(10)내의 생수는 상부가이드관(34)의 구멍(36b, 36c, 36d)들 및 생수통과유로(46b, 46c, 46d)를 거친 다음, 하부가이드관(38)의 개방구(42b, 42c, 42d)들을 통해 냉수탱크(22)로 배출되어 진다. 이때 배 출되는 생수는 상부가이드관(34)의 구멍(36a) 및 공기통과유로(42a)를 거친 다음, 하부가이드관(38)의 절개부(42a)를 통해서도 일정량이 배출되어 진다.
미 설명 부호 33은 오-링(O-RING)(33)을 칭한 것이며, 35는 너트(35)를 칭한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7은 본 고안인 냉온수기의 가이드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냉온수기의 가이드관(30)은 전술한 실시 예에서 기술한 냉온수기용 가이드관(30)과 동일한 구성으로 제작하되, 냉온수기용 가이드관(30)을 구성하는 상부가이드관(34)의 선단에 뾰족모양의 첨예부(34a)를 형성시켜 구성함에 특징이 있다. 상기 첨예부(34a)는 생수통(10)을 냉온수기 본체(22)에 설치할 때, 생수통(10)의 토출구(12)로 상부가이드관(34)이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사용자는 위와 같은 두가지 종류 즉, 첨예부(34a)가 형성되지 않은 가이드관(30)이나, 첨예부(34a)가 형성된 가이드관(30)을 워터가이드(26)의 삽입홈(28)에 선택적으로 삽입시키거나 혹은 교체시켜 가며 사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가이드관을 구성하는 하부가이드관의 둘레면에 절개부를 형성하여 냉수탱크에 저장된 생수의 수위가 낮아지는 과정에서 상기 절개부만 생수의 수면위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서 냉수탱크에 존재하는 공기를 생수통으로 조금씩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공기의 지나친 유입으 로 인해 생수통내에 저장된 생수의 울렁거림현상을 최소화시켜 소음 및 생수통의 흔들림을 줄여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냉온수기의 가이드관에 있어서,
    생수통(10)의 토출구(12)에 삽입되며 둘레면에는 구멍(36a, 36b, 36c, 36d)들이 관통 형성된 상부가이드관(34)과;
    상기 상부가이드관(34)의 아래에 형성되며 저면에는 개방구(42b, 42c, 42d)들이 형성된 상태로 냉온수기의 냉수탱크(22)에 위치하게 되는 하부가이드관(38)을 포함하며;
    상기 상, 하부가이드관(34, 38)의 내부에는 칸막이(44)를 사이에 두고 공기통과유로(46a) 및 생수통과유로(46b, 46c, 46d)가 각각 구획 형성되며;
    상기 공기통과유로(46a)는 일단은 상기 상부가이드관(34)에 형성된 어느 하나의 구멍(36a)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가이드관(38)의 둘레면에 절개 형성된 절개부(42a)에 연결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생수통과유로(46b, 46c, 46d)는 일단은 상기 상부가이드관(34)의 나머지 구멍(36b, 36c, 36d)들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가이드관(38)의 개방구(42b, 42c, 42d)에 연결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가이드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이드관(34)의 선단은 첨예부(34a)가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수기의 가이드관.
KR2020070010367U 2007-06-25 2007-06-25 냉온수기의 가이드관 KR2004398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367U KR200439847Y1 (ko) 2007-06-25 2007-06-25 냉온수기의 가이드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367U KR200439847Y1 (ko) 2007-06-25 2007-06-25 냉온수기의 가이드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847Y1 true KR200439847Y1 (ko) 2008-05-07

Family

ID=41641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367U KR200439847Y1 (ko) 2007-06-25 2007-06-25 냉온수기의 가이드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84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5774A2 (ko) * 2011-05-27 2012-12-06 주식회사 위닉스 냉온수기의 물 분리대
CN107500239A (zh) * 2017-08-25 2017-12-22 遵义市永胜金属设备有限公司 定量取酒储酒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5774A2 (ko) * 2011-05-27 2012-12-06 주식회사 위닉스 냉온수기의 물 분리대
WO2012165774A3 (ko) * 2011-05-27 2013-02-07 주식회사 위닉스 냉온수기의 물 분리대
KR101269093B1 (ko) * 2011-05-27 2013-05-29 주식회사 위닉스 냉온수기의 물 분리대
CN107500239A (zh) * 2017-08-25 2017-12-22 遵义市永胜金属设备有限公司 定量取酒储酒罐
CN107500239B (zh) * 2017-08-25 2019-03-01 遵义市永胜金属设备有限公司 定量取酒储酒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65821A1 (en) Plant cultivation device, box, end section unit
KR102038030B1 (ko) 냉수 공급장치 및 냉수 공급을 위한 제어방법
KR200439847Y1 (ko) 냉온수기의 가이드관
DE602007000834D1 (de) Integrierte Vorrichtung zur Zuführung und Aufbereitung von Wasser für eine Geschirrspülmaschine
KR20120110736A (ko) 순환 펌프가 냉수 탱크에 수납된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WO2010023770A1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100735515B1 (ko) 세균번식방지 시스템을 갖는 냉온수기
RU2006115974A (ru) Способ охлаждения зоны реза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1479315B1 (ko) 냉온수기의 취출수 물튐 방지용 댐퍼 코크
KR20170119356A (ko) 온수기용 버퍼탱크
KR101623839B1 (ko) 드럼 히터
KR101594243B1 (ko) 정수기
JP6096107B2 (ja) 気泡消滅機
KR101269093B1 (ko) 냉온수기의 물 분리대
CN105668756B (zh) 矿物质水供应模块
KR200309547Y1 (ko) 열에너지를 이용한 무동력 강제순환 온수매트
JP6279205B2 (ja) 浄水器
KR20150026299A (ko) 냉온수 분배기
CN220566632U (zh) 出水组件、加热龙头及净水机
KR200357726Y1 (ko) 저수조용 물분산기
KR200491858Y1 (ko) 표고버섯 재배 장치
KR20110130890A (ko) 온수기용 온수저장탱크
KR200476273Y1 (ko) 정수기용 히터모듈
US20230151593A1 (en) Faucet and spout thereof
KR100889456B1 (ko) 이중 가열 히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수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